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국어 표기를 위한 방점한글 및 세 방점한글 글꼴

        곽경 한국어정보학회 2011 한국어정보학 Vol.13 No.2

        방점 하나로 세계 언어의 모든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현행 24자모에다 방점을 추가하는 표기체계이므로 새로운 자모의 추가 없이도 모든 발음을 표현 가능하며 별다른 자형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으며 현재의 글꼴을 이용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영어의 f, v, l, r, th 발음표기는 한국어에서는 표기방법이 없는 것이 아니고, 이 발음들이 ㅍ/ㅎ, ㅂ, fㄹ, ㄹ, ㅅ/ㄷ 등으로 표로 표기할수 있으나 변별력이 떨어지거나 발음표기가 용이치 않다. 이를 구분하여 변별하기 위하여 한글 표기 자소(자모)의 주위에 방점1)을 두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며 한글 24자모(자소) 만으로 다국어를 표현할 수 있다. 방점은 1443년 창제된 훈민정음의 성조표기에 근거한 착상이 성조표기와 자소 확장 표기라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 무문자족을 대상으로 한 한글보급의 제 문제

        곽경 한국어정보학회 2016 한국어정보학 Vol.18 No.1

        한글세계화는 개별학자나 개별단체의 전유물이 아니다 일국의 문자는 그 나라 문화역량의 총화(總和)이지만, 작금의 우리나라의 문화정책은 이것을 마치 일개 언어학자나 국어학자의 맞춤법 표기나 국어사전의 데이터베이스 작업 정도로 가볍게 취급하여 왔다. 한글의 외국어표기와 관련하여 한글세계화라는 말이 확산된지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지속적인 국가정책 으로 공론화되지 못하고 정책의 주류에서 벗어난 채, 개별학자나 단체의 개인적 취미나 관심의 대상에 머물 러 왔다. 또 무문자족에 대한 한글보급은 그럴듯한 구호로 개인이나 민간단체에 의해 진행되어 왔지만,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실상은 부정적 요소 외에 외교적 문제의 소지까지 안고 있다. 국가차원에서의 대국적인 검토가 결여된 가운데 각개 약진해 온 한글의 무분별한 확산은 분명히 그 잘못이 지적되고 제지되어야 할 당위성이 있음을 여기에서 말하고자 한다.

      • 중국어·동남아어의 성조 및 장단음 표음부호 제안

        곽경 한국어정보학회 2012 한국어정보학 Vol.14 No.1

        방언을 포함한 모든 중국어와 베트남어, 캄보디아어, 태국어 등의 동남아어에 나타나는 성 조와 장단모음의 표기의 종류, 부호, 숫자에 대하여 연구·제안하였으며, 이 요소들은 이들 언어의 한글표기에서 반드시 고려해야할 중요한 부분이다. 북경어(보통화)에서는 4개의 성조부호가 필요하며, 광동어에는 1개가 추가로 필요하고, 베 트남어에는 3개의 부호가 추가되어 모두 8개의 성조부호만 있으면 충분하게 된다. 그외에 숫자형태의 성조표시(numerical tonemark)가 성조부호(tonemark) 대신 사용될수 있도록 옵션으로 제공되면 여러면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본다. 또한 성조부호의 표시가 없는 성조도 있는데, 모두 9개의 숫자기호를 성조부호 대신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광동어, 태국어는 자기들 문자 표기에서 장음을 구분하여 표기하고 있으며, 베트남어 에서는 단음을 그렇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장단음에 대한 표기가 별도로 필요하다. 그밖에 라오스어, 미얀마어, 캄보디아에 대하여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남긴다. I have studied and suggested here with the necessary types, numbers and shapes of both tonemarks and short/long vowels which are transcribed in all of Chinese and its dialects and Southeast Asian languages such as Vietnamese, Cambodian and Thai. All these are inevitable factors for Hangulization of these langages. For Hangulization- the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 into Korean letter, four tonemarks are required for Mandarin, while Cantonese, another Chinese type, needs one more tonemark and three more for Vietnamese. This comes up to total of 8 tonemarks, and a certain tone doesn’t need any tonemark. Total 9 numerical tonemarks can be used instead of normal tonemarks in frequent cases and it will be very useful if provided optionally. Long vowels are transcribed explicitly in Cantonese and Thai while short vowels are transcribed explicitly in Vietnamese. Thus, the explicit transcription of short and long vowels is also a very important factor in Hangulization of these languages. Other languages such as Laotian, Burmese and Cambodian remain to be subjects for further researches to be accomplished later.

      • 로마니제이션 vs 코리아니제이션 : 한글은 세계어의 표현에 부적합한 문자인가?

