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경제의 산업별, 지역별 이중구조에 관한 연구

        정무섭(Jung, Moo-Sup),표민찬(Pyo, Min-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3 남아시아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낙후된 정체부문(Traditional Sector)와 발전한 선도부문(Advanced Sector)이 공존하는 인도의 이중경제 현상을 분석했다. 본고는 자본축적량과 노동생산성을 기준으로 인도경제를 구성하는 26개 산업을 정체부문와 선도부문으로 구분했다. 또 인도의 28개 주와, 수도인 델리, 3개 연방지역을 각 지역의 소득수준과 소득증가율을 기준으로 구인도 지역(Old India)과 신인도 지역(New India)으로 구분했다. 분석결과, 석유·석유화학 및 핵연료, 제철, 사무용기기 및 컴퓨터, 화학 및 화학제품 등 6개 산업이 인도의 선도부문으로 분류됐으며, 정체부문에는 농업과 광업을 포함해 담배, 의류, 가죽, 음식료품 등이 포함됐다. 지역별로는 찬디가르, 델리, 고아, 하리아나, 케랄라 등 8개 지역이 고성장-고소득 군으로 분류된 반면, 마드야프라데시, 우타르프라데시, 마니푸르 등 11개 지역은 저성장-저소득 군에 포함됐다. 본고에서 제시한 인도경제의 이중구조에 따라 인도에 진출하는 다국적기업들은 선도부문과 정체부문을 서로 다르게 공략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인도 대도시와 고소득층 등 신인도시장에 치중했던 국내기업들은 저소득층으로 구성된 구인도 시장을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산업별로는, 이미 인도의 선도부문에 포함된 산업의 경우, 관련 인도기업을 경쟁의 대상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파트너로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다. 또 본 연구의 산업별 분류에서 제 4분면에 포함된 고생산성-저자본 산업의 경우, 국내기업들이 생산설비와 반제품 등 생산재를 공급하는 협력관계를 구축해, 향후 이들 산업이 선도부문으로 이동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dia’s dual economy model where a traditional sector co-exists with an advanced sector. 26 industries are classified by capital accumulation and labor productivity and 32 regions by income level and income growth rate. According to the findings, total 6 industries such as petroleum·petrochemical, steel, office equipment and computers, and chemicals are categorized into advanced sectors. Agriculture, leather product, food·beverage, etc. ar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sectors. By region, 8 regions such as Chandigarh, Delhi, Goa, Haryana, Kerala are sorted into New India. 11 regions like Madhya Pradesh, Uttar Pradesh, Manipur, ets. Are categorized into Old India. Korean companies entering Indian market have focused on high-income New India. However, it is recommended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MNEs) to find business opportunities in low-income Old India. In addition, when MNEs enter the advanced sector(the first quadrant in figure 3) in India, it is recommended to make a partnership with Indian firms rather than compete with them. When MNEs enter the high productivity and low capital-accumulation(the fourth quadrant), it may be proper for MNEs to adopt a partnership strategy supplying capital goods and semi-finished products to Indian local firms, which are highly possible to move into the advanced sector with high productivity and high capital-accumulation.

