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1~4학년 아동의 형태인식 유형에 따른 어휘, 구문 및 읽기 특성

        정부자,심승은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3

        Purpose : Morphological awareness refers the ability to consciously recognize the morphemic structure of words and to reflect on and manipulate the structure.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awareness task included inflectional forms (connective endings) and derivational forms (derivational affix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wo types of morphological awareness, inflectional and derivational, skills are dissociable in its processing.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131 first through fourth grade children divided into two grade groups. The two groups performed on tasks of morphological awareness, vocabulary, syntactic comprehension,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nd to find out which variables differently explained the two types of morphological awareness scores in each grade group. Results :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ade groups and between the two types of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through grades. In other words, the ability of manipulating morphemic structures increased over grades. Second, two type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ccounted for the unique variances each other which means those two types share common attributes of metalinguistic ability. The results also showed, in both grade groups, syntactic comprehension accounted for the inflectional forms of morphological awareness task and the derivational forms of morphological awareness was predicted by reading comprehensio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inflection and derivation rules should be considered to be different. Future research needs to identify in which ways these processing occurs in various disabled groups. 목적 : 형태인식이란 형태소의 구조를 의식적으로 인지하고 그 구조를 파악하거나 조작하는 능력을의미한다. 본 연구는 연결어미 및 파생어의 두 형태인식 유형에 따라 학년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를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년집단에 따라 형태인식 유형 각각을 예측하는 변인이 무엇인지밝힘으로써 두 유형의 형태인식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되는 과정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 초등학교 1학년에서 4학년 131명을 대상으로 저학년과 중학년 집단으로 나누어 형태인식검사와 어휘, 구문이해, 단어읽기 및 읽기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학년과 형태인식 유형에 대해 교차요인설계를 실시하였고, 각 학년집단 별로 상관분석 및 형태인식 검사를 종속변수로 기타변인을 독립변수로설정한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학년집단과 형태인식 유형에 따른 주효과와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나타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연결어미와 파생어 형태인식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있었다. 단계별 회귀분석 결과 저학년 집단과 중학년 집단 각각에서 연결어미와 파생어 형태인식이서로 가장 큰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학년과 중학년에서 연결어미 형태인식을 가장잘 예측하는 기타변인은 구문이해로, 파생어 형태인식을 예측하는 기타변인은 읽기이해로 서로 다르게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연결어미와 파생어 형태인식이 서로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서언어의 의식적 조작이라는 메타언어 속성을 공유하지만, 반면 굴절과 파생이라는 서로 다른 실현과정을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는 언어 및 읽기장애를 지닌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깊이 있게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학령전기 자폐성 장애아동의 언어이해수준에 따른 표현언어 특성에 관한 연구

        정부자 한국자폐학회 2010 자폐성 장애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ntaneous utterances and echolalia in light of the different stages of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utism. Twenty children with autism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ies. Expressive language the children produced in natural settings while they interact with familiar adult for about two hours were sampled and analyzed. Each expression was coded as follows: Immediate echolalia, delayed echolalia, and spontaneous utterance. Data was collected on frequencies and transformed into percentages. As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s in terms of language comprehension ages and frequency/percentage of spontaneous uttera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roup differences in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cholalia utterances were not significant. As language comprehension age was increased, overall amount of spontaneous utterance was also increased. However, the amount of echolalia exhibit no changes. 이 연구에서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언어이해 수준에 따라 자발적 발화, 즉각적 반향어, 및 지연 반향어와 같은 표현언어 특성의 빈도와 비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20명의 자폐성 장애아동을 언어이해연령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친숙한 성인과 자연스러운 장면에서 상호작용하는 동안 각 집단아동들이 보이는 발화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발화를 분류기준에 따라 자발적 발화, 지연 및 즉각적 반향어로 분석하여, 언어이해연령집단에 따른 각 발화의 빈도와 비율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언어이해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발적 발화의 빈도와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즉각적 반향어와 지연반향어의 빈도와 비율은 언어이해수준이 증가하여도 집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폐성 장애아동들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할 때 종단적 연구를 겸한 사례연구 및 언어처리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2세에서 5세 일반아동의 자발화에 나타난 연결어미 발달 특성

