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거노인 대상 ICT/IoT 기반 복지기술 서비스의 현황과 쟁점: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원(Lim, Jung-won),최종혁(Choi, Jong Hyug),김수완(Kim, Soo-Wan)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1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5 No.-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두 가지 복지기술 기반 사업인 1) 독거어르신 건강안전관리 솔루션사업과 2) 인공지능돌봄사업을 사례로 복지기술 기반 서비스가 제도화되는 과정을 탐색하고, 그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쟁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사업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기획자 및 실무자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된 내용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 분석을 통해 3개의 주요 범주, 8개의 하위 범주, 39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최종 개념 간관계 잇기와 이야기 윤곽 등을 통해 성문화 작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 솔루션사업이 독자적인 노선을 갖게 된 배경 및 반응, 인공지능돌봄사업에서의 운영 및 관리, 제품 개발, 두 사업 간의 통합 및 분리 운영 등에 대한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노인응급안전이 주간에만 이루어지는지 혹은 24시간 응급안전체계인지, 유사사업 간의 통합운영인지 혹은 분할운영인지, 지역 간의 통합운영인지 혹은 지역분할 운영인지, 공공영역과 관련하여 영리기업의 주도성을 어떻게 봐야 할 것인지 등의 쟁점이도출되었다. ICT/IoT 기반 복지기술 서비스가 제도화를 통해 보다 보편적이고 일관성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institutionalization processes of welfare technology based services including 1)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olution services for older people living alone, and 2) AI care services, which are provided by Seoul, and identified diverse issues derived from their processe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professionals who have been directly involved in theses services. Based on qualitative analyses, three major themes, eight sub-themes, and 39 concepts were derived, and codification work connecting relationships among concepts, and making story outline was conducted. Findings identified issues regarding backgrounds and responses which the solution service has taken an independent rout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AI care service, and the integrated and/or separated operation between two services. Thus four issues were derived: 1) the emergency and safety system for the older people should be provided for the day time or the 24 hours? 2) the integrated or separated operation among similar services will be necessary to be provided? 3) Is it regional integration or division operation? and 4) how to think about the scrupulosity of the private company in terms of public sector? Solution and strategies to provide universal and consistent services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CT/IoT based welfare technology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암 생존자를 위한 한국형 지역사회 건강돌봄체계 개발 연구

        임정원 ( Lim¸ Jung-won ),김민정 ( Kim¸ Min Jung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社會科學硏究 Vol.47 No.2

        항암 치료 후 일상생활로의 복귀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암 생존자를 위해, 지역사회 단위의 ‘암 생존자 건강돌봄체계(Cancer Survivorship Care Plan)’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이들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돌봄체계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암 생존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건강돌봄체계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한국형 지역사회 건강돌봄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지역사회 건강 돌봄체계에 대한 문헌 분석은 서비스 제공 주체, 욕구 및 서비스 내용, 효과성 평가의 세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욕구 및 서비스 내용은 행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각 요소와 관련된 암 생존자의 문제와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권고사항을 제시하였다. 한국형 지역사회 기반 암 생존자 건강돌봄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암 생존자 건강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 암 생존자 건강돌봄체계 운영을 위한 지침서 개발, 종양학 전문의와 일차 진료의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유기적인 연계, 암 생존자 건강돌봄체계에 대한 연구 확대를 제안하였다. An integrated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 designed for cancer survivors to promote their adjustment in the community has not been developed in Korea, despite a variety of difficulties they face after cancer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rticles regarding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s and programs which had been proposed in the United States, and to find applicabilit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Korea in developing a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ning model. Specifically,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s were analyzed based on 1) service providers, 2) service needs and contents, and 3)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In terms of service needs and contents, cancer survivors' issues were categorized by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nd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to effectively manage survivors' issues. Strategies to develop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s in Korea included raising professionals, retaining resources, developing tools to identify high-risk groups, promoting effective communications and networks between oncologist and primary care doctors, and developing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 manuals. Further studies need to develop an evidence-based Korean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ning model, considering Korean health care system and culture.

