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노 구조를 이용한 초발수 표면 특성 제어 기술

        임호선 ( Ho Sun Lim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전망 Vol.15 No.1

        각종 스마트 전자 기기 및 부품 소자의 성능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소재의 표면 특성을 제어할수 있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고체 표면에서의 액체의 거동은 표면의 기하학적인 나노 구조와 화학적인 조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특히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소재와 표면의 나노 고차 구조를 결합하면 물방울이 맺히지 않고 쉽게 굴러 떨어지는 초발수 표면을 구현할 수 있다. 표면 나노 구조는 소재 표면의 젖음성을 증폭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초발수 표면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 토대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표면의 나노구조를 이용하여 초발수 표면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 구조를 제조하는 다양한 기술들에 대하여 소개하고 초발수 표면의 연구 개발에 대한 기술적 진보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열처리 잣나무 정각재의 재색 변화 및 물성 조사

        임호묵 ( Ho Mook Lim ),홍승현 ( Seung Hyun Hong ),강호양 ( Ho Yang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14 목재공학 Vol.42 No.1

        국내의 주 생산 수종인 잣나무 90 × 90 mm 각재의 적정한 열처리 조건을 찾기 위해 3가지 열처리 스케줄을 적용하여 재색과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1차 열처리 시 온도는 170°C와 190°C, 시간은 예비가열시간 1시간을 포함하여 9시간과 13시간을 적용하였다. 2차와 3차 열처리는 모든 공시 각재에 동일하게 190°C-9시간을 적용하였다. 열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백색도 L*는 직선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표준편차도 감소하였다. 열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색차 ΔE*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표준편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알려진 바와 달리 열처리 시편의 평균 종압축 강도가 무처리 시편보다 9% 높았다. 항팽윤율과 중량증가율을 측정하여 열처리 시편의 치수안정성이 무처리보다 크게 증가하였음을 보였다. Three heat-treatment schedules were applied to 90 × 90 mm dimension square lumber of Pinus koraiensis, one of major domestic species, and their colors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obtaining an optimum schedule. Each square lumber was heat-treated three times. The temperatures of 170°C and 190°C, and the time of 9 hours and 13 hours were used for the first heat-treatment. The schedule of 190°C and 7 hours were used for the next two heat-treatments. The averages of brightness L* decreased linearly as the heat-treatment repeated and its standard deviations also decreased slightly. While the averages of color difference ΔE* increased linearly as the heat-treatment repeated and its standard deviations also increased slightly.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heat-treated specim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by 9%, which deviates from previous reports. ASE and WPG of the heat-treated specimens were measured to confirm that heat-treatment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significantly.

