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부르후리〉전승과 옥녀늪전설 연구

        임철호 ( Cheol Ho Lim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5 No.-

        〈Buerhuli〉 is the mythological story which explains the origin of the Man race and Cheong dynasty in China. The detail of the myth was changed when it was accepted by the Han race and Josun race. The most important change in the transmission of 〈Buerhuli〉 is the loss of the holiness and the increase of secularity in the protagonist``s blood. This is why the myth of the Man race was changed into a legend in the course of transmission to the Han race and Josun race. The Josun race changed the name of 〈Buerhuli〉 of the Man race and Yuanchi of the Han race into Oknyeo Swamp. That is to say, they accepted 〈Buerhuli〉 of the Man race and the Han race but created the legend of Oknyeo Swamp. This mirrors the realistic limitation and racial consciousness of the Josun race who had no other choice but to live with the Chinese but could not become Chinese people. The legend of Oknyeo Swamp contains the legend of the dragon``s son whose main theme is cultivating rice and the folk tale of the struggle against Japan whose main theme is the struggle againste Japanese army. The reason why the Josun race accepted the mythological story of the Man race but created a new legend of Oknyeo Swamp was that the reality of the Josun race was changed. The legend of the dragon``s son was concerned with the food problem which was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e first generation of the Josun race and the folk tale of the struggle against Japanese army was concerned with the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with the Chinese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Josun race. The Josun race highlighted through the folk tale of the struggle against Japan that they and the Chinese were comrades who had the common enemy of Japan.

      • KCI등재

        의 전승과 의미

        임철호(Lim,Cheol-ho)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0 No.-

        The legend of Dumangang River is the story which explains the background and process why the river came to have the name Dumangang River. Though there remain five works which deal with the legend of Domangang river, that of Han Jungchun's is the prototype and all the rest are modifications of the prototype. The modifications of the legend vary from plagiarism to the editor's intentional abbreviation. That is because they have no idea of the authorship and of publishing ethics. The legend of Dumangang River consists of the story of Domanggang, the Story of Dumankang and the story of Dumangang. The story of Domanggang is different type from the story of Dumankang, but the author made the two connected. The story of Dumangang is a modification of the story of Dumankang which had no connection with the river originally. The story of Domangang reflects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inese name of The river, Tumenjiang. The story of Dumankang shows the Chosunjok's cultural superiority, racial generosity and tolerance over those of Manjok. The consciousness of Chosunjok's cultural superiority derives from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Manjok who led the foodgathering lives and Chosunjok who led agrarian lives. On the other hand, the two stories emphasize the two races were derived from the same ancestor. The legend of Dumangang River expresses the story of the name's forming, the culture of the Manjok race who shared the Dumangang river and the history and recognition of the reality of Chosunjok rare who had no other choice but to live with the Manjok race in their territo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전문학 : <운봉전> 연구

        임철호 ( Cheol Ho Lim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2 No.-

        <운봉전>은 조선족 장편설화이다. <운봉전>에는 구약설화를 중심으로 아기장수설화, 지하대적퇴치설화, 괴물퇴치설화 등이 수용되어 있다. <운봉전>의 핵심 내용이 약초를 구해와 마을 사람들을 살리는 것이기 때문에 구약설화를 근간으로 세 유형의 설화가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운봉전>에 수용된 기존의 설화들은 같은 유형이라 할지라도 작가의 의도와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취사선택되었다. 수용되면서 원형을 유지한 경우는 거의 없고, 다른 유형과 연결되거나 내용의 일부가 바뀌는 등 다양한 변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이의 중심에는 주인공 운봉에 대한 민중적 영웅화가 있다. <운봉전>은 운봉을 민중적 영웅으로 만들기 위해 여려 유형의 설화들을 수용하면서 다양한 내용으로 변이시켰다. 운봉이 괴물들을 퇴치하고 약초를 구해올 수 있게 하기 위해 아기장수설화를 수용했고, 죽임을 당하지 않고 성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체제도전의 민중적 영웅으로서의는 한계를 설정하였다. 지하대적퇴치설화를 수용하면서 공주와의 결혼을 거부하고 민간 처녀와 결혼하게 하였다. 괴물퇴치설화를 수용하면서 운봉을 피해자가 아닌 구출자로 변이시켜 운봉이 개인의 이익을 구추하지 않는 민중이 영웅임을 분명히 하였다. <운봉전>에서 운봉은 배경설화의 주인공들과는 달리 더 이상 설화적 영웅이 아니라 조선족을 대변하는 민족적 영웅,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구출하는 민중적 영웅, 현실에서 살아 숨쉬는 사회적 영웅으로 재창조되었다. Chosunjok folk tales are the ones collected and published by the Chosunjok writers. Chosunjok long folk tales are the ones in which several different types of Chosunjok folk tales are connected. Since professional writers themselves collected and classified folk tales, there tend to be more long folk tales in Chosunjok``s than in South Koreans``. Woonbongjun is one of the Chosunjok long folk tales. Kuyak story is the leading plot of Woonbongjun, but several other tales such as ageejangsu story, jihadaejuktoechi story, goemooltoechi story etc. are also involved in it. The main plot of kuyak story, which maintain the major part of Woonbongjun, is about a hero who managed to find medicine herbs and to save his family members or neighbours. The connected stories such as ageejangsu story, jihadaejuktoechi story, goemooltoechi story contribute to glorify the hero`s deeds. But on the way of merging those stories, the plots of the stories had been changed to shape Woonbong into a popular and impressive hero. One of the main changes was that Woonbong married not the princess he saved but a common girl. This change of the story had the effect of making Woonbong not just one of the heroes but the ideal hero of common people.

