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高句麗 古墳壁畵와 동아시아 古代 葬儀美術

        全虎兌(JEON Ho-tae),崔光植(토론자) 고구려발해학회 2003 고구려발해연구 Vol.16 No.-

        Ancient China developed many kinds of funeral am in East Asia. Mural painting is one of them. Koguryo adopted tomb murals as a new genre of funeral art. But, KOgUiyO digested and reorganized, reconstructed, reinvented much contents of tomb murals. As example, hunting scene was not so important in tomb murals of northwest China in the 4th century, but it was described as a weighty item in the wall of main chamber in early period of Koguryo tomb murals at Jian(集安) area in the 5th century. After adopting the mural tomb as a funeral art genre from abroad and assimilating it during a period of 100 years, Koguryo transformed it into a chapter in the development of its own distinct culture. The unification of northern China by the Northern Wei(北魏) gained momentum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the 5th century. As a result East Asia saw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powers Koguryo, the Northern and Southern Chinese Dynasties(南北朝) and the R ur n(柔然) in M b i(漠北). These four powers came to control all other local powers. Concerning its foreign relations in East Asia, Koguryo now found itself forced to devote its energies to strengthening its position as a dominating power in Northeast Asia in the preservation of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se four countries. As a dominating power in Northeast Asia, Koguryo culture influenced all other local cultures in Northeast Asia. Koguryo became the cultural center in Northeast Asia. Men of Koguryo thought that Northeast Asia was a distinctive cultural area in East Asia. Tomb murals of Koguryo was adopted at Silla(新羅). Backejae(百濟) made two mural tombs at 6th and 7th century. Koguryo emigrants participated in the work of tomb murals in Japan after the collapse of Koguryo. Although the influence of the artistic styles of tile Chines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until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on the Koguryo tomb murals from the 6th and 7th century can be confirmed, the traces of the transmission and adoption of the Chinese culture that developed after this period in China are not that evident. The fact that the tendency to prefer the Four Deities(四神) as the subject of tomb murals, noticeable from the late 5th century on, moved on to the stage of distinct Koguryo murals with the Four Deities as the exclusive subject, is a phenomenon du.t should be seen in the light of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Koguryo's foreign cultural exchange policies.

      •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인의 화장과 화장품

        전호태 ( Jeon Hotae ) 국립중앙박물관 2023 고고학지 Vol.29 No.-

        고구려인이 어떻게 화장했는지, 어떤 재료로 어떤 종류의 화장품을 만들어 사용했는지를 전하는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고분벽화에 보이는 화장한 얼굴, 중국의 기록에 보이는 화장 기법과 재료, 화장 상태, 유물에 남은 화장한 얼굴 등을 상호 비교 검토하면 고구려인의 화장 기법, 재료 등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낼 수는 있다. 고구려 여인의 화장을 보여주는 사례 가운데 이른 시기의 작품은 안악3호분 벽화다. 벽화의 귀족 여인과 시녀는 4세기 중엽 고구려 여인은 얼굴에 백분을 바르고 화장 먹으로 눈썹을 그렸으며, 윗입술을 검게, 아랫입술을 붉게 칠하는 연지 화장을 하거나, 위아래 입술 모두 붉게 칠했음을 알게 한다. 5세기 초 고구려 여인들은 입술연지 외에 볼연지도 했음을 고분벽화로 확인할 수 있다. 순천 동암리벽화분 인물도에서 확인되는 볼연지는 이후, 평양과 국내성 고분벽화의 여인 얼굴에도 보인다. 전성기인 5세기 고구려에서 지역 간 문화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여인의 화장 기법 확산도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는 사례들이다. 이마의 곤지화장은 고구려의 경우, 5세기 전반 작품인 남포 옥도리벽화분부터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의 남조 송나라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곤지화장이 출현하고 있어 고구려와 남조 송 가운데 어디에서 먼저 곤지화장이 시작되었는지 가리기는 어렵다. 상당한 거리에 있는 서로 다른 두 사회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같은 방식의 화장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게 하는 경우다. 남성이 얼굴에 백분을 바르고, 입술연지를 하는 사례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도 확인되고, 중국의 삼국시대 이래의 기록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기록과 유적 인물도로 보아 남성 화장이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일반적인 관습으로 받아들여졌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남성 화장이 어느 정도 보편적으로 확산되었는지를 이런 유적과 기록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다. There is no record of what makeup in Koguryo looked like, what kind of items people used, or how and with what materials the cosmetic items were made. However, examining the painted faces in Koguryo tomb murals and comparing them with the makeup techniques, materials, and faces left in Chinese records and artifacts might provide a glimpse into the cosmetic techniques and materials used in Koguryo. One of the examples of Koguryo women’s makeup is from Anak Tomb No. 3, one of the earlier tomb murals. The aristocratic lady and her maid in the painting show that in the mid-4th century Koguryo, women powdered their faces with white, drew their brows with dark ink, and used yeonji makeup technique where they painted their upper lips black and tinted their lower lips red. Tomb murals also show that in the early 5th century, Koguryo women not only used yeonji makeup on their lips but also on their cheeks. The cheek blush can also be found in Dongam-ri Mural Tomb in Suncheon as well as the tomb murals of Pyeongyang and Guknaeseong. This shows that women’s makeup technique spread throughout the regions as cultural exchange flourished in Koguryo at its peak. Using gonji makeup on the forehead is first seen in Okdo-ri Mural Tomb of Nampo which dates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Similar makeup techniques also appear during the same period in the Chinese Song Dynast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Koguryo or Song was the first to use gonji makeup. It is possible that similar makeup styles burgeoned in two different societies independently. Men powdering their faces and doing yeonji makeup on their lips can be found both in Koguryo tomb murals and Chinese records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likely that men wearing makeup were commonly accepted in ancient East Asia. However, the extent of the popularity of men’s makeup cannot be determined solely by such records and artifacts.

