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토경전에서 언급된 ‘중생의 노력 사항들’선택 방식 고찰- 복수조합선택방식(Matrix선택방식) 도입을 중심으로 -

        전호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보살(菩薩)과 다불(多佛)사상을 가졌던 인도 정토사상(淨土思想)이 대사상가(大思想家)들에 의해 ‘(칭명)염불’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전개되면서, 정토삼부경과 미륵삼부경에서 언급된 ‘중생의 노력 사항들’에 대한 이해 방식은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을 드러내지 않고 폐(廢)하여 ‘(칭명)염불’로 귀결시키는 요홍폐립방식(要弘廢立方式: 요문을 폐하고 홍원으로 귀결시키는 방식)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복잡·다원화 등으로 고통이 증가하며 동시에 협동하여 해결할 고통도 증가하는 현(現) 시대적 상황을 감안시 요홍폐립방식만으로 이해를 이어가는 것은 시대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정토 경전에서 ‘시방세계(十方世界)에 불국토가 한량없이 많고 중생들이 각자가 지은 공덕과 선업에 의하여 나타난 땅(불국토)에 머무르고 다양한 정토가 많이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음 등에 근거하면, 다다익선(多多益善)의 관점에서 ‘(칭명)염불’과 더불어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의 적극적인 노력도 가능하고 그 결과에 부합한 다양한 정토(아미타 포함)에도 갈 수도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갈수록 중요해져 가는 ‘중생계 정토화 역할’을 지닌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도 적극적으로 강조될 수 있는 ‘복수조합선택방식(Matrix선택방식)’ 도입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변화된 시대 상황에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중생계를 정토화하고 요홍폐립방식과 더불어 정토사상 발전을 위한 시너지효과도 창출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Indian Pure Land Thought, initially characterized by the Bodhisattva and Multi-Buddha Thought, had evolved into a Pure Land Thought emphasizing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s ‘Easy Practice Way’ by the greatest Buddhism philosophers. Consequently, the approach to understanding ‘What People to endeavor’ mentioned in the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Pure Land and the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Maitreya have had the way of abandoning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nd finally concluding to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it was referred to as Yohongpyelib-Way, which means way to abandon Yomun (concentrating one’s mind and accumulating good deeds) and finally to choose Hongwon (regenerating spontaneously by the original Power of Amidaha Buddha’s Wish)>. However, continuing to understand ‘What People to select and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s only what people to abandon based on the Yohongpyelib-way seems problematic, considering contemporary times conditions not only marked by consistently increasing conflict and pain due to complexity and diversification of the current society but also marked by the frequent need for collaborative efforts. Such an approach(Yohongpyelib-way) seems to create an issue of not meeting the demands of the contemporary times and failing to gain social supports and interests. On the other hand, the Pure Land scriptures also state that there are countless Buddha Lands in the world of the ten directions and there are countless Pure Lands where people can be reborn and livng beings stay in Buddha Lands appeared by their individual contributions and good deed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re, the better’, it is possible to choose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nd also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ccordingly, aside from upholding the Yohongpyelib-way, this paper contemplat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dding an understanding that actively emphasizes and recommends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which plays a role as purifying World of Living Beings. This addition, called the ‘Mutiple Combinations Selection Way, aims to resonate with contemporary societal conditions. In particular, I hope that we can respond to the situations of the current times which we must work together to purify World of Living Beings and create a synergy effect for the development of Pure Land Thought with Yohongpyelib-way.

