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령·코호트·기간 효과와 정치적 성향 : 2008년 및 2018년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전형준(Hyoungjoon Jeo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4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two surveys conducted in 2008 and 2018 in South Korea to find out how political orientation remains consistent or changes over time depending on age, cohort, and period. To calculate the magnitudes of the three effects, it us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nd time-lag differenc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one of these effects does not exist, the other effects were measured as observed values. According to the 2008 survey, those born before 1959 were relatively conservative, while those born after 1959 were relatively progressive. However,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in the 2018 survey, and the most progressive group was those born between 1969 and 1978 rather than the youngest group. Assuming that there was no period effect, the conservativeness of those who were born between 1949 and 1958 and the neutral attitude of those born between 1959 and 1968 were interpreted as a cohort effect. However, no specific effect was found for those born between 1979 and 1989. 본 연구는 2008년과 2018년 실시된 2번의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정치적 성향의 유지 또는변화에 연령대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차이의 원인이 연령효과, 코호트효과, 기간효과 중 어떤 것에 기인하는지를 분석했다. 이 세 가지 효과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데이터를 통해산출이 가능한 값인 longitudinal difference, cross-sectional difference, time-lag difference를 활용했는데, 각각의 값을 검토하면서, 세 가지 효과 중 어느 한 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해서, 다른 두가지 효과의 크기를 통계적으로 구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2008년 조사에서는 1958년 이전 출생자들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이었으며, 1959년 이후 출생자들은 상대적으로 진보적이었다. 하지만, 2018년조사에서는 세 그룹이 도출되었으며, 가장 진보적인 연령대는 중간 연령대인 1969년에서 1978년사이의 출생자들이었다. 세부적으로는 기간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1949년에서 1958 년 사이의 출생자들의 보수성과 1959년에서 1968년 사이의 출생자들의 중립적인 태도는 코호트 효과로 해석되었다. 1979년에서 1989년 사이의 출생자들의 경우 어떤 효과도 특정되지 않았다.

      • KCI등재

        조직 내 갈등에 대한 일방 당사자 중심의 해결

        전형준(Hyoungjoon Jeon)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2

        조직 내에서 발생한 갈등을 적절히 해결하는 것은 개인 차원에서는 직장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고 집단차원에서는 소통을 원활히 함으로써, 조직이 현명한 결정을 내리고 더욱 건강해지는 데 기여한다. 조직 내 갈등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많은 조직들이 시스템을 갖추지 않았거나, 시스템을 갖춘 경우라도 구성원들이 이런 방법들이 있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활용도가 낮다. 갈등코칭은 조정이나 중재 등과는 달리 한 쪽만 갈등해결을 원해도 실시할 수 있는 갈등해결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갈등코칭의 네 가지 관점을 정리하고, 그 중 하나인 내러티브 기반의 갈등코칭을 실시한 두 가지 사례를 분석했다. 각 사례별로 정체성, 감정, 권력의 차원에서 코칭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서술했으며, 두 사례 간에 초기 내러티브, 내러티브 분석, 새로운 내러티브 작성, 실천방안 모색 차원에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했다. Resolving conflicts in an organization can raise personal satisfaction in workplace and promot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Good communication among leaders is a sign of healthy organizations and it enhances the organization to make wise decisions. There are many ways to resolve conflicts in an organization; however, people do not use them often because many organizations do not have such conflict resolution systems or workers do not know their workplace have such ones. Conflict coaching is a conflict resolution method that can be used when mediation or arbitration cannot be adopted. Mediation and arbitration require agreement among the parties, but conflict coaching does not. This study introduce four approaches of conflict coaching practices, and present two coaching cases that adopted a narrative conflict coaching approach. Each case was analyzed with the frames of identity, emotion, and power. Two cases were compared along their first narratives, analysis of the narratives, development of new narratives, and implementing the action plans.