      • KCI등재

        고구려 오회분4호묘 연구

        전호태(Jeon, Ho-Tae)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1 No.-

        고구려의 오회분4호묘는 국내성 지역에서 축조된 가장 늦은 시기의 벽화고분이다. 6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평가되는 오회분4호묘 벽화는 고구려의 국내성 지역이 수도인 평양 일대와 구별되는 개성적 색채가 뚜렷한 문화를 발전시켰음을 보여준다. 이는 고구려의 국내성 지역이 예맥계 문화를 기반으로 외래의 문화를 수용, 소화한 오랜 경험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통구사신총과 오회분5호묘 벽화를 잇는 작품이다. 5~6세기 동아시아에서 유행한 운기화생 표현이 국내성 지역과 평양 일대의 6세기 고분벽화에 보이지만, 두 지역의 벽화는 색감이나 필선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강렬하고 역동적이며 화려한 국내성 지역 고분벽화와 달리 평양 일대 고분벽화는 세련되고 부드러우며 차분하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앞 시기 국내성 지역 고분벽화 보다 필선이 세련되고 벽화 제재도 정돈되어 배치되었다. 그런데도 오회분4호묘 벽화는 제재 구성과 표현 기법에서 평양 지역의 6세기 고분벽화와 차이를 보인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고구려 고유의 신화체계를 형상화하여 나타낸 점에서 평양 일대의 6세기 고분벽화 및 중국 남북조시대 6세기 회화와 구별된다. 오회분4호묘 벽화를 비롯한 국내성 지역의 고분벽화가 큰 틀에서는 동아시아 다른 지역의 회화, 특히 장의 미술과 다르지 않지만, 세부적인 제재 구성과 표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국내성 지역 문화의 개성과 보수성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오회분4호묘 벽화는 앞 시기의 충분히 다듬어지지 않은 관념 체계의 표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비교적 잘 정리된 신화체계를 세련되게 표현해냈다. 오회분4호묘벽화는 이런 점에서 고구려 국내성 화파의 개성적인 회화 세계를 잘 구현해낸 사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Ohoebun Tomb No. 4 of Koguryo is the latest dating mural tomb constructed in the Guknaeseong area. Ohoebun Tomb No. 4, dating to the late sixth century, shows that the Guknaeseong(國內城) area had developed a unique culture distinct from the capital, Pyeongyang. This is because the Guknaeseong area had a long tradition of adopting foreign culture with the Yemaek(濊貊) culture as the base. Ohoebun Tomb No. 4 is a bridge between the Tonggusasinchong and the Ohoebun Tomb No. 5. Several depictions of the heavenly birth by transformation (雲氣化生 yunqi huasheng), which was popular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y East Asia, are found in the sixth century tomb murals of both Guknaeseong and Pyeongyang region. However, the murals of each region remain quite distinct in their use of color and brush strokes. Unlike the dynamic and ornate tomb murals of the Guknaeseong area, those of Pyeongyang region are sophisticated, calm, and soft. The murals of Ohoebun Tomb No. 4 present more stylish brush strokes and organized motifs than the earlier works found in the Guknaeseong region. Still, the composition of motifs and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the Ohoebun Tomb No. 4 murals are distinct from the sixth century tomb murals of Pyeongyang region. Ohoebun Tomb No. 4 murals are distinguished from the sixth century tomb murals of Pyeongyang area and the paintings of the Chinese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its treatment of the Koguryo mythology. While the tomb murals of the Guknaeseong region including Ohoebun Tomb No. 4 do not deviate much from the painting tradition or the overall funerary art tradition of other East Asian regions, the details including the motifs and the expressions are uniquely influenced by the regional culture and the conservatism of the Guknaeseong area. Ohoebun Tomb No. 4 murals is an especially good example of the works of the Koguryo artists of Guknaeseong school stylishly depicting a well organized mythological traditions that is a step up from the tentative expressions of the earlier period.

