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함수언어의 병렬 실행에 관한 연구

        정은화(Eun-hwa Jeong),홍경호(Keong-ho Hong),강병욱(Byeong-ug Kang) 한국정보과학회 199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2

        본 연구는 함수언어 Miranda 서브셋을 병렬처리하는 병렬 그래프 리듀서에 관한 연구이다. 병렬 실행을 위해서는, 순차 컴비네이터에서 제안된 동기 구성자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를 G 기계로 확장하고 가상 공유 다중 시스템에서 C언어로 병렬 실행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결과 프로세서의 수에 비례하여 실행속도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고급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의 주제 연구

        정은화 ( Eun Wha Jeong ),이화진 ( Hwa Jinp Lee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6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고급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읽기 텍스트의 주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일반 목적이든 특수 목적이든 외국어 학습자들은 고급 단계에 이르게 되면, 다양하고 광범위한 읽기 자료들을 읽고 거기에서 정보를 얻어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많은 연구 결과들이 고급 단계의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읽기가 어려우면서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행 읽기 텍스트의 주제 연구를 통해 고급 단계의 교재가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다루고 있는지 판단하는 근거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논의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현행 고급 단계 읽기 텍스트의 주제들을 표준 모형의 분류틀에 따라 분류하고,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 단계에서는 앞의 분류 결과 나타난 고급 단계 읽기 텍스트의 주제 양상을 보다 면밀히 분석해 보았다. 두드러지는 양상은 두 가지인데, 그 첫 번째는 전문분야 범주의 강화이고, 두 번째는 문학 작품이 텍스트로 제시되면서 곧 그 자체로 주제가 된다는 점이다. 한국어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다양해지고 세분화되는 학습자들의 목표와 요구를 고려할 때, 이는 고급 단계에서의 자연스러운 변모 양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로 인해 고급 단계의 수업이 기초적이나마 지나치게 전문분야에 대한 지식 제공을 위한 것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며, 문학 작품의 경우에는 사회적·문화적 정보를 주기 위한 자료로만 편향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텍스트를 구성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give an analysis of the theme of the Korean language advanced-level reading text. Recently Many overseas students are studying to Korean language advanced-level with various and materialized purposes. So most of the students need to read large amount of Korean reading material and absorb information from it. So the theme research of the current reading text can enhance the foreign students` Korean language ability. In the first step, I classified the theme of advanced-level Korean textbook into the standard theme classification, then arranged the results and overall appearance of distribution. The next step presents the theme of reading texts which is based on the analysis that is mentioned at the previous ste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reading text show us two discriminative features. One is materialization and enhancement of categories of the specialized field. And the other is to began to present literature texts as the theme of the Korean language reading. This two features came from the change of learner`s needs and goals in the Korean language advanced-level.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의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 곤란과의 관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은화 ( Eun Hwa Jeong ),이현아 ( Hyun A Lee ),이지영 ( Ji Young Lee ),이강이 ( Kang Yi Lee ) 대한가정학회 2019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7 No.4

        This study identifies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media devices, communication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for third grade students, as well as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Data from the 10th (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as employed (N=557).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along with SPSS 25.0(IBM Co., Armonk, NY, U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third-grad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edia device use. While also,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Media devices use and communication abil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has a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use of media device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 difficulty of executive function showed a reciprocal increase to a child’s use of media devices and indicated a discriminatory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 ability is important as a personal factor for children who control the negative effects of media de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support an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건강한 성인의 양측상지기능의 상상훈련과 신체적 수행의 대뇌 연결성 비교: 사례 연구

        정은화(Jeong Eun-Hwa),김희(Kim He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9 재활치료과학 Vol.8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양측상지기능 훈련을 통해서 활성화 되는 대뇌연결성에서 상상 훈련과 신체적 수행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성인 1명으로 상상훈련과 신체적 수행 시 EEG 측정이 이루어졌다. 양측상지기능 훈련은 대칭 과제와 비대칭 과제로 구성되었다. 대칭 과제는 양손으로 박스를 잡고 동시에위의 선반으로 올렸다가 다시 내려놓는 과제이고, 비대칭 과제는 한 손으로 병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뚜껑을 여는 과제였다. EEG 전극은 Fp1, Fp2, F3, F4, T3, T4, P3 및 P4에 부착되었다. 데이터 분석은 EEG 전극 쌍 간의 상관 분석을 위해 Cross-Line Mapping을 사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대칭 및 비대칭의 양측 상지 과제에서 대뇌 연결성 패턴은 운동과 감각 영역에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양측상지기능 훈련 시 상상훈련보다 신체적 수행에서 대뇌 연결성이 더 높은 상호상관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rain connectivity in mental practice and physical performance of training bilat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Method: The subject performed activities involving mental tasks and physical exercise for bilateral upper extremity functioning during each phase of EEG measurements. The subject performed a symmetrical task(lifting a box and placing it back) that involved moving both arms at the same time and an asymmetrical task(opening and closing a bottle cap) in order to perform functional tasks. EEG electrodes were attached to Fp1, Fp2, F3, F4, T3, T4, P3, and P4.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ross-Line Mapping for correlational analyses between EEG electrode pair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brain connectivity patterns of symmetrical and asymmetric upper extremity tasks have similar patterns for the motor and sensory area, an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physical practice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mental practice.

