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西日本地域의 高麗佛像과 浮石寺 銅造觀音菩薩坐像

        정은우,배재호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4

        서일본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한국에서 건너간 많은 불상이 전한다. 그중에는 삼국시대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전해진 불상을 비롯하여 왜구와 임진왜란과 같은 전쟁으로 인한 유출 그리고 일제강점 기까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전해졌다. 對馬島 觀音寺에 있는 동조관음보살좌상은 정확한 시기와 봉안처 등을 알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최근 우리나라에 불미스럽게 들어오면서 그 반출경위에 대한 의문점이 논의되어 왔다. 이 동조관음보살좌상은 1951년 복장물이 발견되면서 佛像結縁文이 확인되었다. 그 내용은 1330년 충청 남도 서산 부석사에서 돌아가신 부모를 대신하여 승려 계진을 비롯한 승속 32명 등 서로 인연이 있는 중생들 이 힘을 합쳐 불상을 주조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본에 남아 있는 많은 불상 가운데 충청남도 서산 부석 사라는 정확한 봉안처가 확인된 유일한 작품임을 알게 되었다. 이 동조보살좌상은 또렷한 이목구비에 부드 러운 미소를 띤 온화한 얼굴 모습과 대의 착의법, 묵직한 영락 처리 등에서 부드러우면서도 안정된 느낌을 주 는 조형적으로도 우수한 작품이다. 그러나 언제인가 충청남도 서산 부석사에서 일본 對馬島의 觀音寺로 옮겨졌으며 사찰 법의 본존불로 봉 안되어 있었는데 일본으로 건너 간 이유나 배경, 경로 등은 전혀 알 수 없다. 사찰에 남아 있는 기록을 통해 1526년경 현재의 對馬島 관음사 법당에 있는 동조보살두와 함께 봉안된 사실만 확인될 뿐이다. 1351-1382 년 사이 5번에 걸쳐 왜구가 서산을 침략한 『高麗史』기록을 통해 당시 왜구가 약탈해 간 불상으로 추정하기 도 하지만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추정한 것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배경에 대한 여러 가능성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Around western area of Japan, many Buddhist statues remain and are believed to move from Korea throughout from Tree Kingdoms period to Joseon dynasty period. Various routes are believed for moving the statue. Among them, some of Buddhist statues were transferred in the point of cultural exchange in Three Kingdom period, some flowed out by Japanese pirates or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some were taken during Japanese imperial period. The seated Bronze Avalokitesvara statue at Gannonji(觀音寺) in Tsushima(對馬島) Japan is noticed as important product for knowing exact period and enshrinement location, and drew concern about circumstances of taking out while moving in Korea disgracefully recently. The various turma (hidden treasure; 覆臟物) inside the seated Bronze Avalokitesvara statue were unearthed in CE 1951, and a sentence about stature forming connection (佛像結縁文) was confirmed. The sentence read that monk Gaejin including 32 temple related monks in cooperation with ordinary people built the statue in CE 1330 for the memory of the lated parents at Busoksa(浮石寺) in Seosan Chungnam-province. Among many Buddhist statues remained in western Japan, it is known that the statue is unique product verifying enshrinement location as Busoksa in Seosan Chungnam-province. The statue is a superior product in formative arts demonstrating mild and stable feeling, showing regular features, gentle facial expression with tender smile, wearing cloth style and luxurious ornaments. Nobody knows when the statue located at Busoksa in Seosan Chungnam- province was moved and to Ganumsa temple in Tsushima Japan and enshrined into main building at the temple. No record is written about the cause and back ground for moving to Japan and moving rout. Only the record in the temple confirmed the statue along with bronze head Boddhisatva was enshrined into the existing present Buddhist temple in CE 1526. As the Goryeo History 『高麗史』recorded 5 times raids during CE 1351~1382 by Japanese pirates, by observing periodical situation, one of the possibility is assumed that the statue was taken to Japan by the pirates.

