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 효과

        정원미(Jeong, Won-Mee),황윤정(Hwang, Yun-Jung),윤종철(Youn, Jong Chul)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1

        본 연구는 시-지각 이론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치매환자를 위한 독립적인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위한 인지재활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2009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용인시 치매예방관리센터에 내원한 경증 치매환자 14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주 2회, 총 10회 가정 방문하여 전산화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전산화인지재활치료는 시-지각이론의 틀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알쯔하이머치매군과 비알쯔하이머치매군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산화인재활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수준판별검사 등의 인지기능과 작업수행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비알쯔하이머치매군에 비하여 알쯔하이머치매에서 인지기능의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5). 따라서 시-지각 이론의 틀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또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독립성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수행에 대한 만족감도 증가에도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한 보다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 Computer -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CBCRT) evidence based on mild dementia patients' ability to activities daily living(ADL), cognitive function and measure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to suggest basic data for a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for dementia patients. Method : A CBCRT was applied two times a week for 5 weeks to 14 mild dementia patients who visited Yongin Center for Managing Dementia in Gyeongi-do between February and August 2009. Based on frame of reference for Visual-Perception a CBCRT was applied at home. Moreover, a one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which is a quasi-experiment and research, also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on the subjects' ability to ADL,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Results: A significant effect was confirmed (p<.05) from the CBCRT which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AMPS) processing skills and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Neither was found any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motor skills from AMPS. Conclusion: It seems that a CBCRT based on evidence and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ADL and cognitive function of mild dementia patients living in a community.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in the future, mor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improve the functions of mild dementia patients living in a community.

      • KCI등재
      • 지역사회노인의 인지기능수준 비교

        황윤정(Yun Jung Hwang),김선희(Sun Hee Kim),신은영(Eunyoung Shin),김선희(Sun Hee Kim),정원미(Won Mee Jeong)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3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용인시 지역사회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른MMSE-DS의 점수를 알아보고, 지역사회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1년 7윌 25일부터 8윌 9일까지 경기도 용인시 K구 거주하는 노인들 중 조사에 참여한 1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MSE-DS는 MMSE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한국노인의 인구학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치매진단 정확도가 우수한 인지기능 평가 도구이다. 결과: 본 연구의 전체대상자 126명 중 남자가 26.99%(34명), 여자가 73.01 %(92명)으로 여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비교에서는 대체적으로 남자보다는 여자의 점수가 낮았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점수가 낮았다. 성별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교육수준에 따른 남자와 여자 사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인지기능검사성적이 낮아졌다. 결론: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은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기능수준(MMSE-DS)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치매 예방이 중요하며, 시공간 구성능력과 같은 인지과제들이 포함된 ‘인지기능 향상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MMSE-DS scores in lin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of senior citizens residing in Yongin City`s local community. This study is also intended to explai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to prevent the dementia of local senior citizens. Methods: The study subjects are 126 senior citizens residing in K-gu, Yongin City in Gyeonggi-do.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ly 25 to August 9 in 2011. MMSE-DS is a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tool that solves the limitations of MMSE, reflect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enior citizens, and has a high accuracy of diagnosing dementia. Results: Among the 126 participants, the ratio of women was much higher at 73.01 % (92 people) than that of men at 26.99% (34). In a comparison in lin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cores of women we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men. The scores were lower among older and less-educated individuals. However,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depending on their education, despite the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In terms of age, the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older individuals. Conclusi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and education) have proved to exercis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with the elderly in the local commun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dementia caused by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gnitive function development`` that includes cognitive tasks like visuoconstruc-tional function. (J Korean Society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2013;5:9-17)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 동향 분석

