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務安 南村埋香碑’의 판독과 해석

        정동락(Jung, Dong-l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장서각 Vol.0 No.29

        매향과 매향비는 중국이나 일본 등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우리나라 고유의 독특한 신앙행위이자 그 결과물로, 한국 불교의 특징과 한국인의 신앙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 이 글은 최근 새롭게 확인된 ‘성주 취운향당 소장 무안 남촌매향비’의 비문 ‘9행 77자’를 판독하고 그 해석을 시도해 본 것이다. ‘무안 남촌매향비’의 건립 시기는 1584년(선조 17)으로 지금까지 확인된 매향비 중 가장 늦은 것이기에 오히려 가치가 높다. 매향의 하한 시기를 연장시켰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남 무안지역의 것으로 확인된 첫 매향비 사례이기도 하다. 다만, 아쉬운 것은 현재의 장소로 이동됨으로 인해 원위치를 알 수 없다는 점이다. ‘남촌매향비’의 연도 표기는 연호에 ‘歲次’라는 유교적인 표기방식을 채용하였다. 16세기 후반 향촌사회는 매향과 미륵신앙으로 대표되는 불교적 의식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점차 유교적 질서가 밀려오는 양상이었음을 증언한다. ‘남촌매향비’의 참여 계층은 ‘무안 남촌’과 ‘진도 대사읍곶’의 양 향도, ‘무안 승달산 법천사’의 승려, 그리고 ‘삼천보’의 契員 등이었다. 향도와 보, 계 등의 신앙결사를 지칭하는 용어가 함께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남촌매향비’ 외에는 전례가 없는 것이다. 아울러 매향의 주도층이 승려가 아닌 일반인이라는 점과 법천사라는 사찰의 이름이 직접 언급된 것도 특징이다. 매향비가 지닌 희소성, 비의 형태적인 측면이나 비문의 현존 상태, 비문 내용이 전해주는 다양한 양상 등을 감안할 때 ‘무안 남촌매향비’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매향비의 하나로 평가될 만하다. Maehyang (埋香) and Maehyangbi (埋香碑) are the Korea’s unique and original religious acts and products that cannot be found in either China or Japan, and they show Korean Buddhism’s characteristics and Koreans’ religious aspects precisely. This article tries to decipher and analyze ‘9 lines 77 letters’ of the epitaph of ‘Muan Namchon Maehyangbi that Seongju Chuiunhyangdang (翠雲香堂) owns’ which was newly discovered lately. The time of building ‘Muan Namchon Maehyangbi’ is 1584 (Seonjo 17), so it is the latest among the Maehyangbi that have been discovered so far, which makes its value even higher. In fact, it has lengthened the latest limit of Maehyang in terms of their periods. Furthermore, it is the first case of Maehyangbi that has been discovered to be Jeonnam Muan region’s. Yet, one thing regretful is that we cannot figure out its original position since it was moved to this place. The marking of the year of ‘Namchon Maehyangbi’ adopts a Confucian marking system of ‘Secha (歲次)’ regarding the era name. This proves that the rural society of Joseon Dynasty period during the late 16th century maintained Buddhistic rituals represented by Maehyang or Maitreya faith but Confucian order was washing over there gradually. The classes participating in ‘Namchon Maehyangbi’ include Hyangdo (香徒) of ‘Muan Namchon’ and ‘Jindo Daesaeupgot’, monks of ‘Muan Seungdalsan Beopcheonsa (法泉寺)’, or Gyewon (契員) of ‘Samcheonbo (三千寶)’. It also contains the terms referring to religious associations like Hyangdo, Bo (寶), or Gye (契), and there was no precedent other than ‘Namchon Maehyangbi’. Moreover, it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leading class of Maehyang was not the monks but ordinary people and it mentions the name of a temple, Beopcheonsa, directly. Considering the scarcity that Maehyangbi has, the current status of the tombstone’s morphological aspects and epitaph, or the diversity and importance of the contents that the epitaph has, we can surely evaluate ‘Muan Namchon Maehyangbi’ as one of the Maehyangbi representing Korea.