      • KCI등재

        日本 壹岐 金谷寺 소장 동조보살좌상 연구

        정은우 韓國佛敎硏究院 2013 불교연구 Vol.39 No.-

        서일본 지역에 남아 있는 고려후기 이전의 고려시대 불상들은 10점 미만으로 적은 편이다. 그 중 일본의 대마도와 후쿠오카 가운데에 있는 작은 섬인 壹岐 金谷寺(긴코쿠지)에 봉안되어 있는 동조보살좌상은 크기 74.0cm의 큰 규모로서, 1980년(昭和 55年) 2월 29일 長崎(나가사키)현 지정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금곡사 동조보살좌상은 가늘고 긴 신체비례에 이국적인 인상 그리고 신체 전면에 나 있는 작은 구멍들이 특징이다. 제작시기는 긴 신체 비례에 통견식 대의 그리고 옷 자락이 무릎 위에서 삼각형으로 접혀진 점과 얼굴의 특징 등을 고려하면 고려 12-13세기로 추정된다. 이 보살상의 가장 특이한 점은 신체 전면에 퍼져 있는 대략 27-30개 정도의 구멍들로서 크기는 2-4mm정도이다. 이와 같이 신체에 작은 구멍이 있는 불상은 현재 조사된 자료로서는 유일한 작품이다. 이 작은 구멍들을 서로 연결하면 안동 보광사 목조보살좌상이나 대구 파계사 건칠보살좌상의 영락과 같은 모습이 된다. 이는 이 구멍이 원래 영락을 고정했던 흔적일 가능성을 높혀주는 것이며, 이를 입증하는 실제의 영락 장식도 경기도 회암사지 발굴에서 출토된 바 있다. 회암사지출토 영락은 현존하는 보살상의 영락과 세부 장식과도 연관성을 보이는데 회암사의 전성기인 14세기의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따라서 금곡사 보살상과 회암사지출토 장식을 통해 고려시대 보살상의 영락 부착 방식에서 다양한 기법들이 있었음이 확인되며, 이는 고려시대 금속공예의 발달에 기인한 것으로 인식된다. 고려시대 보살상들의 다양한 영락 처리 방식을 통해 보수의 문제도 검토해 보았다. 특히 李㦃의 『龍頭山 金藏寺 金堂主 彌勒三尊 改金記』에 쓰여진 불상의 보수 내용과 현존하는 보살상의 현상을 대조하였다. 그 결과 같은 재질로 이용한 상과 달리 여러 재질을 이용한 제작한 보살상의 경우 계속적인 보수가 있었을 것으로 파악해 보았다. 금곡사 동조보살좌상은 안동 봉정사,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등과 함께 12-13세기를 대표하는 작품이며, 고려시대 영락 장식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경향과 기법을 확인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In the western Japan area, the number of remaining Buddhist statue of the late Goryeo period could be counted a less likely to nine (9). Among them, a bronze seated Bodhisattva enshrined at Kinkokzi(金谷寺) in Iki Island, a small one in the center of Tsushima(對馬島) and Fukuoka(福岡) in Japan, is as large as 74.0cm and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of Nagasaki(長崎縣) in 29 Feb. 1980(昭和 55年).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enshrined at Kinkokzi(金谷寺) features a long, thin body proportion, exotic impression and small holes on the whole body. Considering long body proportion, clothes covering both shoulders, a hem folded into a triangle above the knee and facial featur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statue is estimated to be 12-13th century in Goryeo dynasty. The most unusual point of Bodhisattva is holes spreaded throughout whole body with around 27-30 holes sized 2-4mm. The Bodhisattva with small holes in the body is the only work currently investigated as a sourc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small holes, it should look like decorative ornaments(yongrak) of wooden seated Bodhisattva at Bogwangsa(寶光寺) in Andong city or dry lacquer seated Bodhisattva at Pagaesa(把溪寺) in Daegu city. Holes are likely to be the evidence of fixing decorative ornaments(yongrak), and demonstrated the actual decoration of the decorative ornaments(yongrak) which was unearthed in excavations at Hoeamsaji(檜巖寺址) in Kyunggi province. The decorative ornaments(yongrak), unearthed at Hoeamsaji, seemed to link to the remaining Buddhist statue and detailed decoration, and it might be manufactured in 14th century, the heyday period of Hoeamsaji. Therefore, given the Bodhisattva statue of Kinkokzi(金谷寺) and the decoration unearthed in Hoeamsaji, various techniques in attachment style of decorative ornaments(yongrak) are confirmed in Goryeo period. and is at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etal craft in that duration. Handling of repair maintenance issue was examined through various processing techniques of decorative ornaments(yongrak) of Buddhist statues in Goryeo period. Especiall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repair contents of Buddhist statue written in 『龍頭山 金藏寺 金堂主 彌勒三尊 改金記』 by Mr. Lee San(李㦃) and existing phenomenon of Bodhisattva, As a result, unlike to the same material, the Bodhisattva with several different material was identified to be experienced continuous repairing maintenance. The bronze seated Bodhisattva at Kinkokzi(金谷寺) along with wooden Avalokitesvara of Bongjeongsa(鳳停寺) and Bogwangsa(寶光寺) in Andong city are representing the work of the 13th century, and are important material confirming colorful and formal decorative trend and techniques of decorative ornaments(yongrak) decoration in Goryeo period.