      • KCI등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정은화(Eun Hwa Jeong)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2 재활치료과학 Vol.11 No.4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평가도구를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작업치료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내용은 개발연도, 평가방식, 문항수, 척도,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평가 항목을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범주로 구분하여 각 평가도구의 평가 요소에 대해 파악하였다. 결과 : 검색어를 통한 Pubmed 검색 시 161개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선정 방법에 따라 Griffiths Work Behavior Scale (GWBS),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OFS),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Work Ability Index (WAI), Work Behaviour Inventory (WBI),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WSAS)의 7개 평가도구가 선별되었다. 모든 평가도구의 평가항목은 직무와 관련된 기능평가를 포함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목적에따라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직업 기술은 신체, 인지, 사회기술, 대처능력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 요소가 포함될 필요가 있으며, 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ICT 융합 평가도구의 개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evaluation tool for the mentally disabled. Methods : For literature search, the Pubmed database was used, and for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year, evaluation method, number of items, scale, and evaluation items were analyzed. In the analysis method, each evaluation item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unction, internal factor, environment, and mental symptom, and the evaluation elements of each evaluation tool were identified. Results : When searching Pubmed through search terms, 161 documents were retriev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method, Griffiths Work Behavior Scale (GWBS),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OFS),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Work Ability Index (WAI), Work Behavior Inventory (WBI),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and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WSAS) were screened. The evaluation items of all evaluation tools included job-related function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evaluation tool, internal factors, environment, and mental symptoms were measured. Conclusion : Occupational skills are skills in which various functions such as physical, cognitive, social skills, and coping skills act in a complex w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ur factors analyzed in this study: function, internal factors, environment, and psychiatric symptoms.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가정방문 작업치료 효과: 사례 연구

        정은화(Jeong, Eun-Hwa)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제공한 사례를 통해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서울시 소재 보건지소에 가정방문 작업치료 서비스를 신청한 뇌졸중 환자 두 명을 대상으로가정방문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일상생활동작 기능, 작업수행 기능, 인지기능, 정서 기능을평가하고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Client-centered approach)을 기반으로 작업치료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를 계획하였다.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의 주요 문제를 바탕으로 여가 활동 탐색 및 참여를목표로 설정하여 12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두 사례 모두 COPM 점수에 향상이 있었고, 사례 2에서 MBI와 K-MMSE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또한 사례 1에서 KGDS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결론 : 가정방문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 및 경제적 부담 등을 고려하면서 뇌졸중 환자의일상생활활동, 인지, 정신적 기능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정 및 지역사회 통합에 있어 기관중심재활에서 지역사회중심재활로 지속적이고 연속된 재활 서비스가 활성화가 요구되어지며, 병원에서 퇴원하는 뇌졸중 환자들의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및 사회적 접근의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가정방문 작업치료서비스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wo patients with stroke who applied for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t a health center in Seoul were enrolled. The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evaluates the subject s daily living, task performance,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sets occupational therapy goals and plans interventions based on a client-centered approach.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consisted of 12 sessions based on the client s major problems. Results : COPM scores improved in both cases, there was an improvement in COPM scores, and in Case 2 there were improvements in MBI and K-MMSE scores. There was also an improvement in KGDS scores in Case 1. Conclusion :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daily activities, cognition, and mental function of stroke patients. During home and community integration, continuous and continuous rehabilitation services need to be activated from institutional rehabilitation to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ctive home-visit occupational therapy is needed to promote physical, cognitive, mental and social access in stroke pat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s.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 대상의 그룹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정은화(Jeong, Eun-Hwa),주유미(Ju, Yumi)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대상의 그룹 프로그램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9년부터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NDSL, DBPia, Riss,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노인 대상의 그룹 프로그램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147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16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연구 대상자 특성, 그룹 프로그램의 세부내용, 중재기간 및 회기, 결과 측정방법, 그룹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6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Ⅲ에 해당하는 단일 그룹 사전-사후 연구가 8편(50.0%)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사회 거주 일반 노인 대상의 연구가 5편(25.0%)이었다. 총 16편의 연구에서 적용한 그룹 프로그램의 유형은 10개로 구분되었고, 운동 그룹 프로그램이 4편(25.0%)이었다. 그룹 프로그램 중재 기간은 12주 동안의 중재 기간이 6편(37.5%)이었고, 회기는 8회기와 12회기가 4편(25.0%)이었으며, 그룹 프로그램의 적용 시간은 60분이 7편(43.8%)이었다. 결론 : 본 고찰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인지수준의 노인을 위한 작업치료 그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roup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in commun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pplying effec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Methods :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9, articles on group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were searched for in the NDSL, DBPia, Riss, and PubMed database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 total 16 out of the 147 identified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is review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contents of the group program, session and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outcome measures, and effect of the group program. Results : Single group pre-post test studies with evidence level III were most common (8, 50.0%), and five (31.3%)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cross all the 16 studies, there were 10 types of group program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was an exercise group program (25.0%).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group program period, sessions and time, the intervention period was most commonly 12 weeks (37.5%), with 8 sessions or 12 sessions (25.0%). The intervention time in the group program was most commonly 60 minutes (43.8%). Conclusion :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roup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patients with dementia in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services.

