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고학으로 본 8-6 B.C.E. 시기 이스라엘과 유다

        장춘식 배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人文論叢 Vol.22 No.-

        The Judaeo-Christian tradition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Samaritans is grounded in the interpretation of II Kings 17. The general impression of II Kings 17 is that the kingdom of Israel was totally depopulated after the fall of Samaria in 722 BCE, and that foreigners from various countries were assimilated with the indigenous inhabitants of the former territory of the Israelite kingdom. Accordingly, this has been regarded as the origin of the Samaritan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Ezra 4:1 ff., the colonists were blamed for being syncretistic worshippers in the land of Israel and were not allowed to share the rebuilding of the Jerusalem Temple. Hence they hindered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by the returned exiles. This has been interpreted as the beginning of the Samaritan schism. Since the traditional view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Samaritans has emphasized the total deportation as well as the assimilation of the Israelites,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e our discussion of the origins of the Samaritans by reexamining the Israelite history of the whole period from the eighth century to the fifth century, especially taking account of the evidence from archaeology. The biblical accounts conflict with each other over the size of captivity after the fall of both kingdoms. On the one hand, the message of the Bible asserts that the depopulation as well as the devastation of each country were complete by the judgment of Yahweh. Other passages, on the other hand, clearly indicate that the exile was not total and that a number of people were left in Palestine. Likewise, it is interesting to find that scholars are in disagreement with each other concerning the extent of the damage to the land of Israel. Albright has insisted that “there is not a single known case where a town of Judah proper was continuously occupied through the exilic period”, whereas S. A. Cook has argued that “in no circumstance can we suppose that the districts were denuded of their inhabitants”. Hence in this paper we will determine what was the real picture of the fall of both kingdoms. In the first chapter we will briefly consider the military campaigns of Assyria and Babylonia against the land of Israel. Then we will deal with the size of population as well as the captivity during the Iron Age II C. Finally, the existence of the remnant and the continuity of the Israelite material culture will be discussed separately.

      • KCI등재

        사마리아인 영지주의자들

        장춘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1999 신학논단 Vol.26 No.-

        시몬에 관한 교부들의 자료는 서로 일치되지 않는 점들도 많고, 역사적으로도 사도행전의 시몬과는 차이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시몬주의 교리도 후기에 발달된 것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부들이 사도행전의 시몬으로부터 시작하여 그를 모든 이단의 괴수로 고발하고 사마리아 지역을 영지주의의 온상으로 간주하며 모든 사마리아인들을 영지주의자들로 정죄한 것은 기원 후 2세기 이후 팔레스틴에서 주도권 싸움을 둘러싸고 유대인들 가운데서도 특별히 사마리아인들에게 벌렸던 초기 교회의 논쟁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신세기 중국 조선족 문학비평의 현상과 전망 -2012년 비평실천을 중심으로-