      • 글로벌 가치사슬 측면에서 한국의 투자유치 경쟁력 분석

        정무섭 ( Moo Sup Jung ),표민찬 ( Min Chan Pyo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6 유통정보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domestic location competitiveness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perspective of Global Value Chain (GVC).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UNCTAD(2013) research, this paper categorizes the location competitiveness into 4 subsections: (1) human resource, (2) domestic suppliers` capacity, (3) infrastructures, and (4) local government support. In order to attract the efficient seeking FDI, a county should have the high level of creative workers to work for foreign investing firms. MNEs want to invest in a country where they can easily find local firms to cooperate with. Basic infrastructures such as utilities, telecommunication and effective national innovation system are also important factors that foreign firms consider when they decide to invest abroad. Foreign firms prefer to invest a country where local government offers various incentives. This paper divides GVC development path into 4 Stages: (1) low-tech manufacturing and basic services, (2) mid-level manufacturing and services, (3) sophisticated manufacturing and services, and (4) knowledge based services. For empirical study, this study conducts the survey and collects total 161 questionnaires from foreign firms investing over 5 million dollars in Korea. Result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location competitiveness of Korea already reaches the level to attract the high value added part of production and/or services. Especially, the level of human resource is high enough to participate in high-tech R&D by TNCs. However, foreign firms investing in Korea give low scores about the support by Korean government. The domestic suppliers` capacity receives low marks either. In addition, foreign investors give much higher marks about human resource in the field of finance than other industries. Next comes Business Service, Electrics, Retail/wholesale, Machine/equipment, Chemical. However, foreign investors give the lowest score about government support in finance sector. Only Electrics enters into Stage 2 but all other industries do not reach Stage 2 in the category of government support. When breaking down the outcomes by region, Gyeongnam including Pusan marks 3.27, the highest point indicating that the region has reached stage 3 in the GVC development path. Next comes Seoul and Gyeonggi (3.16), Gyeongbuk (3.11), Jeonbuk and Jeonnam (3.11), and Cheju (3.00). Conclusions: Among 4 subsections, Government support is assessed to be the lowest score. Korea government should develop new policies which are attractive to foreign firms. Scores in this paper were estimated based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nd, therefore, they can be interpreted as perceived data by foreign investors. It might be necessary for government to make an effort to promulgate favorable foreign policies so that foreign firms could access to information on local government`s incentives for foreign investors. In addition,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local government to help domest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creasing their capacities to smoothly cooperate with MNEs and to join in GVC created by advanced foreign firm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일본과 중국의 공유가치창출 사례연구 -정부역할을 중심으로-

