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사의 인성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정윤경(Chung Yun-kyo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25 No.2

        본 연구는 교사교육기관에서 교사교육을 하는 이들의 경험을 면담을 통해 교사의 인성 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천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교사교육자 6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는 교사의 인성교육의 중 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수업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하고 있다. 한편, 인성교육의 필 요성을 별로 인식하지 못했다고 한 연구참여자는 수업에서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노력 에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자의 노력은 다 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담당교과목의 목표가 곧 인성교육이라고 가정하는 것에서부터 교 과목 내용과 인성발달을 관련짓기, 교과 특성에 맞게 교수방법의 다양화, 그리고 평가방 법과 과제 형식도 인성 발달을 위해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그런데 강의계획서 상에 ‘인성교육’관련 내용은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넷째, 교사의 인성교육의 중요성 을 강조한 것에 비해서 교사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인성교육은 비중 있고 체계적으로 이 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참여자들은 교사교육자의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성 발달을 위한 교양교육의 확대, 봉사활동 을 포함한 다양한 경험의 기회제공, 교육봉사활동의 내실화, 그리고 인성교육 강화를 위 한 시스템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for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s of six educators at an institution for teacher traini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n-site observat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perceived character education as important and practiced it in various ways in their classes. One participant, however, stated that she did not perceive a great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and displayed a passive attitude toward it in practice. Second, teacher educators endeavor to develop teachers’ characters in various ways such as presenting character education as the goal of the lecture, relating the curriculum contents to character development, diversifying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haracteristics, and considering evaluation methods and tasks for character education. Third, the syllabus, however, did not explicitly state any words and content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Fourth, compared to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haracter eduction, institutions for teacher training are not providing such eduction in a significant and systematic manner . Fifth, as a solutions to the aforementioned problem, participants suggested raising awareness of teacher educator, expanding liberal arts education for character development,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including volunteer activities, enrichment of teaching volunteer, and using a systematic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화이트헤드 과정철학과 교육적 시사점

        정윤경(Chung, Yun-K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2

        본고는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과정철학의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이트헤드는 근대세계관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과정 중에 있는 실재, 유기체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과정철학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물론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 기초한 교육철학을 논문 한편으로 정리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화이트헤드의 '파악' 개념을 중심으로 과정철학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것이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볼 것이다. 특히 파악 개념을 중심으로 보고자 하는 것은 파악이 과정철학의 핵심을 보여주는 그의 존재론이자 인식론적 설명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화이트헤드의 파악이론은 첫째,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가 생성 중에 있다고 본다. 이것은 모든 것이 다른 것과의 연결(관계성)없이는 존립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둘째, 파악이론은 기존의 철학이 감각지각(현시적 직접성)만을 지각의 전부로 고려한 것과 달리, 비감각적 지각(인과적 효과성)의 근원성을 역설한다. 셋째, 파악이론에 따르면, 모든 현실적 계기의 과정에는 물리적 극과 정신적 극 양극이 들어 있다. 이상의 화이트헤드철학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인간과 인식(학습)과정의 관계성을 시사한다. 둘째, 인식의 과정에서 느낌의 시초성에 주목한다. 이것은 교육에서 느낌과 정서가 주를 이루는 낭만 단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과정철학은 몸을 경험 과정의 토대로서 이해한다. 이때 몸은 데카르트가 말하는 정신적 실체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신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 극과 정신적 극의 통일체를 뜻한다. 따라서 몸의 교육을 주장하는 것은 결국 전일적 유기체로서의 전인교육을 주장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and its implications to education. Of course, his enormous educational philosophy could not be arranged by only an article. I, therefore, will search for his process philosophy focusing on the theory of "Prehension". Seen in the light of process of prehension, first, every being including human being is in process of becoming. This means that everything cannot exist without relatedness to other things. Second, Whitehead emphasizes the role of non-sensuous perception(causal efficacy) in process of experience and its originality to presentational immediacy in making meaning process. Third, according to prehension theory, every process of actual occasions has its physical pole and mental pole. Process philosophy suggests the implications to education as follows. First, it emphasizes a relatedness of human beings and the process of knowing(learning). Second, Prehension theory, which considers physical feelings as a beginning point of prehension process has something important of romance in Whitehead's rhythm of education. Lastly, Process philosophy considers Mom as a basis of process of experiences. This suggests that Mom is aa important center in process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Mom is not a physical body contrast to a mind but an unity of physical and mental pole. So Mom education means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s an organism..

