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증상 한국 성인의 대장 용종과 비만의 임상 고찰

        지정훈 ( Jeong Hoon Ji ),박범준 ( Bum Joon Park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eok Hwang ),정숙향 ( Sook Hyang Chung ),김나영 ( Na Young Kim ),이동호 ( Dong Ho Lee ),정현채 ( Hyun Chae Jung ),송인성 ( In Sung S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1

        목적: 대장암은 생활환경과 식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암 발생률, 사망률 모두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대장암의 전구 병소로 잘 알려진 선종용종과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비만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대장 용종의 수, 크기, 조직 분류와 생화학검사 수치들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의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검진자에서 에스자결장경 검사를 시행했던 환자 6,706명과 이 중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860명을 후향으로 분석했다.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군을 비만군, 25 미만인 군을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이외의 변수로는 성별, 연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당화혈색소, 고밀도지질단백, CRP 등이 있으며 이들과 함께 대장 용종의 육안 및 조직병리분류, 용종의 해부학 분포, 크기와 수 등을 체질량지수와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1±10.5세였으며 연령분포는 18세에서부터 83세 사이였다. 남녀 비는 1.1:1이었다. 선종 빈도는 정상군 16.0%과 비만군 20.4%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860명을 용종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대장 용종의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대조군에서 23.9±2.8, 용종군에서 24.3±2.8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용종 크기에 따른 체질량지수 차이도 없었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대장 선종 빈도는 정상군에서 32.5%였으며 비만군에서는 38.5%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상선종군과 융모선종군의 체질량지수의 평균치는 각각 24.3±2.7, 24.4±3.1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선종수가 4개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이 외에 연령, 중성지방은 대장 용종의 유무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대장 선종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대장 선종 수가 증가할수록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 중성지방 등도 대장 선종 발생의 위험요소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Aims: Obesity is a rising problem in industrialized countries. Numerous epidemiologic studies have shown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olorectal polyps. There are few studies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olorectal adenomatous polyps and body fat composition in Korea. We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ness and colorectal adenomatous polyps in health check-up subjects in Korea. Methods: Six thousand seven hundred and six routine health check-up subjects, who visited our hospital between March 2002 and April 2005 and underwent distal colon examimation with sigmoidosco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m, colonoscopy was done in 860 patients to evaluate the entire colon. We tri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size, location, number and histopathological type of polyps. BMI was used as an indicator of obesity. Results: The mean value of BMI in total polyp-free group (23.8±2.9)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lyp group (24.5±2.8, p=0.09). The frequency of rectosigmoid polyps in obese patients (20.4%) was higher than that in non-obese patients (16.0%, p<0.05). The frequency of adenomatous polyp was not different between obese and non-obese group. Number of polyps (≥4) correlated well with obesity. Moreover, age and triglyceride level in patients with colonic adenom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atients without colonic adenom.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obesity is not associated with colonic adenomatous polyp in Korean population. However, we observed that obesity may be associated with rectosigmoid colon polyps. Furthermore, age and triglyceride level might be the risk factors of colonic adenomatous polyps in Korean popul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10-16)

      • SCOPUSKCI등재

        T2 위암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내시경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분석

        박영수 ( Young Soo Park ),이동훈 ( Dong Hun Lee ),이동호 ( Dong Ho Lee ),김나영 ( Na Young Kim ),정숙향 ( Sook Hyang Jeong ),김진욱 ( Jin Wook Kim ),황진혁 ( Jin Hyeok Hwang ),이상협 ( Sang Hyup Lee ),김주성 ( Joo Sung Kim ),정현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2 No.2