        선미정(Seon, Mi Jeong),정원미(Jung, Won-Mi),장정은(Jang, Jungeun),전종설(Chun, JongSer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의 동향파악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17년 6월까지 사회복지관련 국내학술지에 등재된 혼합연구 4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출판연도, 연구유형, 연구대상, 혼합목적, 혼합적 가치, 철학적 패러다임, 혼합방법 문헌검토, 설계방식 및 수행절차, 설계전략, 결론에서의 혼합유형을 제시하였고,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영역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부터 지속적으로 혼합연구는 증가 추세를 보이며, 특히 성인, 전문가 및 실무자 중심의 복합대상 연구가 34편(71%)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에서는 35편(73%)이 실태와 인식 및 경험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하지만 혼합연구의 목적과 설계방식을 제시한 연구는 절반 이하 수준 이었고, 철학적 패러다임이나 이론적 근거에 기반을 둔 혼합 가치를 제시한 연구는 극히 일부였다. 혼합연구 설계 방식은 양적연구에서 질적연구를 순서적으로 진행한 순차적 설명설계를 주로 활용하였고, 결론의 혼합유형으로는 상호보완적 혼합이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혼합연구가 두 연구방법의 단순 병렬이 아닌 통합적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인식론적 접근이 고려된 혼합연구의 구체적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in mixed research in social welfare by analyzing 48 article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the year 2000 to 2017. The analysis framework included published year,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s, purpose of the mixed research, value of mixed research, philosophical paradigms, literature reviews of mixed methods, presentation of the design method and procedure, design strategy, and mixed types in the conclusion sec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has been a consistent increase in mixed research in various research subjects, especially in studies targeting adults, professional and practitioners (34 cases, 71%). Regarding the research type, 35 studies (73%) dealt with general practices such as the status quo, perception, and experiences. Studies that presented the purposes and design methods of mixed research formed less than half the total number of cases, and only a few studies presented the value of mix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 philosophical paradigm or on a theoretical basis. Mixed research mainly uses the sequential explanatory design method, which involves conducting quantitative research first and then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conclusions section, most works preferred to use the complementary type of conclusion. This study adopts an epistemic approach to obtain an integrated result rathe than create a simple parallel layout of two separate research methods. This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a more systematic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studies.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적용한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황윤정(Hwang, Yun-Jung),이강숙(Lee, Kamg Sook),임현국(Lim, Hyun-Kook),김대진(Kim, Dai Jin),정원미(Jeong, Won-Me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 과 우울수준, 그리고 보호자 부담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9년 10월부터 2010 년 5월까지 경기도 Y시 치매예방관리센터에 내소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 15명과 보호자 15명을 대 상으로 하였다.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은 목표활동과 과제를 통해 습득한 기술을 습관화하고 규칙적으로, 일상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 후 평가를 포함하여 7주 동안 주 2회(1회 가정방문, 1회 전화점검), 총14회를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운동 및 처리기술평가에서 운동기술은 1.10±1.14점 에서 1.34±1.2점으로, 처리기술은 0.32±0.55점에서 0.77±0.66점으로, 인지수준판별검사는 3.86±0.65점에서 4.17±0.64점으로, 간이정신상태검사는 17.33±4.6점에서 19.33±4.97점으로, 우울수준은 11.73±6.87점에서 8.53±7.09점으로, 보호자 부담은 31.80±20.06점에서 26.13±18.07점으로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 하여 실시 후에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기능이 증가하였으며 치매환자의 우울수준과 보호자의 부 담이 감소하였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에 있어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 램은 인지기능 향상, 우울 수준의 감소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 보호자 부담 감소 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기능향상과 보호자 부담 감소를 위한 보다 다양한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의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effects of a tailored occupational activity program(TOAP)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mood, and caregiver burden, who live in the community. Method : From October 2009 to May 2010, the TOAP was applied to 15 dementia patients and 15 of their caregivers, who was visitors of the Y-city Center for Managing Dementia in Gyunggi-do. The TOAP was designed for habituating patients and caregivers to the techniques acquired through goal activities and task and making it capable of being routinized regularly. The TOAP was applied to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varegivers twice a week for 7 weeks(one-time home visit, one-time phone inspection), a total of 14 time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re-test and post-test were found in the AMPS motor skills(1.10±1.14 and 1.34±1.2 respectively) scores, AMPS process skills(0.32±0.55 and 0.77±0.66 respectively) scores, ACL(3.86±0.65 and 4.17±0.64 respectively) scores, MMSE-KC(17.33±4.6 and 19.33±4.97 respectively) scores, GDS(11.73±6.87 and 8.53±7.09 respectively) scores, and caregiver burden(31.80±20.06 and 26.13±18.07 respectively) scores(p<0.05). A significant effect was confirmed from the TOAP which ADL, cognitive function, reduced patient's depression and caregiver burden(p<0.05).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that a TOAP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ADL, cognitive function and reduced depression and caregiver burden of dementia patients living in community.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in the future, more diverse community based on tailored occupational activity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improve the functions of dementia patients living in community.