      • KCI등재

        아마티야 센(Amartya Sen)의 잠재가능성 접근(capability approach)과 교육

        정윤경(Chung Yun kyoung)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경제 논리가 삶의 구석구석을 지배해가고 있는 오늘날 교육도 예외는 아니다. 이런 속에서 교육은 경제 논리가 아닌 교육 본연의 논리를 따르는 것이라고 외면할 수만 없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 논리와 가치의 문제를 연결 지어 사유하면서 이 속에서 교육의 방향을 묻고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이런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대안적 발전론을 주장한 경제학자 센(Amartya Sen)의 잠재가능성 접근(capability approach)을 살펴보고, 잠재가능성 접근의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센은 현대 주류 경제학이 공리주의의 효용만을 따지는 것을 비판하고, 경제학이 본래 가졌던 윤리학의 기원을 회복할 것을 역설하며, 발전이란 자본의 축적으로만 따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유와 잠재가능성의 확대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센의 잠재가능성 접근은 경제논리에 지배된 교육 너머의 교육을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Ⅱ장에서는 경제논리에 맞추어가는 교육의 시장화를 비판하고, Ⅲ 장에서는 센의 잠재가능성 접근을 센의 문제의식과 잠재가능성 접근의 특징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Ⅳ장에서는 잠재가능성 접근이 교육에 시사하는 가능성과 한계를 함께 논의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apability approach of an economist, Amartya Sen, and to discuss education as capability expansion. Sen criticizes that modern mainstream economics is concerned about the utility of utilitarianism, and emphasizes the recovery of ethics origin, which economics inherently had. He actually asserts that development is the expansion of human's freedom and capability, saying development cannot always be reckoned with only capital accumulation. Sen's capability approach is considered to offer a clue, through which education, beyond the education dominated by currently predominant economic logics, can be explored. For this purpose, Chapter II criticizes the commercialization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education of teachers in line with economic logics and firms' demand. Chapter III looks into Sen's capability approach focusing his critical mind and the ma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apability approach. Chapter IV discusses the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capability approach 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놀이치료 슈퍼비전 실습생들의 슈퍼바이저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윤경 ( Yun Kyoung Chung ),유미숙 ( Mee Sook Yoo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놀이치료 슈퍼비전 훈련과정에 참여한 실습생들의 슈퍼바이저 체험을 탐색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 면담 및 참여관찰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훈련생들의 체험 현상은 다음과 같다. 실습생들은 슈퍼바이저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과 불안으로 인하여 부담감과 역할 혼돈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부담감은 초보자인 자신을 인식하게 될 때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둘째로, 참여자들은 실습 초기에 소통이 잘 이루어 질 것이라 기대하였으나, 이러한 기대가 어긋나면서 좌절을 경험하였고, 그럴수록 소통을 더욱 잘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슈퍼바이지를 더욱 잘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자기 성찰의 계기가 되었다. 셋째로, 슈퍼바이저 실습생들은 슈퍼바이지와 관계를 맺으면서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자기성찰은 수업을 통한 집단 슈퍼비전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더욱 촉진되었다. 마지막으로 실습을 통해 사례를 보는 눈이 달라짐을 인식하였고, 슈퍼바이저에 대한 이해를 달리 하게 되었으며, 전문가로서 더욱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pervisor practice of play-therapy supervision traine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trainees` experienc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major findings. First, the trainees have experienced a feeling of obligation and anxiety because of confusion in the role of supervisor. Second, they expected that they could understand each other; however, they ha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properly. They, therefore, tried to find out various way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hird, supervisor trainees had a chance to reflect on themselves. Their reflection has been promoted in the class. Finally, their view of cases has been significantly changed. They come to understand the role of supervisor and the meaning of growth as professionals.