        Background/Aims: To minimize injury, less invasive surgery including laparascopic surgery and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re increasingly used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cancer nowadays. Therefore, accurate preoperative staging is important to decide adequate treatment modality.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is reported to be an accurate diagnostic modality to evaluate the depth of tumor invasion. Especially, evaluation of T-2 stage is important to determine operation. We tried to reveal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EUS for the evaluation of T-2 stage gastric cancer. Methods: Among 367 patients who underwent EUS to evaluate preoperative stage, we compared EUS finding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270 patients were diagnosed as early gastric cancer, and 97 patients as advanced gastric cancer. The overall concordance rate was 78.2% (287/367), over-estimation rate 14.2% (52/367), and under-estimation rate 7.6% (28/367). Among T-2 stage cancer, over-estimation rate was 27.0% (20/74), and under-estimation rate 21.6% (16/74). These were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those with over-estimation. Among T1 lesions, 20.6% (22/107) were over-estimated as the invasion into proper muscle layer. Compared with sm1 lesion (17.9%), sm3 lesions showed higher over-estimateion rate (25.7%). In the presence of submucosal fibrosis, sm1 lesions were over-estimated as T-2 lesion. Sm2 and sm3 lesions were not related to submucosal fibrosis. Factors affecting over-estimation as T-2 lesions were the size of tumor, the presence of submucosal fibrosis and connective tissue hyperplasia, and ulcer (p<0.05). Microscopic invasion did not affect the accuracy of EUS findings. Conclusions: In T-2 gastric cancer, the presence of submucosal fibrosis, tumor size, and ulcer were the affecting factors for the over-estimation of the depth of invasion using EUS in gastric cancer. To improve preoperative diagnostic accuracy in T-2 stage cancer, a new diagnostic improvement in EUS is needed. (Korean J Gastroenterol 2008;52:86-90)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구논문 : 만성 B형간염 환자에 대한 초치료제로서 엔테카비어의 항바이러스 효과와 그 예측인자

        명형준 ( Hyung Joon Myung ),정숙향 ( Sook Hyang Jeong ),김진욱 ( Jin Wook Kim ),김희섭 ( Hee Sup Kim ),장제혁 ( Je Hyuck Jang ),이동호 ( Dong Ho Lee ),김나영 ( Nayoung Kim ),황진혁 ( Jin Hyeok Hwang ),박영수 ( Young Soo Park ) 대한간학회 2010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6 No.1

        목적: 항바이러스 약제에 대한 치료 경험이 없는 국내 만성 B형간염 환자의 초치료제로서 엔테카비어의 치료 효과와 치료 반응의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2월부터 2009년8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만성 B형간염 환자 중 과거 항바이러스 약제 사용력이 없으며 24주 이상 엔테카비어를 복용한 1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엔테카비어 투여 중 혈청 HBV DNA의 소실(2000 copies/mL 미만)을 바이러스 반응으로, 혈청 ALT의 정상화를 생화학적 반응으로 정의하였고, 혈청 HBeAg 소실과 HBeAg 혈청전환을 평가하였다. 바이러스 돌파는 HBV DNA치가 2번의 연속된 검사에서 이전 검사 결과보다 1 log10이상 증가하였을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160명의 환자 중, 남자는 85명(53.1%), HBeAg 양성인환자는 85명(53.1%), 간경변이 동반된 환자는 70명(43.8%)이었고, 치료 전 혈청 ALT의 중앙값은 99IU/L, 혈청 HBV DNA의 중앙값은 7.57 log10copies/mL였다. 평균 58.8주 동안 추적관찰하였다. 누적 바이러스 반응률은 12주에 37.5%, 24주에 68.1%, 48주에 87.4%, 72주에 95.8%였고, 누적 생화학적 반응률은 12주에 40.0%, 24주에 66.2%, 48주에 84.5%, 72주에 92.7%였다. 누적 HBeAg 소실률은 12주에 10.6%, 24주에 18.8%, 48주에 27.0%, 2주에 34.5%였고, 누적 HBeAg 혈청전환율은 12주에 3.5%, 24주에 7.1%, 48주에 9.0%, 72주에 13.2%였다. 일차 치료 실패에 해당하는 환자나 바이러스 돌파 현상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바이러스 반응과 관련된 유의한 예측인자는 치료 전 HBeAg이 음성, HBV DNA치의 상용로그 변환값이 8 미만인 경우였다. 결론: 엔테카비어 치료는 국내의 항바이러스제 치료 경험이 없는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으며, 바이러스 반응의 예측인자는 치료 시작 전 HBeAg의 유무, HBV DNA 값이다. 향후 장기간의 치료 성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ntiviral efficacy and the predictors of entecavir treatment in nucleoside-naive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60 patients treated with entecavir (0.5 mg daily) for at least 24 weeks were consecutively enrolled. The virologic response (HBV DNA<2,000 copies/mL), biochemical response (ALT≤ upper limit of normal), and virologic breakthrough (>1 log10 copies/mL increase in HBV DNA level above nadir on two consecutive occasion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58.8 weeks, and 85 patients (53.1%) showed HBeAg positivity. The median pretreatment levels of serum ALT and HBV DNA were 99 IU/L and 7.6 log10 copies/mL, respectively. The cumulative rates at 12, 24, 48, and 72 weeks were 37.5%, 68.1%, 87.4%, and 95.8%, respectively, for the virologic response; 40.0%, 66.2%, 84.5%, and 92.7% for the biochemical response; 10.6%, 18.8%, 27.0%, and 34.5% for HBeAg loss; and 3.5%, 7.1%, 9.0%, and 13.2% for HBeAg seroconversion. There was no case of virologic breakthrough. An absence of HBeAg and a low serum HBV DNA level (<8 log10 copies/mL) at baselin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virologic response in a multivariate analysis (P<0.01). Conclusions: Entecavir therapy showed excellent efficacy in nucleoside-na?ve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The predictors of a virologic response were an absence of HBeAg and a low baseline HBV DNA level. (Korean J Hepatol 2010;16:57-65)