      • KCI등재

        논문 : 공공도서관 봉사권역에 관한 연구 -지역중앙관을 중심으로-

        임호균 ( Ho Kyun Li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5

        21세기를 다원화 시대라고 한다. 이러한 사회변화 속에서 지역의 커뮤니티 시설로서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요구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수많은 관계자들이 관련되어 있는 지역특성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며 많은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운영자들은 봉사대상 지역에 관한 직관적인 인식만으로 공공도서관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구조 분석과 등록자 위치 분석을 통하여 대도시 공공도서관 지역계획의 모형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2012년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웹 시스템 개발 사업을 위하여 선정된 5개 도시의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사례관의 등록자중 3년 이내 이용했던 기록이 있는 등록자들의 거주지를 Arc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등록자 주소를 가시화 하고 거리별 등록자의 비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2000년 이전에 건립된 사례관은 반경 2㎞이내에서 등록자 비율 평균은 약 53%로 2008년에 건립된 사례관의 72.5%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구밀도와는 연관성보다는 도서관 주변의 지역적 특성에 의해서 나타나는 결과이다. 중앙도서관의 봉사권역 설정은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등록자분포가 약 80%인 반경 2.5㎞-3㎞로 설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시 중심에 위치한 공공도서관들은 주요 교통도로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거리를 기준으로 등록자들이 분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건립계획은 단지 도서관학의 범위에만 속하는 것이 아니므로, 도시계획이나 지역계획 그리고 공공도서관 운영을 하는 이들과 공유할 수 있는 GIS를 이용한 분석 수단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The 21st century is regarded as an era of pluralism.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growing needs related to public libraries, which are local community facilities. Moreover, local communities with large populations have more opportunities to implement changes. Therefore, it is insufficient for public library managers to establish operating plans based merely on intuitive identification of service area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esent planning models for the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ies in large cities through an analysis of regional structures and the locations of library registrant addresses. The research sample comprised central libraries in the five cities that were selected for the 2012 GIS-based Planning Support System for Public Library Building Project. Among users registered with the libraries, those who had used the libraries in the previous three years were identified, and their addresses were visualized through the ArcGIS program. The proportions of library registrants within certain distances of the library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visualization. Approximately 53% of the registrant addresses were located within a 2 km radius of the libraries built before 2000. The proportion was 72.5% for the libraries built in 2008,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were associated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the libraries rather than with population density.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ervice area for a central library should be within a 2.5-3 km radius, where the exact radius depends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his range can cover about 80% of library registrant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addresses of those registered to a library situated in the center of a city were not necessarily distributed according to distance because such a library could be accessed from major roads. In conclusion, the construction plans for public libraries should go beyond the boundaries of library science and seek support from multidisciplinary areas, including urban planning and regional planning.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invent GIS-based analysis tools that can be shared by all public managers.

      • KCI등재
      • KCI등재

        공공도서관 세부소요공간 규모기준에 관한 연구

        임호균(Lim, Ho-Kyun),고흥권(Ko, Hung-Kw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lanning guideline of individual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The 26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outstanding libraries built after the year 2000. The paper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ta from analysis and the guideline from manual book of public librar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ed ; The first, reference reading rooms were open-plan rather than segmented. The second, the percentages of reference reading spaces from the data were lower than the guidelines. It proved the fact that the role of public library expanded to cultural community space. The third, children"s space retained sufficient numbers of book collections. It represented that people real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library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The fourth, the percentage of space size of cultural area showed high amount of numbers. It proved the fact that the public library as community center was required various cultural programs. The fifth, the percentages of preservation library were lower than the guideline in case of the big libraries, while the small libraries were higher. The book collections of detached annex libraries should be linked with the central libraries.

      • KCI등재

        직화구이와 급랭가공법을 이용한 고등어 제품의 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 검토

        임호정(Ho-Jeong Lim),김미소(Mi So Kim),유학수(Hak Soo Yoo),김재겸(Jae-Kyeom Kim),신의철(Eui-Cheol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구이와 급랭 방식을 적용한 냉장 유통 고등어와 일반적인 냉동 유통 고등어의 성분 비교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가공 과정에서의 영양성분 함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한 향기성분을 포함한 관능적 특성에서도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이 과정이라는 고온 열처리 공정이 있었지만 급랭 방식을 통해 식품의 신선도 유지 기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얻었고, 고등어 제품의 색도 역시 유지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이 과정에서의 주요인자인 구이 온도, 구이 시간 및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의 전달 방법에 관한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고등어 제품이 가지는 우수한 영양적 관능적 특성을 유지한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기를 기대한다. Nutritional compositions,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attributes of grilled and fast-chill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its practical utilization as a food resource compared to commercial frozen mackerel. In the proximate analysis, lipid contents were 27.3±2.7% in grilled and fast-chilled mackerel. Palmitic acid was the most predominant fatty acid (20.68% and 18.88%), and the percentage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were higher than 40% in both. No benzopyrene was found in the grilled mackerel, and even grilling was employed at 260°C. For chemical stabilities, para-anisidine value (8.56 vs. 9.26) and acid value (2.96 vs. 3.35) in grilled mackerel were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mackerel. Moreover, color index of grilled mackerel, a physiological property, showed greater lightness than commercial mackerel. Lastly,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by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d sensory tests by trained panels demonstrated higher potential for grilled mackerel as a highly marketable product compared to commercial mackerel. Taken altogether, the above results provide important preliminary results for utilization of grilled and fast-chilled mackerel as a quality food.

