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과 일본의 銀유통 교섭(1697~1711)

        鄭成一(Sung-il Chung)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2 No.-

        17세기에서 18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동아시아의 銀 유통은 커다란 변화를 보였다. 더구나 울릉도-당시 일본에서는 竹島라 불렀음-의 귀속 문제를 놓고 조선과 일본이 갈등을 빚고 있을 때 발생한 일본의 은화 改鑄는 두 나라의 무역관계를 더욱 긴장시키고 있었다. 일본의 德川幕府는 1695년에 새로운 銀貨를 발행하였다. 이것은 도쿠가와 막부 출현 이후 약 100년 동안 유통되고 있던 순도 80%의 慶長銀을 대신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新銀인 元祿銀의 순도는 64%였다. 이는 은화 1개에 은이 64% 함유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다른 물질이 섞여 있었음을 뜻한다. 일본은 그 뒤로도 은화의 순도를 변화시키는 개주를 되풀이하였다. 그럴 때마다 對馬 藩은 그런 사실을 조선에 알렸다. 대마번이 조선과 무역을 전개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것이 전제조건이기도 했다. 조선정부는 일본의 은화 개주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하였을까? 이 문제에 대하여 분명하게 밝힌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이 문제의 해명은 동아시아의 銀 유통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조선은 일본에서 유입한 은화를 중국과 무역을 위한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정부로서도 일본 은화의 순도 문제는 커다란 관심사였다. 요컨대 조선정부가 도쿠가와 막부의 거듭된 은화 개주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해 나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조선과 일본, 중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은 유통망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The circulation of East Asian silver exhibited important changes in the late seventeenth and early eighteenth centuries. In particular, a revaluation of Japanese silver occurred at a time of friction between Choson Korea and Japan over the Korean island of Ullung (then called Takeshima in Japan) caused tension in the trad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Edo bakufu in Japan introduced a new silver currency in 1695. This new currency replaced the Keicho silver, which was 80% silver and had been in circulation for nearly 100years. The new Genroku silver currency was of 64% purity. That is, one piece was 64% silver and 36% other materials. There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frequently revalued its silver currency, and the Tsushima domain informed the Choson government each time this happened. This announcement was a condition of Tsushima’s trade relationship with Choson. Clarification of the Korean state’s response to the devaluation of Japanese silver will greatl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irculation of silver in East Asia. Because the Choson government used silver imported from Japan as a means for purchasing goods in Qing China, the revaluation of silver in Japan was an issu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Korean government. By understanding how the Choson government dealt with the Edo bakufu’s several revaluations of silver, we will better grasp the silver trade between Choson Korea and Japan, and silver’s usage in the wider East Asian area where it circulated as a means of payment.

      • KCI등재

        상평통보를 소지한 조선의 표류민과 대마도(1693-1862)

        정성일(Chung, Sung-Il)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1 No.-

        상평통보는 1678년(숙종 4)에 조선의 법정 화폐로 지정된 이래 1894년(고종 31)까지 조선의 화폐경제를 이끌었다. 17세기 이후의 상평통보 이용 실태를 분석한 지금까지 연구는 매매문기(賣買文記)와 생활 일기(日記) 등에 국한된 자료에 근거하였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1693년(숙종 19)부터 1862년(철종 13)까지 170년 동안 표류민의 소지품 속에서 발견된 금속화폐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일본으로 표류했다가 되돌아온 조선 표류민의 소지품 속에서 금속화폐인 은자(銀子)가 처음 확인되는 것은 1693년(숙종 19)이며, 동전인 상평통보는 1694년 (숙종 20)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지역적으로는 경상도 출신 표류민의 금속화폐소지가 다른 지역 출신에 비하여 시기도 빨랐고 그 비율도 높았다. 1752년(영조28)에 ‘상평통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대마도의 표류민 조사 기록에서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보다 3년 전인 1749(영조 25)에는 대마번(對馬藩)이 일본에서 ‘상평통보’를 주조하여 왜관에서 그것을 유통시킬 것을 구상하였으나 실패로 끝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대마번의 상평통보 주조 구상은 18세기 중엽 이후 대일무역과 조선의 화폐경제를 평가할 때 눈여겨보아야 할 대목임이 분명하다. Trade records and diary were used to analyze the real conditions of using copper coins, Sangpyeong tongbo, as money after 17<SUP>th</SUP> century that was determined as a legal tender of Choseon Korea in 1678. In this paper, a subject of analysis could be the metallic currency in the possessing of Korean drifters to Japan during 170 years from 1693 to 1862. A metallic currency of silver money was confirmed in the possessing of the Korean drifters first in 1693, and copper coins of Sangpyeong tongbo in 1694. In the respect of regions, the period of possessing the metallic currency was early and the ratio of possessing was high by the drifters from Gyeongsang Province rather than those of other regions. The name of Sangpyeong tongbo was shown in the records of investigations for the Korean drifters first in 1752. Three years before, in 1749, Tsushima domain was to make a plan to mint copper coins of Sangpyeong tongbo, a Korean legal tender, using Japanese copper in Japan, and put them in circulations to Japan House of Waegwan in Korea. In result, the plan ended in failure, but it is clear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an estimation for Korean-Japanese trade and money economy after the middle of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해남 대둔사 승려의 일본 표착과 체험(1817~1818)