      • KCI등재
      • KCI등재

        무증상 대장 용종의 선별 검사로서 분변잠혈검사의 유용성

        이상협 ( Sang Huyb Lee ),이경수 ( Kyoung Soo Lee ),이종열 ( Jong Yeul Lee ),지정훈 ( Jeong Hoon Ji ),박주경 ( Joo Kyung Park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eok Hwang ),김진욱 ( Jin Wook Kim ),정숙향 ( Sook Hyang Jun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6

        목적: 최근 분변잠혈검사 양성인 무증상 환자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가 대장암의 선별과 진단을 위해 많이 이용되어 대장암 이외의 대장 용종 진단도 늘고 있다. 그러나 무증상 대장 용종에 대한 선별 검사로서 분변잠혈검사의 임상 유용성과 한계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무증상 대장 용종 환자에서 분변잠혈검사가 양성인 환자의 인구학적인 특성과 용종 특성을 살펴 대장내시경 검사 전 대장 용종의 선별 검사로 분변잠혈검사의 유용성과 한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대장암 조기 검진을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 이전에 1회의 분변잠혈검사를 받고 대장내시경 검사 후 용종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분변잠혈검사 결과에 따라 용종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분변잠혈검사는 대상 환자 288명 중 32명(11,1%)에서 만 양성이었다. 결과가 양성인 환자에서는 133개 용종이, 분변잠혈검사 결과가 음성인 환자에서는 809개 용종이 절제되었다. 분변잠혈검사 결과에 따라 절제된 용종들을 비교하였을 때, 용종 크기(p=0.02)와 위치(p=0.03)에서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단변량 분석에서 환자 나이(p=0.046), 용종 크기(평균 용종의 크기, p=0.04; 가장 큰 용종의 크기, p<0.01)와 용종 개수(p=0.045)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성별(p=1.00), 용종 분포(p=0.94), 용종 조직형(p=0.36)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가장 큰 용종의 크기가 20 mm 이상이면 상대 위험도 4.71로 양성 분변잠혈검사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분변잠혈검사는 크기가 큰 용종(20mm 이상) 이외의 무증상 용종 환자의 선별 검사로서는 그 유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요한 무증상 용종 환자 선별을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 전 분변잠혈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유용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Aims: Detection of asymptomatic benign colon polyp is increasing because colonoscopy is widely used as a screening and diagnostic method. Fecal occult blood test is usually performed for the selection of patients requiring colonoscopy as well as mass screening for colo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fecal occult blood test performed prior to colonoscopy as a screening method of benign colon polyps. Method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polyp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ecal occult blood test results in patients who underwent one-day fecal occult blood test and colonoscopic polypectomies from May 2003 to October 2004,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942 colonoscopic poly­pectomies in 288 patients were evaluated. Fecal occult blood tests were positive only in 32 patients (11.1 %). In univariat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yp size (p=0.02) and location (p=0.03)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ositive fecal occult blood tests. In addition, age of the patient (p=0.046), polyp size (mean, p=0.04; largest, p < 0.01) and the number of polyps (p=0.04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in multi­variate analysis, only polyp size larger than 20 ㎜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positive fecal occult blood test with estimated odds ratio of 4.71. Conclusions: Fecal occult blood test has limitations as a screening test in asymptomatic patients with colon polyps, except for colon polyps larger than 20 ㎜ in size.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388-394)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증례 : 바터 팽대부 종양에 동반된 부적절 항이뇨호르몬 분비 증후군 (SIADH) 1예

