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반 변형을 지닌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 단독과 근위 경골 절골술 동반 수술의 결과 비교

        문재영,선종근,송은규,김형순,임지현,조현종,Moon, Jae-Young,Seon, Jong-Keun,Song, Eun-Kyoo,Kim, Hyung-Soon,Yim, Ji-Hyeon,Cho, Hyun-J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1 No.1

        목적: 내반 변형을 지닌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절제술을 시행 중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을 시행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 결과를 비교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circ}$ 이상 내반 변형과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을 지닌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절제술을 시행받고, 최소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30명에 대해서는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2명에 대해서는 반월 연골판 절제술만 시행하였었다. 평균 추시 시간은 52.5개월 (36.0~76.6)이었다. 최종 추시 상 두 군간에 수술 전 증상의 소실 유무, 수술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및 HSS 점수에 대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최종 추시 상 방사선학적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증상의 호전은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83.3%, 25예)에서 의의있게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부분 절제술만을 시행한 군(66.7%, 8예)보다 호전을 보였다. 환자 만족도 역시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83.3%, 25예)에서 반월상부분 절제술만 시행한 군(58.3%, 7예)보다 의의있게 높게 나타났다. HSS 점수는 근위 경골 절골술을 같이 시행한 군은 술 전 56.9점에서 술 후 90.8점으로 향상되었으며, 반월 연골판 부분 절제술만을 시행한 군에서는 술 전 67.9점에서 술 후 89.0점으로 향상되었으나,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WOMAC 점수 역시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최종 추시 상 방사선학적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에 있어서 두 군간에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내반 변형을 지닌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의 치료에 있어 좋은 임상적 결과를 위해서는 근위 경골절골술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퇴행성 관절염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meniscectomy with HTO or without HTO for degenerative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with var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patients who had medial meniscus degenerative root tear with varus deformity more than 3 degrees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Among them, 30 patients were performed meniscectomy combined with open wedge HTO and 12 patients were performed only meniscectomy without HTO.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2.5 month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symptom improvement,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for surgery and HSS score. We also compared the osteoarthritic progression between the group on preoperative and at the final follow up radiographs. Results: Symptom improvement was achieved in 83.3% (25 cases) with HTO group and 66.7% (8 cases) without HTO group at final follow u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atients' satisfaction was achieved in 83.3% (25 cases) with HTO group and 58.3% (7 cases) without HTO group which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SS score was improved in both group (90.8: with HTO group, 89.0: without HTO group) at the final follow 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WOMAC score was improved in both groups at the final follow 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steoarthritic progression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good clinical result for treatment of patient who have medial meniscus degenerative root tear with varus deformity, proximal high tibial osteotomy is considered absolutely necessary. However,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its effect on long term follow up will be needed.

      • KCI등재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방법과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결과 비교

        조현종(Hyun Jong Cho),선종근(Jong Keun Seon),임지현(Ji Hyeon Yim),오창선(Chang Seon Oh),송은규(Eun Kyoo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5

        목적: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과 고식적 방식을 이용한 전치환술 후 5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들에서 슬관절 이완도,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발성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 92예(내비게이션 47예, 고식적 45예)에 대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슬관절 이완도를 측정하기 위해,90˚ 굴곡 위에서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를 시행한 후, 두 그룹 간에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90˚ 굴곡 상태에서 외반 이완도는 내비게이션 군에서 3.9˚와 고식적 군에서 4.0˚, 내반 이완도는 4.0˚와 4.3˚였다(p=0.19, 0.22). 또한, 이완도의 총합에서도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내비게이션 군 7.8˚, 고식적 군 8.1˚; p=0.35). 그러나, 이완도의 총합이 10˚ 이상의 불안정성을 보인 경우는 내비게이션 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내비게이션 군 1예, 고식적 군 6예, p=0.04). 결론: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은 고식적 방법에 의한 슬관절 전치환술에 비해 불안정성을 보이는 경우가 적었으며, 정확한 하지 정렬, 강직도의 향상을 제공할 수 있었다. Purpose: Authors compared the laxity,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performed using the navigation system and us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 at least 5-year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Total of 92 TKAs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Forty seven TKAs were performed by the navigation group and 45 TKAs were performed by the conventional surgery. At the final follow up, to evaluate knee joint laxity, varus-valgus laxities were measured on the stress radiographs taken with varus or valgus loads at 90˚ of flexion. The radiologic measurements and the clinical evalu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the mean of valgus laxities were 3.9˚ in the navigation group and 4.0˚ in the conventional group, and the corresponding mean of varus laxities were 4.0˚ and 4.3˚(p=0.19, p=0.22) at 90˚ flexion stat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laxities (7.8˚ in the navigation group and 8.1˚ in the conventional group, p=0.35). However, more than 10˚ of total lax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navigation group (1 knee in the navigation group and 6 knees in the conventional group, p=0.04). The outlier numbers at mechanical axis, the mean of coronal inclination of the femoral and tibial component and the mean of sagittal inclination of the femoral and tibial component i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iffness of WOMAC score was significantly better in the navigation than in the conventional group (p<0.001). Conclusion: Varus-valgus lax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groups as were the outlier numbers. The navigation system could provide good, improved alignment accuracy of the lower extremity and better result in stiffness of knee compared with conventional techniqu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소아 고관절 감염 후유증에 대한 Cone 대퇴삽입물을 사용한 무시멘트성 고관절 전치환술

