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와 『四庫全書』 經部 易類 비교

        임재규 ( Im¸ Jae Kyu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1 東方學 Vol.0 No.44

        본 연구는 중국 역학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 집성으로 평가되는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經籍典易經部와 『四庫全書』 經部易類에 대해 판본 문제, 분류 체재, 서목 비교, 易經部總論과 提要 비교, 『古今圖書集成』 易經部易學別傳과 『四庫全書』 術數類 비교 등의 다섯 가지의 소주제로 나눠 초보적이며 문헌적인 고찰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필자는 대략 다음과 같은 성과와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古今圖書集成』 易經部彙考2-12와 『四庫全書』 易類의 서목의 비교를 통해 두 문헌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문헌 총 47부의 중요 문헌의 목록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는 『四庫全書』 易類의 158부 역학서보다 더 중요한 역학서로 볼 수 있으며, 『古今圖書集成』 易經部彙考2-12의 약 326부의 역학서보다도 더 중요한 역학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위에 정리한 이 47부의 역학 저서에 대한 연구가 학계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시급한 과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필자는 『古今圖書集成』 易經部總論과 『四庫全書』 提要의 비교를 통해 『四庫全書』의 주요한 학술적 가치가 제요에 있는 것과 같이 『古今圖書集成』 易經部의 가장 중요한 학술적 가치로 평가되는 것은 易經部總論임을 확인했다. 『四庫全書』의 주요한 학술적 가치가 제요에 있기 때문에 사고관신이 『四庫全書』의 편찬과 더불어 『四庫全書總目』을 편찬하였듯이, 오늘날 학계에서는 『古今圖書集成』 易經部의 가장 중요한 학술적 가치로 평가되는 易經部總論 만을 따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책을 간행할 필요가 있다. 물론 우리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번역 작업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주역』이라는 문헌의 본질 및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만 이루어져도 우리 학계에서는 매우 소중한 성과로 평가될 것이 분명하다. I attempted a rudimentary and literary review of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and Yilei(易類) of Siku Quanshu(四庫全書) by dividing it into five sub-themes: edition problem, classification format, book title comparison,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and Tiyao(提要), and Yijing Bu Yixue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and Shushulei(術數類). Through this, I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achievements and task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book titles of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of Gujin Tushu Jicheng and Yilei of Siku Quanshu, a list of 47 volumes of literatures that are commonly included in the two documents could be derived. This list can be seen as a more important than the book list of the Yilei of Siku Quanshu. And also it can be seen as a more important than the book list of the Yijing Bu Huikao of Gujin Tushu Jicheng. Therefore, the study of this 47 books summarized above is the most basic and urgent task in our academia.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of Gujin Tushu Jichengand Tiyao of Siku Quanshu, I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academic value of the Yijing Bu of Gujin Tushu Jichengis the Yijing Bu Zonglun. As the main academic value of Siku Quanshu is in the Tiyao, scholars of Siku Quanshu compiled Siku Quanshu Zongmu along with the compilation of Siku Quanshu. For the same reason, In today's academia,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Yijing Bu Zonglunseparately,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cademic value of the Yijing Bu of Gujin Tushu Jicheng. Of course, in our academia,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this book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gai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value of the Zhouyi(周易). If this work is done, it is clear that it will be evaluated as a very valuable achievement in our academic community.

      • KCI등재

        白湖 尹鑴의 『讀書記ㆍ中庸』에 나타난 ‘畏天’과 ‘恐懼’의 종교적 함의 -루돌프 옷토(Rudolf Otto)의 ‘위압성(majestas)’과 ‘두려움(tremendum)’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임재규 ( Im Jae-kyu ) 한국실학학회 2019 한국실학연구 Vol.0 No.37