        정무섭 ( Moo Sup Jung ),표민찬 ( Min Chan Pyo ),김선민 ( Sun Min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4 유라시아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Porter and Kramer(2011)가 최근에 제시한 공유가치 창출(CSV: Creating SharedValue) 개념을 활용해 일본의 인도투자와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Porterand Kramer(2011)는 사회와 기업이 공유하는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기업, 정부, NGO 등 이해관계자들 간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SR에서 C는 기업을 뜻하는 ‘Corporate’을 의미하지만, CSV의 C는 새로움을 창출하는 ‘Creating’을 의미한다. CSV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주체를 기업으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해관계자모형에 따르면, 기업은 주주 외에도 직원, 소비자, 지역사회, 정부 등 다양한 주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의 책임적인 활동을 요구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는 사회적 공헌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돼야 한다. 본고의 사례연구는 특히 공유가치 창출에 있어서 정부 역할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와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들이 빈곤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규모와 범위의 경제 효과를 누리기위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규모 자금조달과 기업의 투자동기 고취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산업정책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Porter(1990)는 한 국가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소로 (1)기업전략, 조직 및 경쟁구도 (2)요소조건 (3)수요조건 (4)관련 및 지원 산업 등을 선정한 ‘다이아몬드 모델’을 개발했다. 이들 4가지 요소 외에 2가지 외생변수(Government and Chance)도 국가의 경쟁력 형성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한다(Mehrizi and Pakneiat, 2008). 정부는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경제정책을 마련하고 노동력과 자본 등 생산요소 등을 적절히 배분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정치적 안정성을 높이는 것도 정부가 담당해야 할 몫이다. 정부는 회사를 설립하거나 경영하는 등 직접적인 방법으로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자국 기업들이 경쟁우위를 누릴 수 있는 기업환경을조성하는 간접적인 구실을 해야 한다.일본과 중국은 저개발국 인프라 구축 사업에 진출해 투자대상국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 투자국과 투자대상국이 모두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일본과 중국 정부는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했다.일본의 저개발국 진출 특징은 One-Voice, One-Package 전략으로 요약할 수 있다. One-Voice는 정부와 기업이 한 목소리로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저개발국에 진출한다는 의미이며, One-Package는 저개발국에 하나의 장비나 설비를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 아니라 전체적인 시스템을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One-Vocie, One-Package 전략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일본이 인도에 건설하고 있는 델리-뭄바이 산업회랑(Delhi-Mumbai Industrial Corridor)사업을 꼽을 수 있다. 일본-인도 정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인도에는 경제발전의 근간이 되는 철도 인프라가 구축되고 또 새롭게 건설되는 철도주변에 공업지역과 신도시 등 성장거점이 형성되면서 도시와 농촌 간 빈부격차도 축소되는 등 사회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일본 기업은 델리-뭄바이 산업회랑 건설에 참여해 수익을 거두는 등 인도와 일본이 함께 누리는 공유가치가 창출된 것이다. 중국 정부는 아프리카와의 우호적 경영환경을 조성하고 국유은행을 통해 자금도 지원해, 중국 기업들은 아프리카 인프라 사업에서 수익을 거두고 있다. 아프리카도 중국으로부터의 자금지원으로 경제발전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상생적 공유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중국이 2000년 이후 자원의 보고인 아프리카에 공을 들이는 것은 중국 내 대규모 건설 붐으로 석유를 비롯한 자원 수요가 급증했기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아프리카에 개발자금을 지원해 주고, 자원으로 상환 받는 자원연계차관(Loan forOil)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 중국의 국유 에너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아프리카 유전개발에 나서고 있다. 중국석유화학집단공사(Sinopec)는 2004년 나이지리아에서 유전탐사권을 수주했으며, 2006년에는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와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CNPC)도 나이지리아 유전탐사 사업에 진출했다. Sinopec은 2006년 앙골라에도 진출해, 앙골라 공기업인 Sonangol사와 함께 원유탐사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할 합작회사인 SSI(Sonangol Sinopec Intranational)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중국 Sinopec은 SSI사 지분75%를 소유해 실제적인 경영권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저성장에 빠진 한국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신흥국 진출을 활용할 수 있다. 본고에서 논의한 CSV는 한국의 신흥국 진출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 사례에서 정부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듯이, 국내기업들이 신흥국에서 공유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도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신흥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 신흥국에 차관을 제공하거나, 국내기업에게 사업타당성 조사비용을 지원하는 등 금융지원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are required not only to take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but also create economical and social benefits to host countries.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ecame very important for MNEs to survive in foreign markets. Porter and Kramer(2011) developed the new concept about Creating Shared Value(CSV), “policies and operating practices that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while simultaneously advancing the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communities in which it operates.” The first initial ‘C’ in CSR represents ``Corporate``, but the initial ‘C’ in CSV does ``Creating``, which means that the implementation bodies of CSV are not limited to corporate. According to the Stakeholder model, firms have impact on a variety of subjects such as customers, communities, government, employees as well as shareholders. These stakeholders ask firm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firms could obtain legitimacy by meeting the stakeholders’ demand. Large-scale investment is required for developing countries to escape from poverty, because countrie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by the effects of scale and scope economies. The government``s aggressive industrial polic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couraging firms’ motivation of investment. Porter(1990) developed the Diamond Model which explains factors affecting on the nation``s competitiveness. The Diamond Model consists of the four factors, such as (1) firm strategy, structure, and competitive rivalry, (2) factor endowments, (3)domestic demand conditions, (4)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In addition to these four factors, (5) Government and (5) Chance, exogenous variables, are also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formation of a competitive(Mehrizi and Pakneiat, 2008). Government should establish proper economic policies allocating labor and capital efficiently. Political stability is also an important for economic development, which is also a role of government. This paper compared CSV with CSR throughly and examined the role of government in creating shared value. This paper also analyzed cases of the Japanese and Chinese governments to find the proper functions making the business environment where the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can be better off. Japan used ‘One-Voice, One-Package’ strategy for entering developing countries. One-Voice represents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s for investing in developing countries. One-Package means that Japan offers a whole system for host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rather than each equipment separately. Delhi-Mumbai Industrial Corridor project is a good example of CSV between Japan and India. Through this project, India could establish the backbone of economic development, railways, connecting urban and rural society. Japanese firms could gain profit by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he Chinese government tried to susta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frican countries, which created favorable business environment for Chinese companied running businesses in Africa. In addition, Chinese state-owned banks offered loans to African countries at low interest. Based on theses support from Chinese government, Chinese firms gained profits by participating on infrastructure projects in Africa. For example, Sinopec joined the project of oil exploration in Nigeria in 2004. CNOOC and CNPC also obtained the project oil exploration in Nigeria in 2006. Recently Korea``s economies is stuck on a plateau of slow growth. The entering into emerging markets may become the growth engine of Korea and CSV can be a useful tool for finding business opportunities in emerging market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home country government should try to set up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host countries and, in addition, provide financial supports to home country firms as well as local government to stimulate CSV.