      • KCI등재

        고구려 장천1호분 연구

        전호태(Jeon, Hotae)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무덤구조와 벽화 내용으로 보아 고구려 장천1호분의 축조 년대는 5세기 중엽을 넘어서지 않는다. 427년 단행된 평양 천도로 말미암아 수도로서의 지위는 잃었으나 고구려에서 국내성이 지니고 있던 전통문화 중심으로서의 지위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오랜 기간 고구려의 관습, 신앙, 제의 등이 성립되고 유지, 발전되는 과정에서 그 중심적 역할을 한 것이 국내성 지역이었던 까닭이다.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되어 정착될 때 그 출발점으로 역할이 부여되었던 곳은 국내성이다. 광개토왕 시대에 불교신앙과 문화, 국가의 새로운 사회문화 중심으로서의 평양 개발이 본격화 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 기간 기존 평양문화의 성격과 내용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고구려 전통문화의 색채는 약한 반면 漢系 문화를 포함한 각양각종의 문화가 뒤섞여 있어 이국적 성격이 강하였던 평양문화에 불교문화가 침투하여 자리 잡는 데에는 시간이 걸렸다. 평양과 달리 고구려 전통문화가 쌓여 있던 국내성 지역에서는 국가 차원의 불교신앙 장려정책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불교문화가 새롭고 주요한 문화적 흐름으로 자리 잡는다. 5세기 중엽 연꽃무늬 고분벽화가 국내성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것도 이러한 문화적 흐름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장천1호분은 국내성 지역을 중심으로 불교문화가 확산되면서 고구려인의 내세관에 어떤 변화가 초래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사례에 해당한다. 장천1호분은 5세기 전반 고구려와 중국 북조 및 내륙아시아 유목제국 유연 사이에 어떤 식의 문물교류가 있었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장천1호분 벽화에 다양하고 빈번하게 나타나는 서역문화 요소는 고구려가 북위를 통해서 서역의 문물과 접하였을 뿐 아니라 유연을 통로로 삼아서 직접 서역과 교류하기도 했음을 알게 한다. 간다라 미술의 체취가 여전히 남아 있는 장천1호분 벽화의 여래도와 보살도는 서역으로부터 고구려로 불교문화가 직접 전해졌음을 뒷받침하는 증거자료라고 할 수 있다. 장천1호분은 고구려인이 전통적 가치와 관념에 기초하여 불교적 가르침을 이해하거나 재해석하기도 했음을 알려준다. 벽화에 보이는 남녀쌍인연화화생상은 그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장천1호분 벽화는 연꽃으로 장식된 공간을 거쳐 연꽃만의 세계로 들어가도록 벽화가 구성되고 제재의 배치가 이루어졌다. 이런 식으로 벽화의 제재를 구성하고 배치한 것은 연꽃과 연봉오리를 장식무늬로만 쓰지 않고 화면 밀도를 조절하는 도구이자 공간의 성격을 규정하는 장치로도 사용하려 했던 까닭이다. 장천1호분은 5세기 전반 국내성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불교신앙과 문화의 전파, 확산, 정착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생생한 회화 기록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he tomb structure and mural contents suggest strongly that the construction date for Jangcheon Tomb No.1 is no later than mid-5th century. Although Guknaeseong lost its privilege as the capital after it moved to Pyeongyang in 427 A.C.E., its status as the center of traditional culture in Koguryo was maintained without much change. This is because while Koguryo’s tradition, religion, and ceremonies were established, maintained, and developed, Guknaeseong stood at the center of hte process. When Buddhism enters and settles in Koguryo, Guknaeseong was its starting point. Despite the fact that Pyeongyang began to be developed as the center of national social culture and Buddhist culture during King Gwanggaeto’s reign, its original cultural characteristics did not change for a long time. Because Pyeongyang culture was very diverse including different elements from the Han and other foreign cultures with weaker strand of Koguryo traditions, it took a time for Buddhist culture to enter Pyeongyang. In Guknaeseong region where Koguryo traditional culture had long developed unlike Pyeongyang, Buddhist culture becomes the new and important cultural trend as a result of national encouragement of Buddhism. The lotus pattern tomb mural that was popular centered on Guknaeseong in mid-5th century stems from such cultural trend. Jangcheon Tomb No.1 is a good example that shows in detail the change in Koguryo people’s view of afterlife when Buddhist culture flourished around Guknaeseong region. Jangcheon Tomb No.1 reflects the kind of cultural and material exchange between Koguryo and Chinese Northern Dynasty and Inner Asian Nomadic Empire Yenyen. The Central Asian element that frequently appear in Jangcheon No.1 Tomb murals show that not only did Koguryo came into contact with Central Asian culture through Northern Wei but also that it had direct exchange with Central Asia through Yenyen. Tath gata and Boddhisattva that retain the Gandhara style in Jangcheon Tomb No.1 supports the idea that Buddhist culture entered Koguryo directyl from Central Asia. Jangcheon Tomb No.1 also suggests that Koguryo people understood and analyzed Buddhist ideas based on traditional values and concepts. The Couple Reincarnation in Lotus Blosso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Jangcheon Tomb No.1m ural is organized so the viewer first goes through a lotus-decorated space into the world only of lotus blossoms. Such composition of elements allowed lotus blossoms and buds to function not only as decorative patterns but also as a tool to control the density of the frame and define the spacial characteristics. Jangcheon Tomb No.1 is a detailed pictorial record of the process of Buddhist religion and cultuer’s introduction, spread, and establishment in Guknaeseong regi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 KCI등재