        조선시대 경학사에서 윤휴는 이전의 유학자와는 다른 사상적 특징을 보여준다. 즉 윤휴는 기존의 주자학적 경학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독자적인 경학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윤휴의 독자적 경학을 잘 보여주는 것이 그의 『讀書記ㆍ中庸』이다. 특히 윤휴는 『讀書記ㆍ中庸』에서 하늘[天]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주자학적 天인식과 달리 보다 종교적인 天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 핵심적인 내용이 바로 ‘畏天’이다. 이 ‘畏天’ 개념은 윤휴 이전 李德弘, 趙翼등의 중용학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윤휴의 중용학에서 이 ‘畏天’ 사상을 중요한 요소로 파악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윤휴의 이러한 ‘畏天’ 사상은 선진시기 유교 문헌 특히 고경인 삼경에서 그 연원을 찾아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주역』 震卦象傳의 “천둥이 거듭해서 치는 상이 震卦이다. 군자는 이러한 상을 관찰하여 두려워하고 수양하고 반성한다.”라는 구절, 『상서』 周書泰誓上의 “나 소자는 아침부터 밤까지 공경하고 두려워하여”라는 구절, 그리고 『시경』 周頌淸廟之什我將의 “나는 밤낮으로 하늘의 위엄을 두려워하며”라는 구절을 분석하였다. 윤휴 경학의 종교적 성격을 나타내는 ‘畏天’ 사상은 17세기 조선경학사에 있어서 古學的경향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원인으로 당시 조선시대에 영향을 미쳤던 명대의 古學的학풍에서도 찾을 수 있다. 17세기 윤휴 경학의 고학적 성격에 대한 원인을 명대의 고학적 학풍에서 찾으려는 기존의 연구 결과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윤휴는 자신의 중용학의 연원을 고경의 하나인 『상서』에서 찾고 있다. 윤휴는 中庸之圖에서 중용의 연원을 『상서』 虞書益稷의 “하늘의 명을 삼가 경계하여 때마다 조심하고 일마다 조심해야 한다.”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여기서 윤휴는 ‘하늘의 명을 삼가 경계하다(勅天之命)’라는 『상서』의 말을 자신의 중용학의 연원으로 말하고 있지만, 이 ‘勅天之命’에는 ‘畏天’을 포함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 같다. 윤휴의 이러한 ‘畏天’ 사상은 종교학의 대표적인 이론 중의 하나인 루돌프 옷토의 ‘두려움(tremendum)’과 ‘위압성(majestas)’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유교의 종교적 특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Yoon hyu shows a different philosophical trait from previous scholars in the history of Confucian Classics in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Yoon Hyu is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Neo-Confucian Order, and he builds his ow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t is his Dushuji Zhongyong that shows this kind of the Anti-Zhuxiist Thought. In particular, Yoon Hyu's perception of heaven in Dushuji Zhongyong shows a more religious perception of heaven, unlike the previous perception of heaven. The core content is WeiTian(畏天). This concept of WeiTian(畏天) is a new element that cannot be found in Zhongyong studies such as Lee Deok-hong and Jo Ik before Yoon hyu. Therefore, it is natural and necessary to identify this idea as an important element in Yoon Hyu's Zhongyong studies. I think that the origin of Yoon Hyu's WeiTian(畏天) thought can be found in Confucian literature during the pre-qin period, especially in the ancient Classics of Confucianism. So, I analyzed the phrases of the ancient Classics of Confucianism like Sanjing(三經). In this regard, Yoon Hyu is looking for the origin of his Zhongyong studies in one of the ancient Classics, Shangshu(尙書). Yoon Hyu clearly states the origin of his Zhongyong studies is Shangshu(尙書) in his Zhongyongzhitu(中庸之圖). Here, Yoon Hyu speaks of the word "be afraid of the command of heaven(勅天之命)" as the origin of his Zhongyong studies, but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the word "be afraid of the command of heaven(勅天之命)" includes WeiTian(畏天). Yoon Hyu's WeiTian(畏天) ideas can be understood as the concepts of Rudolf Otto's "tremendum" and "majestas," two of the leading concepts of religious studies, which illustrate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well.