      • KCI등재

        조선후기 미황사의 불교조각과 조각승의 활동

        정은우 동악미술사학회 2019 東岳美術史學 Vol.0 No.25

        전라남도 해남 미황사에는 주요한 전각이 남아 있고 그 내부에는 각각의 도상과 특성에 맞는 조선후기 불상들이 봉안되어 있다. 주요 전각은 1754년에 중건된 대웅전(보물 제947호), 비슷한 시기로 추정되는 응진당(보물 제1183호)과 명부전이다. 전각에 봉안된 불상들은 대체로 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시대적 특성을 지닌 조형성과 우수성을 지닌 작품들이다. 그러나 각 전각의 불상들에는 일부 복장물은 남아있지만 조각승과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발원문을 비롯한 중요한 물목은 거의 없어진 상태이다. 즉 상들에 대한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도 거의 없으며 불상을 만든 조각승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대웅전과 명부전, 응진당의 존상들에 대해서는 1754년 3전각의 불상들을 개금했다는 기록과 1737년 응진당 존상의 개금을 했다는 내용이 남아 있어 하한연대는 확인되는 정도이다. 그러나 각 불상의 양식적 특징과 분석을 통해 명부전은 조각승 印均,, 명부전은 조각승 雲惠, 응진당 존상들은 조각승 色蘭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조각승 인균, 운혜, 색난은 17세기 전라남도에서 활동한 조선후기 최고의 조각승으로 미황사 전각의 존상들 역시 17세기 전반과 중엽경 그리고 17세기후반경 만들어졌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불상들이 제작된 17세기는 주전각과 부속전각, 불상과, 불화 조성, 개금과 개채 등 미황사의 주요불사들이 주도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로서 미황사의 최전성기라 할 수 있다. 미황사에 남아 있는 유물은 대웅전 상량문과 괘불 등을 통한 18세기의 기록과 작품들이다. 다행히 전각에 남아 있는 불교조각의 양식적 분석을 통해 17세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에서 이는 18세기 이전의 미황사의 역사를 보완해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여기에 참여한 조각승들은 이 시기 이 지역에서 활동한 최고의 조각승들이라는 점도 당시 미황사의 사격을 짐작하게 하는 요소이다. In the Mihwangsa(美黃寺) temple of Haenam-gun in Jeollanam-do province, buddhist main buildings(殿閣)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main and Buddha statues with iconograph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e enshrined in the building. Main buddhist buildings are the Daeungjeon(大雄殿,Treasure No. 947) building reconstructed in 1784, Eungindang(應眞堂, Treasure No. 1183)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the similar period, and the Myungbujeon(冥府殿). The Buddha statues enshrined in the buildings have been possibly produced in the 17th~18th centuries. Most of them are sculptures with formality and excellence with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However, some Buddhist secret objects remain in the Buddhist statues of each building, important items such as votive inscriptions identifying sculpture monk and construction period are almost missing. There are no record about the period when statues built and about the monk who manufactured sculptures. Regarding to sacred Buddha images of the Daeungjeon, the Eungindang and the Myungbujeon, there are records that the Buddha statues of the temple had been gold plating in 1754, and the Buddha image of the Myungbujeon gold plating in 1737. By observ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each Buddhist statue, the sculpture of Daeungjeon was possibly built by sculptor monk Ingyun, the sculpture of Eungindang by monk Eunhye, and the sculpture by the Myungbujeon by monk Saeknan. Three sculptor monks, Ingyun Eunhye and Saeknan, actively worked in the area of Jeollanam-do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and were the best known sculptor mon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a images of Mihwangsa temple were constantly built throughout 17th century. The temple was the highlight of prosperity in 17th century. During that period, Buddhist statues were produced, many buildings including main and attached were constructed,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s produced, and major Buddhist events such as gold plating and re-painting on Buddha statues experienced. At present, the remnants of the Mihwangsa temple are Daeungjeon (上樑文) and giant buddhist painting(掛佛) which are the records and works in the 18th century. By analyzing styles of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in the temple, the Buddhist statues were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This is an important data to complement the history of Mihwangsa temple before the 18th century. As the best well known sculptor monks during that period participated to make sculptures of the Mihwangsa temple, it showed that the temple played locally important position.