      • KCI등재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 실태와 활동 수가 현황

        임정원(Jung-won Lim),김민영(Min You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의 개별 활동 및 활동 수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확인한 후, 향후 의료사회복지사가 환자 개입에 따른 적정 수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소속 병원을 대상으로 의료사회복지사 활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또한, 현재 의료사회복지 활동 수가를 통한 건강보험 재정 소요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사회복지 고유 수가의 청구량과 금액에 대한 정보를 확보한 후, 각병원 및 1인당 의료사회복지사가 어느 정도의 수가를 청구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의료사회복지사는 정신건강의학과와 재활의학과를 포함한 거의 모든 임상과에 개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 명의 의료사회복지사가 한 달에 보험을 청구하는 건수는 약 12건인 반면, 한명의 의료사회복지사가 한 달에 개입하는 신환 수는 33명, 상담건수는 101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 상담 건수의 약 12% 정도에 한해서만 보험을 청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의료사회복지 활동 수가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향후 활동 수가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individual works for social workers in medical settings, and of insurance fees for social work activities, and to suggest how insurance fees for social work activities could be appropriately charged after the interven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for patients. The survey data regarding activities of medical social workers who are enrolled in the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and frequencies and costs of insurance which were charged for social work activities were obtained. Then, how many insurance fees were charged for a hospital and a social worker were calculated. Findings showed that medical social workers are intervening for patients who are referred from most departments including psychiatries and rehabilitation medicine. A medical social worker is charging insurance fees for approximately 12 patients, meeting with 33 new patients in a month, and counseling with 101 patients in total in a month. Thus, approximately 12% of all patients who are working with social workers were charged. The current study suggested problems of insurance systems for social work activities, and strategies to improve social work activ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유방암 및 대장암 생존자와 가족의 건강관리 인식과 실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임정원 ( Lim Jung-won ),양은주 ( Yang Eun Joo ),손세리 ( Son Seri ),이지선 ( Lee Jisun ),손지현 ( Son Jihy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방암, 대장암 생존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그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 경험을 탐색하고, 암 생존자와 가족 간에 인식 및 실천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암 생존자(n=9) 및 가족(n=7)은 경기도소재 한 대학병원을 이용해 모집하였고, 일대일 개별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1)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2) 건강관리 실천 방법, 3) 건강관리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사회적 요인이라는 상위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암 생존자와 가족이 공통적으로 제시한 주제어의 경우, 인식 범주에서는 `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 `건강관리에 대한 노력/의지`, `건강관리 실천의 장애요인`의 3개, 실천 범주에서는 `음식 및 식습관의 변화`,`적합한 운동 찾기`, `교육 및 정보의 이용`, `민간요법의 사용`, `음주패턴에서의 변화`,`종교에 대한 의지`의 6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암 생존자와 가족이 건강관리와 관련해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인식과 영향을 주는 요인 범주에서 각각 2개씩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 생존자 및 가족이 건강관리와 관련된 경험을 포괄적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향후 암 생존자 건강관리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rcep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regarding survivorship care for breast and colorectal cancer survivors and families, and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9 cancer survivors and 7 family members who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do. The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the major three themes of 1) perceptions regarding survivorship care, 2) practical methods regarding survivorship care, and 3) personal and social factors which influence survivorship care were derived from both cancer survivors and family members. With regards to themes which showed differences between cancer survivors and family members, a total of four sub-themes were found. This study is a contribution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various situations in which cancer survivors and family members experience survivorship care. The study findings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 Korean cancer survivorship care model.

      • KCI등재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대한 생존단계별 비교 연구

        임정원(Jung-won Lim),한인영(In-young Ha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1

        본 연구는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암 생존 단계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조사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생존 단계별로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에 거주하는 110명의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세 개의 표준화된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고, 연구분석을 위해 급성, 확장, 영속적 생존단계에 따라 크게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암 생존자의 생존 기간이 길어지면서 신체적 측면에서의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됨을 증명하였다. 하지만, 심리 사회적 기능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본 연구는 향후 암 생존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존 단계를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 개발 및 다각적 측면에서의 사회사업적 접근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better understand the quality of life (QOL) for Korean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ulti-dimensional QOL outcomes according to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Methods: To identify the multiple dimensions of health status and psychosocial outcomes, three standardized QOL and psychological distress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110 Korean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Thes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Results: Analyses of covariance revealed that once important confounders were controlled for, QOL outcomes were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Results for SF-36 meas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ute and long-term survival stages, indicating that QOL for cancer survivors had gradually improved in the physical domai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domain of SF-36. Additionally, QOL-CS and BSI-18 measures did not show significant QO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Conclusions: Evidence that, for Korean survivors, QOL outcomes differ according to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serves as a rationale for developing discriminatory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account survival stage.