        장춘식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科學 Vol.0 No.53

        It has been a decade since the new century and passed a three yearsafter the second decade of the century. At this time, this studyinvestigates the literary criticism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n 2012 inorder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Korean-Chinese literary criticism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of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Doraji, the Korean-Chinese literary magazine, has its own series ofarticles, named Bimonthly Criticism, on literary criticism by contrastwith other journals that only give a brief commentary on literaturespublished in it. The articles in Doraji shed light on renowned writersin Jirin(吉林) area, and the other literary journals focus on theanalysis of authors and works reviewed by old-timer critics andgraduate students. These show the feature of Korean-Chinese literarycriticism. In Addition, the debate over so-called Totem poetry written by NanYong Qian(南永前) has been contentious for a few years. What is atissue in some articles published in 2012 is still the matter with regardto the appropriacy of writing material and the possibility of ecologicalliterature. Moreover, studies on literary theory and literary history form an important part of Korean-Chinese literary criticism. The serialarticles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n 1950s, written by Wu XiangShun(喬宮糠), reveal such an achievement of literary criticism. Regardless of the circumstance that a shift in generations is not yet accomplished, it could be said that the literary criticism of Korean-Chinese in the new century have been carrying out its due mission. It is definitely possible for both of established and prospective critics to make their best endeavors to improve Korean-Chinese literature. The community, however, is not without its problems. It is not exceptional that prospective researchers often leave the field of literary criticism because of their precarious lives. I hope that promising critics would have a chanc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Chinese literature. 신세기에 접어든지 10여년이 지나고, 개혁개방 후 30여년이 흐른 지금,조선족 문학비평 수준은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가? 2012년 조선족 문학비평 현장을 예로 들어 그 실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선족 문예지 『도라지(道拉吉)』에서 "격월비평"이란 코너를통해 정기적으로 『도라지』에 게재된 문학작품에 대해 본격적인 현장비평을 시도한 것 외에, 다른 문예지들은 작품 혹은 작가특집에 해설을 곁들이는 방식으로 현장비평을 대신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조선족 문학비평은 작가론과 작품론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그 예로 『도라지』에서길림지역 대표적인 작가에 대해 집중적인 조명을 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다른 문예지들에 기성 비평가들과 석박사과정생들의 작가론, 작품론과 관련된 논문이 많이 게재되고 있는 것도 조선족 문학비평의 한 성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난용치엔(南永前)의 이른바 "토템시(图腾诗)"에 관련된 논쟁은 이미 여러 해 이어져 왔고, 2012년에 발표된 몇 편의 논문에서 보면 소재의 적정여부, 생태문학 등 좀 더 확장된 연구의 가능성 여부가 여전히 쟁점이 되고 있다. 이 밖에 문학이론과 문학사 연구 또한 조선족 문학비평의 중요한 한분야로서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우시앙슌(吴相顺)의 1950년대 조선족문학에 대한 연재논문은 그러한 연구 성과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신세기의 조선족 문학비평은 아직 세대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자들과 각 대학교의 석박사생을 중심으로한 신세대들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미흡하나마 응분의 사명을 다하고 있다 볼 수 있겠다. 물론 신세기 조선족 문학비평도 우려하는 바가 없지는 않다. 과거 경험으로 비추어 볼 때 기존 비평가들이 직업 환경이 바뀌면 하나 둘 비평분야를 떠났기 때문이다. 신세대 비평가들이 사명감을 가지고 조선족문학 발전에 지식과 능력을 기여하기 바란다.

      • KCI등재

        이민문학의 시각에서 본 윤동주의 시

        장춘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2 No.-

        Yoon Dongjoo, a poet born in YongJungChina, was first discovered and admired by Koreans. From pan-ethnic literature point of view, this is not a rare phenomenon. However, it would become a loss if the migration complex in his poem is overlooked. Nine poems, all of which revealed obvious immigrant sentiments, have been selected and analyzed in this thesis. Confirmation has been reached that all these poems disclosed the poet's recognition of identity, i.e. descendent of Kando migrants. This can be seen in those poems that showed direct concern on migration issues, as well as in some other poems that the poet considered Myungdongas his homeland and revealed sad nostalgia. Moreover, the homesick poet had possessed strong determinations and expectations, to 'illuminate the lights', and drive away epoch darkness. He was not simply a natural person, but an intellect with strong sense of mission for his own era. He was immigrant poet. At the same time, he was resister poet. These two aspects are offering great insight into Yong Dongjoo's inimitable value.