        고구려 천왕지신총 연구

        전호태(Jeon, Ho-Tae)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7

        평안남도 순천의 천왕지신총은 무덤칸에 목조가옥의 뼈대에 해당하는 보와 소슬, 소로 등을 나타내면서 실물과 그림이 어우러지게 배치한 특이한 구조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널방 벽을 사방연속 연꽃귀갑문으로 장식하고 그 위에 무덤주인의 생활 장면을 그린 점에서도 고구려 남북의 다른 고분벽화들과 다르다. 천장고임에는 천왕과 지신, 상금서수와 선인을 그렸는데, 체계적으로 8칸의 ‘人’자 소슬 사이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무덤주인의 소망이 불교의 낙원인 듯 보이나, 실제 내용은 선계에 가깝다는 사실을 잘 드러냈다. 순천은 평양에 가깝지만, 고구려의 옛 서울 국내성과 새 수도 평양을 잇는 교통로에있다. 순천에서 발견된 요동성총이 무덤구조상 요양 위ㆍ진 벽화고분과 평양권 벽화고분인 남포의 태성리3호분, 안악의 안악3호분을 잇는 벽화고분이듯이 천왕지신총도 무덤구조와 벽화 구성에서 북의 국내성과 남의 평양 사이에 있다. 국내성 지역의 문화와 평양의 문화가 순천에서 만나 섞였음을 천왕지신총이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천왕지신총 널방 벽에 그려진 사방연속 연꽃귀갑문은 연꽃 장식이 유행했던 북의 국내성 지역에서 내려온 문화 요소이다. 천왕지신총은 이런 연꽃 장식 문화가 순천을 거쳐평양에 전해졌음을 보여준다. 안악1호분과 덕흥리벽화분에 보이는 상금서수와 선인 표현은 순천을 거쳐 북의 국내성 지역에 전해졌다. 천왕지신총 널방 천장고임에 천왕과 지신, 상금서수와 선인이 체계적으로 묘사된 것은 이런 문화 요소 전파의 중간 단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순천이 문화 전통이 다른 고구려 남북의 두 문화가 만나 문화 혼합이 이루어지는 곳이었다는 사실이 천왕지신총을 통해 확인된다. Cheonwangjisinchong Tomb of Suncheon, Pyeongannam-do, is a unique site where the tomb mimics a wooden house with crossbeams, frames, and stands appear with the paintings blending into the structure. That the casket chamber is decorated with lotus grid motifs on top of which is depicted a slice of life scene of the deceased also sets it apart from other tomb murals north and south of Koguryo. On the corners of the ceilings are painted cheonwang (heavenly king 天王), jisin (earthly deity 地神), auspicious animals (祥禽瑞獸), and immortals (仙人). They are placed in the eight spaces between the 人 shaped frame. The motifs suggest that while the deceased seems to hope for a Buddhist paradise, its actual details resemble more of the land of the immortals. In closer distance to Pyeongyang, Suncheon is on the road that connects Guknaeseong, Koguryo’s old capital, and Pyeongyang. Yodongseongchong Tomb, another tomb found in Suncheon, structurally resemble mural tombs of Wei and Jin. It is an inheritor of the tradition that includes Taeseong-ri Tomb No. 3 of Pyeongyang area and Anak Tomb No. 3 of Anak. Likewise, Cheonwangjisinchong Tomb structurally and thematically stands in between the traditions of northern Guknaeseong and southern Pyeongyang. In other words, Cheonwangjisinchong Tomb suggests that Guknaeseong culture and Pyeongyang culture mingled and fused right in Suncheon. The lotus grid motifs that adorn the casket room of Cheonwangjisinchong Tomb is part of a northern tradition from Guknaeseong area where such lotus motifs were popular. Cheonwangjisinchong Tomb shows that such painting tradition may have went through Suncheon down south to Pyeongyang. On the other hand, the auspicious animals and the immortal motifs seen in Anak Tomb No. 1 and Deokheung-ri Mural Tomb traveled through Suncheon up north to Guknaeseong. The systematically placed motifs of cheonwang, Jisin, auspicious animals, and immortal on the ceiling corners of Cheonwangjisinchong Tomb shows such cultural transmission in progress. Cheonwangjisinchong Tomb shows that Suncheon served as a bridge between the distinct cultures of north and south Koguryo.

      • KCI등재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가치와 의미

        전호태(Jeon, Ho-Ta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1 역사문화연구 Vol.80 No.-