        정성일(Chung Sung-Il)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2 No.-

        전라남도 해남군에 소재한 대둔사(대흥사)의 천불전에는 옥돌로 만든 천불상이 있다. 그런데 이 천불전에 모시기 위하여 경상도 경주에서 조각한 천불상을 완도 장삿배와 홍원 장삿배에 각각 나누어 싣고 전라도 해남으로 오던 중 배가바다에서 표류를 당한 해난사고가 발생했다. 천불상 768좌와 승객 27명(승려 15명, 일반인 12명)을 실은 홍원배가 1817년 11월 25일 부산 동래 앞바다에서 표류를 하여 11월 29일 일본 오시마(大島)에 표착한 것이다. 이들은 1818년 1월 2일 나가사키로 송치되었는데, 그곳에서 조사가 끝나자 4월 14일 나가사키를 떠나 대마도로 향하였다. 마지막으로 5월 4일 대마도에 도착한 이들 일행은 6월 18일 대마도의 북쪽 끝에서 배를 띄워 부산 왜관으로 향하였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동풍에 밀려 그들은 웅천(진해)에 표착하고 말았다. 그들은 그곳에서 다시 동쪽으로 배를 타고 이동하여 6월 27일에 동래에 닿았으며, 동래부로부터 재차 조사를 받았다. 7월 5일 동래를 출발한 그들은 7월 14일 해남 앞바다에 도착하여 이튿날인 7월 15일 대둔사로 들어갔다. 한 달 뒤인 8월 15일 마침내 천불상을 천불전에 봉인하였다. 이렇게 해서 일본에 표류하였다가 돌아온 천불상의 어깨 위에는 일본을 뜻하는 일(日)자가 새겨지게 되었다. Daedunsa temple (or Daeheungsa temple), located in Haenam County, in today"s South Jeolla Province installed thousands of Buddhist statues which had been carved from jade in Gyeongju, Gyeongsang Province in 1818. A marine accident occurred while the statues were being transported from Gyeongju to Haenam in merchant ships based in Wando and Hongweon. the Hongweon merchant ship carraying 768 Buddhist statues and 27 passengers (15 Buddhist monks and 12 commoners) sailed off-course from near Busan, in Dongnae County, on the twenty-fifth day of the eleventh lunar month of 1817, and landed at Oshima, Japan, on the twenty-ninth day of the eleventh lunar month. the ship wa sent to Nagasaki on the second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of 1818, and then forwarded to Tsushima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fourth lunar month after an investigation in Nagasaki. They arrived at Tsushima on the four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and departed for the Waegwan, in Busan, on the eifhteenth day of the sixth lunar month. But unfortunately the ship landed at Woongcheon, Jinhae, because of the east winds. they sailed eastward again, and, arriving in Dongnae on the twenty-seventh day of the sixth lunar month, were investigated again by Dongnae Country officials. On the fif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the ship departed Dongnae, and they stayed off the Haenam coast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The statues entered Daedunsa the next day, the fifteen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One month later, on the fifteenth day of the eighth lunar month, the thousands of Buddhist statues were finally installed in the Hall of the Thousand Buddhist Statues. That is how the Chinese character il (日), meaning "Japan," was carved on the shoulders of the 768 Buddhist statues which had drifted to Japan.