      • KCI등재

        지속 가능한 삶의 동아시아적 원형

        전호근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통일인문학 Vol.93 No.-

        이 글의 목적은 전근대 시기 동아시아의 사유에 보이는 생태적 삶의 여러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인류가 당면한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상상력을 확장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모색하는 데 있다. 놀랍게도 19세기 조선의 「농가월령가」에 보이는 삶의 양식이나 시경 「칠월」을 비롯한 고대 중국의 시가와 예기 「월령」편에 보이는 삶의 양식은 3천 년에 가까운 시간적 차이와 수천 킬로라는 공간적 거리를 뛰어넘어 완전히 동일하다고 할 정도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들 작품에는 공통적으로 사계절을 비롯한 자연의 운행을 양기의 소식(消息)으로 이해하는 특징이 보이는데, 이는 유학의 경전 주역 에 보이는 역학적(易學的) 세계관과 일치한다. 역학적(易學的) 세계관은 주역 「상전(象傳)」에 보이는 ‘서사적(敍事的) 세계관’과 한(漢)나라 시대에 성립된 괘기역학(卦氣易學)의 원리에 따른 ‘수리적(數理的) 세계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두 세계관에 따라 살아가는 인간의 삶은 자연 친화적이라는 수식이 불필요할 정도로 인간과 자연은 합일(合一)된 존재로 그려져 있으며, 실제로도 3천 년에 가까운 시간을 지속해왔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삶의 한 가지 유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후 위기는 근대의 산물이므로 근대적 방식의 자연관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천 년 동안 지속되어 왔던 동아시아의 생태적 삶을 통해 현재의 삶을 반성해 보는 일이 도움이 없지는 않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광복이후 최근까지의 유가철학 원전번역 : 논어를 중심으로

        전호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5 시대와 철학 Vol.16 No.1

        광복이후 최근까지 유가철학 원전의 대표격인 논어가 한국에서 어떻게 번역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이 글의 주제이다. 광복이후 최초의 논어번역서는 1955년에 간행된 신형중의 『논어』이며 이듬해에 이가원의 『논어신역』이 간행되고, 또 1958년에 이을호의 『한글논어』, 1959년에 논어연구회편의 『국역 논어』가 간행되었다. 이들 번역서는 전통적 표현방식과의 결별을 선언했다는 점에서 논어에 대한 인식의 수준이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60년대에는 표문태역 『논어』와 차주환역 『논어』를 비롯 여섯 종의 논어가 번역되었는데 모두 한글 번역 중심으로 논어를 구성했으며 특히 차주환역 『논어』는 기존의 논어가 모두 원문을 번역문 앞이든 뒤에 병기하고 있는데 비해 원문을 책의 말미에 따로 엮음으로써 번역문만으로 논어를 읽게 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것이라 할 만하다. 70년대에는 이전의 어느 시기보다 많은 번역서가 간행되었지만 그 중 주목할 만한 책은 단 연 이을호역 『한글 논어』이다. 1974년 박영사에서 문고판으로 간행된 이 책은 기존의 번역서는 물론이고 당시의 일반적인 번역의 수준을 단번에 뛰어넘는 뛰어난 성과물이다. 80년대에는 11종이라는 적은 양의 논어가 출판되었지만 내용면에서는 전집류 따위의 장식용 도서가 줄어들고 전공자가 참여하는 전문적 번역이 많이 나왔다는 점에서 어느 시기보다 풍성한 결실을 맺었다고 할 수 있다. 90년대에는 무려 100여종에 가까운 논어번역서가 간행되었는데 이 시기의 논어 번역서는 주희나 정약용 등 전통 주석가들의 견해를 번역의 근거로 제시하는 한편 현대 학자들의 견해까지 반영하고 번역하고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논어 원문에 없는 부분까지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 부기하고 있는 점, 기존의 번역서에 해결하지 못한 난해처를 많은 부분 해결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기존의 논어 번역보다 한결 심층적인 번역물이 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검토 결과 광복이후 지금까지 논어 번역사에서 단연 돋보이는 번역서는 1974년에 간행된 이을호역 『한글 논어』이다. 이을호역 『한글 논어』는 논어를 원문에 얽매이지 않고 과감하게 우리의 일상언어로 바꾸어 번역했을 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운 대화체를 사용함으로써 마치 공자의 육성을 직접 듣는 것처럼 생동감 있게 번역한 점, 간결 명료한 번역 원문과의 대칭적 구조까지 살리는 절묘한 번역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또 이을호역 『한글 논어』는 삶의 문법이 분명히 보이는 번역으로 당시 65세, 막 정년을 앞둔 노학자의 치열한 학문 역정을 엿볼 수 있을뿐더러 번역을 통해 권위를 굴레를 벗고 일상 속으로 다가오는 공자의 모습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탁월한 번역이라 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he Analects, a representative of texts in Confucianism, has been translated in Korea. The first Korean version of the Analects since Indepen dence(Restoration) was Noneo(the Analects) by Shin, Hyeonjung. At the next year, Li, Gaweon published Noneoshinyeo(New translation of the Annalects). In 1958, Noneo(the Analects) by Yi, Eulho, and in 1959, Noneojeonhae(Translation of the Analects) by Jeontongmunhwayeonguheo(a society for the study of traditional culture) and Gukyeoknoneo(Korean translation of the Analects) by Kim, Jongguk were issued. These translations can be differentiated from former ones in that new translations seceded from traditional way of translation, and this separating means some transi tion(development) in cognitive(understanding) level of the Analects. In the 1960's, sixth kinds of the Analects, including Pyomuntaeyeoknoneo(the Analects translated by Pyo, Muntae), and ChajuhwanyeokNoneo(the Analects translated by Cha, Juhwan), were translated. Especially, ChajuhwanyeokNoneo(the Analects translated by Cha, Juhwan) can be appreciated to go a step farther than former ones, in that Dr. Chas translation placed original texts(Chinese characters) at the end of the book so as to read and understand the Analects by way of only Korean interpretations, while other translations set original texts(Chinese characters) before or after interpretations. In 1970's, there was more translations than ever had been set forward, and noticable one among these books is Leeeulhoyeoknoneo(the Analects translated by Lee, Eulho). This book, produced a pocket(pocket-sized) edition of in BakyeongSah(The Bakyeong Press), was remarkable work, which is superior not only to former works but also general(whole) level of translations at a stroke. In 1980's, although not so much amount-11 kinds- of the Analects was translated, we can evaluate those time to bea substantial time, in that majorities of translations at that times in contents were specialized ones by experts whereas translations as a complete works series for decoration decreased in number. In 1990's, as many as 100 kinds of translations of the Analects were published. The translations in those days were documented by use of traditional commentaries such as that of Zhuxi or that of Dasan, as well as reflected modern scholars' opinions. Moreover, these ones sometimes add some explanations which is not in the original Analects in order to help readers understanding, and solved many trouble points which are hard to make clear. Therefore, we can conclude these translations as more profoundly developed ones than the previous ones. According to what we have investigated, the most notable translation in the history of the Analects is one by Lee, Eulho. His Korean version specially is outstanding in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he did not only translate the Analects into everyday word without literally clinging to the original text, but also use colloquialism so as to describe vividly as if let readers hear Confucius' live voice. Furthermore, his translation is so brief and to the point that could build up the symmetric structure with the original text. More than anything else, we can recognize his fervent scholarship in his translation, in which apparently appeared the logic of his whole life. At that time, he was 65 years old, and his retirement was closeto at hand, so we can also discover his erudition accumulated for his entire life as a veteran scholar. His well trained and cultivated scholarship made it possible to draw live figure of Confucius into our daily life as well as to be free from the existing authoritarianism on Confucius and the Analects.