      • 한국형 국가역량체계(KQF)를 활용한 소방기술자 기술등급 수준별 역량 요건 사례 개발에 관한 연구

        임정원(Jung Won Lim),김현수(Hyeon Su Kim),남흥우(Heung Woo Na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는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국가역량체계(NQF,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구축을 추진해 왔으며, 2019년에는 우리나라의 국가역량체계를 한국형 국가역량체계(KQF, Korea Qualifications Framework)로 명명하고 그 내용을 고시 하였다. (?한국형 국가역량체계?, 교육부 고시 제2019-177호) KQF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등을 바탕으로 학력, 자격, 현장경력 및 교육훈련 이수 결과 등이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한 수준체계”로 정의되며, 학교 내 학습뿐만 아니라 학교 밖의 다양한 학습결과가 상호 연계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공사업법에서 정한 4개의 소방기술등급(특급,고급,중급,초급)에 따른 자격⋅학력⋅경력에 대한 분석과 소방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7개의 세분류와 NCS 기반 신자격 및 일⋅학습병행제 및 소방분야의 국가기술자격 출제기준 등의 분석을 통하여 KQF 기반 소방기술자의 기술등급별 설명지표를 작성하고, 기술등급별 설명지표에 충족하기 위한 자격⋅학력⋅경력 등 필요경력 인정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KQF를 활용한 소방기술자의 기술등급 수준별 역량요건 사례 개발로 소방분야의 학생 및 근로자 등 개인적 측면에서 불필요한 학습비용을 감소시키고, 기업측면에서 채용⋅재교육 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국가⋅사회적 측면에서 공정한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달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 여성 유방암 생존자의 건강신념과 건강행위에 대한 질적 연구

        임정원(Lim Jung-Won),윤현숙(Yoon Hyun-Sook),백옥미(Baik Ok-Mi),조진희(Cho Jin-Hee),박선형(Park Sun-Hyung),이송월(Lee Song-Wo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사회복지학 Vol.63 No.4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초점 집단 접근을 통해 우리나라 유방암 생존자의 1) 질병경험, 2) 건강신념(원인적 사고), 및 3) 건강행위 (진단 후 건강 행동 변화) 등을 조사함으로써, 유방암 생존자의 질병경험 및 건강신념이 어떻게 건강행위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및 경기에 거주하는 16명의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3개의 초점 집단이 수행되었으며, 각 집단에는 약 5명에서 6명 정도의 구성원이 참석하였다.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들의 질병경험, 건강신념, 그리고 건강행위에 대한 다양한 신체 및 행동적, 심리적, 그리고 사회적 문제 등과 관련된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우리나라 유방암 생존자들의 건강신념 및 건강행위에 대한 이해는 건강신념에 근거한 건강행위 증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1) the illness experiences, 2) health behaviors (causal thoughts), and 3) health beliefs (health behavior changes after cancer diagnosis) among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using focus groups, which is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us,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how the illness experiences and health beliefs are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s. Three focus groups composed of 16 breast cancer survivo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were conducted with 5 to 6 people in each group. For illness experiences,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of breast cancer survivors, some major themes related to physical,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s were identified. Understanding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for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will be an important step toward developing social work interventions for enhancing health promotion.

