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CSCW 기반 CALS 시스템 개발

        배재호,왕지남 한국정보처리학회 1998 정보처리학회지 Vol.5 No.1

        This paper deals with developing a remote & realtime Computer-Aided Logistics Support (CALS) Systems through Information Super-Highway. A prototype of CALS is designed and implemented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Information Super Highway. The concept of CSCW based virtual enterprise i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four different activities: development of remote & virtual equipment controller, remote monitoring & inspection, real time tracking of logistics information, and web-based bidding and delivery system A real implemented system is demonstrated under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with the corresponding software and hardware configurations.

      • KCI등재후보

        김천 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과 일제강점기 대구 遍照院

        배재호 국립중앙박물관 2022 미술자료 Vol.- No.101

        Three Japanese Buddhist scuptures of Daehyusa temple in Gimcheon, Gyeongsangbuk-do province(慶尙北道) are enshrined in the main hall(本堂) of Henjoin temple in Daegu, an annex temple built by the Chisan School(智山派) of Shingi Shingon sect(新義眞言宗) in Daegu around 1910 whe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gan. The following statues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around this time: the Statue of Kobo daishi(弘法大師像), which is the figure of monk Kukai(空海, 774-835), the founder of the Shingon sect(眞言宗) of Japan, and the Statue of Dainichi nyorai(大日如來像) and the Statue of Fudo myo-o(不動明王像), which are notable sculptures representing the thought and belief of the Shingon sect. Most statues identified of Dainichi nyorai, Kobo daishi, and Fudo myo-o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us far are rock-carved statues or stone statues. The statues of Daehyusa temple are noteworthy in that they are the first discovered Japanese Buddhist sculptures made of wood, known to have been enshrined in Japanese temples. Furthermore, they are valuable sources that can provide clues to the religious atmosphere of the temples of Chisan School of Shingi Shingon sect at the time. Although these statues have formative features that partially reflect modern aesthetics, their iconographic origins date back to the Heian period(平安時代, 794-1185). In other words, the Statue of Dainichi nyorai inherits the religious tradition of the Statue of Dainichi nyorai, which was created by monk Kakuban(覺鑁, 1095-1143), the founder of the Shingi Shingon sect. The Statue of Kobo daishi follows the Shinnyo Shinno(眞如親王) style founded by Monk-Imperial Prince Shinnyo who was a disciple of monk Kukai. The Statue of Fudo myo-o manifests the Genjo(玄祖) style among the statues of Fudo myo-o. Although not much is known about how the statues were enshrined in the Henjoin temple in Daeg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very likely that these statues were created as Shingi Shingon sect’s statue of three-wheeled body(三輪身). That is, it is estimated that the Statue of Dainichi nyorai, Statue of Kobo daishi, and Statue of Fudo myo-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of self-nature chakra(自性輪身), the body of great dharma chakra(正法輪身), and the body of order chakra(敎令輪身), respectively. The fact that the statue of three-wheeled body was established in the Shingon sect in Japan by monk Kakuban also lends credence to this possibility. It is thought that people who came to the Henjoin temple in Daegu worshiped the statue of three-wheeled body to understand the teachings of the Dainichi nyorai. Although it is the case of Sildalsa Temple (悉達寺, the successor of Henjoin temple in Daegu) in the first half of the 1950s, the main hall includes features that reinforce the idea that the tradition of Kobo daisi faith(弘法大師信仰) is passed on. To illustrate, the human skeletal remains in the main hall of Sildalsa Temple reflect Koyasan(高野山)'s tradition in laying ashes to rest, which has been popular in conjunction with the Kobo daishi faith in Japan since the 11th century. 경상북도 김천 大休寺의 일본 불교 존상은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는 1910년경에 일본 新義眞言宗 智山派가 대구에 설치한 別院, 즉 대구 遍照院 본당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이들 존상 중 木造弘法大師坐像은 일본 진언종을 개창한 고보다이시 쿠카이(弘法大師 空海, 774-835)의 모습이며, 木造大日如來坐像과 木造不動明王坐像은 진언종의 불교 사상과 신앙을 대표하는 존상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대일여래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은 대부분 마애상이나 석조로, 대휴사의 존상들은 당시 일본 사찰에 봉안된 나무로 만든 일본 불교 존상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된다. 이들 불교 존상은 조형적으로는 근대적인 미감을 갖추고 있지만, 그 도상적인 연원은 헤이안(平安)시대(794-1185)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즉 대일여래상은 신의진언종을 개창한 고교다이시 가쿠(興敎大師 覺鑁. 1095-1143)이 만든 대일여래상의 신앙적인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홍법대사상은 고보다이시 쿠카이의 제자였던 신뇨신노(眞如親王)가 그린 신뇨신노 스타일[樣]을 따르고 있고, 부동명왕상은 겐죠(玄祖) 스타일의 十九觀 부동명왕상을 답습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대구 편조원에 봉안되었던 당시의 모습은 구체적으로 알 수가 없지만, 이들 존상은 신의진언종의 三輪身像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대일여래상, 홍법대사상, 부동명왕상이 각각 自性輪身, 正法輪身, 敎令輪身의 성격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950년대 전반의 悉達寺(대구 편조원의 후신)의 상황이긴 하지만, 그 전신인 일제강점기의 대구 편조원에서 고보다이시 신앙의 전통이 계승되고 있음을 추측하게 하는 본당 내부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달사 본당에 놓여 있던 유골들은 11세기 이후 고보다이시 신앙과 함께 유행했던 고야산(高野山)의 納骨 신앙의 전통을 보여 준다.

