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필자의 디지털 문식활동 사례 연구

        장은섭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1

        This article using ethnographic case study data, examines how one undergraduate student integrated his use of social network sites into his everyday literacy practices to represent his ident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digital space was intertwined with everyday cultural activities for participants, and S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vealing oneself in private and public life of participant. Particularly, the participants used various complex forms to express academic, religious, social, and cultural images to reveal themselves. In addition, her various social networking activities acted as a basis for defining her role and were largely divided into roles of ‘producer, consumer, sharer, manager’.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diverse digital literacy activities and identities are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ne person in the online environment. 인터넷의 대중화는 개인의 자아표현 욕구는 물론 타인에 대한 관심과 소통욕구를 증대시켜 개인 미디어 발달을 가져왔다.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디지털기기를 활용하여 문식 활동을 하는 것은 자신의 계정과 온라인 데이터를 관리하며 개인의 사생활과 표현에 대한 복잡한 문제를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민족지학적 사례연구를 통해 한 대학생이 온라인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 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참여자에게 디지털 공간은 일상적 문식 활동과 복잡하게 얽혀있었고, SNS는 참여자의 사적, 공적인 생활에서 자신을 드러내는데 중요한역할을 하고 있었다. 특히, 참여자는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학구적, 신앙적, 사교적, 교양적 이미지를 다양한 복합양식들을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이것들은 모두 자신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아울러 그녀의 다양한SNS활동은 자신의 역할(position)을 규정짓는 근거가 작용하였고, 크게‘생산자, 소비자, 공유자, 관리자’의 역할로 나눠졌다. 대학생 필자의 디지털 문식활동 경험과 정체성 조정 및 일상과의 통합 문제는 앞으로도 디지털 환경에서 한 사람의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것이다.

      • KCI등재

        예비 교사의 쓰기 막힘 양상과 인식 연구

        장은섭,송주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This research, writing block proceed with case study through the comparing and analysis of preliminary teachers, 102(life-story method) who are attending the education university in korea. A result of this research divided as the cause of inner and outer of the writer. A cause of the inner divided as 12 detail factors again, and 7 outer factors. In inner cause, the writing block discovered a new connection with information in the creative activity processing of writer, which appeared as a mental burden about a successful writing. In the external factor, the student’s writing was so hard and negative that to write feedback showed a negative awareness and attitude. The experience of writing block of preliminary teachers reflected teachers’ awareness formed in training course as an experienced writer. After that, the teacher applied to offer students’ feedback and check their writing processes in the school field. 본 연구는 필자의 보편적 경험인 쓰기 막힘에 대해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102명의 생활담을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결과, 쓰기 막힘의 내적 원인으로 12가지 세부 요인을, 외적 원인은 7가지를 제시하였다. 내적 원인은 쓰기 막힘이 필자의 사고활동과정에서 정보 간 새로운 연관성을 발견하고 성공적인 글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고, 외적 요인으로는 학생이 완성한 글 중심의 경직되고 부정적인 피드백이 쓰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심화시키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본 논의는 학생인 동시에 필자로서의 경험과 예비교사인 동시에 교수자로서의 인식이 통합적으로 반영된 것으로써, 이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쓰기 과정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필자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보편적 특성 때문에 학문적으로도 교육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장은섭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wareness of the writing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ers surveyed 7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with questions relating to the contents of value, attitude, utility, object, reality, and so on about writing. As a result of the survey, students expressed their own opinions on writing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Also, generally, the survey marked the positive awareness of female students more than male students on writing awareness and purposes, and as students advanced through school, they showed negative attitudes developing from academic stress. Students living in big cities, stood out as displaying more positive awareness about not only writing’s value but also its usefulness, more so than the students who are living in rural communities. However, when it came to the writer’s own writing performance, intentional writing was extremely unusual, and it was also rare for students to arrange for advice about problems in the process of the writing. Whether writing individually or sociall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writing awareness and attitude was low with education community making all the difference. All members needed to actively recognize writing.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쓰기에 대한 가치, 태도, 효용과 목적, 실태 등의 내용을 전국 초중고생학생 7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쓰기를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의사소통하는 매개체로 인식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대체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쓰기인식과 쓰기목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학업부담감 가중으로 부정적 태도가 높아졌다. 또한 학생이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쓰기 가치 및 효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두드러졌다. 한편 필자 자신의 쓰기수행 측면에서 평소 의도적인 글쓰기가 제한적이었고, 쓰기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에 대해 주위로부터 조언을 구하거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방관하는 태도가 두드러졌다. 특히 쓰기 수업과 밀접한, 교사에게 조언을 구하는 경우는 9.6%에 불과했다.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도 초․중․고등학교 시기의 필자로서 쓰기 인식과 태도는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쓰기환경을 둘러싼 교육공동체의 노력과 관심은 너무 낮다. 무엇보다 쓰기에 대한 가치와 긍정적 태도변화를 위한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어과 임용시험 지필평가 적절성 연구 - 국어 교사의 직업 문식성을 중심으로

