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을 위한 직무지도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내 디자인 업무 수행률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임지욱,이소현 한국자폐학회 2018 자폐성 장애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coaching for work plan and performance by using a smartphone on the independence and accuracy of design work for three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heir target behavior was design working. The job coaching was supported by using a smartphone as a work plan and performance. This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 with thre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job coaching with using a smartphone for work plan and performance can improve the independence and accuracy of design work for adults with ASD at their workplace, and improved independence and accuracy of design work can be maintained. The results for the stud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job coaching for adults with ASD,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employment opportunities in various areas of the job.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job coaching for people with ASD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직장에 근무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활용 업무 계획 및 수행을 위한 직무지도가 이들의 디자인 업무 수행률 및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실제로 근무하는 직장에서 관찰과 면담을 통해 일련의 디자인 업무가 선정되었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을 위한 직무지도가 제공되었다. 본 연구는 세 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중재․유지의 세 단계에 걸쳐 실행되었다. 디자인 업무 수행률은 일련의 디자인 업무에서 각 단계를 촉진 없이 수행한 단계의 비율로, 디자인 업무 정확도는 정확하게 수행해야 할 항목을 촉진 없이 수행한 단계의 비율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 계획 및 수행을 위한 직무지도가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내 디자인 업무 수행률 및 정확도의 향상과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다양한 직무 영역으로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직업 생활 유지를 위해 이들이 근무하는 직장에서 제공되는 직무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Impact of Genetic Abnormalities on the Prognoses and Clinical Parameters of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제갈동,김명신,Ahlm Kwon,김현정,채효진,민창기,임지,김용구,한경자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3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3 No.4

        Background: We reviewed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MM) in order to assess the incidence of genetic abnormaliti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linical parameters, risk groups, and prognosis. Methods: A total of 130 patients with MM were enrolled. The incidences of genetic abnormalities were determined in all patients. The relationships of the genetic abnormalities and clin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a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bnormal karyotypes were detected in 42.3% (N=55) of the patients, and this was increased to 63.1% (N=82) after including the results determined with interphase FISH. Hypodiploidy was observed in 7.7% (N=10) of the patients, and all were included in the group with complex karyotypes (30.8%, N=40). The 14q32 rearrangements were detected in 29.2% (N=38) of the patients, and these most commonly included t(11;14),which was followed by t(4;14) and t(14;16) (16.2%, 11.5%, and 0.8%, respectively). Abnormal karyotypes and complex karyotypes were associated with disease progression markers, including low hemoglobin levels, low platelet counts, high plasma cell burden,high β2-microglobulin, and high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stages. A high free light chain (FLC) ratio and FLC difference were associated with abnormal karyotypes, complex karyotypes, and higher plasma cell burden. Hypodiploidy and low platelet counts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nd were more important in patient outcome than any single abnormality. Conclusions: Genetic abnormalities were associated with disease progression markers and prognosis of MM patients.

      • KCI등재

        사용성 평가를 통한 자원회수 키오스크 GUI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김아현,임지욱,홍진,이보영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5

