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용한(Lim, Yong-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40 No.-
고려시대의 부병제론과 군반씨족설은 우리 역사에서 제일 오래된 논쟁에 속한다. 이 논쟁은 부병제가 일반농민에게 토지를 지급하고 군인으로 징병하는 병농일치 제도라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당제의 부병은 일반 농민이 아닌 직업적인 무사였다. 세계사의 사례를 보아도 병농일치식 농민군은 군사적으로 거의 무용하다는 것이 정설이다. 당서를 편찬한 송대 학자들은 당나라 후반의 절도사의 발호와 송의 금군제도가 지닌 모 순에 회의적이다 보니 당의 부병제를 지나치게 평가했다. 그러나 이들도 부병제를 주나라식 병농일치 제도로 이해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중앙집권적 군사제도라는 점을 중시했다. 병농일치의 의미 역시 중시했지만, 병농일치에서 농민은 지주와 상층농민까지 포함한 개념이었다. 조선 건국기의 개혁파 사류와 고려사의 편찬자들은 이 사실을 명확하게 알았다. 그래서 그들은 명백하게 과전을 지급하는 고려의 군사제도를 부병제라고 설명했다. 그것이 부병제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또한 고려 말의 전란을 통해서 국가의 과제가 훈련되지 않은 농민군으로 편성된 허약한 군대라고 보았다. 군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문무사의 충원이 절실했고, 사족, 한량층에서 무사를 선발하고, 이들에게 시위를 맡겨야 한다고 보았다. 이것이 부병제와 유사했고, 이에 이 들이 부병제를 군사제도의 이상으로 설명했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 건국 후 군전 제도는 시행되지 않았다. 그러자 이들은 번상제와 중앙집권적 군사체제를 근거로 조선의 군제가 부병제라고 주장했다. 이는 송대 학자들의 견해를 계승한 것이다. 그런데 부병의 근거가 이렇게 바뀌고, 세종 때의 군사적 관심이 전면전을 대비한 전국적인 군사제도의 성립으로 옮겨 가면서 부병제와 병농일치의 개념에서 주 나라식 병농일치제도로 옮겨가게 된다. 이것이 후대에 고려와 조선전기의 부병제와 병농일치에 대한 오해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었다. it is the longest argument about Koryo dynasty's military system; Is it bubyeong-je(府兵制) or kunbansijok(軍班氏族)? This is based on the premise, bubyeong-je is peasant militia system that peasant form a farming, and are drilled in peace, change as soldiers in wartime. But Tang dynasty's bubyeong-je is never peasant militia but it is composed of professional soldiers. In view of military, such peasant militant are useless. The myth about bubyeong-je is product of historians of Song dynasty. They were very skeptical to recruting system of the late Tang and Song. They thought both had caused confusion and weakness. But they didn't regard bubyeong-je(府兵制) as peasant militia. They thought that benefit of bubyeong-je(府兵制) was Center-control system which could prevent civil war. The refomers in the early Chosun and writers of Koryo-sa(高麗史) regarded bubyeong-je(府兵制) as the best military system. Andt they exactly understood about bubyeong-je(府兵制). They didn't think bubyeong-je(府兵制) as peasant militia, and knew peasant were useless in battlefield. They planed to drafted professional soldiers as royal guard and give land to them. But This plan was frustrated. As a result, they could not explan that bubyeong-je(府兵制) had to be consisted of professional soldiers. They had to changed concept as it was Center-control system and shift-system. According to these new concepts, peasant soldirs could be included to bubyeong-je(府兵制). this become the reason to understand bubyeong-je(府兵制) as peasant militia.
대용량 멀티미디어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통합모델에 관한 연구
임용묵(Lim Yong-Muk),박상조(Park Sang-Cho),김희남(Kim Hee-Nam),김영득(Kim Young-Deuk),김우성(Kim Woo-Sung),오수현(Oh Soo-Hyun),오용선(Oh Yong-Sun)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1
콘텐츠 관리와 유통, DRM 기술은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다수의 콘텐츠 서비스는 사용자 중심이기 보다는 유통 시스템 안정화 및 콘텐츠 보안과 같은 시스템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사용자를 위한 DRM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및 유통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콘텐츠 관리, DRM, Watermarking 기능을 통합 지원하며, 사용자 중심의 Indexing DBMS와 내용 기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엔진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Content management, distribution system and DRM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respectively, many contents services are more focused on the system like stability of distribution system or contents security than user-orient. In this paper, we would suggest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based on DRM and distribution model for the users of massive multimedia. The suggested model will be a total solution of content management, DRM and Watermarking functions as well as it will offer convenience to the users with Indexing DBMS which is focused on users.
URC 로봇과 IT 기술의 컨버전스를 위한 메시지 프로토콜 설계
임용묵(Lim Yong-Muk),김우성(Kim Woo-Sung),박성준(Park Sung-Jun)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7 No.1
최근 로봇 시스템 보급과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URC 로봇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 로봇 플렛폼 기술개발 및 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URC 로봇의 표준화 연구는 과거 장비 및 반도체 장비에서의 표준화 연구와 같은 오류를 반복하고 있다. OPC에서는 PLC 장비를 위하여 OPC규약을 만들었고 SEMI에서는 반도체 장비를 위해 SECS-Ⅱ 규약을 만들게 되었다. 이는 장비가 많고 다양해지면서 이 기종의 장비들의 메시지를 통합환경에서 제어 및 모니터링 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URC 로봇의 플렛폼 개발에 있어 메시지 규약에 관한 사항은 배제되어 있다. 특히 URC 로봇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인 IT 기술과의 컨버전스가 이루어 져야 하기 때문에 규격화된 메시지 프로토콜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RC 로봇 플랫폼 개발에 있어 규격화된 메시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RUPI, OPC, SECS-Ⅱ 메시지를 분석하여 IT 기술과의 컨버전스에 기반이 되는 메시지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As research for URC robot to advance the robot system dissemination and pracical use becomes active, also interest for robot platform and standardization is increasing. However, URC robot middleware does not involve a convergence with IT. Although it seems to be a high connection between robots and IT, the existing middleware has not considered different environments, thus making convergence efforts difficult. The middleware should improve their functions in order to synchronize with IT and to interact through formatted messag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necessity of the formatted message in the development of URC platform. In addition, design of the message protocol for the converg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RUPI, OPC and SECS-Ⅱ.
임용한(Lim Yong-Han) 역사실학회 2011 역사와실학 Vol.46 No.-
Chosun’s Defense strategy was based on peace of Northeast Asia By Ming(明) Dynasty. But In 1449, it happened that YoungJong(英宗) was captured by Oirat. And It was not long before the word came from China that Oirat might invade Chosun. It made Chosun frightened. Because Chosun’s Defense strategy was suited to fortify the border. There was no preparations for invasion. King Munjong(文宗) and His officials made two plan. The 1st plan construct fortress to stand in enemy’s way, and repaired castles in cities[郡縣]. The next plan was mobilization of troops from the South. Both was good in plan, but there were serious problems in real. There were little fortress, and almost castles were weak. Therefore cannot help abandon 70% cities in order to reduce defense-line in maximum. Mobilized soldiers were not trained capable to war. Many soldiers effort to avoid mobilization order. Sureong(守令) could not draft because list of soldier was not in Sureong but in government to pretend revolt. For the sake of protect more cities, ascending troop’s ability, Reformation was needed. Especially, every city had to rise their self - defense ability. But this directly opposed on traditional military policy that government should exclusively possess all military factors. This strategary needs and conflicts give support to Jingwan-system(鎭管體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