      • KCI등재

        Palmer의 영성 개념과 교육

        정윤경(Chung, Yun-K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3

        본고의 목적은 교육에서 영성 회복을 주장한 Palmer의 교육론을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그의 논의를 보고자 하는 이유는 그의 논의가 이론에 그치지 않고, 영성 개념에 기초한 교사교육으로 실천되고 있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먼저 Palmer의 퀘이커 공동체 경험에서 나온 영성 개념을 살펴볼 것이다. Ⅲ장에서는 근대 지배적 인식론인 객관주의에 근거한 근대 교육의 비판과 영성의 관점에서 본 가르침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Palmer가 주장하는 인격적 지식은 인식주체와 인식대상 간에 분리되지 않고, 인격적으로 매개되어 있으며, 진리의 공동체 안에서 획득되는 것이다. Palmer에 의하면, 가르침이란 진리의 공동체가 실천되는 공간을 창조하는 일이다. Ⅳ장에서는 Palmer의 영성 개념의 특징과 교육관이 현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논의하였다. Palmer 영성 개념의 특징은 특정 종교적 배경을 강조하기보다는 인식의 방법으로서의 영적 전통을 강조하며, 따라서 개방성을 지닌다. 그러나 사회문화적 차이에 대한 인식이 결여된 한계를 나타낸다. 교육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Palmer는 영성의 관점에서 내면으로부터의 변화를 보여준다. 둘째, 그가 강조하는 인격적 지식은 교육내용과 학습자간의 인격적 연결을 강조함으로써 교육내용과 학습자가 분리되는 무기력한 지식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있다. 셋째, Palmer의 교육관은 가르침과 배움의 상호연결성을 강조하고 교사-학생간 관계를 중시한다. 마지막으로 Palmer는 가르치는 자이자 동시에 배우는 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즉, 교사가 먼저 자신의 영성을 자각함으로써(학습자로서) 교육에서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다(가르치는 자로서)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bout Palmer’s education theory to assert a recovery of spirituality. Since his arguments have been emphasized not only on theory but put them into practice, the author tried to study Palmer’s arguments on spirituality and education. The Spirituality Concept from the experience of Palmer’s Quaker community in chapter Ⅱ, and the meanings of teaching & learning with respect to criticism of modern education based on objectivism, which is modern mainstream epistemology, in chapter Ⅲ would be discussed respectively. Palmer’s personal knowledge is not separable into knower subject but tied personally and could be acquired in the community of the truth. According to Palmer, teaching means creating a space such that the community of the truth could be realized. In chapter Ⅳ, the characteristics that Palmer’s spirituality concept has and educational suggestions to current education would b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Palmer’s spirituality does not stress a certain religious background but stress a spiritual tradition as an epistemological method. Therefore Palmer’s concept of spirituality has openness. Education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spirituality, Palmer shows a change from the within. Second, overcoming the problems of innert knowledge education in which curriculum and learner are isolated each other by emphasis on personal mediating between them. Third, stres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Lastly, Palmer also stresses the role of a teacher as a person who teach and learn at the same time. His arguments suggest possibilities to find changes in education by that a teacher himself (herself) is aware of his(her) spirituality.

      • KCI등재후보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 비교 : 교육혁신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정윤경(Chung, Yun Kyoung)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레지오(Reggio Emilia)와 발도르프(Waldorf) 유아교육이 지닌 교육 혁신적 특성과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사용하여,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이 갖는 교육 혁신적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유아교육은 모두 유아 존재를 유아교육의 출발점이자 목적으로 강조한다. 둘째, 두 유아교육은 이성 중심 주체, 완비된 실체로서 개별 주체라는 근대적 주체 개념 대신, 대안적 주체로서의 유아관을 보여줌으로써, 근대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두 유아교육은 지식의 전달과 수용이 아닌 새로움의 창발을 강조하면서 창의적 교육을 지향한다. 넷째, 두 유아교육은 교사-유아 간 관계의 중요성과 교사의 지속적인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은 모두 교육(학)에서의 이론과 실천의 이분법이라는 오래된 난제를 극복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innovativ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Reggio Emilia approach and Waldorf education. In particular,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both educations was that both of the tw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a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related literatur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of the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pproach emphasized the children themselves as the starting point and purpose of education. This is in line with the ‘child-centered innovation plan advocated in the「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Second, the two education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by showing child as an alternative subject. Reggio Emilia approach regarded child as a changeable subject which is open to a continuous mutual process with meaningful others, and Waldorf education considered a child as a integrated existence of body, soul, and spirit. Third, the two education aimed for creative education, emphasizing the emergence of novelty, not the transfer and acceptance of knowledge. Fourth, the two educa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child and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growth of teachers. Finally, Reggio and Waldor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w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old difficulty of the dichotomy of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