        코로나 19로 인한 환경의 변화가 계속됨에 따라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형태도 변화되었다. 비대면(contactless) 서비스의 확장으로 인해 무인 서비스를제공하는 키오스크(Kiosk)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가장 큰 비중으로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플라스틱과 같은 자원들의 소비와 그로 인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적인 노력들의 시행으로 자원회수를 위한 키오스크의 개발은 환경 보호에 있어 편리한 회수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원회수키오스크 는 다양한 업체의 다른 회수 방법과각기의 GUI 화면으로 기능과 디자인에 대한 기본 가이드라인이 정립되지 않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들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높은수거율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1) 본 연구에서는자원회수의 특성에 맞추어 GUI 가이드를 제안함에목적성을 두고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자원회수키오스크 사용자의 사용 프로세스에 따라 GUI 디자인의 항목 요소를 검토하여 레이아웃, 그래픽, 컬러, 타이포그래픽, 데이터 등 5가지 요소로 정리하였으며 제시된프로세스 과정을 바탕으로 사용성을 고려해 GUI 디자인의 개념 및 사용성에 대한 평가 원칙을 수집해검증하였다. 연구를 바탕으로 자원회수키오스크 GUI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이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휴리스틱 분석을 통해 "네프론", "쓰샘", "해피해빗" 키오스크를 기준으로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첫째, 사용자들은 “명확성”과 “인지성”을 선호하였다. 둘째, 3가지 자원회수키오스크의공통적인 문제점은 “데이터”와 “레이아웃”의 “효율성” - 74 - 이 낮아 현재 자원회수키오스크의 상태와 현황 등의정보를 제공받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컨텍스트 기반으로 자원회수키오스크 사용 프로세스를 단계화하여 현재 자원회수키오스크의 GUI 디자인에 대한 사용성을 확인하고평가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자원회수키오스크 GUI 디자인사용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At the age of 19, the user's personality undergoes changes influenced by evolv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highlights the increasing role of glass service kiosks. Despite the longevity of durable plastics, their environmental impact becomes a significant concern. Addressing this, attention shifts towards recycling technologies. However, the growing diversity of recycling kiosks, coupled with varying recovery methods, leads to a lack of established guidelines for functionality and design, causing awkwardness in their implementation. The user's objective is to achieve a high collection rate,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efficient services. An invention proposes a GUI guide for kiosk design based on resource functions. The study systematically reviews and excludes elements of GUI design aligned with kiosk users' processes. It validates concepts enhancing GUI usability, encompassing graphics, color, typography, and data within a comprehensive process system. Using this research as a foundation, guidelines for evaluating recycling kiosk GUI usability are developed. These guidelines are applied to heuristic analysis using "Nephron," "TsuSam," and "HappyHabit" kiosks as benchmarks, revealing user preferences for "clarity" and "recognizability." The study identifies persistent efficiency issues in "data" and "layout" in the three recycling kiosks, indicating challenges i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ir status and condition. As a result, the research proposes comprehensive guidelines for recycling kiosk GUI design based on resource recovery, aiming for efficient services by rigorously verifying and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current GUI design for resource recovery kiosks.

      • KCI등재

        서빙 로봇 산업 동향 및 경험 디자인 전략 융합 연구

        홍진,김아현,임지욱,이보영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5

        서빙 로봇은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활용되며, 특히 외식업 등 서비스 분야에서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업이 환경이나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의 책임을 강화하는 동시에 경영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 전략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키워드 분석(Text Mining),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 토픽모델링(Topic Modeling)을중심으로 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빅데이터 기반의 서빙 로봇의 주요 토픽과 해당 토픽에 대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토픽1~9는 “일자리 보호와 코로나 대응 전략”, “외식업 주문 관리 및인건비 전략”, “서빙 로봇과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투자와 반도체 사업에 대한 연구 동향”, “푸드 테크(Food Tech)”, “스마트 테크(Smart Tech) 도약 전략”,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라이다(Radar) 기술의 전략적 활용”, “외식업 서비스와 테크협약“, “자율주행(Automatic Driving) 시대의 배달 사업”으로 도출되어 일자리 보호, 소상공인 지원,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투자 등 다양한 주제들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토픽에 의미 있는명칭 부여 및 디자인에서 제언할 수 있는 바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고려한 서빙 로봇의 디자인을 통해 기업의 ESG((Environmental, Social and Corporate Governance)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동시에,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수립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erving robot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es in modern society, and are attracting more attention, especially in service fields such as the restaurant industry. In this respect, we tried to find design strategies and measures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while strengthening corporate responsibility in terms of environment, society, and governance. The research method used data analysis centered on keyword analysis, word cloud, and topic modeling, and through this, the main topics of big data-based serving robots and strategies for those topics were derived. As a result, Topics 1-9 were derived from “Job Protection and COVID-19 Response Strategy,” “Restaurant Order Management and Labor Cost Strategy,” “Serving Robot and Self-Driving Technology,” “Research Trends on Startup Investment and Semiconductor Business,” “Food Tech,” “Smart Tech Leap Strategy,” “Strategic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DAR Technology,” “Tactical Utilization of Restaurant Services and Technology Agreement,” and “Delivery Business in the Age of Self-Driving,” and various topics such as job protection, small business support,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startup investment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meaningful naming and design for each topic were propos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design of serving robots that take into account environmental and social values will strengthen corporate responsibility for ESG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 a strategy to maximize business performance.