      • KCI등재

        주간보호시설 치매환자의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효과-예비연구

        이성아(Lee, Seong-A),정원미(Jeong, Won-Mee),황윤정(Hwang, Yun-Jung),박정아(Park, Jung-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치매환자에게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시지 각과 작업수행기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65세 이상 치매진단을 받은 9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총 4주간 감각적, 신체적,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치료전·후 시지각 기능, 작업수행기술 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 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실시 후에 대한 분석 결과 시지각 기능과 작업수행에서는 기초선과 프로그램 종결 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p<0.01, p<0.05)가 있었지만 작업수행기술 중 운동기술에서는 프로그램 전· 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치매환자의 시지각과 작업수행기술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visual perception of patients with mild dementia, who have been provided with a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within community day-care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 people with mild dementia living in a community. The period of administration was for 60 minutes per session three times a week during four weeks. We assessed their visual perception function(MVPT) and occupational performance(AMP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implemented as an experimental study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within sensory, physical, creative activity. Whil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of motor skills(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 is not shown,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mild dementia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program(p<0.01, p<0.0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s helpful to manage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visual perception of patients with mild dementia in community day-care center.

      • KCI등재

        여성 사회복지사의 간접차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상아(Lee, Sang A),정원미(Jung,Won Mi)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8 미래사회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나타나는 간접차별의 작동원리에 관심을 가지고 여성 사회복지사들은 어떠한 간접차별을 경험하며, 이것이 근로 환경에서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지, 그 간접차별로 나타난 결과는 무엇인지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인권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간접차별 연구와 사회복지사 차별의 경험을 주목한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사회복지 영역에서 나타나는 차별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례 내 분석을 통해 각 사례의 기본적인 특성, 여성 사회복지사로서의 직장 진입과정, 현재 업무,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 영역에 따른 개인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 성차별 경험들을 도출하였다. 사례 간 분석 결과는 10개의 하위 범주와 3개의 핵심 범주로 분류되었다. 3개의 핵심 범주는 ‘간접 차별’ 과정에 따라 범주화하였고 세부적으로 ‘차별 발생 배경’, ‘간접차별 상황’, ‘간접차별 인식’이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 기관장과 상급자의 양성평등 교육 확대 필요성과 사회복지 종사자의 간접차별 문제에 대한 인식제고와 같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ing principle of indirect discrimination” in the social welfare field.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some kind of indirect discrimination among women social workers, how they appear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hat the result of indirect discrimination are. This study identified the mechanism of discrimination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inter-case analysis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10 sub categories and 3 core categories. The three core categor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were elaborated as “discrimination background“, “direct discrimination“, and “indirect discrimination“. This study suggested a policy proposal on the necessity of expand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senior officials and the head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addition to this, the social welfare sector and worker recognized the indirect discrimination, increased the sensitivity to it, and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raising awareness on indirect discrimination problems.

      • KCI등재

        소셜 로봇 및 사물인터넷 사용 경험: 장애 청소년과 가족을 중심으로

        주영하 ( Ju Young-ha ),정원미 ( Jung Won-mi ),안소영 ( An So-young ),선미정 ( Seon Mi-jeong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 청소년과 가족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 기술인 소셜 로봇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실제 활용한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셜 로봇과 사물인터넷을 실제 활용한 경험이 있는 장애 청소년 8명과 가족 5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청소년은 “새로운 세상”,“나에게 찾아온 변화”, “아쉬움과 기대”라는 총 3개의 주제, 6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의미 있는 개념들을 도출하였으며, 장애 청소년의 가족은 “장애 청소년에게 찾아온 변화”, “장애인 가족 삶의 질 향상”, “편리하지만 아쉬운 IT 세상”, “앞으로 더 기대됨”이라는 4개의 주제, 9개의 하위범주, 17개의 의미 있는 개념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변화와 성장의 문턱을 넘는 경험이지만 아직은 장애 특성을 반영하기에는 부족한 기술”이라는 종합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청소년과 가족의 IT 접근성 강화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social robots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representati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igh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ive family members who had experience using social robots and IoT. Resultingly, we derived three themes, six subcategories, and 11 meaningful concepts by interviewing the children. The three themes were a new world”, “changes that happened to me” and “regret and expectation. By interviewing the family member, four themes, nine subcategories, and 17 meaningful concepts were derived. The four themes were “changes that happen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ies”, “convenient but not satisfying IT world” and “Looking forward to more.” Based on these interviews, we derived a comprehensive theme that “using the technologies is the experience of crossing the threshold of new change and growth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but the technologies do not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suggests strengthening the acc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Information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