      • KCI등재

        재만 조선인문학을 보는 또 다른 시각

        장춘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1 No.-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mes of the majority works of the Chosen [Korean] literature in the Puppet Manchukuo can be considered healthy; some of them denied or resisted Japanese imperialism by means of various literary ways, while more writings consciously were composed to avoid political issues or appeared in the form of pure literature in order to escape from the censorship by authorities. In fact, there were a batch of works met with the expectation of the puppet Manchukuo, or made compromise with even showed cooperative intention to the top powers. It was also found that a very few works commended of or catered to the aggressions of Japanese imperialism. The complicate situation, of course, not only had much to do with the colonial discourse under Japanese long colonial rule on the Chosen people, but also related to the puppet nature of the pseudo-Manchukuo. Colonialism turned out to be the culprit behind the hybridity of the colonized subjects. Through long-term colonization, Japanese imperialism not only carried out its brutal crackdown upon the colonized subjects, but also constructed its colonial discourse by the so-called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encroaching upon consciousness of nationalism among the colonized subjects. But nonetheless, writers seemed to imitate or assist the colonial discourse in the so called hybridized writings that catered to the puppet Manchukuo or Japanese imperialism, they kept their own words in different ways. Firstly, they showed cooperation with the puppet Manchukuo so as to reflect their non-cooperation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secondly, they primarily expressed their deep concerns about the problem of the survival of the Chosen immigrants, while retaining coope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thirdly, even though they assisted Japanese imperialist aggression, while keeping a certain distance and giving expression to the hybridity of the colonized subjects. Accordingly, the author argues that, through discussion about the mentioned issues merged in the Chosen literature in the puppet Manchuku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ne cannot make an either-or judgment, or cannot arrive at conclusion in dichotomous thinking, on the so-called Pro-Japanese literature or Pro-Manchukuo literature. 일제 강점기 재만 조선인문학은 흔히 말하듯 절대다수가 건전한 작품으로 되여 있다. 여러 가지 문학적 장치들을 동원하여 일제에 대해, 부당한 현실에 대해 부정하고 저항하는 작품도 있고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정치적인 문제를 피한 순수문학작품도 많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만주국정권에 영합하거나 협력적인 자세를 노출시킨 작품도 더러 있으며 극히 일부이기는 하나 일제의 대륙침략에 동조한 작품도 더러 있다. 이는 일제의 조선에 대한 장기간의 식민지통치와 만주국의 괴뢰적인 성격과 무관하지 않다. 식민주의는 피식민주체의 혼종성을 야기한 장본인이다. 장시간의 식민지통치기간을 통해 일제는 무단적인 억압 외에도 이른바 ‘동아공영권’ 구축이라는 식민주의 담론을 확산시켜 피식민주체의 민족주의적인 의식을 잠식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괴뢰만주국이나 일제에의 협력을 표현한 이른바 혼종적인 작품에서마저 재만 조선인문학은 일제의 담론을 모방 혹은 동조하면서도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았다. 때로는 만주국에의 협력으로써 일제에의 비협력을 나타내기도 하고 때로는 이주민의 생존에만 주목하면서 일제에의 협력을 유보하고 있으며 심지어 일제의 침략에 동조한 작품에서마저 일제와의 차이를 강조하는 등의 방식으로 피식민주체의 혼종성을 나타내고 있다. 일제강점기 재만 조선인문학을 논의하면서 흑백의 논리로 이른바 친일문학 혹은 친만주국적인 문학을 평가할 수 없는 원인이 여기에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주민에 대한 이민자의 문화적 대응 ― 조선족 소설의 다문화적 측면

