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rephthalic Acid 반응기의 정성적 위험성 분석에 관한 연구

        전종한 大田産業大學校 1993 한밭대학교 논문집 Vol.10 No.1

        Safety concern on chemical prcessing plant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as the size of plants became bigger and more complex. In this study, a purified TPA(Terephthalic acid) reactor is selected. Since the oxidation of p-Xylene which is one of the most hazardous reactor is processed in it. The qualitative risk assessment of TPA reactor with HAZOP(Hazard operability study) is mainly examined. Several necessary modifications on the design of the reactor such as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flow trasducer(FT) on the air inlet pipe, of an N_2 line to TPA reactor, of an additional FT of p-Xylene and of an interlock with LAHH(Level alarm high high) are identified after analyzing the reactor by HAZOP.

      • KCI등재

        조선 시대 고을 사직단의 경관 구성과 복원 방향 - 부평 사직단을 중심으로 -

        전종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2

        The Sajikdan is an altar for the god[Sa] of the earth and the god[Jik] of grai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y created also local Sajikdan nationwide. In the Joseon Dynasty, ‘Sajik’ was soon recognized as the state itself in that ‘sa’ is related to the governing territory and ‘Jik’ is related to people’s lives. Each local Sajikdan was an essential landscape element that constituted the ‘Eupchi’ landscape. In addition to the altar, each local Sajikdan was a landscape composed by landscape elements such as ‘Yu’, ‘Shinsil’, and ‘Dansu’. The size and format of each local Sajikdan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the national Sajikdan. From today’s point of view, each local Sajikdan is a landscape that contains traditional thoughts, rituals, and hidden strategies, as well as a profound memory of historical stories, and is a heritage of reconstruction value. For our present reconstruction of local Sajikda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rom the viewpoint of the entire landscape, not that of the fragmentary elements, so beyond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landscape elements, to the world of the broader narrative created by the connection and harmony between them. We should try to put it in our reconstruction enterprise. 사직단은 토지 신인 ‘사(社)’와 곡식 신인 ‘직(稷)’을 위한 제단으로 조선왕조에는 국가 사직단 외에도 전국적으로 고을 사직단을 조영하였다. 사는 다스리는 영토와 관련되고 직은 백성의 삶과 관계된다는 점에서 사직은 곧국가 그 자체로 인식되었다. 고을 사직단은 조선 후기 전국의 읍치 경관을 구성해간 필수 경관 요소였다. 고을 사직단은 중앙부의 제단 외에도 유, 신실, 단수 등의 세부 경관 요소들이 집합적으로 창출하는 하나의 경관이었다. 고을사직단의 규모와 형식은 국가 사직단의 그것과 차별적으로 규정되었다. 오늘의 관점에서 고을 사직단은 전통 사상과 의례, 숨겨진 전략 등을 내포한 경관이자 역사의 질곡까지 이야기하는 심오한 기억의 장소로서 현재적 복원 가치를 지닌 헤리티지이다. 오늘날 고을 사직단을 복원함에 있어서는 단편적 경관 요소를 살피는 관점이 아닌 전체경관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개별 경관 요소의 의미를 넘어 그들 간의 연결과 조화가 만들어내는더 넓은 내러티브의 세계까지 복원 작업에 담아낼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 KCI등재

        한국 철도 노선명 및 역명 제정 기준의 현황과 개선 방안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3 기전문화연구 Vol.44 No.2