      • KCI등재

        대학의 안전교육 현황 및 대학생의 안전사고 대처방법 인식에 관한 연구

        정성일(Sung-Il Chung),오재연(Jae-Yeon O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본 연구는 예비사회인을 배출하는 대학의 안전교육 현황과 대학생들의 안전사고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광주와 대전 지역의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안전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의 계열별 비중이 기타(공학, 예체능), 교육계열, 인문계열, 사회․자연계열, 의학계열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전교육의 내용으로서는 “응급처치 교육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사고 대처방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계열의 대학생들이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은 있으나, 실제 안전사고가 일어난다면 당황할 것 같다”고 응답하였으며, 대학생들이 주변에서 이미 경험한 적이 있는 안전사고 유형 중에서는 “피부에 상처가 나는 안전사고를 많이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 스스로가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는 안전교육을 대학의 교육과정 안에서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This study researched methods for coping with safety accidents by university students, after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by universities in Korea. For this study, a survey of 411 students of universities in the cities of Gwangju and Daeje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atio was high for answers such a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afety education beginning with the departments of engineering, art and physical training, education, art and humanity,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most preferred first aid among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of all department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d safety education, but were afraid to be embarrassed in the case of actual safety accidents, as was found through the results of investigations of their awareness of coping methods with safety accidents. It was verified that many times their suffered skin and other wound in an earlier safety accident that they had experienced. This study suggests that safety education needs to be accomplished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predicting and practicing for causes and factors of danger in advance,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safety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왜관의 일기로 본 조 · 일 간 무역(1721~23년)

        정성일(Chung, Sung-Il)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이 글은 왜관에서 이루어진 조선과 일본의 무역에 관한 것이다. 첫째 분석 시기는 1721~23년이다. 둘째 분석 범위는 공무역(公貿易) 중에서는 쌀[公作米]과 흑각[黑角, 水牛角]과 구리[銅]의 거래[看品]이며, 사무역(私貿易) 중에서는 개시일(開市日)과 개시율(開市率)이다. 셋째 분석 자료는 왜관의 일대관(一代官, 이치다이칸)이 남긴 일기와 관수(館守, 간슈)의 매일기 등이다. 왜관의 무역 책임자가 작성한 일기를 통해서 18세기 조 · 일간 무역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한 점이 이 논문의 특징이다. This paper verifies the trade activiti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Waegwan (Japan House). First, the period of analysis is from 1721 to 1723. Second, the range of analysis is the trade in rice, water buffalo horns, and copper in the official trade, and the days and the frequency of the gaeshi (open market) in the private trade. Third, the documents for analysis are the diaries written by the Ichi Daikan, or the chief executives of trade who were dispatched from Tsushima domain to the Waegwan, which was located in Joseon Korea.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ighteenth century were grasped through analyses of the diaries written at the Waegwan.

      • KCI등재

        통신사를 통해 본 물적 교류 ―신미 통신사(1811년)의 예물 교환을 중심으로―

        정성일 ( Chung Sung-il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8 항도부산 Vol.36 No.-