        장은섭,최승식,구자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국어교사의 전문성과 직업 문식성을 바탕으로 임용시험 지필평가의 적절성에 대한 국어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전국의 국어교사 158명을 선정하여 설문지 방식과 인터뷰 내용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과 임용시험 지필평가와 직업문식성과의 상관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직업 문식성 핵심 내용으로 ‘국어 교과 지도 내용에 대한이해, 수업 및 평가에 대한 지식과 기능’ 항목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셋째, 임용시험지필평가가 국어 교사의 직업 문식성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는 데 높은 긍정적 반응을 보인 반면, 지필평가가 국어 교사로 근무하는 데 도움이 되었거나, 교사의 전문성을 적절히 평가한다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을 보였다. 넷째, 직무 수행에 도움이 된 지필평가 영역은 ‘문법’과 ‘문학’을 꼽았고, 반면, ‘수업 및 평가에 대한 지식’ 부분은 압도적으로 보완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를 통해 국어 교사의 전문성과 직업 문식성을 적절히 점검하기 위해 지필평가 출제 과정에서 실제 수업 실행과 밀접한 수업 및 평가에 대한 지식과 기능 부분을 더욱고려하여 국어과 각 영역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지식을 직접적으로 묻고, 실제 교육활동 상황이 포함된 문항 개발을 촉구하였다.

      • KCI등재

        쓰기 평가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

        장은섭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3

        This study was to show the awareness and conditions about write assessment hav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 students who a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647, the method which did interviews focusing on the style of questionnaire surveys and 3 students.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students’ writing abilities were helped in the area of awareness, the real assessment did not frequently practiced, and it was feeling some pressures about write assessment. Feedback is especially important part of the direct writing method, not learned in high school, instead of simple techniques and one-time items. Diverse writing assessments like literacy events, writing contests or graded book reports should be practiced. Students wanted to focus on improving their writing ability and felt they needed assessments. As a result, changing the education environment is needed. Their should be more reflection on writing ability rather than grades and central entrance examination alone.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쓰기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전국의 중·고등학생 647명이며 연구방법은 설문지 방식과 3명의 학생을 초점화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쓰기능력 신장에 도움을 주므로 쓰기 평가는 필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실제로는 자주 이뤄지지 않았고 쓰기 평가에 대한 부담감도 갖고 있었다. 한편 직접평가의 방법으로 유용한 평가 과정과 결과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은 대부분간략적인 기술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고등학교에서 잘 이뤄지지 않았다. 아울러 다양한 쓰기 평가 방법이 적용되기 보다는 성적 산출을 위한 간접평가 방식 또는 백일장, 독후감 등 교내행사 활동에 머무르고 있었다. 학생들은 평가에서 쓰기능력향상에 초점이 맞춰지길 원했고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성적 및 입시중심교육환경의 변화가 시급함을 드러냈고 쓰기와 평가가 단순히 물리적으로 결합하기 보다는 쓰기 교수학습 상황에서 평가 참여자의 입장이 반영되고 평가맥락이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