      • KCI등재

        권근(權近)의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에 나타난 상수학적 방법론 : 오징(吳澄)의 『역찬언(易纂言)』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임재규(IM Jae-kyu)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6 No.-

        본고는 권근(權近)의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에 나타난 상수학적 방법론에 대해 오징(吳澄)의 『역찬언(易纂言)』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필자는 대략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권근의 『주역천견록』은 정자의 『이천역전(伊川易傳)』과 주자의 『주역본의(周易本義)』뿐만 아니라 오징의 『역찬언』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오징의 『역찬언』에 나타나는 상수학적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이는 정자의『이천역전』과 주자의 『주역본의』가 결여하고 있는 상수학적 방법론에 대한 보완의 성격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오징의 『역찬언』에 나타나는 『주역』 괘효사 해석의 3대 방법론인 괘변(卦變), 변괘(變卦), 호괘(互卦) 중에서 괘변과 호괘를 받아들이지만, 변괘는 수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고찰과 함께 우리는 권근의 『주역천견록』이 가지는 조선역학사의 위상과 의의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권근의 『주역천견록』에 대한 평가는 주로 의리학적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주역천견록』을 의리학적 역학서로 보는 경향이 다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의 고찰을 통해서 알 수 있지만, 『주역천견록』은 단순한 의리학적 역학서가 아니라 상수학적 방법론을 포함하고 있는 의리학과 상수학의 절충적인 성격의 역학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서만 조선역학사의 주요한 경향인 상수학적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조선역학사의 원류라 할 수 있는 『주역천견록』이 가지는 상수학적 성격은 이후 조선역학사의 상수학적 역학서인 조호익(曺好益)의 『역상설(易象說)』, 정약용의 『주역사전(周易四箋)』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즉 조선역학사의 상수학적 흐름의 시원을 권근의 『주역천견록』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주역천견록』에 대한 상수학적 접근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amined the Image-Number theory-based methodology shown in Kwon Geun(權近)’s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and its connection with Wu Cheng(吳澄)’s Yizuanyan(易纂言). Through these examinations, I was able to derive roughly the following results. Kwon Geun s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critically inherits not only Cheng Yi s Yichuan Yizhuan(伊川易傳) and Zhu Xi s Zhouyi Benyi(周易本義) but also Wu Cheng(吳澄)’s Yizuanyan(易纂言). In particular, he critically inherits the Image-Number theory-based methodology that appears in Wu Cheng(吳澄)’s Yizuanyan(易纂言). This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nature of complementary to the Image-Number theory-based methodology lacking in Cheng Yi s Yichuan Yizhuan(伊川易傳) and Zhu Xi s Zhouyi Benyi(周易本義). Kwon Geun accepts Guabian(卦變) and Hugua(互卦), but does not accept Biangua(變卦) among the three main Image-Number theory-based methodology of Wu Cheng(吳澄)’s Yizuanyan(易纂言). Along with this consideration, we also need to reconsider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Kwon Geun s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in the history of Chosun Yixue. Until now,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valuation of Kwon Geun s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has been mainly made in the Yili Yixue(義理易學)’s aspect. Therefore, the tendency to view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as a book of Yili Yixue(義理易學) occupies the majority.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review of this paper,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can be viewed as a book of eclectic nature between Yili Yixue(義理易學) and Image-Number Yixue(象數易學) which includes a Image-Number theory-based methodology rather than a book of Yili Yixue(義理易學). Only through this comprehensive evaluation can one understand the Image-Number Yixue(象數易學) of the history of Chosun Yixue. The Image-Number Yixue(象數易學) nature of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which is the origin of the history of Chosun Yixue, was followed by Cho Ho-ik s Yixiangshuo(易象說), Cheong Yak-yong’s Zhouyi Sijian(周易四箋), a Image-Number theory-based book in the history of Chosun Yixue. In other words, the beginning of the Image-Number theory in the history of Chosun Yixue can be seen as Kwon Geun s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In this regard, the Image-Number theory-based approach to the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is meaningful.