      • KCI등재

        해역 기초생산력 증대를 위한 부유식 인공용승시스템 요소기술

        정동호(Dong-Ho Jung),이호생(Ho-Saeng Lee),김현주(Hyeon-Ju Kim),문덕수(Deok-Soo Moon),이승원(Seung-Won Lee) 한국해양공학회 2012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6 No.1

        The abundant nutrients contained in deep seawater are delivered by natural upwellings from the deep sea to the surface sea. However, the natural upwelling phenomenon is limited to specific areas of the sea in other areas, the thermocline separates the surface sea from the lower layer. Thus, the surface layer is often deficient in nutritive salts, causing the deterioration of its prim my productivity and ultimately leading to an imbalance in the marine ecosystem. Without a consistent supply of nitrogenous nutritive salts, they are absorbed by phytoplankton, resulting in a considerable problem in primary productivity. To solve this issue, a floating type of artificial upwelling system is suggested to artificially pump up, distribute, and diffuse deep seawater containing rich nutritive salts. The key technologies for developing such a floating artificial upwelling system are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with a large diameter riser, self-supplying energy system, density current generating system, method for estimating the emission and absorption of CO2, and way to evaluate the primary production variation. Strengthening the primary production of the sea by supplying deep seawater to the sea surface will result in a sea environment with abundant fishery resources.

      • KCI등재

        대졸자 지역이동의 구조 : 연고, 기회, 거리의 상호작용

        정동일(Jung, Dong-Il),박영민(Park, Young-Min) 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학 Vol.22 No.1

        대졸 인재의 역외유출 문제가 그 심각성을 더해가면서,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누적되고 있다.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보면, 대체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규명하는 연구, 개인 수준의 변수들을 활용한 미시적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지역이동의 방향과 규모 등에 관한 거시적 구조를 정밀하게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이 논문은 로그선형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대졸자 지역이동의 거시적 양상과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이동의 거시적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요소로 연고, 기회, 거리를 설정하고, 이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지역정착모형, 수도권집중모형, 근거리이동모형 등 세 가지 일반모형을 제시했다. 세 요소들 간의 좀 더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각 모형별로 2~3가지 세부적인 하위모형을 설정했다. 로그선형분석 결과, 이들 하위모형 중 규모차등적 지역정착모형, 거리-규모차등적 수도권집중모형, 비대칭적 근거리이동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졸자들은 대학 소재지에 정착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으며, 정착효과는 수도권, 비수도권 광역시, 비수도권 도지역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수도권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수도권 흡인력에 취약했으며, 도지역 대졸자보다는 광역시 대졸자들의 수도권 이동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경제권 내에서 지역 간 이동도 비교적 활발한데, 특히 거점 광역시에서 인근 도지역으로의 이동이 그 반대 방향의 이동보다 2.5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거점 대도시들이 인근 지역으로부터 대졸자를 흡수하기보다는, 오히려 권역 내의 인재 공급지로 기능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출신과 비수도권 출신 간에 지역이동 양상이 매우 상이한 모습을 보인다. 수도권 출신의 비수도권 대졸자들은 수도권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매우 강했지만, 비수도권 출신의 경우 해당지역이나 인근지역에서 첫 경력을 시작할 가능성이 월등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점들을 토의한다. The brain drain issue in non-Capital regions has been widely recognized and studied as critical social problems of our society. Although past research, mainly focusing on the outward migration of college graduates in specific non-Capital regions,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micro mechanisms affecting an individual graduate’s mobility decision,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acro patterns and structure of inter-regional mobility of college graduates. Using the log-linear models, the paper directly tackles this issue.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ree factors, social distance (yeon-go), opportunity distribution, and geographic distance, I introduce three generic models of regional mobility (retention model, unipolar model, and short-distance mobility model) and several sub-models, accordingly. Log-linear analyses reveal that the combination of size-differential retention model, distance-size-differential unipolar model, and asymmetric short-distance mobility model fits best to describe regional mobility structure of college graduates. Specifically, first, settlement effects are strongest in Capital regions and weakest in non-Capital and non-metropolitan regions. Second, Capital-neighboring regions are most vulnerable to Capital region’s pulling power and non-Capital metropolitan regions are the next, Third, while college graduates tend to move to near regions, mobility rates from metropolitan to non-metropolitan regions are 2.5 times stronger than the other way around, meaning that metropolitan regions function as an important talent distributor in broader economic zone. Finally, pre-college residence makes a big difference in mobility patterns; while college graduates originally from Capital region tend to return to Capital region, those originally from non-Capital regions are highly likely to settle down in the same non-Capital region or near aroun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ome potential research themes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교회건축의 채광방식에 의한 단면유형 연구