      • 무인항공기 자동조종장치의 강건성 해석에 관한 연구

        임호,김기열,김호,Lim, Ho,Kim, Ki-Yeol,Kim, Ho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1 情報學硏究 Vol.4 No.3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utopilot of the unmanned piloted vehicle to guide to the specific position and analyzed robustness of the designed autopilot. We divide an aircraft velocity into the three case which are low, crusing and high speed, and designed autopilot gains are gain scheduled. We generated the turbulence for the operational altitudes and analyzed performance of the autopilot about it. We proved robustness of the designed autopilot for the turbulence and gust using simulation.

      • SCOPUSKCI등재

        국내산 땅콩의 일반 품종과 고올레산 품종에 대한 지용성 영양성분과 산화안정성 비교

        임호정(Ho-Jeong Lim),김미소(Mi-So Kim),김다솜(Da-Som Kim),김회성(Hoe-Sung Kim),배석복(Suk-Bok Pae),김재겸(Jae Kyeom Kim),신의철(Eui-Cheol Shin)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는 가열 산화에 따른 일반 및 고올레산 땅콩 유지의 화학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땅콩 유지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80oC에서 25일간 가열 산화시켜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식물스테롤 및 산화안정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일반 및 고올레산 유지의 주요 지방산은 올레인산과 리놀레산으로 이들의 비율(O/L)은 일반 품종 2.75, 고올레인산 품종 5.23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동안 가열산화에 의해 리놀레산이 파괴되어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일반 품종이 고올레산에 비해 리놀레산의 감소량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안정성을 나타내는 과산화물가와 산가를 측정한 결과 두 가지 유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일반 품종은 과산화물가와 산가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올레산 품종은 상대적으로 다소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가열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코페롤과 식물스테롤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일반품종에서 감소되는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고올레산 품종의 경우 높은 올레인산 비율과 낮은 리놀레산의 비율로 인해 일반 품종보다 우수한 산화안정성을 보였으며, 지방산 조성뿐 만 아니라 토코페롤과 식물스테롤의 함량변화 역시 고올레산 품종에서 더 높은 잔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enerally, peanuts are classified as high-fat foods as they possess high proportions of fatty acids. This study compared lipid constituents and properties between normal and high-oleic peanuts.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analyses revealed that the fatty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ormal and higholeic peanuts (p<0.05). Eight fatty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samples, including palmitic (C16:0), stearic (C18:0), oleic (C18:1, n9), linoleic (C18:2, n6), arachidic (C20:0), gondoic (C20:1, n9), behenic (C22:0), and lignoceric (C24:0) acids. Four tocopherol homologs were detected, and α- and γ-tocopherols were the predominant ones. Tocopherols were rapidly decomposed during 25 day storage at 80℃. The main identified phytosterols were beta-sitosterol, Δ<SUP>5</SUP>-avenasterol, campesterol, and stigmasterol. Acid and peroxide values indicated that high-oleic peanuts have better oxidative stability than normal peanuts. These results can serve as the basis for the use of peanuts in the food industry.

      •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대학생 자아정체감 비교분석 연구

        임호용 ( Ho Yong Lim ),황청일 ( Chung Il Hwa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11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관계 및 성별, 학년, 인터넷 활용 시간에 따른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검증하였다. 현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나,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사지를 제작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둘째, 오직 인터넷 활용 시간 정도에 따라서만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셋째, 현실 공간에서의 친밀성, 주도성, 자기수용성이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32.3%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한점을 보완하고 보다 발전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1) How is related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real and cyber-space? (2) Are the differences of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real and cyber-space by sex, grade, internet usage time? (3)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cyber-space? To answer these questions, Korean ego-identity tool was used, and Developed ego-identity tool in cyber-space was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suggest that (1) ego-identity of real and cyber-space are related to each other. (2) only the internet application time was the main a variable which make difference in university student`s ego-identity in real and cyber-space. (3) intimacy, initiative, and receptiveness in real life are the critical factors that make happy or unhappy cyber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