      • KCI등재

        두만강의 양면성 고찰

        임철호(Lim, Cheol-ho)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6 No.-

        The Duman River appears to have two facets in the folk tales of Chosunjok: one is the river of life and paradise and the other death and separation. The reason why the character of the Duman river changes is that the reality of Chosunjok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At the time Chosunjok moved and settled down around the river, the Duman river was a paradise to them. Because they were not under the despotism and exploitation of Joseon Dynasty, they had no other choice but to think of the life around the Duman river as the life in the paradise. It is the river of life because the ancestors of Manchues and heros of Chosunjok were born in the river. As the founder of Manchuria and the heros of Chosunjok were born in the same river, Manchues and Josunjok were brothers. The reality of Chosunjok who had no other choice but to live together with Manchues was mirrored in this view. On the contrary, the Duman river appears as a river of death and separation in its legends. The history and reality of Chosunjok who had no other choice but to live in a foreign country were mirrored in this view. After the Chinese administrators ruled and the Chinese guarded the river, the territory around the Duman River ceased to be a paradise. Chosunjok had to leave their family on the other side of the river and cross the dangerous river to make a living and some had to commit suicides in the river to finish the hard lives. That is the reason why the Duman river is recognized as a river of separation and death. The reason why the Duman River has a double-sidedness is that the reality of Chosunjok has changed from a state of the masters of the land, even though the land is other country’s territory, to a state of the slaves under the Chinese rule.

      • KCI등재

        적지전설의 전승과 변이 연구

        임철호 ( Cheol Ho Lim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4 世界文學比較硏究 Vol.47 No.-

        This legend had many different versions in accordance with the time, media, and the place of its transmission. Among the written narratives, there were 〈Yongbieocheonga〉 and Yeojidoseo. The Jeokji legend in 〈Yongbieocheonga〉 described Dojo and Yi Sung Gye as the legendary heroes by laying great emphasis on the political purposes. On the other hand, the story in Yeojidoseo, which is a geography book, maintained the original character and function of the folklore. In the oral versions, the political tints were weakened, but legendary functions were strengthened. The number of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ves was reduced, but the more evidences were introduced, so the stories were getting more dynamic and varying. The most noticeable change in the oral versions was the location of the evidences had been expanded from the country to China. The legend transmitted in Josunjok narratives had been changed differently from the homeland. Although It also depicted the heroic aspects of Dojo and Yi Sung Gye, their roles had been changed from the legendary heroes to the national ones. The location of evidences in Josunjok narratives had been limited to the homeland, so the stories were also limited. 적지전설은 국내의 문헌설화와 구비설화, 그리고 조선족의 구비설화와 조선족설화 등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적지전설은 증거물인 ``적지``의 명칭 유래담인 동시에 도조의 영웅성과 이성계의 조선왕조 창업이 용의 보은에 의한 것이라는 정치적 성격과 기능도 지닌다. 적지전설은 전승의 시기와 매체, 그리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이를 보인다. 〈용비어천가〉의 적지전설은 정치적 목적이 개입되면서 도조와 이성계가 신화적 영웅으로 변이되어 있다. 『여지도서』는 지리서라는 책의 성격 때문에 민간전승의 설화를 그대로 수용하여 전설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적지전설 전승에 포함시킬 수는 없지만 거타지설화와 작제건설화도 전반적인 내용은 적지전설과 같다. 그러나 도조와 이성계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고, 또한 적지 유래담이 아니라는 점에서 독자적으로 전승되던 ``악룡 퇴치 이야기``를 각기 다른 경로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구비설화로 전승되는 적지전설은 정치적 성격이 약화된 반면에 전설로서의 성격은 강화되어 있다. 등장인물도 도조와 이성계 두 사람에서 이성계 한 사람으로 단순화되어 있고, 증거물의 수가 늘어나면서 이야기 또한 다양해졌다. 민간전승의 구비설화로 전승되는 적지전설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변이는 증거물의 소재지가 국내에서 중국으로 확장되고 있는 점이다. 조선족의 적지전설은 국내의 적지전설과 다른 양상으로 전승되었다. 도조와 이성계의 영웅성을 내용으로 한다는 점은 같지만, 이성계가 신화적 영웅이 아니라 민족적 영웅으로 변이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조선족 적지전설의 경우 증거물이 중국이 아닌 국내에 있기 때문에 전승에 상당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에 있는 증거물과 연결되면서 적지전설의 내용 또한 다양한 변이를 보이게 되었다.