        곽경 한국어정보학회 2012 한국어정보학 Vol.14 No.2

        한글세계화에 대한 일부의 식자층으로부터 반대의 의견이 있다. 주된 이유로 내세우는 것 은 한글이 세계어를 나타내는데 부적합한 문자라는 것과, <F, V>등의 영어발음을 한글로 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분들은 한글이 로마문자만큼 세계 다른 언어를 제대로 표현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 하고 있으나, 세계 공용문자인 로마 알파벳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조금도 의문을 가져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우리가 한글의 세계어 표현의 적합도를 알아보려면, 거꾸로 로마 알파 벳이 세계언어의 다양한 발음을 얼마나 정확히 나타내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중국어의 여러 방언과 아랍어, 동남아의 여러 언어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로마 알파벳이 이들 언어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문자인가를 검토해 본 결과, 로마알파벳이 한글보다 더 우수한 점을 발견할 수가 없었고, 오히려 그때그때 잡다한 땜질로 로마자표현은 누더 기가 된 것을 알수 있었다.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북경어의 경우에는 12종의 표기법, 광동어의 경우에는 13종의 표기법, 민남어의 경우에는 7종의 표기법, 아랍어의 경우에는 9종의 서로 다른 로마자 표기법이 난립하여 퍽이나 혼 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유럽인들의 알파벳 사용은 외국어원음 표현에 더 적합해서가 아니고, 제국주의의 식민지배와 침략, 그리고 자신 위주의 사고방식 등에 기인하는 것이며, 절대로 알파벳이 우수한 문자라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세계적으로 보급된 로마니제이션은 당연한 상식으로 받아들이면서, 우리가 한글로 외국어를 표현하는 극히 자연스러운 시도, 즉 코리아니제이션을 궁색한 논리로 부정하여 서는 안될 것이다. There have been oppositions by some highbrows to the globalization of Hangul (Korean Alphabet). They argue that Hangul does not fit for globalization because it does not reflect accurately each sound of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for example f and v in English. They do not seem to believe that Hangul also can become a worldwide representative language as Roman alphabet. They never seemed to have doubt about efficiency of the Roman alphabet as a worldwide representative letter. Then, before we argue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Hangul as a global letter, it would be better that we first check the potential of Romanization (the use of Roman alphabet for any languages). Through some researches about the adequacy of Roman alphabet in expressing the exact sound of various languages,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Roman alphabet is no better than Hangul in such function and that Romanization has rather become tattered and ragged by improvised patches and repairs from time to time. For example, Romanization does not seem adequate especially in expressing various Chinese languages as 11 different types of Romanization have been suggested for Madarin, 12 types for Cantonese, and 6 types for Minnan Chinese. In addition, there are at least 9 different types of Romanization for Arabic language. As there have been even various Romanizations, there are usually more confusions and disorders, and even communications among different Romanizations are not possible. Romanization is thought to have become spread not as the result of its adequacy in expressing the other languages, but as the result of invasions, colonizations, and enforcement by the Europian imperialists. It cannot be allowed that one accepts faulty Romanization just as a common sense on one hand, but only despises and denies Koreanization on the other hand with no reasonable ground. Furthermore, it is our natural desire to use our own letter, Hangul as long as Hangul has functional adequacy and superiority over the Roman alphabet in expressing other foreign languages.

      • KCI등재

        현대중국어 가능보어와‘能/不能+V(C)’ 구조의 동적양태 의미 비교 연구

        곽경,김현철 중국어문학연구회 2022 중국어문학논집 Vol.- No.133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dynamic modal meaning of potential complement structure and ‘能/不能+V(C)’ structure which is commonly used in modern Chinese.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the potential complement structure and the ‘能/不能+V(C)’ structure can represent dynamic modal  meaning, but the potential complement structure belongs to ‘Steady-State Force-Dynamic Patterns’ and the ‘能/不能+V(C)’ structure belongs to ‘Shifting Steady-State Force-Dynamic Patterns’. Second, the potential complement structure has a negative semantic tendency and objectivity because its focus of meaning is ‘removal of restraint’. its dynamic modal  meaning is ‘having the minimum ability to realize results or not at all’. In contrast, the ‘能/不能+V(C)’ structure has a positive semantic tendency and subjectivity because its focus of meaning is ‘the actor's ability’. its dynamic modal  meaning is ‘having sufficient ability to realize results or not’. Third, when the two structures represent dynamic modal  meaning, the component ‘V(C)’ has the semantic features of [-negative] and [+controllable],but some ‘V(C)’ with [+negative] semantic features is rarely used in ‘能/不能+V(C)’ structure.

      • 애드 혹 퍼베이시브 환경에서 자원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에 적응적인 광고 기법

        곽경만(Kyungman Kwak),Gonzalo Huerta-Canepa,이동만(Dongm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최근의 개인 휴대 장치들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pervasive computing 환경은 인프라 시스템의 제약에서 벗어나 개인 장치들의 협력에 의해서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ad hoc pervasive 환경은 기존의 스마트 스페이스에서 보다 동적인 변화가 더욱 많은 환경이기 때문에 pervasive computing을 위한 기능들 중에서도 자원 관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Pervasive computing 환경에서 자원 관리는 자원 모니터링(Resource Monitoring), 자원 발견(Resource Discovery),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자원 적응(Resource Adaptation)의 4가지의 주요 기능으로 구분 될 수 있고, 동적인 변화가 많은 환경에서는 무엇보다도 자원 모니터링이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한다. 자원 모니터링에서 정보의 수집은 pull이나 push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pull 방식은 사용자 요구에 맞춰 요구 했을 때의 가장 최신의 정보를 모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자원 발견에 가장 적합하지만 언제 정보 수집을 요청할지는 정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 push 방식이 다른 여러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보다 적절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push 방식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광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하지만 상황 적응(adaptation)입장에서 봤을 때 특정 수준의 민첩성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광고주기를 조절 해야 하고, 이때 필요 이상으로 네트워크의 사용량을 늘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변화가 많은지 적은지 등의 각 단말의 상황은 무시된 채 모든 단말들이 동일한 주기로 정보를 광고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자원 정보 제공자의 상황을 고려한 자원 정보 광고 기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