        윤택림(Taek Rim Yoon),송은규(Eun Kyoo Song),박상진(Sang Jin Park),조상권(Sang Gwon Cho),임지현(Ji Hyeon Y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목적: 소아 고관절 감염 후유증에 대해 Cone 대퇴 삽입물을 사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cone 대퇴 삽입물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로 치료한 소아 고관절 감염 후유증이 있는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되었던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44세였다. 원인 질환은 화농성 감염 후유증이 34예, 결핵성 감염 후유증이 3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1개월이었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45점에서 최종 추시 상 90점으로 향상되었다. 하지 부동은 술 전 평균 3.1 cm에서 술 후 0.7 cm로 감소하였다. 5 mm 이상의 대퇴삽입물의 침강은 1예에서 관찰되었으나, 진행하지 않았다. 1예에서 비구컵의 위치 변화가 관찰되어, 술 후 53개월에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2예의 고관절에서 각각 술 후 6, 9개월에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인공 삽입물을 제거하였다. 2 mm 이상의 대퇴 삽입물 주위의 방사선 투과성 선은 1예에서 발견되었으나 해리의 증거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소아 고관절 감염 후유증 환자에서 Cone 대퇴 삽입물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은 우수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cone prosthesis for childhood septic hip sequela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even patients of childhood septic hip sequelae that were treated with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cone prosthesis, were evaluated after at least 2 years of follow-up.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44 years. The cause of hip infection was pyogenic in 34 cases and tuberculous in 3.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was 51 months. Results: The average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45 points preoperatively to 90 points postoperatively. The mean leg length discrepancy decreased from 3.1 cm preoperatively to 0.7cm postoperatively. There was one case of stem subsidence over 5 mm, which didn't progress further. One patient underwent revision for migration of acetabular cup at postoperative 53 months. Postoperative infection occurred in 2 patients at postoperative 6 and 9 months respectively, which were treated by prosthesis removal. Radiolucent line over 2 mm was observed between the bone and stem in 1 case, without any evidence of loosening. Conclusion: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cone prosthesis for childhood septic hip sequelae resulted in excellent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