        박란영 ( Ran Young Park ),김나영 ( Na Young Kim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eok Hwang ),정숙향 ( Sook Hyang Jeong ),이동호 ( Dong Ho Lee ),김수진 ( Soo Jin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4

        부적절 항이뇨호르몬 분비 증후군(SIADH)은 저나트륨혈증을 보이는 환자의 흔한 원인이며, 악성 종양이 그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저자들은 복통과 딸국질을 주소로 내원한 73세 남자 환자에서 SIADH를 진단하였으며, 그 원인으로 바터 팽대부 종양을 진단하여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SIADH)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hyponatremia and results from inappropriate release of antidiuretic hormone (ADH). SIADH may be caused by a variety of malignant tumors, including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intrathoracic disorders and various pharmacologic agents. We experienced a case of SIADH associated with carcinoma of the ampulla of Vater. A 73-year-old man was admitted to hospital with abdominal pain and hiccup. Laboratory findings showed that the serum sodium concentration and serum osmolarity were extremely low, while the urine sodium concentration and urine osmolarity were inappropriately high, and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IADH. Endoscopy showed an ill-defined nodular ampulla of Vater and a biopsy revealed a carcinoma. Resection of the ampullary carcinoma corrected the abnormal sodium levels and restored the laboratory findings to normal. The normal conditions have been continuous for 6 month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SIADH caused by an ampullary carcinoma. (Korean J Med 72:415-419, 2007)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 환자에서 소화성궤양의 임상적 특징

        유기동 ( Ki Dong Yu ),김나영 ( Na Young Kim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eok Hwang ),김진욱 ( Jin Wook Kim ),이동호 ( Dong Ho Lee ),정숙향 ( Soo Hyang Jeong ),이광혁 ( Kwang Hyuck Lee ),이형석 ( Hyung Suk Lee ),곽경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5