      • KCI우수등재

        유방암 생존자의 건강관리 자기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연구

        임정원(Lim, Jung-won),손지현(Sohn, Jeehyun),백주현(Back, Juhy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2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건강관리 자기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관리 자기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의료사회복지사에 의한 3회기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심리사회적 문제 해결과 건강증진에 초점을 두며, 일주일에 한 번 총 3번의 개별 상담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방암 생존자를 실험집단 1, 실험집단 2, 통제집단의 3개 집단으로 무작위 배정하고, 각 집단 간 프로그램을 통한 사전 사후 변화를 비교하였다. 실험집단 1은 건강증진에 목적을 둔 프로그램에 초점을 두었고, 실험집단 2는 건강증진을 개입하기에 앞서 대상자에 대한 심리사회적 지지 및 자기 성찰을 하는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심리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건강관리 준비 척도의 변화로 측정하였고, 실험집단 1과 2에 참여한 대상자의 경험과 개입의 차별성을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과정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관리 준비 척도의 전체 평균 점수에서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 2는 사후 평가에서 점수가 향상됨으로써 건강관리에 대한 준비 수준이 좋아졌고, 실험집단 1은 사후 평가에서 점수가 낮아져 건강관리에 대한 준비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사전 사후 간에 차이가 없었다. 건강관리 준비 척도의 하위 영역에서는 개인 성찰 요인과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자기 관리를 위해서는 건강증진이라는 목표 달성에 앞서 자기성찰 및 심리사회적 문제에 대한 우선적 해결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is to develop a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focusing on psycho-social aspects and health promo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 total of three individual sessions within a month were conducted by medical social worker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program, cancer survivors have be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or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1 focused on improving health promotion for breast cancer survivors. For experimental group 2, self-reflection and psycho-social aspects have been first addressed, ahead of managing health promotion. The Cancer Patient Preparedness for Transition to Survivorship Care (PTSCI) has been used to evaluate effects of a program, and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and intervention processes have been also indicated to confirm differences between groups.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of time and condition in terms of the total score of PTSCI. That is, the total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2 has been improved in the posttest, while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1 has been decreased, indicating tha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2 are more likely than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1 to be ready to get engaged in cancer survivorship care.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total score between pre- and post-test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personal reflection and social stress sub-scales among group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personal reflection and psycho-social issues should be first solved in order to promote the health of cancer survivors under the cancer survivorship care plans.

      • KCI우수등재

        신규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피해경험이 직무만족도,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정원(Im, Jung Won),임지영(Lim, Ji Young) 한국간호행정학회 2020 간호행정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of new nurses and to investigate effects on organizational variables.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can lead to new nurses developing negative attitudes towards nursing jobs. A safe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new nurses can work while being protected from workplace violence must be established.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80 nur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total score for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of new nurses was 1.75±0.5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verbal (r=-.32, p<.001), threatening (r=-.26, p<.001), and total (r=-.28, p<.001)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erbal (r=.18, p=.016), threatening (r=.17, p=.024), total (r=.17, p=.021) and turnover intention, respectively. Verbal violence experienc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9.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place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new nurses and a procedure and reporting system to cope with workplace violenc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xpand a culture of mutual cooperation and a nonviolent atmosphere.

      • KCI등재

        유방암 수검률 향상을 위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네비게이터, 슈퍼바이저, 보건소 실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임정원 ( Jung Won Lim ),한인영 ( In Young Han ),이영선 ( Young Sun Rhee ),강방글 ( Bang Geul K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네비게이터, 슈퍼바이저, 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보건소 중심의 유방암 검진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활동 경험을 맥락, 과정, 결과의 패러다임에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총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 초점 집단, 참여관찰, 자료 수집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네비게이터, 슈퍼바이저, 기관실무자 각 대상자별로 6개, 2개, 4개의 큰 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제를 통해 나타난 실천 의미는 네비게이터의 경우, “막연한 관심에 세심한 관심이 필요한 그들을 만나 네비게이터 활동의 장인 보건소에서 고군부투하며 네비게이터 역할의 가치를 알게 되었다”는 점이다. 슈퍼바이저의 경우, “역량 강화를 통한 네비게이터의 역할 정립의 필요성”을 느꼈고, 보건소 실무자는 “검진 홍보사업의 벅참을 느끼고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란 모험을 시작하면서 만감이 교차함을 느꼈으나 이 프로그램이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유방암 검진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에서의 활동 경험을 탐색한 연구로 향후 우리나라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정착 시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avigation experiences of navigators, a supervisor, and an agency staff who have been involved in navigation program to increase breast cancer screening in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based on the paradigm of context, progress, and result. A total of 5 individuals participated in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ata collection. Findings demonstrated that 6, 2, and 4 themes have been derived from navigator, supervisor, and agency staff, respectively. Practical findings derived from themes indicate that navigators came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navigator roles, acting in community health center with individuals who are required to get screened after participating as a navigator without conscious thought. A supervisor felt that the role of navigator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capacities. A staff agency wished to establish navigation program in the future, although he mentioned ambivalent thoughts about the navigation program, beginning a new journey. This study is the first investigation to explore navigation experiences to increase breast cancer screening. The current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Korean navig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