        정동호(Jung Dong-Ho),김동진(Kim Dong-Jin)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The light in terms of the building of church have been used the mean to see obv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God, also, piety, spirit rather than a simple light that comes in through a window. Historically, construction has been developed continuously because of technique and the advanced materials. Finally that brings big change. In this study, we want to study deeply Section of the lighting method that is the part to influence worship space directly in the diverse architecture of church. First, we are suppose to analyze the Section of the lighting method. Specially we will study the place of the worship that is expressed remarkably like Le corbusier, Alvar Aalto, Louis I. Khan, Mario botta, Richard Meier that bring up the modem church model in the latter half of 1800s. In the basic of that, we explored a representative building that is selected with being related in lighting that will be studied specially. Also, we're supposed to comprehend correlativity of day lighting according to the plan of worship function through the field work. In addition, we're going to study to analyze the section type by the basic plan in the architecture of church.

      • 필사본 『花郞世紀』를 통해 본 대가야의 멸망과 王室 世系

        鄭東樂(Jung, Dong-La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한국고대사탐구 Vol.9 No.-

        이 글은 6세기 이후 대가야사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대가야의 멸망 시기와 ‘加耶叛’의 실상, 대가야의 왕실 세계 등에 대해 기존의 사서와 필사본 화랑세기를 비교·검토해본 것이다. 이를 통해 대가야사를 새롭게 해석할 여지는 없는지를 고민해보았다. 대가야의 멸망 시기에 대해 삼국사기 나 일본서기 등에서는 560년, 562년(진흥왕 23) 9월 혹은 정월 등으로 혼란스럽게 기록되어 있다.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561년에 대가야가 완전히 멸망한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아울러 ‘加耶叛’과 관련하여 필사본 화랑세기 에서는 557년(진흥왕 18)에 신라가 대가야를 일차적으로 정벌했으며, 이후 반란을 일으키자 561년에 완전히 진압한 것으로 기록하였다. 대가야가 일으킨 ‘반란’은 ‘대가야 부흥운동’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필사본 화랑세기 에 의하면 대가야와 신라의 대외관계는 몇 차례의 변화를 겪었던 듯하다. 522년 결혼동맹을 기준으로 이전에는 양국이 대등한 관계였으나, 의 파탄 이후 신라는 대가야 지역을 점차 잠식하였다. 그리고 557년 대가야를 정벌하여 실질적인 부용국으로 만들었고, 561년 ‘가야반’을 계기로 완전하게 병합하는 수순을 밟아 나간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기존의 사료에서는 6세기 이후 대가야의 왕실 世系에 대해 異腦王과 嘉實王, 道設智와 月光 등이 어떠한 계승관계였는지 명확하지 않다. 이에 비해 필사본 화랑세기 는 비교적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522년 결혼동맹을 체결한 이뇌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왕은 찬실이었다. 찬실왕은 于勒으로 하여금 가야금 12곡을 작곡케 했던 가실왕으로 추정된다. 찬실을 이어 즉위한 ‘嗣王’은 도설지왕이었다. 도설지는 월광과 다른 인물이었으며, 오히려 도설지왕은 대가야 부흥운동을 이끄는 과정에서 월광과 대립하였던 것으로 전한다. 필사본 화랑세기 는 異腦王→贊失王(嘉實王?)→道設智王으로 이어지는 대가야 왕실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ventional historical records and Hwarangsegi Manuscript in the aspects of the time of Daegaya’s fall, the realities of Gayaban(加耶叛), and the royal line which are the main controversies in the history of Daegaya after the 6th century. Documents Samguksagi or Ilbonsugi records the time of Daegaya’s fall confusingly, such as year 560 or september 562(King Jinheung 23). Hwarangsegi Manuscript suggests that Daegaya was completely destroyed in 561. Also, on the issue of Gayaban, Hwarangsegi Manuscript records that Silla conquered Daegaya in 557(king Jinheung 18), and it quelled a rebellion in 561. The ‘rebellion’ of Daegaya is from the perspective of Silla, and it seems to be Daegaya’s revival movement in essenc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Daegaya and Silla seems to have had several changes. Before the marriage alliance in 522, the two countries were equal, but after the alliance, Silla’s view toward Daegaya changed to client country(附庸國). After the end of the marriage alliance in 529, Silla gradually encroached on the regions of Daegaya. In 557, Silla conquered Daegaya to make it Buyongguk, and finally in 561, it completely annexed Daegaya following the event of Daegaya reviv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records does not clearly explain the succession history of Daegaya’s royal line among King Ee Nue, king Ga Sil, Do Sul Ji and Wol Gwang. In contrast, Hwarangsegi Manuscript describes the situation more in detail. According to the Manuscript, Chan Sil rose to crown after king Ee Nue, who secured the marriage alliance in 522. King Chan Sil is assumed to be king Ga Sil, who made Woo Ruk to write 12 music pieces of Gayagum. King Do Sul Ji succeeded Chan Sil. Do Sul Ji was a different person from Wol Gwang, and Do Sul Ji seems to have conflicts with Wol Gwang in leading the Daegaya revival movement. Hwarangsegi Manuscript suggests Daegaya’s royal line from king Ee Nue to king Chan Sil(king Ga Sil) to king Do Sul Ji.

