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春洙 詩에 나타난 濕潤性 想像力 考察

        전명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This article traced the wettability-imagination that appears in Kim Chun-su’s poetry based on his biography, starting from the problem that Kim’s attempts to explain poetry largely relied on the terms and theories suggested by the poet. Wettability is a property that allows a liquid to spread on a solid surface. In Kim’s poems, things are mainly expressed in a “wet” state. This water-based sense of wetness is related to weather phenomena and “Hallyeosudo,” a key poem, reveals his sea experiences. To analyze the sense of wetness and the wettability-imagination, this article borrowed Bachelard’s imagination theory of water and named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a poetic device that reveals a faint sense of connection and depression in Kim’s poems wettability-imagination. The concept of wettability-imagination has two implications and suggests follow-up research to reveal important aspects of Kim’s poetry. The first implication is that Kim created a channel to explain poetry besides the terms and theories planned by the poet. He pointed to the experience in Tongyeong, which connected his childhood and poetic imagination, and the (un)consciously emphasized the Sedagaya Police Station detention experience. The second implication is that the poet’s wettability-imagination was both an expression technique and a poetic subject used as an alibi to dilute desire in relationship and sexuality, creating a stance to avoid the problem of desire even though he continued to pursue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These findings would assist new research beyond the perspective of pure poetic expression or aestheticism in Kim Chun-su’s poetry. 전명환, 2022, 김춘수 시에 나타난 습윤성 상상력 고찰, 어문연구, 196 : 351~381 이 글은 김춘수의 시세계를 해명하는 연구가 대체로 시인 스스로 제시한 용어나 이론에 주로 의존하고 천착해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시인의 전기적 생애를 바탕에 두고 시에 나타난 습윤성(濕潤性)의 상상력을 추적했다. 습윤성이란 고체 표면에 액체가 퍼질 수 있도록 하는 성질로, 김춘수의 시에서는 주로 사물이 ‘젖은’ 상태에서 발현된다. ‘수성(水性)’의 감각은 그의 바다 체험을 드러내는 핵심 시어인 한려수도뿐 아니라 기상 현상과도 연관된다. 수성의 감각과 습윤성의 상상력을 분석하고자 이 글은 바슐라르의 물에 대한 상상력 이론을 차용하여 김춘수 시에서 희미한 연결감과 우울의 정서를 드러내는 시적 장치의 구성 원리를 습윤성 상상력으로 명명하였다. 습윤성 상상력이라는 개념은 김춘수의 시세계를 밝혀나가는 데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찾아내었다. 하나는 김춘수가 (무)의식적으로 강조하는 세다가야서 구금 경험 이외에 그의 유년과 시적 상상력을 연결할 통영에서의 실체험을 지목해 시인이 기획한 용어나 이론 이외의 시세계를 해명할 통로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시인의 습윤성 상상력이 단순히 표현 기법이 아니라 시적 주체가 관계성과 섹슈얼리티의 문제에서 욕망을 희석시키는 알리바이로 활용되어 그가 지속적으로 연결과 소통의 가능성을 추구하고 있음에도 이를 욕망의 문제에서 회피시키는 관조의 자세를 연출하고 있음을 발견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발견은 김춘수 시에 관한 순수시적, 유미주의적 관점을 넘어서는 새로운 연구 흐름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허수경의 언어공동체 의식과 방언시 작업의 의미