        반구대암각화는 사냥을 생업으로 삼던 사람들이 남긴 것이다. 암각화를 새긴 기법이나 암각 대상이 달라지는 것은 암각화가 몇 차례에 걸쳐 새로 새겨졌고, 암각을 남긴 사람들도 바뀌었기 때문이다. 사냥 대상이 달라진 것은 시기에 따라 울산지역의 기후·환경이 달라진 까닭일 것이다. 반구대암각화는 사냥 도구와 사냥 방법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암각화에는 초식 동물 사냥에 활을 사용하고, 고래 사냥에 작살을 썼음을 알게 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암각화로 여러 사람이 타는 카누형의 배가 고래 사냥에 쓰였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사람들이 반구대 바위에 암각화를 새긴 것은 바위에 신비한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바위에 사냥 대상 동물을 새기며 신에게 빌면 그것이 실제 붙잡힌다고 여겼던 까닭이다. 사냥꾼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확인되는 수평적 세계관이 반구대암각화에서도 확인된다. 반구대암각화에 새겨진 ‘고래를 부르는 듯한 사람과 수족과장형 인물’은 고래를 사냥하던 사람들이 수평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사회에 속했음을 보여주는 존재일 수 있다. 반구대암각화는 이 작품을 남긴 사냥꾼 사회가 공동체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반구대암각화는 예술적 감각과 표현 기법이 변화하는 과정도 잘 보여준다. 비교적 단순하게 외형만 나타냈던 암각 대상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모두 파기로 특징이 드러나면서 간단한 서사의 일부가 되기도 하고, 조감도식 구성과 표현으로 복잡하고도 구체적인 서사의 한 부분이 되기도 한다. 마지막 단계의 암각은 대상의 특징이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표현되어 새로 새겨진 맹수들이 서사의 주체로 등장한다. 반구대암각화는 신앙을 형상화한 점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반구대암각화를 새긴 사람들은 신앙을 형상화하면 관념이 재구성, 재정립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던 듯하다. 반구대암각화는 마을 단위의 정기적인 제의 과정에서 펼쳐지는 서사의 풀이, 특정한 금기와 행위에 대한 공동체의 동의와 다짐을 확인시켜 주는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Bangudae Petroglyphs was created by people who hunted as primary means of survival. The carving techniques and the subjects vary because the petroglyphs were carved multiple different times by different people. The game likely changed because the climate of Ulsan region shifted over time. Bangudae Petroglyphs confirm that the hunting tools and methods changed. Some of the carved scenes describe people using bows to hunt herbivores and harpoons on whales. They also show that a canoe-like ship for multiple people was used for whaling. People carved petroglyphs on the rocks of Bangudae because they believed the rocks had special powers, thinking that offering prayers to gods while engraving the game would lead to a catch. The horizontal worldview that is characteristic of hunting societies is also present in the Bangudae Petroglyphs. The figure that seems to be calling whales and another figure with exaggerated limbs suggest that the whalers may have belonged to a society based on a horizontal view of the world. The petroglyphs show that the hunters who carved the images had maintained a communal culture. Bangudae Petroglyphs also provide a clear view into how the aesthetics and expressive techniques evolved over time. The simple motifs that just represented the shapes evolve into a more distinctive carvings that are part of a short narrative or an overlooking view of an composition that comprise a complex story. Petroglyphs of the late stages showcase detailed and distinctive carnivores as the main subjects. Bangudae Petroglyphs is remarkable in that it is a manifestation of a belief system. The creators of the petroglyphs semed to have been aware that materializing their beliefs could reorganize and reestablish concepts. Bangudae Petroglyphs could be understood as a work that confirms a group’s agreement and reinforcement of special acts and taboos as well as narratives that develop during a regular rituals.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와 모용선비(慕容鮮卑) 삼연(三燕)의 고분문화