      • KCI등재

        데이터 트래킹 기반의 사용성 융합 평가를 통한 스마트 공기청정기 어플리케이션 GUI 디자인 방향 연구

        박경진,이보영,김아현,임지욱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미세먼지 등 공기오염 심화에 따라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실내 질 개선을 위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IoT기술이 생활가전 등 적용되는 추세에 따라 공기청정기 또한 데이터 트래킹 기능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환경과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공기청정기로 진화하고 있으나 스마트 공기청정기는 최근에 출시되어 스마트 공기청정기 기능과 디자인에 대한 앱 GUI 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스마트 공기청정기 사용자의 특성에 맞춰 GUI 가이드를 제안함에 목적을 두고 데이터 트래킹을 기반으로 공기 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프로세스에 따라 기능적인 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기 케어 앱 GUI 디자인의 구성 요소를 검토하여 데이터, 레이아웃, 컬러, 타이포그래피, 그래픽, 피드백으로 정리 하였으며 제시된 프로세스 과정에 따라 기능을 고려해 GUI 디자인 개념 및 사용성 평가 원칙을 수집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 공기청정기 앱 GUI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이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휴리스틱 분석을 통하여"LG ThinQ", "CESCO Air", "Dyson Link", "Xiaomi Mi Home"의 사용성을 평가하였으며 장단점을 발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용자들은 간결성과 심미성을 선호하였다. 둘째, 4가지 공기 케어 앱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데이터와 타이포그래피의 간결성과 인지성이 낮아 간결한 공기 질에 대한 정보를 받는 것엔 단점이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공기 케어 앱의 GUI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들의 사용성과 디자인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케어 앱 GUI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KCI등재

        기술수용의도에 기반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사용성 융합 평가 모델 연구

        박경진(Park, Kyong Jin),황인희(Hwang, In Hui),이보영(Lee, Bo Young),김아현(Kim, A Hyun),임지욱(Lim, Ji woo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예비 사용자들의 수용 의도를 파악하는 모델인 기술수용모델(TAM) 이론에 입각하여 디자인 결과물로 도출된 프로토타입으로도 단시간 내에 사용자의 수용 의사에 대한 예측 분석으로 수용 태도 및 의도가 판단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기존 선행 연구인 기술수용모델에서의 변수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의성 그리고 제품의 수용의도를 정의하였고, 이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디자인진흥원에서 제시한 사용자경험품질지수에서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 미적가치, 사용가치와 사회/감성 가치를 정의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 세 가지 사용자 경험 가치 특성을 적용시켜 새로운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본 모델의 타당성 및 가치 평가를 위해 가설 설계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 및 실증을 통해 미적가치, 사용가치, 사회/감성가치 모두 지각된 유용성과 영향이, 사용가치는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과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출시 전 하드웨어 타입의 제품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평가하는 모델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기반적 연구로 정립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보완 연구를 통해 새로운 사용성 평가 모델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ory, which is a model that identifies the acceptance intention of prospective users who want to use a new product, in this study, even with a prototype derived from a design result, the acceptance attitude was analyzed with a predictive analysis of users’ acceptance intention within a short time. and a new model in which intentions can be judg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e variables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hich are the existing prior studies, were defined a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ability, and product acceptance intention. In the quality index, aesthetic values, use values, and social/emotional values, which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ere defined. A new evaluation model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three user experience value characteristics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hypotheses were designed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value of this model. Through th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esthetic value, use value, and social/emotional value all had perceived usefulness and influence, and use value had perceived ease and influence of use.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s a basic study that it can be applied as a model to evaluate a product design prototype of a hardware type before release, and it is judged that it can be presented as a new usability evaluation model through future complementary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