        전명환(Jeon, Myeong-Hwan),이경수(Lee, Kyung-Soo)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이 논문은 허수경의 시 중 동남방언을 사용한 방언시를 통해 허수경만의 독창적인 언어 미학을 분석했다. 허수경은 1992년 독일 유학을 떠난 이후로도 시집과 소설집, 산문집 등을 출간하며 국가와 민족, 언어의 관계에 대해 고민했다. 이 논문은 허수경이 ‘국가’ 대신 ‘언어공동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에 착안해 코드 전환으로써의 방언시 작업의 의미와 효과를 밝혀내고자 했다. 제1 시집 『슬픔만 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와 제4 시집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에는 공통적으로 시인의 방언시가 수록되어 있으나 후자는 시인의 독일 유학 경험 이후에 출간되었다는 점에서 변별점을 보인다. 방언시는 구어체를 동반하며 시적 대상과 정황, 어조에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영향이 독자에게 전달하는 효과를 감응(Affect)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방언은 단순한 표준어의 변이형이 아니라 공동체의 유대를 강화하는 감응을 전달한다. 사회언어학에서는 방언 화자의 상황 이해에 따른 표준어-방언 전환을 ‘코드 전환’(Code-Switching)이라고 설명한다. 출신지가 다른 동료들과 같은 언어로 학업하고 고대의 언어를 학습한 경험은 근대국가적 개념의 대안인 ‘언어공동체’라는 의식으로 이어진다. 이는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의 1부 기획인 방언시 작업이 표준어 번역의 폭력성을 드러내고 공동체 및 개별 언어로서의 방언이라는 의의를 지니는 점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이 논문은 허수경의 방언시 작업이 그 자체로 미학적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점뿐 아니라, 허수경의 언어공동체 의식이 방언시 작업에서 표준어-방언의 위계 관계를 무너뜨리고 ‘진주 말’이라는 공동체성과 ‘내 말’이라는 개별 언어의 의미를 발현시킨다는 점을 분석했다. This paper analyzes Huh Sukyung"s unique linguistic esthetics through “dialect poetry” using the southeastern Korean dialect of Huh Sukyung. Even after she left for studies in Germany in 1992, she published poetry, novels, and prose books, contemp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ethnicity, and language. Accordingly, she tended to use the term “language community” instead of “nation,” and this paper attempts to uncover the meaning and effect of dialect poetry work as a “code-switching” from the poet’s perspective. Her first book of poetry, There’s Not A Fodder Like Sorrow, and her fourth, Time of Bronze, Time of Potatoes, generally contain dialect poetry, but the latter shows the distinction of being published after the poet’s experiences studying in Germany. Dialects are reflected in the spoken language, thereby affecting poetic objects, circumstances, and tone. The effect of these influences on readers was analyzed using “affect” theory. A dialect is not just a variant of the standard language, but conveys a sense of strengthening community bonds. In sociolinguistics, the standard language-dialect conversion according to the dialect speaker’s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is described as “code-switching.”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the same language as colleagues from different origins and learning the language of the ancient eras leads to the consciousness of a “language community,” an alternative to the modern national concept. This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dialects as dialects and as both a community and an individual language, on the basis of which the first part of her fourth book reveals the violence of standard language translation.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at Huh Sukyung’s dialect work has an esthetic effect in itself as her sense of language community breaks down the hierarchical standard language-dialect relationship to expresses the community of the “Jinju language” and the meaning of her individual language as “my language.”

      • KCI등재

        열화상 이미지 다중 채널 재매핑을 통한 단일 열화상 이미지 깊이 추정 향상

        김정윤,전명환,김아영 한국로봇학회 2022 로봇학회 논문지 Vol.17 No.3

        Depth information used in SLAM and visual odometry is essential in robotics. Depth information often obtained from sensors or learned by networks. While learning-based methods have gained popularity, they are mostly limited to RGB images. However, the limitation of RGB images occurs in visually derailed environments. Thermal cameras are in the spotlight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Unlike RGB images, thermal images reliably perceive the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 illumination variance but show lacking contrast and texture. This low contrast in the thermal image prohibits an algorithm from effectively learning the underlying scene details. To tackle these challenges, we propose multi-channel remapping for contrast. Our method allows a learning-based depth prediction model to have an accurate depth prediction even in low light conditions. We validate the feasibility and show that our multi-channel remapping method outperforms the existing methods both visually and quantitatively over our dataset.

      • 자율주행 횡방향 제어를 위한 Gaussian Processes 기반의 차량 모델 개발

        조건희(Kunhee Cho),전명환(Myungwhan Jeon),이형철(Hyeongcheol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23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3 No.11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lateral controller for autonomous vehicle over decades. Model predictive control (MPC), which utilize vehicle models and optimization methods considering future information and state constraints, are widely used for designing a lateral controller of autonomous vehicle. However, the vehicle models used in MPC typically employ linear models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which results in prediction errors and a degradation in controller performance for highly nonlinear regions of the vehicle’s behavior. In this paper, we designed a gaussian process (GP)-based vehicle model to improv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lateral controllers for autonomous vehicle. First, we conducted signal measurements necessary for the model construction through real-world vehicle experiments and preprocessing for GP design. Especially, the lateral velocity, which is the output of the model, was measured via RTK/GNSS and utilized for optimizing the GP for the model construction. Through offline optimization process, we derived the types of kernels and hyperparameters of the GP to improve model accuracy. The proposed vehicle model was evaluated for various driving scenarios, such as lane changes and steady circular tu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