      • KCI등재

        한국형 상생, 복합, 국제 공조형 ODA의 실행모델 연구: 미개발 자원보유국에 대한 개발을 중심으로

        정무섭 ( Moo-sup Jung ),이지은 ( Jieun Lee ),김대영 ( Daeyoung Kim ) 한국EU학회 2016 EU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최근 빠르게 증가한 한국의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자금을 효율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생, 복합, 국제공조형 DDA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미개발 자원보유국을 대상으로 본 모델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ODA자금을 받는 수원국과 자금을 제공하는 공여국 상호간의 상생의 기초위에서 구축된 국내외 민관 협력의 복합형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개별적인 복합형 대규모 프로젝트의 실행에 초점을 맞춘 테스크 포스(Task Force)형 국제공조를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즉 무상원조냐 유상원조냐는 평행선을 그리는 논쟁보다는 수원국과 공여국이 상생하는 구조가 우선이며, World Bank나 ADB, AIIB 등 MDB(Multinational Development Bank)의 구축과 같은 조직적 인프라 구축보다는 실행가능한 신흥국의 개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태스크 포스형 국제공조형 거버넌스를 구축해 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본 연구모델에서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ODA would be effective to build a model in the form of win-win, multipl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merging countries. This model could be improved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ODA in The Korea.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might be an alternative that can be achiev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both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Thus, through a review of the all of -recipients and donors and the participating companies - potential benefit, ODA model should be derived in terms of mutu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modeling, and building principals and promote the process and proposed a way to leave it substantially proceed. As a result, includ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composite support, the ODA Project has been determined that it is effective to form of the Task Force. The composite aspect, moreover, this can be achieved in unison between subjects with different interests. It is considered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rrent Korea`s ODA.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eeting the need for a secure way of ODA funding scale.

      • KCI등재

        지역산업혁신체제-글로벌가치사슬(RIIS-GVC) 기반 지역주도형 혁신성장 전략과 지역성장 간 관계: 패널모형 분석

        양오석(Oh-Suk Yang),정무섭(Moo-Sup Jung) 한국산업경영학회 2021 경영연구 Vol.36 No.1

        이 글이 다루고자 하는 주요 질문은 “지역산업혁신체제와 글로벌 가치사슬의 연계에 기반 한 지역주도형 혁신성장전략이 지역성장에 기여하는가”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지역별 기술혁신조사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고정효과 패널모형 분석에 투입하였다. 이 자료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1996년부터 지속적으로 수행해 온 국내 민간부문 혁신활동에 대한 통계조사 자료이다. 기업특유속성과 기업혁신활동을 통제변수로, 지역혁신체제와 글로벌 가치사슬을 예측변수로하는 연구모형을 채택하여, 패널모형을 적용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특유속성 가운데 매출액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고, 기업혁신활동 가운데 제품혁신과 마케팅혁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여주었고, 공정혁신은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지역혁신체제에서는 정부지원제도활용과 혁신정보원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GVC에서는 수출과 수입, 해외직접투자유출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자원과 역랑에 기반한 기업특유속성과 기업혁신활동은 기업성과에 대한 중요성과 달리 지역경제에 대해서는 낮은 기여도를 보여 보완적인 이론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기업의 단기성과 추구형 특허가 보여주는 지역경제에 대한 낮은 기여도는 지역특화산업과 관련성이 적은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활동에 따른 실무적 문제점을 지적해준다. The guiding question to be addressed in this article is, does the regional industrial innovation system and global value chain contribute to regional growth? This paper employs the fixed effect panel model using the time series data of the regional technology innovation survey. This data is a statistical survey on domestic private sector innovation activities that the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has been conducting since 1996.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adopting a research model that uses firm-specific attributes and firm innovation activities as control variables, and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global value chain as predictors. Among the firm-specific attributes, only sa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mong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product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and process innova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e regional industry innovation system (RIIS), the use of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and the innovation information sour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GVC, both exports, imports,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and outflow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 KCI등재