        전호태(Jeon Hotae)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중장기병술(重裝騎兵術)은 북중국에서 5호16국시대가 개막되기 이전 이미 중국에서 도입, 활용되던 무장기법이자 전투방식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 전연(前燕)은 북중국이 혼란기에 접어들자 적극적으로 기존의 중장기병을 받아들여 전장에 투입하였다. 고분에서 출토되는 고구려와 전연의 중장기병 관련 유물이 세부 기법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도 두 나라가 큰 시차 없이 독자적으로 중장기병술을 도입,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삼연(三燕, 전연·후연·북연)은 100여 년에 걸친 접촉을 통해 인력과 기술, 물자를 교환했다. 특히 전쟁에 수반되는 인적 약탈은 상호문물의 교류에 큰 역할을 하였다. 436년 북연의 멸망과 함께 이루어진 용성(龍城) 사족(士族)과 민호(民戶)의 고구려 유입은 5호16국시대 후기 북중국의 지식과 기술이 고구려에 집중적으로 전해지는 주요한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고구려와 모용선비 삼연의 벽화고분은 중국 한, 위·진 벽화고분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출현하였다. 고구려는 4세기 중엽부터 생활풍속계 고분벽화를 다수 제작하고 5세기 중엽에는 장식무늬계 고분벽화라는 독자 유형을 출현시킨다. 반면 모용선비 삼연 사회에서 고분벽화는 일시적인 문화 현상에 그친다. 북연의 권력자 풍소불(馮素弗)의 무덤 형식과 출토 유물은 5세기 전반 모용 선비 문화의 성격을 잘 알려준다. 풍소불 무덤은 묘제에서는 선비적 정체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껴묻거리 구성에서는 한문화의 영향이 뚜렷하다. 풍소불 무덤은 북연(北燕) 시기에도 모용선비가 호족과 한족 연합국가에 걸맞은 새로운 문화를 정립시키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였음을 알게 한다. 주류 묘제가 없던 삼연과 달리 고구려는 5세기에 이르러 한(漢) 문화에서 기원한 석실분을 고구려식 묘제로 소화하여 재정립시킨다. 외래의 불교신앙을 고구려 문화의 한 요소로 자리 잡게 했음도 연꽃장식무늬 주제 고분벽화를 통해 확인된다. 5세기 고구려에서 성립하여 내외에 각인시킨 고구려 중심의 천하관(天下觀)도 동북아시아 패권국가로서의 정치적·문화적 자신감에서 비롯된 현상이자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armed cavalry was adopted and utilized by China before the Sixteen Kingdoms Period. Goguryeo and Former Yan (前燕) of Murong-Xianbei (慕容鮮卑) actively adopted armed cavalry and deployed it in wars when Northern China fell into turmoil. The differences in details and techniques shown in cavalry-related artifacts from Goguryeo and Former Yan tombs are due to the fact that these two kindgoms independently adopted and developed cavalry at about the same period. The tomb murals of Goguryeo and the Three Yan kingdoms (三燕) of Murong-Xianbei developed with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 Chinese Han, Wei, and Qin. From the mid-fourth century, Goguryeo created many tomb murals with life and customs motifs and produced a unique genre of decorative patterned murals in the mid-fif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omb murals in the Three Yan kingdoms of Murong-Xianbei never advanced beyond a temporary cultural phenomenon. Goguryeo and Three Yan kingdoms of Murong-Xianbei exchanged human resources, technology, and materials over a hundred years of interactions. The looting and abductions that occurred from wars contributed to the exchange of materials between the two. With the fall of Northern Yan (北燕), the elites and peasants of Longcheng (龍城) entered Goguryeo, passing important knowledge and technology of the late Sixteen Kingdoms Period in Northern China. The tomb structure and the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tomb of the Northern Yan authority Feng Sufu (馮素弗) show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fifth century Murong-Xianbei culture. The tomb shows a strong Xianbei identification in its form and an influence of Han culture in the composition of burial accessories. The tomb shows that, even by the Northern Yan period, Murong-Xianbei was yet to establish a new culture to represent the kingdom of unified nomadic and Han people. Unlike the Three Yan Kingdoms, Goguryeo established the stone chamber tomb from the Han culture in its own style in the fifth century. The lotus decoration motifs show that Goguryeo had also adopted the foreign religion of Buddhism as an element of its own culture. The Goguryeo -centered cosmic view established in the fifth century is also the result of political and cultural confidence as a formidable power in the Northeast Asia.

      • KCI등재

        한국 암각화 디지털 박물관 전시 콘텐츠 연구

        전호태(Ho-tae Jeon)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한국 암각화 콘텐츠 아카이브에는 유적 현황, 경관이 형성되고 변화되는 과정, 유적과 직간접으로 관련된 역사문화에 대한 정보를 담아야 한다. 암각화 유적 디지털 전시에는 구심성, 원심성, 회귀성이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집중되고 분산되며 순환되는 유기적 전시 구성이 전제되어야 암각화 유적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경험의 폭도 넓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암각화 디지털 전시의 중심 공간은 암각화 정보의 아카이브이다. 이 아카이브를 둘러싼 3개의 가상공간을 상정할 수 있다. 문화유산으로서의 유적, 유적을 만들고 유지하는 마을, 유적과 마을을 포함한 생활공간으로서의 경관이다. 한국 암각화 콘텐츠는 장르적 경계성을 지닌다. 국보인 울산 천전리 각석 암각화는 고고학, 미술사학, 역사학의 경계에 있는 유적이다. 한국 암각화 콘텐츠는 재해석, 재구성의 여지가 충분하다. 국보 울산 대곡리 반구대암각화는 내용에 대한 재해석, 제작 과정의 재구성이 가능한 유적이다. 한국 암각화가 지닌 개성과 역사성은 콘텐츠의 캐릭터 개발을 가능하게 해준다. 검파형 암각화의 중심유적인 포항 칠포리 암각화의 청동기시대 검파문도 그러한 사례로 꼽을 수 있다. Korean Petroglyph Contents Archive should contain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sites an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landscape. The digital exhibition of petroglyph sites should reflect the cyclical nature. Such organic, cyclic composition of exhibitions should allow deepe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petroglyph sites. The center of the digital exhibition of petroglyphs is the information archive. Three separate virtual spaces centered around the archive can be established, each representing the actual site as cultural legacy, the village that made and maintains the site, and the landscape that surrounds the village and the historical site. Korean petroglyph contents stand in the borders of different genres. For example, The Cheonjeonri Gakseok Petroglyphs in Ulsan covers archaeology, art history, and history. Korean petroglyph contents could sufficiently be reanalyzed and reconstructed. The Daegokri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show much potential for re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its contents. The unique historical features of Korean petroglyph contents allow for a narrative exhibition. The Chilpori Petroglyphs in Pohang with Bronze Age dagger hilt patterns shows such possibility of an exhibition.