      • KCI등재
      • KCI등재

        1502년명 천성산 관음사 목조보살좌상 연구

        정은우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8

        As turma (votive objects place inside statues of the Buddha; 腹藏物) was unearthed, the wooden Bodhisattva Statue enshirned at Wongwangsa temple (元光寺) in Dongraegu-district Busan-city was revealed to be manufactured in Hongchi 15 (1502), and to be remanufactured in 1706. The Statue shows commanding presence with broad shoulder and straight posture, and has characteristics such as a longish statue body, plain face and simple format, In particular, serious facial expression, long hair fallen down to shoulder and simple format without decoration of necklace and jewels are distinguished features not shown at other Bodhisattva in the same period. The various turma inside Bodhisattva Statue were unearthed, and exact contents of the turma became known by the inscription(發願文). Local common residents and monks were joined to build the Statue. It was originally built in bronze Amitabha triad in 1364, after disappearing attendant Bodhisattva images, but it was said to be rebuilt in wood in the year 1502 to be enshrined Buddha triad. Also the enshrined temple was verified as Gwanumsa temple (觀音寺) in Cheonsungsan Mt. (天聖山), whose temple was originally located at Eunsanhyun(殷山縣) province in Pyungannamdo Province. Among votive objects, brass bowl with a lid shaping eight leaves, various grains wrapping in paper and Ginseng were noticed. Particularly, as a result of evaluating radiation carbon measurement, manufacturing year of the Ginseng was verified around 1060 CE (±80BP) which was the unique Goryeo Ginseng. The Bodhisattva seated Statue in Ganumsa temple at Chunseong Mt. was manufactured in King Yeonsan period (1495-1506) of Joseon dynasty, and showe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tatue and period life of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to that, in the point of various votive objects and first unearthed Goryo Ginseng, the statue has a important value. 부산광역시 동래구 원광사(元光寺)에 봉안되어 있는 이 목조보살좌상은 복장물이 공개되면서 홍치15년(1502)에 제작되었고 1706년에 중수되었음이 밝혀졌다. 보살상은 넓은 어깨에 곧은 자세로 당당한 모습이며 길죽한 불신에 밋밋한 얼굴, 생략이 많은 단순한 형태미가 특징이다. 특히 근엄한 얼굴 표정에 어깨 까지 축 늘어진 머리카락이나 목걸이와 영락이 배제된 단순함 등은 같은 시기 다른 보살상과는 차별되는 특징적인 모습이다. 보살상의 몸 안에서는 다양한 복장물이 나왔으며 발원문을 통해 정확한 내용도 알려졌다. 즉 지방에 거주하는 서민들과 승려들이 참여하여 제작하였으며, 원래는 1364년 청동제 아미타삼존불이 있었으나 보처불(협시보살)이 없어져 1502년 협시보살을 다시 나무로 만들어 삼존불로 봉안하였다고 한다. 봉안사찰은 천성산(天聖山) 관음사(觀音寺)로 밝혀졌는데 이는 평안남도 은산현에 있었던 사찰이다. 복장물 가운데는 팔엽(8잎) 꽃 모양의 황동합과 종이에 싼 채로 발견된 각종 곡물류 그리고 인삼 등이 주목된다. 특히 인삼은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 1060CE(±80BP) 전후의 시기가 밝혀지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고려인삼임이 밝혀졌다. 천성산 관음사 보살좌상은 조선시대 연산군시기 (1495-1506년 재위)에 제작된 상으로 16세기의 시대성과 불상의 특징을 보여줌은 물론 다양한 복장물 그리고 처음으로 고려인삼이 출토된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가상기준점을 이용한 도로편경사 산정

        정은우,문두열,신상호,이성수,김명수 東義大學校産業技術開發硏究所 2011 産業技術硏究誌 Vol.25 No.-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지역에 대하여 가상기준점의 취득된 3차원 자료를 이용하여 도로 편경사 산정 후 설계제원과 비교분석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관측자료를 총 78개 추출한 3차원자료를 이용하여 편경사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편경사와 설계제원과 비교분석한 결과, 좌측차로의 평균오차는 0.170%이고 우측차로의 평균오차는 0.117%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자료취득에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가상기준점을 이용하여 도로 편경사를 산정할 수 있었고, 향후 도로안전진단에서 도로 주행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매우 실무적인 연구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t is a goal to suggest an economical and efficient method to compare with design specifications after estimating the superelevation of the road based on three-dimensional data achieved by the VRS method. The superelevation is compared by the design specifications, the results are that the mean errors on left and right side of the road are 0.170% and 0.117%. Thus, it is evaluated this utilized method, the VRS, is useful in part of the field. According to the research using by VRS method, accurate superelevation can be achieved, he nceforth in the part of safe diagnosis on road, the driving efficiency will be maximized and this process will become a working-level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