      • KCI등재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의 10년 추시 후의 골관절염

        송은규(Eun Kyoo Song),선종근(Jong Keun Seon),윤택림(Taek Rim Yoon),서형연(Hyoung Yeon Seo),임지현(Ji Hyeon Y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평균 10년 추시 후 발생한 골관절염의 발생빈도와 그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8년 이상 경과한 118예 중에서 추시가 가능하였던 56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상 당시의 연령은 평균 31.3 (19-58)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0.6 (8.6-13.8)년이었다. 최종 추시 양 슬관절 체중부하 전후면 및 측면과 Merchant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과 Laurence 방법을 이용하여 골관절염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결과(Lysholm 점수, Lachman test, 축이동 검사, 술전 운동으로의 복귀 여부), 방사선학적 결과(전방 불안정성, 지속적 전방 아탈구), 수상에서 재건술까지의 기간, 수상 당시 연령 및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 유무와 성별에 따른 골관절염의 발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총 56예 중 23예(41%)에서 골관절염이 관찰되었으며(Grade Ⅱ, 18예; Ⅲ, 5예) 부위별로는 내측 구획은 전 예에서, 외측 구획은 12예에서, 대퇴-슬개 관절은 11예에서 관찰되었다. 그 중 19예에서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되었으며 (OR, 10.336; p=0.001), 손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이 6개월 이상 경과한 경우(OR, 4.611; p=0.030)와 재건술 당시 연령이 26세 이상인 경우(OR, 5.038; p=0.023)에 의미 있는 골관절염의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골관절염의 발생과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전방 불안정성과 지속적인 아탈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p>0.05). 결론: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의 평균 10년 추시 결과 41%의 골관절염이 발생하였으며, 반월상 연골 손상이 동반된 경우, 재건술 당시의 연령이 많은 경우 및 수상 후 재건술까지의 기간이 긴 경우에 많은 골관절염이 발생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after a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using a patellar tendon autograft after an average follow-up period of more than 1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examined 56 cases that were selected from 118 cases who underwent an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the ACL using a patella tendon autograft a minimum of 8 years ago and were available for follow up. The mean age at the time of the reconstruction was 31.3 years (19-58 years),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0.6 years (8.6-13.8 years). At the last follow up, the presence of osteoarthritis on the weight-bearing antero-posterior and lateral, and Merchant's radiographs, was assessed using the Kellgren and Laurence classific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osteoarthritis and the clinical results (Lysholm knee score,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return to preinjury activity), the radiological results (anterior laxity, persistent anterior subluxation), the interval from injury to the reconstruction, the patient age at the time of the reconstruction, the presence of an accompanying meniscal injury, and the patient's gender were examined. Results: Among the 56 cases, osteoarthritis was detected in 23 (41%) (grade Ⅱ, 18 cases; grade Ⅲ, 5 cases), and in regard to the lesion sites, the medial compartment was detected in all cases, the lateral compartment in 12 cases and the patello-femoral compartment in 11 cases. Among them, 19 cases were accompanied with a meniscal injury (OR, 10.336; P = 0.001),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osteoarthritis was detected in those cases with a interval from the injury to the reconstruction of more than 6 months (OR, 4.611; p=0.030), and in those aged more than 26 years at the time of the reconstruction (OR, 5.038; p=0.023).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osteoarthritis and the clinical outcome, radiological anterior laxity and continuous anterior subluxation, and genders (p>0.05). Conclusion: Osteoarthritis developed in 41% of cases, and developed more frequently in those cases with an accompanying meniscal injury, older patients at the time of the reconstruction, or in those with a longer interval from the injury to reconstruction.

      • KCI등재

        활동성 고령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 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 두 부위 절개 고관절 전치환술

        허창익(Chang-Ich Hur),윤택림(Taek-Rim Yoon),박경순(Kyung-Soon Park),조상권(Sang-Gwon Cho),임지현(Ji-Hyeon Y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활동성 고령 환자에서 전위성 대퇴골 경부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 두 부위 절개 고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0세 이상의 전이성 대퇴골 경부 골절에 대해, 수상 후 30일 이내에 최소 침습 두 부위 절개술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9예(평균 연령 72세)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수상 전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수술 후와 비교하고 최종 추시 때의 해리스 고관절 점수 및 WOMAC 점수를 측정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삽입물의 정렬과 주위 이상점을, 그리고 수술 후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해리스 고관절 점수는 평균 88.3점, WOMAC 점수는 평균 28.8점이었고, 추시했던 전례에서 보조기구 없이 보행이 가능하였다. 해리스 고관절 점수 70점 미만으로 평가된 환자는 1예였으며, 탈구는 2예에서 발생하였고 재탈구는 발생하지 않았다. 방사선학적으로 5 ㎜ 이상의 하지부동이나 5 ㎜ 이상의 대퇴 스템 침강 소견은 없었다. 그 외의 합병증은 없었고 특히 양극성 반치환술 후 자주 나타나는 서혜부 통증 호소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전위성 급성 대퇴골 경부골절에 대해 경험이 많은 숙련된 고관절 외과의에 의한 최소 침습 두 부위 절개 고관절 전치환술은 활동적으로 보행이 가능했던 고령의 환자에 있어 우수한 초기 임상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 term follow-up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MI) two-incision total hip arthroplasty (THA) for treating acute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s in active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39 cases (average age: 72 years old, range: 60 years and above) of elderly patients who underwent MI two-incision THA within 30 days of their injury for treating displaced acute femoral neck fractures. They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12 months.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comparing the pre-injury and postoperative daily activities, the Harris Hip score (HSS) and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y (WOMAC) score. The radiographs were checked to evaluate for implant alignment and periprosthetic abnormalitie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postoperative HSS was 88.3 and the average WOMAC score was 28.8. All the patients were able to walk without any assistive device. One patient had a HHS of less than 70. There were 2 dislocations but there was no recurrence. Radiographically, there was no case with a limb length discrepancy of more than 5㎜. The femoral stems did not reveal any subsidence of more than 5㎜. Other complications such as osteolysis, infection, neurologic injury and intraoperative periprosthetic fracture were not noted. Especially, no patient complained of any groin pain, which often occurs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Conclusion: The short term follow-up results were good for MI two-incision THA to treat acute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s in active elderly patients, and these procedures were done by an experienced hip surg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