      • KCI등재

        조선족 발해전설 연구

        임철호(Lim, Cheol Ho)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9 No.-

        조선족 발해전설에는 경박호전설, 명당설화, 축성설화, 백성들의 무용담, 그리고 지배집단의 행패와 무능을 비판하는 설화들이 있다. 역사전설로서의 분명한 성격을 지닌 작품도 있지만 일부 설화의 경우 역사성이 퇴색되면서 단순한 지명유래담으로 변이된 것도 있다. 경박호전설의 공통적인 내용은 호수 이름과 거울의 유래담이다.「경박호⑴」은 발해 멸망과 애왕의 한을,「경박호와 모란강」은 지배집단의 행패로 인한 민중의 비극적인 삶을 내용으로 한다.「경박호⑵」는 거울을 매개로「경박호⑴」과 연계하여 보지 않으면 발해전설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역사성이 퇴색되어 있다. 발해 명당설화에는 강대국의 가해로 인한 약소국의 민족적 좌절 이야기가 없다. 대신 상경룡천부와 동경룡원부가 발해의 명당에 세워졌기 때문에 발해가 번성했다는 우월의식이 깔려 있다. 국내 명당설화에 공통적으로 전개되는 중국의 단맥과 이로 인한 우리 민족의 좌절 이야기가 발해 명당전설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발해가 중국을 적대적 가해자로 인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해 축성설화에는 지배집단의 행패로 인한 백성들의 비극적인 죽음 이야기가 다양한 내용으로 전개되어 있다. 축성으로 인한 백성들의 비극적인 참상 이야기가 많은 것은 발해 백성 가운데 고구려계 유민보다 이민족이 더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백성의 무용담에는 여성들의 활약상이 부각되어 있다. 여성들의 활약상은 무능한 남성 지배집단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여성의 사회 진출에 대한 강한 욕망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발해 패망의 원인을 남성 지배집단의 무능이라는 내부적인 요인으로 돌리기 위한 의도성도 엿보인다. 고구려전설의 대부분에서 조선족은 자신의 민족적 원천과 문화적 본향을 고구려에 두고 있다. 그러나 발해전설에는 조선족과 발해의 직접적인 관계나 친연성(親緣性)이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고구려전설과 달리 발해전설은 조정과 지배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타 민족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형성되고 전승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해전설의 이러한 성격은 발해의 지리와 민족적인 구성이 고구려와 다른 데서 기인한 것이다. 또한 중국이 발해를 자국의 역사로 다루고 있는 현실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조선족의 민족적 위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족이 중국과 적대적인 관계와 대결을 내용으로 하는 조선족설화를 전승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The legends of the Balhae Kingdom passed down to the Joseonjok, a name referring to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cludes the legends surrounding Jingpo Lake, the tales of the propitious grave site, of fortification (or construction of castle), of heroism of the common people and women, and the stories exposing and reproaching the tyranny and incompetence of the ruling classes. Overall, they are mostly of historical nature, yet some of them are stories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name of a place as the historical aspect faded in the course of time. Most of the legends on Jingpo Lake are related to the origin of the name of the lake and the mirror. However, Jingpo Lake is concerned with the fall of the Balhae Kingdom and the regret of King Ae, whereas Jingpo Lake and the Mudan River narrates the tragic condition of the people due to the oppression of the ruling classes. Sanggyeongryongcheonbhu and Palryeonseong are characterized by the sense of ethnic superiority that the Balhae people seem to have felt over the Tang Dynasty of China. Unlike the tales of the propitious grave site in Korea, there is no story about cutting off the mountain ranges by other nations and the following frustration of the nation. This means that Balhae did not see China as an enemy country. Tales of fortification consist of diverse stories dealing with the tragic deaths of the people due to the tyrannical government of the ruling few. Somewhat different from the legends of the Goguryeo Kingdom, there are many tales describing the affliction of the people caused by castle construction because in the Balhae Kingdom the ethnic groups of Chinese origin including the Khitans outnumbered the displaced people from Goguryeo. Legends of Balhae featuring the tales of people’s heroism highlight the active role played by women. It is a criticism on the incompetent males and at the same time a reflection of the strong aspiration of women for social participation. Many of the Balhae legends are concerned with revealing and reprimanding the depravity and despotic rul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elite group. This reveals the intention to find the cause of the fall of the Balhae Kingdom not in the external factors but in the internal division and incompetence of the ruling classes, particularly in the immoral conduct of the royal family. These aspects of the Balhae legends originate in the fact that the geography and ethnic composition of the kingdom were different from Goguryeo. It is also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Joseonjok who are not free from the official policy of China to include Balhae in its own history. Unlike the legends of Goguryeo, the legends of Balhae do now show a close affinity between the Joseonjok and the Balhae Kingdom, which shows the limitations the Joseonjok are faced with in Chinese territory today.

