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분계점 ACD-GARCH 모형을 이용한 일중 고빈도 자료의 주식 수익률 변동성 분석

        정선아,황선영,Chung, Sunah,Hwang, S.Y.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1

        주식시장 거래에서 기록되는 고빈도 자료를 사용하여 주식 수익률에 대한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변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한 요소로 주식거래에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발생하는 가격 듀레이션을 생각할 수 있는데, 실제 자료에 ACD 모형을 사용하여 듀레이션을 추정해 보았고, ACD-GARCH 모형을 사용하여 주식 수익률과 변동성에 미치는 듀레이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ACD 모형 추정에는 ML과 EF 방법을 적용하였고, ACD-GARCH 모형에는 이중-분계점(double-threshold)을 추가하여 평균수익률의 비대칭성 및 변동성의 비대칭성을 동시에 분석해 보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volatilities of stock returns based on high frequency data from stock market. Incorporating the price duration as one of the factors in volatility, we employ the autoregressive conditional duration (ACD) model for the price duration in addition to the GARCH model to analyze stock volatilities. A combined ACD-GARCH model is analyzed in which a double-threshold is introduced to accommodate asymmetric features on stock volatilities.

      • KCI우수등재

        한국판 Early Years Toolbox (EYT)의 타당화 연구

        정선아(Shunah Chung),김인경(Inkyung Kim),김희진(Heejin Kim),마유미(Yumi Ma),박보영(Boyoung Park)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6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arly Years Toolbox (EYT), which can measure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7 3 to 5-years-old children in one kindergarten and two day care centers. An analysis of EYTs the construct validity, the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each tool has a reciprocal static correlation (r = .22~.41, p < .05) appeared to be present,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difficulty in assembling them into a single factor. Also, Mr. Ant and The Eight Boxes Task (r = .19, p < .05), Go/No-Go and Lift Flag Task (r = .28, p < .05), Not This and Dig it span - Backward (r = .27, p < .05), Card Sorting and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r = .57, p < .05), Expressive Vocabulary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Expressive (REVT-E)(r = .66, p < .05), Numbers and Mathematical Ability Picture Test for Young Children (r = .73, p < .05) all had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CSBQ) and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s (PKBS). Finally, the EYT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which enabled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tool. Conclusions: The Early Years Toolbox is a reliable and valid executive function instrument for children and is recommended for evaluating executive function.