        정부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4

        Korean is a agglutinative language which morphological systems are very different from English.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connective endings obtained from 43 children aged 2~5 years old. The connective endings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coordinative endings, subordinate endings, and subsidiary endings. The semantic relations(e.g., succession, contrast, reasonㆍcausality etc.) were also divided according to the ending forms and the connective meanings. Connective endings were measured via proportions based on a total of 2,623 spontaneous conversational samples. Results showed that the subsidiary endings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in 2-year-old children meaning early appearance of auxiliary predicates. The most numerous semantic relations and connective ending forms were appeared in the subordinate ending parts. The diversity and proportion of the ending forms in the subordinate ending parts were also increased with age. The results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order to assess and intervene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한국어는 풍부한 문법형태소를 특징으로 하는 교착어이다. 특히 연결어미는 한 형태가 여러 가지 의미관계를 지니며 응집성 있는 문장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문법형태소이다. 본 연구는 2세에서 5세 일반아동 43명을 대상으로 자발화를 표집하여 각 연령대의 아동에게 나타나는 연결어미형태를 살펴보았다. 연결어미는 대등적 연결어미범주, 종속적 연결어미범주, 보조적 연결어미범주로 분류하였고, 각 범주에 포함되는 나열, 대조, 이유ㆍ원인, 목적ㆍ의도, 조건 등의 의미관계에 따라 나타나는 연결어미형태의 산출비율을 연령별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대등적 연결어미의 출현비율이 매우 증가하였다. 보조적 연결어미의 경우 2세부터 높은 비율로 나타나 보조용언 구성능력이 매우 초기에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종속적 연결어미범주는 가장 다양한 의미관계 및 어미형태를 보여주었으며, 연령이 높아지면서 그 다양성과 사용비율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동의 자발화에 나타난 연결어미의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언어장애아동의 평가와 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정부자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subvariances of reading comprehension in a group of poor readers. Thirteen poor readers and 17 normal readers at grades 2 and 3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sures assessing short-term/working memory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and inferential skills were administered.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vari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and inferential skills made the largest contribution(R2=84%).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es.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earl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2, 3학년 학생 중 읽기부진 아동 13명과 일반아동 17명을 대상으로 단기/작업기억과제, 음운인식과제, 듣기이해과제, 추론과제를 실시하였다. 읽기능력과 읽기관련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읽기부진 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에 따른 변인 간의 차이 및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아동 전체의 읽기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을 찾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읽기능력과 단기/작업기억, 음운인식, 듣기이해, 추론 간의 상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특히 추론능력과 음운인식능력이 읽기능력에 대한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가장 주요한 예측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읽기관련변인 연구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2-4세 일반아동의 자발화 표본크기와 평균발화길이의 비교

        정부자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3

        Mean length of utterances(MLU) based on language samples is frequently used as a valuable estimate of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t, however, is often impractical to devote the amount of time collecting, transcribing, and analysing the recommended number of utteranc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consistency of MLU calculated across different sampling conditions(first 25 utterances, last 25 utterances, and quasi-random 25 samples from the total 50 samples). The quasi-random samples were based on every 2nd of the total utterances, and considered to more closely simulate clinical practices in real. Overall, the language samples were quite consistent across the difference sampling conditions. MLUs from different sampling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one can reliably and efficiently use MLUs on smaller language sample siz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the efficient use of language sample analysis on smaller sizes are discussed. 자발화 분석은 아동의 구어표현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유용하고 필수적인 지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임상현장에서 자발화를 표집하고 전사하며 분석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한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50개 발화크기와 이보다 짧은 발화표본크기에서 분석한 형태소 및 어절에 따른 평균발화길이를 비교함으로써 짧은 발화표본크기에 대한 안정적이고 타당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2세에서 4세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세 가지 발화조건(처음 25개 발화조건, 나중 25개 발화조건, 준무작위 방식에 의한 25개 발화조건)에서 표집한 발화와 50개 전체발화의 구문지표를 연령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50개 발화를 형태소와 어절에 따른 평균발화길이로 분석하였을 때 2세와 4세, 2세와 3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화조건에 따른 연령별 분석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각 연령 내에서 발화조건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발화조건 간의 상관계수 또한 대부분 높게 나타나 짧은 발화크기에서 얻은 구문지표가 전체발화에서 얻은 구문지표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내용을 토대로 임상현장에서 짧은 발화크기를 어떻게 적용할 것이며, 그 한계점은 무엇인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 3~4학년 읽기장애 및 언어장애 위험군 아동의 읽기유창성 특성: 오류분석을 중심으로