      • KCI등재후보

        국내 노인 여가활동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정은화(Jeong, Eun-Hwa)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19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1 No.2

        목적: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노인의 여가활동을 조사함으로써 노인 여가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서울, 경기, 충청, 전북 지역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노인 여가 활동에 대한 폐쇄형 설문과 실제로 본인이 참여하고 있는 여가 활동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국내 노인들이 여가 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에 대한 폐쇄형 설문조사 결과는 TV시청이 가장 높았고, 휴식, 산책/걷기, 국내 여행하기, 집안일(취미), 공원 가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실제로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에 대한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는 TV시청이 가장 많았고, 산책/걷기, 성경책/불경 읽기, 텃밭 가꾸기, 마을회관/노인정 가기, 집안일(취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우리나라 노인의 여가활동은 TV시청과 같은 수동적인 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은 참여비율이 비교적 저조한 편이다. 이러한 이유는 노인의 여가 인식 및 여가시간 활용이 낮기 때문이다. 작업치료는 여가 영역에 전문성을 가진 분야로써, 노인의 여가참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 기반 작업치료를 강화하고, 노인 여가 탐색 및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by surveying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Methods : It surveyed 100 senior citizen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North Jeolla provinces on closed-questionnaire of leisure activities of old people and open-questionnaire of leisure activities they actually participate in. Results: The results of a closed-questionnaire on activities that the elderly in Korea usually do in their leisure time showed TV view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st, walking/walking, traveling in Korea, housework(hobby) and going to the park. The results of an open-questionnaire of leisure activities that the elderly are actually participating in showed that TV viewing was the most popular, followed by walking/walking, reading the Bible/the Buddhist scriptures, gardening, going to the community center/the elderly, and doing housework(hobby). Conclusion: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Korea are the most involved in passiv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active leisure activities is relatively low. This is because the elderly have low awareness of leisure and use of leisure time. Occupational therapy is a field with expertise in the leisure area and should strengthen community-based work processes to promote leisure participation by the elderly, while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leisure exploration and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노인 대상의 생활공간 이동성(Life-space mobility) 연구 동향

        정은화(Jeong, Eun-Hwa)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1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생활범위 이동성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 동향에 대해 분석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PubMed, Embase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생활공간 이동성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335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27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27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Ⅱ에 해당하는 코호트 연구가 11편(40.7%)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는 일반 노인이 가장 많았고(81.5%), 생활공간 이동성 평가도구는 University of Alabama Life-Space Assessment(UAB-LSA)의 사용이 가장 많았다(88.9%). 총 27편의 연구 중 신체적 영역의 연구는 8편(29.6%), 정신사회적 영역의 연구는 8편(29.6%), 인지적 영역의 연구는 6편(22.2%), 사회적 영역의 연구는 2편(7.4%), 기타 영역의 연구는 3편(11.1%)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생활공간 이동성은 신체적, 인지적, 정신사회적 또는 사회적 요인과 같은 단일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분석될 필요성이 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 거주하는 다양한 상태의 노인들의 생활공간 이동성의 연구를 통해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지역사회에서 작업치료적인 접근이 가능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노인의 생활공간 이동성에 대한 연구가 확대될 것을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examine studies on the life-space mobility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and analyze and summarize the research trends. Methods : The Embase and PubMed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on the life-space mobility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0 and January 2020. Based on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e 335 articles, a total of 27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 As a results, 11 (40.7%) cohort studies had evidence level Ⅱ.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were healthy elderly (81.5%), and the University of Alabama Life-Space Assessment (UAB-LSA) used the most participants (88.9%). Of the foci of the 27 finally selected studies, 8 (29.6%) were physical, 8 (29.6%) were psychosocial, 6 (22.2%) were cognitive, and 2 (7.4%) were social, and 3 (11.1%) were others. The life-space mobility of the elderly needs to be analyzed from a multidimensional point of view, and not based on a single factor such as the physical, cognitive, psychosocial, or social.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verify causality through the study of life-space mobility for the elderly staying in various communities and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on the mobility of the elderly s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