        철도 노선과 역사(驛舍)는 물리적 공간 그 이상의 장소적 성격을 가진다. 철도 노선명과 역명은 경유지 및 소재지 지역 정체성의 표상이고, 사회적 소통에서 중요한 지리정보이며, 시설 운영 및 관리자 입장에서는 안전성과 식별성에 긴요한 핵심 운영 도구이다. 철도 역명 제정을 둘러싼 최근의 잦은 민원은 철도 관련 지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의 급부상을 보여줄 뿐 아니라, 철도노선명 및 역명에 대한 지명 표준화의 효용성을 상기시켜주고, 사회적 요구와 시대 상황에 부응한 제정 기준의 합리적 개선을 요청한다. 연구자는 관련법에 근거한 올바른 용어 정의와 표현, 중의적 해석에 열려 있는 주요 개념의명료화 등을 토대로 국가지명위원회 및 유엔지명전문가그룹의 지명 제정 원칙, 권고, 최근의 지명 표준화 동향에 근거해 현행 지침의 현황과 발전과제를진단하고 노선명과 역명 제정 기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개선 방안을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선명 제정은 기점지와 종점지의 대표 행정 지명의 순차적 결합 방식으로 명명한다. 다만 이러한 공식 노선명과 함께 시설관리자 및 운영자 입장에서 관리·운영의 안전성과 식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철도 사업법상의 노선 유형 분류 체계를 활용한 ‘관리용 역명’을 병용하는방식도 고려할 만하다. 둘째, 역명 제정은 역사(驛舍)가 소재한 대표 행정 구역의 지명을 단독 사용해 명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역사 건물이나 승강장이 두 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쳐 있는 경우 해당 행정 지명들을 연속으로 사용해 명명하는 것을 허용하되, 이 경우 행안부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에서 역사(驛舍) 대표 주소지로 확인되는 행정 구역명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셋째, 기타 개선 사항으로, 차후 개선될 노선명 및 역명 제정 기준은 소급 적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할 것, 한 차례 부결된 역명 개정안에 대해서는 무분별한 민원을 예방한다는 차원에서 차후 안건으로의 재상정을 불허할 것, 특정 인물명이나 상업적 목적의 지명 등 사회적 배제나 특정 주체의경제적 이익과 직결될 수 있는 이름은 경계할 것 등이다. Railroad lines and stations are not just physical spaces, but representations of local and regional identities, geographic information for social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mportant operational tools related to safety and speed for facility management and operators. Frequent complaints over the recent establishment of railway station names not only show public interest in railroad-related nominations, but also call for efforts for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and rational improvement of route names and station name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The researcher diagnosed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tasks of the current guidelines based on the principles and recommendations of the UN Group of Experts on Geographical Names and the National Geographical Name Committee based on the correct terminology based on the law and the clarification of key concepts open to implicit interpretation,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standards for establishing railway line names and station names. The improvement meas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aming of the railway lines follows the combination of the representative administrative name of the departure area and the destination area. However, along with these official line names, facility managers and operators can use the name of the station by naming method using the railway line type classification system or a combination of alphabets and Arabic numbers to promote the safety and speed of management and operation. Second, the naming of a station uses only the name of the representative administrative district where the station building is located. In a station building that spans two or more administrative districts, two or more administrative names can be consecutively used to those naming, but in this case, the nam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address shall be prioritized. Third, other improvements include the following: In principle, the standards for naming of railway lines and station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should not be applied retroactively, the revision of the station name once rejected should not be allowed to be re-appointed as a future agenda, and caution against social exclusion, such as nominations for specific persons or commercial purposes, or names that can be linked to the economic interests of specific subjects.

      • KCI등재

        『朝鮮の聚落』(1935)을 통해 본 한국 宗族村落의 기원과 분포

        전종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2

        본 연구는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최초의 근대적 촌락 보고서인 『朝鮮の聚落』(1935)을 통해 우리 나라 종족촌락의 기원과 분포 특징을 탐구한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 일본인 기록자들은 한국의 宗族村落을 일본식 용어인 同族部落으로 바꾸어 호칭하면서 한반도의 이른바 ‘저명 동족부락’을 조사 항목으로 규정한 다음, 그 소재 지, 인구 규모, 성씨별 비중, 마을의 기원 시기, 마을이 형성된 유래 등에 대한 정보들을 체계적이고도 광범위하게 탐문하여 수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촌락에 임하던 당시 조사자의 인식과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朝鮮の聚落』(1935)에 대한 해제를 시도하였고, 이 보고서에 수록된 종족촌락에 관한 공간 정보와 속성 정보들 을 활용하여 다양한 주제도로 표현해 보았다. 연구자는 이들 주제도에 나타난 여러 가지 공간적 단서들을 통해 우 리나라 종족촌락의 기원 시기, 형성 배경, 분포 특징 등에 관한 부분적 해명을 시도하는 한편, 이와 관련된 후속적 탐구 주제들을 제안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lineage settlements in Korea reported on 『朝鮮の 聚落』(settlements of Joseon, 1935) which is the first volume of nation-wide collection and modern-systematic composition in Korea. 『朝鮮の聚落』has some limits in that it uses the term Dongjok Burak(Japanese Settlement of the same family) in place of Jongjok Chollak(Korean lineage settlements) as a key concepts. But, it is of considerable merits in that such information as sites, population, origin and formation processes of lineage settlement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reported in the volume are relatively systematic and objective because those are obtained based on empirical survey. The author presents a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n that volume ahead, and then makes thematic map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which the volume gathered. Being based on the spatial clues in these maps, the author tries to elucidat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 and distribution, formation processes of lineage settlements in Korea on the one hand, and proposes themes waiting researches on theother ha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