        정부자,박미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4

        유창한 읽기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읽는 것을 넘어 단어, 문장 및 텍스트의 다차원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인지적 처리 과정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 3, 4학년 일반아동, 읽기장애위험군아동, 언어장애위험군아동의 세 집단이 보이는 읽기유창성 특성과 오류를 속도 및 정확도 측면에서뿐 아니라 형태구문, 의미, 음운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총 44명의 아동에게 문단읽기유창성 과제를 실시하였고 언어영역별로 첨가, 대치, 생략, 반복, 자기수정의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읽기장애 및 언어장애 위험군 아동은 일반아동과 유의하게 다른 읽기유창성 속도 및 정확도를 보였고, 문법형태소의 대치, 단어의 반복, 음절 및 음운의 첨가에서도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읽기장애위험군 아동은 음절 및 음운을 생략하는 오류를, 언어장애위험군 아동은 문법형태소를 첨가하는 오류를 유의하게 더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각 집단의 인지언어적 특성을 반영하며, 읽기유창성 평가 및 지도 시 장애에 따른 차별적인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문맥 및 형태 추론 중재에 따른 초등 2~3학년 아동의 파생어 습득 효과

        정부자(Bhuja Chung),정혜원(HyeW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학령기에 이르면 형태적 구조가 복잡한 어휘의 습득과 사용이 의사소통과 학업 기술 향상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어휘학습프로그램으로 널리 적용되는 문맥추론에 기반한 단어학습 방식과 비교할 때 최근 대두되고 있는 형태 추론 및 분석에 기반한 단어학습 프로그램이 파생어 의미습득에 유사한 효과를 보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2, 3학년 아동 42명을 두 집단으로 나눈 후,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개발한 문맥추론 중재프로그램과 형태추론 중재프로그램을 각 집단에 실시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은 다양한 문맥단서를 통해 파생어의 의미를 추론하도록 구성된 문맥추론 방식과 어근과 접사를 변별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어휘를 학습하는 형태추론 방식의 두 가지로 제작되었으며, 사전 및 사후검사로 파생어 의미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파생어 의미 습득을 위한 문맥추론 방식의 중재 프로그램 결과 초등 2학년, 3학년, 전체 학년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된 점수를 보였으며, 형태추론 방식의 중재 프로그램 또한 초등 2학년, 3학년, 전체 학년에서 파생어 학습에 유의한 향상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재 프로그램과 학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2학년과 3학년 집단에서 두 중재방식은 파생어 의미의 학습에 긍정적이고 유사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문맥추론과 형태추론 중재프로그램 모두 파생어의 의미를 학습하는데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두 프로그램 간 효과의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맥추론에 기반한 기존의 어휘학습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형태적 구조를 추론하는 방식을 활용한 프로그램도 학령기 아동의 파생어 어휘학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탈문맥적이거나 문맥적 제시가 제한된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 형태추론전략은 명시적인 단어학습 방식의 한가지로서 맥락적 추론기술이 부족한 장애아동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acquisition of derivatives and the effectiveness of two intervention approaches; contextual versus morphological inference interventions. Methods In this study, forty-two 2nd to 3rd-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ach group respectively completed either a contextu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 or a morphologic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 As the program aimed to assess the efficacy of meaning acquisition in derivatives, they were implemented in two second-grade classroom and two third-grade classrooms, centering on the learning of four ‘prefix-root’ words and six ‘root-suffix’ word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both programs were effective in the meaning acquisition, showing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contextual and morphological inference programs. There were no disparities according to grades and programs as well. Such results imply that in terms of vocabulary acquisition, morphologic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s are as fruitful as the previously validated contextual interference intervention programs. Conclusions This may be elucidated by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second to third-grade children, whose morphological awareness as well as their semantic interference and monitoring ability are in the course of maturity. Meanwhile, the children in each program also showed rather different reactions. While the children of the contextual interference program were shown to conjugate their newly acquired vocabularies in different contexts regularly, children from the morphological interference program displayed frequent morphological analysis, concentrating on both partial and general meaning.