        신흥국 기업의 해외진출 성공요인

        이지은(Lee, Ji-Eun),정무섭(Jung, Moo-Sup),표민찬(Pyo, Min-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5 남아시아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선진국 기업에 비해 기업특유의 장점이 부족한 신흥국 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해 성공적인 사업을 수행하는 사례로 타타 그룹의 아프리카 진출을 분석했다. 신흥국 기업인 타타 그룹은 선진국 기업에 비해 절대적인 소유우위(ownership advantage)는 부족하지만, 인도와 아프리카의 역사적 관계를 기반으로 아프리카 진출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uncertainty)을 줄일 수 있었다. 또 타타 그룹의 계열사들이 개별적으로 아프리카시장에 진출하지 않고, 타타 아프리카 홀딩스(Tata Africa Holdings)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설립해 계열사 간 협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활용했다. 산업 인프라가 갖춰져 있지 않은 아프리카에 타타 그룹의 일부 계열사만 독자적으로 진출했다면 아프리카 산업발전에 필요한 복합적인 대규모 투자를 이뤄낼 수 없었을 것이다. 타타 그룹은 자국의 미비한 제도적 환경 속에서 기업을 운영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비슷한 제도적 특징을 지닌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성공적인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다. 신흥국 기업이 다른 신흥국으로 진출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장점은 제도적 거리(institutional distance)에 있다. 타타 그룹의 남아프리카공화국 진출 사례는 최근 성장세가 둔화된 한국기업들이 잠재력 높은 신흥국을 성장동력으로 활용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국기업들도 과거 미비한 제도적 환경 속에서 기업을 운영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짧은 기간에 압축성장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한 한국기업의 사례를 아프리카 등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신흥국 시장에 접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ata’s Investment in South Africa, as an example of a successful South-South cooperation. Firms from emerging market have, usually, weak Ownership Advantages compared to firms from Advanced Economies. However, Tata could increase its Ownership Advantages by reducing Uncertainty, a root of Transaction costs, which results from a long-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Africa. In addition, Tata’s strategy of entering Africa market through Tata Africa Holdings increases cooperation among affiliates, internalizing transaction costs. Internalization of transaction costs develops Tata’s Ownership Advantage A firm should adjust itself to local institutional environment to overcome the liability of foreignness. Firms from Advanced Economies may have a hard time of running their businesses in emerging markets because of a long institutional distance between Advanced Economy and Emerging Market. Tata accumulated its experience of running a business under the immatur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India. This experience becomes an important asset for entering South Africa which has also immature institutional environment.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국내외 ESG 사례를 통해 본 중소기업 ESG 경영 활성화 방안

        임형철(Hyung-Chul Lim),정무섭(Moo-sup Jung)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2 No.4

        Purpose - This study is aim to stimulate ESG management of SMEs in Korea with SWOT analysis. Presently, ESG is also affecting a company’s supply chain and sales. We tried to make the complementary point of Korea SME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divide foreign cases into three countries, and in Korea, also divide into three groups of government, major companies, SMEs to conduct SWOT analysis. Findings - We confirmed that ESG activities were delayed in Korea compared to overseas, but the government and major companies were responding quickly. However, SMEs are complaining of difficulties in ESG activities due to cost issues and limited information. Nevertheless, some SMEs companies show the possibility by carrying out ESG activities based on their own strength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We suggested the need for SMEs’ ESG management. The SMEs are inevitably vulnerable to ESG management compared to other groups. Therefore, We suggested the direction of SMEs ESG management expansion, that are R&D and distribution of eco-friendly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E), social program to improve working places(S), and expansion of governance that guarantees autonomy(G).

      • KCI등재

        '선도 추격'에서 '동반 추격'으로의 전환을 위한 서비스 산업의 역할과 전략 : 한일 생산성 비교의 시사

        이근,정무섭,김윤지 韓國東北亞經濟學會 2008 동북아경제연구 Vol.20 No.2

        The Korean economy has grown very fast over the last decades, but it was an uneven catch-up led by a big business and manufacturing. Now it is time for co-catchup led by both manufacturing and services. This paper analyzes the weight and productivity of the service sector in Korea and suggests for policies for its improvement in productivity. The service sector in Korea is featured by low and declining productivity (both TFP and labor productivity), and a big trade deficits, which is in contrast to the trade surplus in manufacturing. This performance is worse, compared with the situation in Japan. For example, the ratio of labor productivity in service to that in manufacturing is only 14%, compared to 46% in Japan. Causes for the low performance in service include too much regulation and lack of competition due to the closed market. Thus, measures to boost up productivity in service include deregulation and market opening, which would open up the opportunity for learning from foreign companies. Industrial policy should also change from input-oriented one to network-oriented one emphasizing the unity of commodities and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