      • KCI등재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

        정윤경(Chung, Yun-Kyoung)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고는 현재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타당한지 분석하고,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준거는 ‘교육내용의 다양성’, ‘학습자의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Ⅱ, Ⅲ장에서 교육내용, 학습자의 마음의 발달 과정, 교사의 가르침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관련지어 논의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교육내용의 다양성과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의 특성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라는 준거에 비추어 볼 때, 현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해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또한 교사의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와 신설 교과가 과연 교사의 인성교육 발달을 위해 적합한 것인지 분석 준거에 비추어 논의할 것이다. 분석에 따르면,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은 행위 습관 형성을 위한 실습, 이성 능력 외 마음(가슴)의 발달, 실천적 지식,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으로 교사의 사람됨(인성)이 중시되어 교육되어야할 것이다. 교사의 사람됨을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은 도구적이고 기능적 접근에서 특정 과목의 신설이 아니라, 교사의 인성이 곧 교사의 전문성임을 인식하고 교사교육이 직업인 훈련의 과정이 아니라 다방면의 균형 잡힌 관점을 지닌 사람됨의 인간교육임을 분명히 하는 데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교사 교육은 교사의 사람됨을 목적으로 하는 인문적 교양교육의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an analysis of whether the teacher education is proper for teachers character development and of an investigation of desirable teacher education. There are three criteria in the analysis, which are ‘diversity of subject-matter’, ‘mind integrity of learners’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charac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eaching as a practice’. To this end, I examined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related to the diversity of subject-matter, mind integrity of learners and the characteristic of teaching in ch.Ⅱ, Ⅲ. I analysed the teach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in ch. Ⅳ. According to the analysis, teacher education should reinforce the practice for building conduct habit, development of heart(not only mind focusing on reason) and practical knowledge. These could not be done by organizing a new course or program but by forming the culture of education which considers teaching as a practice and education as a building the character of human being. In short, teacher education should be done as an approach of cultivating the humanity of promising teachers.

      • KCI등재후보

        한국교육의 역사 속에서 살펴본 "초등교육"의 의미와 특성

        정윤경 ( Yun Kyoung Ch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본고는 초등교육의 의미가 한국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은 교육대상인 아동, 교육과정(교육목적과 내용), 초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본고의 시기 구분은 초등교육을 담당한 학교 명칭의 변화를 준거로 하여, 서당시기(조선), 소학교 시기(갑오개혁∼1906년), 보통학교 시기(1906년 보통학교령∼1941년 초등학교령 이전), 국민 학교 시기(1941년 국민학교령∼1996년), 초등학교 시기(1996년 이후)로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Ⅱ장에서는 초등교육 대상인 아동을 보는 관점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과정(또는 교재)에 나타난 초등 교육목적과 내용, 그리고 시대사회적 배경 속에서 초등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한국 역사 속에서 초등교육의 의미와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초등교육의 과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have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Korean history. The analysis is done with focusing on the meaning of child(subject of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aims & content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social percep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he period of analysis is classified on the basis of change of elementary school names. The period of analysis is as follows: Seodang period(Chosun Dynasty), the Gabo Reformation -1906, 1906-1941 elementary education rules, 1941-1996(the year of changing school name into elementary school), after 1996.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meaning of a child through Korean history was analyzed in ch. Ⅱ. The aims, contents, and social percep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period were searched in ch. Ⅲ. Based on the discussion so far,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were discussed and the tasks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