      • KCI등재

        초등학생의 형태인식과 읽기이해의 관계에서 어휘력의 매개효과

        정부자(Bhuja Ch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형태인식이란 언어의 형식과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의미를 적용하는 능력으로 심상에 저장된 어휘들을 서로 결합하도록 돕는 메타언어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어휘의 증진에 기여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읽기자료의 이해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형태인식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어휘력의 매개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 1-6학년 중 연구의 조건에 적합하고 비언어지능 70이상에 해당하는 아동 278명을 대상으로 파생어 형태인식검사, 수용어휘검사, 읽기이해검사를 실시하였다. 읽기이해를 종속변인으로 Baron & Kanny가 제안한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변인 검증절차를 적용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파생어 형태인식은 읽기이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에서 어휘력은 부분매개의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국외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던 어휘력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형태론적 지식의 긍정적인 영향력이 한국어 파생어를 사용한 형태인식연구에서도 유의함을 시사하였다. 논의 및 결론: 형태인식기술은 어휘 추론적 특성을 지니므로 어휘질 가설에서 제시하는 깊이 있는 어휘습득에 기여하며, 특히 낮은 어휘지식이나 문해기술을 지닌 아동에게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Morphological awareness refers to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manipulate the smallest meaningful structure of word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is particularly relevant for understanding language development, especially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vocabulary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8 children in first through sixth grade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a Metropolitan city. Tests of morphological awareness on derived affixes, receptive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the mediating effec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Baron & Kanny and Sobel test. Results: In our results, morphological awareness significantly predicted reading comprehens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vocabulary was also showed throughout the elementary grade group. Conclusion: Our findings show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contributes to reading comprehension indirectly through language systems such as vocabulary knowledg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killed morphological awareness competence may have an impact on enhancing vocabulary acquisition and eventually academic reading skills which are based on language skills. Also, the need for vocabulary intervention, including deep and rich morphological instruction, was discusse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also added.

      • KCI등재

        초등 1-4학년 아동의 철자인식 발달특성과 관련 요인

        정부자(Bhu Ja Chung) 한국언어치료학회 2015 言語治療硏究 Vol.24 No.3

        Purpose: Orthographic awareness is a stored mental image of patterns or methods which is used to recognize and/or utilize written words or morphemes. Research suggests that if children easily decode words within memory, more cognitive resources could be used to read or sp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orthographic awareness as well as other related components to predict orthographic abilities in children in grades 1 through 4. Methods:One-hundred-fifty-one school-ag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ade groups such as low grade (1-2 grade) and middle grade (3-4 grade). Tasks of orthographic awareness,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vocabulary, and word reading were administered.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ests were applied in order to see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and predicto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orthographic receptive coding and total orthographic scores grew throughout the grades, but orthographic expressive coding did not. Vocabulary and word read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orthographic receptive and expressive awareness in the middle grade group. Components such as vocabulary and word reading also appeared to be most influential on orthographic awareness in the middle grade group. In the low grade group, phonological memor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orthographic awareness. Conclusions: When educators and researchers develop a program for students, phonological-based strategies need to be first applied in primarygrad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vocabulary and other morphological aspects needs to be consistently emphasized until the late school yea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