      • KCI등재

        조선족 장편설화 <조카에게 망신당한 삼촌>의 형성 연구

        임철호(Lim, Cheol Ho)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1 No.-

        <조카>는 9개 유형의 독립된 이야기들이 연결되면서 형성된 조선족 장편설화이다. 9개 유형의 이야기들은 독자적으로 전승되기도 하고, 다른 설화와 연결되거나 다른 설화의 일부로 포함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조카>가 여러 유형의 독립된 조선족설화들을 수용하여 형성된 장편설화임을 나타낸다. <조카>의 근간이 되는 핵심적인 내용은 삼촌의 가해에 대한 조카의 적대적 대결에서 조카가 승리하는 이야기이다. <조카>는 삼촌과 조카의 적대적 대결을 내용으로 하는 <신선놀음>, <밀방사약>과 같은 조선족설화를 근간으로 하여 선격인 조카가 악독한 삼촌을 망신시키는 다양한 내용의 이야기들을 수용하였다. <벽동군수>는 삼촌과 조카의 대결 이야기는 아니지만, 내용의 일부가 같을 뿐만 아니라 탐욕스런 정승과 세 아들을 망신시키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조카>와 유사함을 보이고 있다. <조카>에는 조카 오북선이 요괴들을 퇴치하는 이야기가 중요한 내용으로 전개되어 있다. <조카>에 수용되어 있는 요괴퇴치 이야기는 삼촌과 조카의 대결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그러나 어린 조카를 괴롭히는 삼촌을 악격의 전형으로 보면 지배집단을 상징하고 있는 요괴들과 같은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조카>에 수용되어 있는 요괴퇴치 이야기는 삼촌에 대한 적대적 대결에서 승리 하는 조카 이야기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Joka> is a Josunjok long folk tale which is composed of 9 types of stories. Its main plot is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he Samchon (uncle) and his nephew and nephew"s victories on his uncle. Some stories were on direct fights between them, some others were on indirect fights via monsters and his three cousins (Samchon"s three sons). This tale shows many aspects of opponent relation between Samchon and his nephew; for example, his nephew, Ohbooksun, stole Samchon"s horse and sold it out; he killed foxes and monsters; he humiliated his three cousins one by one. The second story did not seem to have any direct relation to the fight against his uncle. But if you interpret foxes and monsters as the symbols of wickedness which agonize the weak, you could regard them in the same light with Samchon who had distressed his nephew. The text of <Joka> had not been written at once but been formed by various types of stories being connected and inserted through a long time. We couldn"t find the same Josunjok tale as <Samchon> in its form and content. But all the stories in <Joka> could be found in other Josunjok folk tales. It tells us <Joka> is not a pure type of oral folk tale, but the tale which had been made by informants and auth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Josunjok long folk tales, <Joka> is more likely to be written by authors rather than by inform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