      • KCI등재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중국역학사(中國易學史) 인식 - 『역학서언(易學緖言)』을 중심으로

        임재규 ( Im Jae-kyu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종교와 문화 Vol.0 No.32

        본 연구는 다산의 중국역학사 인식이 어떠한 것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적인 틀로서 『四庫全書總目提要』의 중국역학사 분류법인 `양파육종`을 제시했다. 그리고 연구 자료로 다산의 역학 저서인 『역학서언』을 활용했다. 본론에서 필자는 『역학서언』의 자료를 활용해 `양파육종`에 대한 다산의 인식이 어떠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다산 역학은 `양파`의 분류법상 상수파에 속하며, `육종`의 분류법상 한대漢代 상수학에 속한다. 다산 정약용의 중국역학사 인식에 대한 연구는 우리 학계의 다산 역학 연구에 있어서 최근까지 연구되지 못한 분야이며,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산 역학의 역학사적 위치와 그 근거에 대해 새로운 논의와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Tasan Cheong Yakyong`s understanding about the Chinese History of Yiology. For this purpose I us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hinese Yiology in Siku Quanshu(四庫全書), that is `Liangpai Liuzong(兩派六宗)`. And I made use of Yixue Xuyan(易學緖言) as a basic research material. In the body of this article, I analyzed the Tasan Cheong Yakyong`s understanding about `Liangpai Liuzong(兩派六宗)`. From this analysis, I ha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asan`s Yi studies belong to the School of Images and Numbers(象數派), and also belong to the School of Images and Numbers in the Han period(漢代象數學). Studies on Tasan Cheong Yakyong`s understanding about the Chinese History of Yiology up to recently are not carried out, so this article has a significance of the new research in this area.

      • KCI등재

        지표투과레이더와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시공 관리 방법

        백종은,박희문,유평준,임재규,Baek, Jongeun,Park, Hee Mun,Yoo, Pyung Jun,Im, Jae Kyu 한국도로학회 2015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7 No.6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quality control and quality assurance method for use during asphalt pavement construction using non-destructive methods, such as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and an infrared (IR) camera. METHODS : A 1.0 GHz air-coupled GPR system was used to measure the thickness and in situ density of asphalt concrete overlay during the placement and compaction of the asphalt layer in two test construction sections. The in situ density of the asphalt layer was estimated based o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asphalt concrete, which was measured as the ratio of the amplitude of the surface reflection of the asphalt mat to that of a metal plate. In addition, an IR camera was used to monitor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asphalt mat to ensure its uniformity, for both conventional asphalt concrete and fiber-reinforced asphalt (FRA) concrete. RESULTS : From the GPR test, the measured in situ air void of the asphalt concrete overlay gradually decreased from 12.6% at placement to 8.1% after five roller passes for conventional asphalt concrete, and from 10.7% to 5.9% for the FRA concrete. The thickness of the asphalt concrete overlay was reduced from 7.0 cm to 6.0 cm for the conventional material, and from 9.2 cm to 6.4 cm for the FRA concrete. From the IR camera measurements, the temperature differences in the asphalt mat ranged from $10^{\circ}C$ to $30^{\circ}C$ in the two test sections. CONCLUSIONS : During asphalt concrete construction, GPR and IR tests can be applicable for monitoring the changes in in situ density, thickness, and temperature differences of the overlay,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quality control. For easier and more reliable quality control of asphalt overlay construction, it is better to use the thickness measurement from the GPR.

      • 中·高校의 數學敎育의 現代化

        林在圭 慶北大學校 師範大學 1964 敎育硏究誌 Vol.2 No.-

        The world- wide movement of technolgical revolution, which occurred before or after 1950, gave rise to the question of "How to modernize the mathematical education." The old mathematical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based on the classical mathematics is entirely impotent under such a rapidly progressing technology of science and a highly improved and sectionalized social living condition of present time. Many educators of mathematics in various countries of the world are making scientific experiment and research on this subject over and over again to cope with the new era. Facing the great task of curriculum revision of mathematics in secondary school in the near future, we must be prepared beforehand. How must the new curriculum be constructed? How must teachers' training be done? How must the inter-service training be done? These are the problems which we are greatly interested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