        장춘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0 국어교육연구 Vol.26 No.-

        The multi-cultural features of Chinese Korean literature were mainly reflected in its ways of cultural responsive solutions to the Chinese aboriginal culture. In the early years of immigrants novels have been displayed the Korean immigrants' desire of settlement and the resistant responding from Chinese aboriginals. After that, the immigrants have constantly made efforts to find a resolution for the mutual benefits. However, compromises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exposed the hybridity maintaining by the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era.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writers have created the literary images with the political ideas of “national unity”(minzu tuanjie). With the rapid urbanization in the 21C, a new migration of Korean has happened, new works have come out in dealing with the ethnic relations between the Han and the Koreans. One is a sensation of loss for the Korean ethnic novelists, concerning declining of the “heart homeland”, the other is a struggle between the assimilation and anti-assimilation, and the desire of having a new style of urban Korean ethnic community in order to adapt to the Han centered society. 조선족 소설의 다문화적 성격은 주로 중국 원주민에 대한 이주민으로서의 문화적인 대응 방식으로 표현된다. 초기 이민소설에서는 조선 이주민의 정착의 욕구와 중국 원주민의 배척 양상으로 표현되다가 점차 소통과 타협을 통한 상생의 방법 모색으로 진화하며 여기에 식민주체인 일제에의 타협이 개입되면서 일부 피식민 지식인의 혼종성을 노출하기도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이러한 대응방식은 “민족단결”의 정치 이념으로 굳어져 다분히 국책적인 측면에서 소설작품에 형상화된다.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의 개혁개방 소설에서 한족과 조선족의 관계 문제는 한동안 거의 자취를 감춘다. 그러나 2000년대에 이르러 도시화가 빨리 진척됨에 따라 조선족의 새로운 인구 이동―이른바 “두 번째 이민”이 이루어지면서 조선족 소설에서는 또다시 한족과 조선족의 관계 문제가 다루어지기 시작한다. 한편으로는 조선족의 도시 진출에 따라 조선족이 4대, 5대에 걸쳐 살아왔던 삶의 근본이요 마음의 고향이었던 조선족 마을이 몰락하며 이로 하여 느끼는 상실감이 문학 형상화의 대상이 되며, 다른 한편으로 도시에 진출한 조선족들이 한족 중심의 도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벌이는 동화와 반 동화의 기싸움이 작품화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화와 반 동화의 기싸움은 도시 사회에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조선족의 생존 욕구와 더불어 이제 조선족 문학의 중요한 문제의식으로 부상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간도 체험과 강경애의 소설