      • KCI등재

        서경덕의 삶과 사유에 보이는 도가적 취향

        전호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 시대와 철학 Vol.34 No.1

        이 글의 목적은 조선의 성리학자 화담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의 삶과 죽음에 보이는 독특한 면모를 그의 격물이론 및 기철학과 연관 지어이해하는 데 있다. 아울러 죽음에 대한 서경덕의 이러한 태도는 그가 평소 도가의 은둔적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데서 비롯되었다는 가정을 통해 그의 학문과 사상에 보이는 독창성의 기원을 살펴보고자 했다. 임종을 앞두고 보여준 서경덕의 모습은 동시대 성리학자들의 일반적인 유형과 다를 뿐 아니라 삶과 죽음을 넘어서는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죽음보다 삶에 집중하는 유가의 일반적인 지향과도 부합하지 않는 점이 있다. 죽음을 자연스러운 변화로 받아들이는 그의 태도는 생사에 초연한 안시처순(安時處順)의 우화를 연상케 하는 만큼 그가 도가적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출사보다 은거를 선택한 것이나 번잡한 세속의 일을 끊고 오직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는 데 집중하는 학문 태도에도 이같은 도가적 취향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그의 기철학이 삶과 죽음을 연속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가적 사유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글에서 서경덕을 도가철학자로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의 글에는 도가에 대한 명백한 비판이 보일 뿐 아니라 학문 방법론에서는 철저하게 주자학의 격물궁리(格物窮理)를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에게 보이는 도가적 취향은 성리학의 형성에 끼친 도가의 영향이 삶의 태도에 영향을 끼친 결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