      • KCI등재

        시와 길 - 존재론적 관점에서 르베르디 읽기

        정선아 ( Chung Seon-ah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3 No.-

        르베르디의 시에서 우리는 늘 어디론가 떠나려는 충동에 사로잡힌 시인의 출발의지를 빈번히 마주친다. 그리고 그와 더불어 자주 나타나는 끊긴 길의 형상을 눈여겨보게 된다. 눈길을 끄는 것은, 길의 표상이 아닌, 존재 공간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하는 길 트기이다. 시인 특유의 길 체험에서 그의 세계 인식을 해명할 근거를 찾을 수 있다. 그 인식에 내재하는 존재 결핍은 상실한 존재 근원을, 본질된 삶을 추구하게 하는 동력이다. 우리는 절대 근원을 향한 길 트기 체험의 존재론적 차원에 주목하는 한편, 그 체험이 시인의 감성과 정신에 바탕을 둔 시적 경험, 곧 세계와 자아 그리고 시 쓰기 경험에 어떻게 개입되는 가 살펴본다. 아울러 시 쓰기 자체가 그에게 본질 된 삶에 대한 참된 인식을 추구하는 길이라는 전제아래, 시 쓰기가 어떻게 자신의 근원에서 멀어진 자에게 그 존재의 뿌리를 내릴 토양이 되는 가 본다. 그리고 시 쓰기에 나타난 그의 정신궤적을 따라가면서 그가 그 궤적에 아로새긴 열망, 참된 삶을 향한 열망을 들추기로 한다. 우리는 감각 현실의 한계에서 존재 결핍을 절감하고 실재에 대한 참된 인식을 추구하는 시적 통찰의 한 사례에서 오늘날 현대인의 존재 결핍과 불안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만난다. 시인은 유한한 현실에서 피할 길 없는 존재 결핍을, 존재 부정이 아닌, 존재 본연을 회복하도록 부추기는 힘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사물이 본래 무형임을 깨치고 형상을 허상으로 인식한다. 이러한 인식 전환 속에서 그의 감수성은 삶의 본래 모습인 무형에서 존재 자유의 가능성을 읽어낸다. 그 특유의 시적 형상화는 존재 결핍을, 형상으로 메우려 하는 대신, 형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계기로 삼는 그의 시선을 투영한다. 이처럼 르베르디의 시는 감각 현실에 구속받는 인간 조건 속에서 존재 자유 추구와 존재 본연 회복이라는 인간의 보편의지를 표현한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참된 실재 인식이 궁극에는 삶의 영역 확장가능성과 맞닿아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킨다. L'expérience du chemin chez Reverdy est souvent marquée par un arrêt, accompagnée d'un sentiment de manque. Ce qui nous amène à une lecture ontologique de cette figure. Notre attention porte, non pas sur ses aspects sensibles, mais plutôt sur ses implications ontologiques, à savoir le chemin comme quête du réel au delà de l'apparence. Le manque à être que le poète ressent dans son existence est intimement lié à la part insaisissable dans toute chose sensible. De ce fait, il se révèle comme moteur qui lui permet de frayer un chemin vers l'origine absolue, pourtant introuvable. Nous allons voir comment ce cheminement précaire se concrétise dans son expérience du monde, du moi et du langage. Faire le chemin vers le réel, c'est transmuter le fini en infini. Perpétuellement en chemin vers ses lointains, le poète tente ‘une course à contre courant.’ Mais il ne passera finalement pas de l'autre côté, puisque cela risque d'anéantir toute son existence et signifierait sa mort. Reverdy semble finir par accepter ses limites d'homme. Désormais, le seul moyen d'y échapper et de saisir l'insaisissable, il le cherchera dans l'écriture. Il s'agit d'un acte qui mobilise non seulement la sensibilité mais également l'esprit. Ecrire lui permet d'accéder au vrai dont le sensible n'est qu'un reflet. Ecrire un poème, c'est pour lui une manière de frayer un chemin de communion entre sensibilité et esprit. Et par là de laisser une trace indélébile de son existence éphémère.

      • KCI등재
      • KCI등재

        0세 영아반 교사의 ‘돌봄행위’(caring)에서 돌봄통합교육과정 수행성 보기

        정선아(Shunah Chung),박보영(Boyoung Park)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교육보다는 돌봄이 가장 많이 필요한 시기라고 간주하는 0세반 교사의 돌봄행위를 통해 돌봄이 영아의 배움이 수반되는 교육적 행위이므로 돌봄통합교육과정으로 의미 지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세반 교사의 1년간의 영아의 배움이 담긴 놀이기록과 교사의 돌봄을 포함한 교육적 행위가 담긴 연간 교육계획안을 수집하고, 교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0세반 교사는 신체돌봄, 정서돌봄, 정치돌봄 및 인식론적돌봄행위에서 영아의 배움이 일어나는 교육과정을 수행하고 있었다. 영아는 교사의 돌봄행위에서 배움을 만들며 교육과정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 둘은 서로 교차하고 얽히며 교육과정을 생성하고 있었으며, 이는 곧 돌봄통합교육과정이었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show that care can be defined as a curriculum with caring because it is an educational activity involving infant learning through a 0-year-old teacher's caring behavior who considers caring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in daycare centers. Thus, the play documents containing a year of infant learning by a 0-year-old teacher, an annual education plan containing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the caring of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llected. ᅠThe 0-year-old teacher was carrying out a curriculum in which infant learning took place in “care for”, “care about”, “care with”, and “epistemological care”. Infants were carrying out the curriculum by learning from the teacher's caring behavior. They were intersecting and intertwining with each other to make a curriculum; thus, a curriculum with caring.