        이 글은 1811년 일본을 방문한 조선의 통신사를 통하여 양국 사이에 이루어진 비경제적 측면의 물적 교류에 관하여 분석한 것이다. 조선이 일본으로, 일본이 조선으로 보낸 예물을 한국과 일본 양측의 기록을 대조하면서 양국이 주고받은 예물의 종류와 수량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된 사실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예물 교환의 주체가 이중 구조로 되어 있었는데, 조선 정부와 일본 막부 사이, 그리고 조선 정부와 대마도(대마번) 사이의 예물 교환이 그것이었다. 둘째, 예물 교환의 내용을 보면 그것을 주는 쪽과 받는 쪽의 정치·외교적 위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격차와 차등이 내재되어 있었다. 셋째, 양국의 예물은 각국의 특산품과 공예품 중에서 상대국이 가장 선호할 것으로 기대되는 물품으로 구성되었으며, 상호주의에 입각하여 되도록 서로 주고받는 예물의 전체적인 가치를 비슷하게 유지하려고 애썼다. 다만 이 글에서 해결하지 못한 과제도 여전히 남아 있다. 통신사가 일본에서 받아온 일본 쇼군의 국서가 아직까지 한 점도 국내외에서 발견되지 않고 있는 것을 상기해 본다면, 앞으로 새로운 자료 발굴을 통해서 일본 측 예물(일본의 回禮單)의 소재를 추적하는 작업도 학계의 공통된 과제 중 하나이다. 아울러 조선에서 일본으로 보낸 예물이 일본 내에서 어떻게 분배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추후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xchanges of material resources by the Korean Embassy sent to Japan (K. Tongshinsa) in 1811. Through verifying the kinds and the quantities of diplomatic gifts exchanged between the two nations, we can certify the gifts distributed to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iplomatic ev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sides. First, the subjects of diplomatic gifts composed a dual structure. For example, one aspec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Joseon government and the Japanese Tokugawa bakufu. Another aspect is the exchange between the Joseon government and Tsushima domain in Japan. Second, various differences and discrimination were built into the contents of the diplomatic gifts through the differenti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participants when the diplomatic gifts were exchanged between the two nations. Third, the diplomatic gifts of the two nations consisted of commodities anticipated to be most preferred by people of the other nation. In short, the exchanges of diplomatic gifts between Joseon Korea and Japan show characteristics of diplomatic structures, the economic activiti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diplomatic gifts, and the preference for diplomatic gifts by people of the other nati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通信使船 船員의 船上生活과 治療

        정성일(Chung, Sung-Il)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2 No.-

        이 글에서는 1719년 일본 오사카[大坂]에 잔류한 통신사선(通信使船) 선원(船員)의 선상 생활(船上生活)과 환자에 대한 치료(治療)를 주로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성과와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19년 기해 통신사 일행 474명, 그 중에서도 선박 관계자 285명의 명단을 제시함으로써, 누가 통신사선의 운항에 직접 관여하였는지를 밝혔다. 둘째, 9월 4일부터 11월 3일까지 59일 동안 선원들의 선상 생활에 필요한 식수와 식료품 등의 조달, 그리고 10월 10일 휴식의 하나로 이루어진 조선인 선원의 씨름 겨루기를 규명하였다. 셋째, 9월 18일부터 10월 22일까지 35일 동안 막부 측이 비용을 부담하여 일본인 의사를 보내 조선인 선원 6명을 치료한 내역을 실증하였다. 이를 통해서 통신사 연구의 영역을 넓히고 그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한 점은 이 논문의 성과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를 다른 시기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는 것은 앞으로 남은 과제이다. The ships and the sailors of the Joseon Tongsinsa, Korean Embassy to Japan sailed only as far as Osaka. One hundred and ten Korean sailors and six ships were left there. For the sailors the treatment of illness and the restoration of strength were sought. These conditions had to be met in order for the Korean Embassy to return safely to Joseon.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1719 Korean Embassy to Japan are presented below. First, it was clarified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sailing of the Korean Embassy’s ships through showing the list of two hundred and eighty five persons related to the ships as well as that of four hundred seventy five participators of the Korean Embassy. Second, water and groceries were supplied to the Korean sailors for their daily life on the ships during fifty nine days, from the fourth day of the ninth month to the third day of the eleventh month. And the game of Korean wrestling was allowed to them as a rest on the tenth day of the tenth month. Third, among the men who stayed at Shirinashigawa, six Korean sailors fell ill and received medical treatment from Japanese doctors during thirty five days, from the eighteenth day of the ninth month to the twenty-second day of the tenth month. The cost of that medical treatment was borne by the bakufu.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bove, the breadth of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and the numerous facets of interaction that involved Korean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Embassy in both Joseon and Japan has become clear. Comparative analyses of interaction in other periods will be undertaken as future top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