      • KCI등재후보

        일 대학병원에서 5개년간 섬망의 발생 및 치료 경향의 변화

        배재호,강원섭,백종우,김종우,Bae, Jae Ho,Kang, Won Sub,Paik, Jong Woo,Kim, Jong 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2

        연구목적 : 섬망은 의식 수준과 인지기능 변화로 인해 사고, 언어, 행동, 수면 양상 등에 갑작스러운 지장을 초래하는 장애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개년간 일 대학병원의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섬망 환자들의 특성과 치료 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섬망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섬망의 발생과 치료에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방 법 : 2007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서울 회기동 소재의 경희대학교 병원에서 정신과로 자문 의뢰된 환자를 대상으로 섬망으로 진단된 475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환자의 성별, 연령, 의뢰과, 의뢰 이유, 섬망의 원인, 섬망의 분류, 의뢰의의 오진율, 치료 방법, 처방 약물 종류 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결 과 : 5년간 섬망으로 진단된 475명의 환자 중 남성이 61.7%로 여성보다 더 많았다. 섬망 환자를 정신과로 의뢰하게 된 이유는 수면 장애가 80.8%로 가장 많았고 섬망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수술 후 섬망이 30.9%로 가장 많았다. 전체 치료 건수 중 약물 처방이 76.6%이었으며 연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약물 처방 건수 중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 빈도는 76.4%였으며 항정신병 약물중 Quetiapine의 사용 비율이 46.8%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타과 의뢰의가 섬망의 진단을 놓치게 된 이유는 환자가 이전에 치매를 진단받았을 경우가 6.8%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근 5개년간 일 종합병원에서 정신과로 의뢰되는 섬망은 수술 후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약물 처방율이 높아지는 추세였다. 환자에게 이전 치매 병력이 있을 경우 섬망이 아닌 다른 질환으로 오진되기 쉬웠다. 본 연구를 통해 섬망의 임상 증상 및 원인, 의뢰 이유, 치료 경향에 대해 평가하고, 수면 주기의 변화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며, 수술 후 섬망에 대한 예방전략 수립 및 약물 치료에 따른 치료 근거를 확립하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Delirium is a disorder defined as a sudden disturbance in thinking, speaking, acting and sleep pattern due to altered level of consciousness and cognitive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therapeutic methods of the delirious patients during the recent 5 yea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and investigation regarding delirium in the occurrence and treatment.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75 patients who were consulted for delirium in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1. Results : During the 5 years, among the 47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elirium, men were more common(61.7%). The most commonly consulted reason and cause were sleep disturbance(80.8%) and post-operational delirium(30.9%), respectively. The medication prescription percentage was 76.6% an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year after year. Ratio of using antipsychotics were 76.4% among prescribed medication and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antipsychotic drug was quetiapine(46.8%). Other specialists commonly misdiagnosed delirium when the patient was previously diagnosed as dementia(6.8%). Conclusions : In our study, post-operational delirium was the most commonly referred reason and the percentage of medication prescription tended to increase. Patients with history of dementia were more easily misdiagnosed as diseases other than delirium. Our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evaluate symptoms, causes, reasons of consultation, management tendency of delirium. We should also closely observe changes in sleep patterns and establish the prevention strategies for post-operational delirium and therapeutic bases for pharmacotherapy.

      • KCI등재후보

        鐵製 佛手와 桐裏山門 大安寺 : 谷城 泰安寺 출토 철제 불수와 관련하여

        배재호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89

        2001년경, 전라남도 곡성군 태안사에서 철제 불수가 발견되었다. 손을 따로 제작하여 팔에 끼워 완성하는 대부분의 철불들과 같이, 철제 불수도 어떤 철불에 끼워져 있었던 오른손으로 추정된다. 손목 끝부분에는 손을 팔목에 고정하기 위한 ‘ㅓ’자 형태의 홈이 파여 있다. 이러한 홈은 철불에서 손이 어떻게 팔에 고정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새로운 단서를 제공해 준다. 손의 자세는 9세기에 조성된 실상사 철조여래좌상과 같이 설법인을 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X선 형광분석기(XRF)의 분석 결과, 손등에 호분이 칠해져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철제 불수는 크기로 미루어보아 ��동리산태안사사적��에 기록된 4척 6촌의 철불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현존하지 않으나 불수와 함께 조성된 철불은 이 책의 기록과 같이 고려시대 초기에 이미 태안사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록 철불은 사라졌으나 철제 불수를 통하여 동리산문 大安寺(泰安寺)에서도 다른 구산선문과 같이 개창기에 철불을 봉안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철제 불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 철제 불수의 하나이자 태안사 개창기의 불상 편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In 2001, a hand of an iron buddha was discovered from Taeansa-temple (泰安寺), Gokseong-gun, Jeollanam-do. It is considered as the right hand of an iron buddha, which was made to be connected to the arm. There is a ‘ㅓ’ shaped indentation at the end of the wrist, which provides a clue to how the hand was connected and fixed to the arm. This hand is assumed to be a part of a Buddha with the Preaching mudra (說法印) which is also found in the Seated Iron Buddha from Silsangsa-temple (實相寺) made in the 9th century. XRF analyzing shows chalk residue at the back of the hand. Assuming by the size of the hand, it might have belonged to the 4 cheok (尺) 6 cun (寸) iron Buddha, mentioned in Donglisan Taeansa Sajuk (桐裡山泰安寺事蹟). Although the iron Buddha is lost, it is possible that iron buddha was made in Taeansa-temple of the Dongrisanmun (桐裏山門) when it was founded. This assumption was supported by the fact that all the other nine-mountain sects of zen (九山禪門) had iron buddhas as well. The hand of the iron buddha discovered from Taeansa-temple is important in that it is part of one of the oldest iron Buddhas, as well as a remnant of the time when Taeansa-temple was newly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