        목적: 노인에서 소화성궤양의 특징은 흔히 임상양상이 비전형적이며, 크기가 크고, 깊은 거대궤양이 다발성으로 나타나며, 갑작스런 대규모 출혈이나 천공으로 발현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노인에서의 소화성궤양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노인 소화성궤양에서의 임상적 특징과 병인으로서 H. pylori와 NSAID가 차지하는 비중, 그 밖에 제3의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흡연 및 궤양을 초래할 수 있는 만성질환의 동반여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77명의 환자(65세 이상: 138명, 65세 미만: 137명)을 대상으로 하여 주증상 및 궤양의 위치, 크기, 출혈유무, 8주내 완치여부, H. pylori 감염유무, H. pylori 제균성공여부, 흡연 및 음주(1주일에 3회 이상), 동반된 만성질환여부, 아스피린복용, NSAID, 스테로이드사용유무 등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고령군에서는 위궤양이 십이지장궤양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으며, 출혈을 포함한 증상의 차이는 없었고, 단일궤양보다는 다발성 위궤양이 많았으며, 크기가 1 cm 이상인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고, 궤양에 대한 치유속도는 8주가 지나도 완치가 안된 경우가 비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병인으로 H. pylori가 양성인 경우는 고령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위궤양군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십이지장궤양군에서는 약 51%로 비고령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양성율이 낮았다. 고령군에서 NSAID의 사용이 많았으며 내시경상 출혈양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나, H. pylori 양성이나 아스피린사용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H. pylori 양성군에서 제균요법을 시행하고 박멸이 확인된 환자는 전체적으로 68.3%였으며, 양 군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제균에 실패한 환자는 고령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소화성궤양의 병인을 각각의 영향을 독립적으로 간주하였을 때, H. pylori가 병인일 가능성은 고령군과 비고령군에서 각각 57.7%, 77.0%였고, NSAID나 아스피린이 병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은 13.1%, 1.4%였으며, 흡연이 병인으로 추정되는 군은 5.1%, 7.2%였고, 만성질환에 동반된 합병증으로 생각할 수 있는 환자는 10.2%, 1.4%였다. 결론: 고령에서의 소화성궤양은 비고령군에 비하여 치유속도가 느리고, 병인으로서 H. pylori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특히 십이지장궤양군에서 절반에 불과하였다. 오히려 NSAID와 아스피린이 중요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동반된 만성질환과 관련되어 발생하였다. 그러나 출혈을 포함한 증상의 차이는 없었다. 추후 대규모의 분석적이고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 The incidence of peptic ulcer has decreased in the general population, but it has increased for the geriatric patients worldwide.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age-related characteristics of peptic ul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77 patients (195 men and 82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peptic ulcer from May 2003 to Dec 2004,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ptic ulcer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at is, 138 elderly (= 65 yrs) and 139 non-elderly (= 50 yrs) patients. Results: Peptic ulcer in the elderly were located more atypically (high body and the greater curvature side of the mid and low body), the lesions were large and healed slowly. In the elderly group, 50.7% of the ulcers were gastric and 36.2% were duodenal. On the other hand, in the non-elderly group, 30.2% and 57.6% of the ulcers were gastric and duodenal,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main symptoms between the two groups. For endoscopically bleeding ulcer, the use of NSAI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6) only for the elderly group. The presence of Helicobacter pylori was less common in the elderly group than in the non-elderly (57.7% vs 77%, respectively, p=0.001). In the case of gastric ulcer, the rate of H. pylori infection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62.9% vs 73.8%, respectively, p=0.233). In contrast, in the case of duodenal ulcer, H. pylori infection was less common for the elderly patients than in the non-elderly patients (51% vs 77.5%, respectively, p=0.002). Conclusions: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peptic ulcer in Korea, the role of H. pylori was relatively less important that it was for the non-eldery group. On the contrary, NSAID, aspirin and combined chronic illness seem to contribute to ulcer. Bleeding peptic ulcer was discovered in both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rate.(Korean J Med 71:501-510, 2006)

      • SCOPUSKCI등재

        위장관 ; 배양검사로 확진된 지역사회 세균성 장염 환자에서 과민성 장증후군의 발생률과 위험요인

        고성준 ( Seong Joon Koh ),이동호 ( Dong Ho Lee ),이상협 ( Sang Hyub Lee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eok Hwang ),김진욱 ( Jin Wook Kim ),정숙향 ( Sook Hyang Jeong ),김나영 ( Na Young Kim ),임종필 ( Jong Pil Im ),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0 No.1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n community subjects with culture-proven bacterial gastroenteriti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community-based, cohort study, which followed patients with a recent history of culture-proven bacterial gastroenteritis. IBS was diagnosed with the use of the Rome II criteria at 3 and 6 months after bacterial dysentery. Results: Sixty five cases were included and completed the 6 month follow-up. Thirty four cases (52.3%) were female. Salmonella was the pathogen most frequently identified and seen in 41 patients (63.1%). The cumulative incidence of IBS among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proven bacterial gastroenteritis within a community was 9.2% and 12.3% at 3 and 6 months of follow-up, respectively. The duration of initial diarrhea (≥7 day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the development of IBS (aOR, 14.50 [95% CI, 1.38-152.72]; p=0.022).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incidence of IBS among patients with culture-proven bacterial gastroenteritis within a community is similar to that reported among Western populations. A large, prospective study is encouraged to confirm our results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microbial species on the epidemiology of IBS in Asian populations. (Korean J Gastroenterol 2012;60:13-1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