      • KCI등재

        필사본 『花郞世紀』로 본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동맹

        정동락(Jung, Dong-la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4 No.-

        필사본 『화랑세기』는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동맹, 대가야의 멸망, 대가야의 王室世系, 멸망 이후 대가야 사람들의 동향 등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사료가 부족한 대가야사와 관련된 새로운 視覺과 史實을 제시해 준다. 만약, 이 책이 僞書가 아니라면 대가야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인용되어야 마땅하다. 반대로 朴昌和에 의해 지어진 책이라고 하더라도 대가야사와 관련된 새로운 史實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연구사나 사학사적인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필사본 『화랑세기』는 진위 여부도 중요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대가야사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러한 시각에서 522년에 체결된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동맹에 대해 기존의 史書와 비교・검토하고, 그를 통해 필사본 『화랑세기』가 제시한 大加耶像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522년 대가야의 異腦王과 결혼한 新羅王女는 兩花공주였으며, 그녀의 집안은 외교문제를 담당하였던 진골귀족이었다. 대가야는 백제의 東進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신라와 결혼동맹을 체결하였다. 하지만, 신라로 하여금 대가야를 附庸國으로 인식토록 하고, 양화공주의 사망과 함께 신라에 복속되고 말았다.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동맹은 대가야가 신라에 의해 멸망당하는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manuscript of the historical record “Hwarang Segi(花郞世紀)” records the matrimonial alliance between Daegaya and Silla Kingdom, the fall of Daegaya, the world of Daegaya royal families and trends of the Daegaya people after the collapse. The record offers new viewpoints and historical facts on the history of Daegaya lacking historical data. Unless the book is a counterfeit, its content should be quoted as important data for research on Daegaya. On the contrary, even if the book was written by the historian Park Chang-hwa(朴昌和, 1895~1962), it suggests new historical facts about Daegaya, thus deemed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research or historical studies. The authenticity of the manuscript “Hwarang Segi” is important, but apart from that, its existence means there is not without a new possibility to invigorate independent research on Daegaya. In that regard, this study compares and reviews existing historical books on the matrimonial alliance established in 522 AD between Daegaya and Silla Kingdom and aims to understand the image of Daegaya suggested in “Hwarang Segi.” The royal woman of Silla Kingdom that married King Inoe(異腦王) of Daegaya in 522 was Princess Yanghwa(兩花), who came from a family of Jingol(眞骨), the kingdom’s second highest-ranking aristocrats in charge of foreign diplomacy. Daegaya formed the matrimonial alliance with Silla in order to resolve a national crisis caused by Baekje Kingdom’s eastward march. But, Daegaya was understood as Silla’s subordinate state and eventually submitted to Silla, following the death of Princess Yanghwa. It can be said that the matrimonial alliance between Daegaya and Silla Kingdom offered the onset of Daegaya’s collapse under Silla King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