      • KCI등재
      • KCI등재

        예술의 실재 인식 방편으로서 그림자와 반영: 르베르디와 니체의 단장(斷章)에서

        정선아 ( Seon-ah Chung )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7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프랑스 시인 르베르디와 니체의 단장에 나타난 삶과 예술에 대한 성찰을 통해 예술 고유의 실재 인식을 고찰하는 한편, 그것이 인간에게 온전한 자기 인식에 이르게 함으로써 자유의지로 감각 현실의 한계에 구속받지 않는 삶을 창조하게 한다는 사실을 밝히는 데 있다. 서구 근대의 구축 과정에서 합리적으로 해명할 수 없는 삶의 측면들은 인식할 수 없으므로 타당치 않은 것으로 통념화 되어 배제되었다. 그것들을 진지하게 다룬 것은 예술이다. 니체는 진리를 추구한 형이상학의 인식오류를 지적하며 그 대안으로 예술을 제시한다. 그에게 예술은, 진리의 구현이 아닌, 창조 의지의 발현이다. 지각할 수 없는 실재를 인식으로 불러들이는 과정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사물에 인식의 빛을 비출 때 드리워지는 그림자다. 예술형상화는 그 그림자다. 예술의 실재 인식은 반영이라는 속성을 띤다. 삶과 예술의 반영 관계에 주목하는 르베르디의 성찰은 예술을 실존의 미적 정당화라고 역설한 니체 철학에 맞닿아있다. 이들의 미적 성찰은 예술을 통해 인식영역을 무한히 넓힌다는 점 그리고 예술 개념 자체를 삶의 예술로 확장한다는 점에서 오늘날 우리 삶에 절실한 인식의 길을 열어 보인다. Notre étude porte sur le problème de la connaissance du réel dans les réflexions esthétiques de Pierre Reverdy et de Friedrich Nietzsche. Il s’agit de réfléchir sur l’art comme connaissance du réel. Nietzsche remet en question la notion de vérité promue par les modernes. Cette forme de connaissance, jugée comme erreur par le philosophe, à nos yeux ne semble pas due par une simple erreur, mais plutôt relève d’une intention d’en faire un doxa, censé calmer l’angoisse existentielle face à l’indéterminé. Contre l‘idée fausse dévalorisant l’indéterminé comme non-vérité, Reverdy et Nietzsche affirment que cette part fait partie intégrante de notre vie et trouvent dans l’art une connaissance du réel tel qu’il est. Les visions que nous offre l’art sont imcomplètes. Sans aucune prétention à la vérité, il ne fait que miroiter ce qui se présente à la sensibilité et à l’esprit de l’homme: l’éphémère. C’est par ailleurs ses imperfections mêmes qui nous éveillent de l’illusion de vérité. De par la volonté et la liberté, l’art interprète et crée à nouveau ‘ce monde éternellement imparfait’. Les instants fugitifs de l’existence, pour le voyageur épris du réel, est une chance de créer à nouveau le monde. La réflexion de Reverdy et Nietzsche sur l’art nous conduit à accueillir la vie telle qu’elle est. Et par là elle nous invite à vivre ici et maintenant, au lieu de nous enfuir dans un idéal quelconque.

      • KCI등재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운다’에 대한 비판적 성찰: “세계-내-존재”와 “세계-의-존재” 관점에서

        정선아(Chung, Shun Ah)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6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운다’라는 테제에는 놀이의 자발성을 함축하고 있다. 이 테제를 “세계-내-존재”와 “세계-의-존재”라는 어린이 앎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어린이는 “세계-내-존재”(being-in-the-world)라는 관점은 어린이의 앎즉 놀이와 학습을 분리하고, 성인이 계획한 놀이에서 어린이가 세계의 지식을 발견하는 학습을 의미한다. 반면, 어린이 앎의 두 번째 관점인 “세계-의-존재”(being-of-the-world)는 어린이의 삶과 앎은 얽혀있으며, 상호호혜적 관계이므로 앎은 세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정한다. 즉 어린 이는 놀이에서 세계와 만나고, 세계는 어린이의 앎을 변화시키는 주체적 힘을 발현하고, 어린이는이 과정에 참여하면서 앎을 이루어간다. 두 번째 관점에서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우기보다는 놀이에서 세상과 조우하고, 세상에 의해 놀이는 변화되고, 확장되어간다. 즉 어린이 놀이의 자발성은 세계와 만나는 과정에서 세계에 의해 어린이가 영향을 받는 과정이다. 즉 어린이는 놀이에서 되어가는 존재이고, 놀이는 어린이를 만드는 힘을 지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a thesis “children learn through play” based upon two perspectives of children’s knowledge. First perspective is “being-in-the-world.” In other words, the world(knowledge) and children’s life is separated. Accordingly, for children’s knowledge, the world is organized through a tool, which is play. Children learn the knowledge by play. Second perspective is “being-of-the-world.” In this perspective, children and the world is not separated, thus the world initiates children’s learning. In other words, while children play, the world(knowledge) emerges itself to children. in this process, children’s play is transformed through the play. Play is thus children’s learning itself.