      • KCI등재

        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관련 갈등에 대한 갈등영향분석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 :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연구개발사업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전형준(Hyoungjoon Jeon),김학린(Hakli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7

        본 연구는 공공갈등 예방 및 해결의 주요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갈등영향분석이 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관련 갈등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용후핵연료처리기술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갈등 사례를 다룬다. 이 사례는 한국사회 최초로 갈등영향분석이적용된 과학기술 연구개발 사업이다. 또한 갈등영향분석에서 제안된 갈등해결 절차를 연계 기간에수정·보완하여, 중립적 전문가 패널(재검토위원회)을 실행한 결과 갈등을 해결한 사례이기도 하다. 분석 결과, 갈등영향분석이 제안할 수 있는 해결 절차에 이해당사자가 결정권을 가지는 조정협의회나 이해관계가 없는 일반 시민에게 결정권을 부여하는 공론화 방식 외에도 중립적인 과학기술 전문가들에게 사실상의 결정권을 부여하는 접근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갈등영향분석시 갈등해결 절차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핵심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제한적이나마 절차적대안들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과 갈등영향분석과 해결의 실행 사이에 합리적 연계의 중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conflict assessment, as a major tool for preventing and resolving public conflict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onflict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R&D projects. To this end, this study deals with cases of conflict on R&D projects for spent nuclear fuel processing technology. This case is the first case that adopted conflict assessment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R&D project in South Korea. It is also an example of resolving conflicts as a result of implementing a neutral panel of experts (Reexamination Committee)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dures proposed in the conflict assessment during the linkage perio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an approach to give neutral science and technology experts the right to make decisions would be possible, in addition to mediation where stakeholders have the right to make decisions or public deliberation in which non-interested citizens are given the right to make decisions in the process of resolution proposed by conflict assessment. Besides, this study confirms the importance of rational linkage between conflict assessment and implementation of resolution by consultation with key stakeholders during the conflict-resolution proces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독자 중심의 신문 제작과 독자의 실제 열독률

        박재영(Jae-Yung Park),전형준(Sam-Hyoungjoon Je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5 No.-

        이 연구는 독자가 어떤 기사를 얼마나 읽는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했다. 설문 응답 형태로 열독 의식이나 태도를 조사한 과거 연구와 달리, 이 연구는 독지에게 신문을 보여주면서 각 기시에 대한 열독 여부와 열독 정도 등 '행태'를 측정했다. 최근 국내 신문사들이 독자 중심의 제작을 표방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독자의 구체적인 열독행태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이 연구의 문제의식이었다. 신문 종합섹션 전체 기사의 절반 이상을 열독하는 독자는 6.2%였으며 경제섹션의 이 비율은 4.1%였다. 종합섹션에서 단 1개의 기사도 열독하지 않는 독자는 1.1%였으며 경제섹션의 이 비율은 26.5%였다. 종합1, 3∼5면, 사회 1∼2면, 여론 2∼3면의 열독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문화l면, 국제 2면, 경제섹션 4면, 스포츠 2면, 피플 l면의 열독률은 낮았다. 또 사회면 4개의 머리기사 열독률은 종합면 6개의 열독률보다 높았고, 특히 사회 2면 머리기사 열독률은 종합l면 머리기사 열독률보다 높았다. 20-30대 젊은 독자는 40대 이상의 장년층 독자보다 종합 1∼4면과 사설면의 머리기사를 현저히 덜 읽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any and which articles readers read in daily newspaper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research that measured readers' perception of their reading habits, this study picked up readers who read the newspaper in the morning, showed them every article in the newspaper, and asked them whether they read each article. This method enhanced the accuracy of measuring subjects' rea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s, 6.2% of the readers read at least half of the articles of the general section in the newspaper. Fewer readers went over the economic section of the newspaper. It was 4.1% of the readers. There were only 1.1% of readers who did not read any article of the general section, but the rate soared to 26.5% for the economic section. Many newspaper readers did not skip the first five pages of the newspaper, however the highest readership pages were found in the national coverag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general section. On the other hand, few readers read the articles on pages covering culture, international issues, and people. Readership of the top stories showed some unexpected results. The top stories of national coverag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general section were read by more readers than the top stories of the front pag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readers. The readers of twenties and thirties did not read as many top stories on major pages and editorials as the readers of forties and ol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