      • KCI등재

        울주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와 동아시아 선사고대미술로 본 기록문화

        전호태(HoTae Jeon)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7 No.-

        천전리 각석 세선각화는 각석 상부 전면에 점각 기법으로 다수의 동물이 표현되고, 그위에 기하문 도형들이 긋고 갈기 수법으로 깊게 새겨진 뒤 등장한 세 번째 단계의 암각작품이다. 명문과의선후관계가명확하지않으나일부중첩을고려하더라도상대적으로앞선시기부터 세선각화 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천전리 각석 하부에 세선각으로 묘사된 것은사슴, 말, 새등의 짐승과 남녀 인물이나 기마인물 등 사람, 여러 척의 배, 상상 속의 신수인 용등다양하다. 사람과 말의 행렬 가운데 일부는 명문과 연결하여 해석할 수도 있을 듯하다. 한국의 선사 및 고대 유적, 유물에 등장하는 선각화는 문자문화의 정착과 확산 이전에통용되던 그림 기록으로 볼 수있다. 선사 및 고대유적, 유물에 다수의 선각화를 남긴 일본에서도 그림은 문자 기록 이전의 기록 수단이었다고 할 수있다. 문자기록의 발달과 확산이 빨랐던 중국의 경우, 다양한 도상을 담은 청동기에 금문이 새겨지는데, 금문이 많아지면서 도상이 줄어드는 경향을보인다. 이것은 도상이 지닌기록으로서의 기능이 문자로 옮겨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구술문화가 지배적이었던 내륙아시아 지역에서 중세 후기까지 암각화 작업이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기록 수단으로서 그림의 기능이 유지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세선각화의 제재로 등장하는 용은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 작업이 종교적, 주술적 효과를염두에 둔 그림 기록일 가능성을 고려하게 한다. 문자기록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림 기록의 주술적 기능과 효과에 대한 신라인의 관념과 신앙이 세선각화 작업에 동력을제공했던 것으로 보인다. 천전리 각석의 세선각화는 신라 기록문화의 변화과정을 보여주는귀중한 유적 자료로 재인식,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Cheonjeonri Gakseok line engraving is a three-layered work displaying multiple animalsin dot engravings on the whole of the upper surface and geometric patterns engraved ingrinding method on the overall surface. Although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theimages and the engraved text is unclear, some overlaps suggest that the line engravingsbegan in relatively early period.The subject matter of figures adorning the bottom of the surface is diverse, ranging fromanimals such as deer, horse, and bird to men, women, figures on horseback, number of ships,and dragon. Some of the human figures and horses may be linked to the engraved text.The line engravings that appear in prehistoric and historic Korean sites and artifacts canbe understood as the pictorial record used before the advent of written language. In Chinawhere written text was developed and popularized from early period, text is engraved onbronzeware with various images. As more text is engraved, the number of imagesdecreases, suggesting that such communicative property of the images was graduallyreplaced with that of the texts. This may also be the reason why the Gakseok engravingswere continued to be produced until the end of the medieval times in Inner Asian regionswhere oral tradition was dominant.Dragons that appear as a subject of line engravings bring up the possibility that suchengraving process included religious and shamanistic characteristics. Despite the spread ofthe written language, Shilla people’s beliefs in the shamanistic functions and effects ofpictorial records seem to have encouraged the line engravings to be made. Line engravingsin Cheonjeonri Gakseok should be re-evaluated as a resource showing the developmentsof Shilla’s written and drawn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