        장춘식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1 No.-

        Kang Kyong-ae, who lived in Longjing [Korean: Yongjong], Jiandao [Korean: Kando] for a decade from the early 1930's to the early 1940's, used that experience in twelve of the twenty-one works that she published during her lifetime. The present study will classify her fiction based on the Jiandao experience into four groups and examine ㆍthem in terms of migr literature or literature created by ethnic Korean migrs in China. Works such as "A Vegetable Garden [Ch'aejon]" and "A Soccer Game [Ch'ukkujon]" express their author's class ideology in terms of praxis a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Yumu],"though less explicit, likewise reveals Kang's will to social action. Such characteristics have served as an important reason to call Kang a writer with sympathies for KAPF literature. Indeed, "Salt" and "Mother and Son [Moja]"reveal class ideology through the difficult lives of their main characters. Works including "That Woman [Ku Yoja]," "Compassion [Tongjong]," "Contribution Fee200 Won [Wongoryo Ibaeg Won]," and "Agony [Ponnoe]" criticize activists'disillusion and thus prompt self-critique and introspection. On the other hand, "Mother and Son," "Drugs [Mayak]," "Darkness," and "The Nigger [Komdung'i]" betray a considerable sense of loss and despair on the author's part despite their raw exposure of dark reality. As an expression of Kang's resistant will, the thematic tendency of these works shows a downward movement, for it progresses from the manifestation of blatant class ideology to a critique of social reality, finally to a deep sense of loss and despair. Nevertheless, it is undeniable that her authorial consciousness consistently hinged on resistance and class ideology in both early and late works. At a glance, Kang's works, though, based on her Jiandao experience, may not seem to address the issue of migridentity in depth. That is a false observation, however, because the author clearly saw Jiando as a land of revolution and struggle. It is then possible to say that, for Kang, who adhered to class ideology, migridentity existed for the resistant fighter or anyone who would be one. In other words, she was able to secure and to maintain her identity by utterly negating reality and struggling against colonial mastersunlike the writer An Su-gil, who led an migrlife by partly resisting reality and partly compromising. 1930년대 초반부터 40년대 초반까지 10년여를 간도 용정에 체류한 경력을 가진 강경애는 일생 동안 발표한 21편의 소설 작품 중 12편을 간도체험에서 취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강경애의 간도체험 소설을 4부분으로 나누어 이민문학적인, 혹은 조선족 문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채전」이나 「축구전」에서는 작가의 계급이념을 실천적으로 표현하고 있고 「유무」에서도 암시적이기는 하지만 역시 그러한 실천적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강경애를 카프문학의 동반자 작가로 부르게 된 중요한 단서라 하겠다. 다음 「소금」이나 「모자」에서는 그러한 계급 이념을 주인공의 고달픈 운명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이어 「그 여자」, 「동정」, 「원고료 이백 원」, 「번뇌」 등 작품에서는 안이에 빠지려는 운동가의 환멸의식을 꼬집으면서 자성과 자기편달을 시도하며 「모자」, 「마약」, 「어둠」, 「검둥이」 등에서는 현실의 암흑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면서 동시에 상당 정도 작가의 상실감과 좌절을 표출하고 있기도 한다. 이러한 작품들의 주제성향은 저항적 의지의 표현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대체로 하강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노골적인 계급이념 표현에서 점차 현실비판으로 바뀌다가 결국 짙은 상실감과 좌절의식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초기 작품은 더 말할 것도 없고 말기 작품에 이르기까지도 강경애의 작가의식은 저항과 계급이념으로 일관하고 있음을 우리는 확인할 수가 있다. 이상 살펴본 강경애의 간도체험 소설은 이주민의 삶에서 취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주민의 정체성 문제에 대해서는 특별히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강경애는 자기가 몸담고 있는 간도 땅을 혁명과 투쟁의 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계급적 이념의 소유자인 강경애에게 이주민의 정체성은 투사로서, 투쟁을 지향하는 사람으로서 존재하였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즉 안수길처럼 현실에 저항도 하고 더러 타협도 하면서 이주민의 생존을 꾀한 것이 아니라 철저히 현실을 부정하고 지배자와 투쟁함으로써 정체성을 확보 유지할 수 있다고 인식했다는 말이 된다.

      • KCI등재

        요세퍼스의 사마리아인 역사 기록

        張春植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1992 신학논단 Vol.20 No.-

        구약 성경의 열왕기하 17:29에 꼭 한번 언급되어져 있는 "사마리아 사람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껏 그들의 기원과 정체의 문제에 있어서 학자들 사이에 일치된 것이 별로 없다. 게다가 이스라엘의 포로 후기 시대로 부터 바르 코흐바 항쟁에 이르기까지 유대인의 정치, 사회, 경제, 종교에 있어서 사마리아 사람들의 역할과 위치가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고 있지만, 유대인과 사마리아인의 결렬이 언제였는지도 확실하지 않은 실정이다. A.D 1세기 유대인의 사제였으며, 군사령관이었고, 저술가였던 플라비우스 요세퍼스는 이같은 점에 있어서 그의 저서들인 「유대 전쟁」과 「유대인 고대사」를 통하여 우리에게 사마리아 사람들의 역사와 더불어 학적인 논쟁거리를 제공해주는 장본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요세퍼스의 사마리아인 역사 기록을 통하여 사마리아 사람들의 대한 위의 역사적 질문들에 답해보려고 한다. 필자는, 먼저, 요세퍼스의 사마리아인 역사 기술에서 제기된 여러 문제점들을 간략히 살펴보려고 한다. 그다음, 여러 문제 가운데서 특별히 사마리아 사람들에 대한 요세퍼스의 용어사용 문제를 검토하여 요세퍼스의 역사 기술에서 우리가 배우게 되는 것이 무엇인가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요세퍼스의 저술에 나타난 사마리아 사람들의 기원, 신분, 그리고 유대인과의 분리 시기를 고찰해보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