      • KCI등재후보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으로서 보육실습수업 사례연구

        정선아(Chung, Shun Ah),이금자(Lee, Kum Ja),김나래(Kim, Na Rae),박보영(Park Bo Young),김희진(Kim, Hee Jin)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7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성찰 요소를 강조한 보육실습수업을 통하여 실습생이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의 2016학년도 2학기 ‘보육실습’ 수업을 수강한 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한 학생 16명이며,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총 10개월 동안 실습생의 러닝스토리, 성찰일 지, 보육실습일지, 인터뷰자료, 수업동영상 촬영 자료 및 전사본, SNS 대화 내용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실습생별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료를 재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체가 되어가는 보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실습생의 경험은 4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첫째, 실습생은 지도교사의 말을 ‘실습생’인 자신이 해야 하는 일로 받아들이고 주어진 일을 성실히 수행하며 ‘실습생’으로 머물렀 다. 둘째, 실습생은 지도교사와 본인의 차이를 발견하고, 놀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변화하는 것을 인식하며 주어진 ‘실습생’의 이름 자리에서 벗어났다. 이들은 교사가 되면 어떻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며 ‘교사’로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다. 셋째, 실습생은 수업 평가의 순간 ‘교사’로서 성찰하던 것을 멈추고 지도교사의 조언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다시 주어진 것을 수행하는 ‘실습생’이 되었다. 넷째, 실습 중에는 ‘실습생’으로만 머물렀으나 실습 후 실습수업을 되돌려보며 어떤 교사가 되고 싶은지 고민하게 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tudent teachers become ‘a subject’ of their own teaching in a child care practicum course, which emphasizes one’s own reflection. This study targeted the 16 students, who took the ‘child care practicum’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at S University. It was conducted for 10 months from March to December 2016.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 teachers’ learning stories, reflective journals, child care practicum journals, interviewed materials, videos of class lessons and dialogue contents through social networ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and rearranged in a time sequence focusing that how each student teachers’ subjectivity has progress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student teache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subject. First, some student teachers tend to accept the instruction of the experienced teachers without challenging. By receiving all instructions from the experience teachers without any challenges, they performed their works faithfully. Hence, they appear to identify themselves as ‘student teachers’. Second, some student teachers seem not to regulate themselves as ‘student teachers’ in that they seek to disco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and the cooperating teacher and think about how to perform well when they become to work as ‘teachers’. Thirdly, they have a tendency to stop their own reflection as ‘teachers’ and passively accept the advices of the cooperating teachers, when the lesson evaluation was conducted after the lesson. Fourth, some student teachers who remained as “just student teachers’ became to reflect their own teachings after they exchanged their experiences with classmates. They seem to think subjectively about what the essence of teaching would b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 분석

        정선아 ( Shun Ah Chung ),조대연 ( Dae Yeon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에게 우선시 요구되는 직무역량의 항목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고,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역량 요구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역할모델링의 방법을 이용하여 유아교사로서 최고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에 관련된 문헌 분석을 통해 19개의 역량을 잠정 도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9개의 역량을 추가하여 총 28개의 직무역량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도출된 직무역량 항목을 검증하기 위하여 총 16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에게 요구가 높은 8개의 직무역량이 선정되었고, 이 최우선순위의 직무역량은 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most and common ne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ompetency. It examines the need of current job competency and future job competency and rank the priority of job competency.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difference of its need between kindergarten and day care teacher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61 teachers. The researcher used Borich need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or selecting the teacher competency list. As a result, 8 of the common job competency lists were selected. The competency lists are as follows: checking the safety of the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managing children`s health, preparing safe and clean environment for education,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designing curriculum 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supporting young children`s emotions, participating in research relevant field, and counseling with parents regarding children`s development and problems. However, the most and common job competency list was differed by teachers` working places. Interestingly, common job competency betwee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teachers was very similar with teachers` need of job competency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ompetency becomes comparable, because they work with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se needs are simi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