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靈樞, 血絡論》에 對한 硏究

        李希炳,陸相元 대한한의학원전학회 1998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11 No.1

        The HyeolRacRon(血絡論) of the YoungChu(靈樞) is one of the section associate with the study of bloodletting(depletion of blood) by acupunture. The bloodletting therapy, one of the treatment of Oriental Medicine, has been advanced in civilization. By studying of this section, I could find some conculution as follows: 1. It is the superficial venules(血絡) that has been included blood stasis which has been interrupted by pathogenic factor(邪氣), and still could not enter into the meridian's line. 2. When bloodletting therapy, we should carefully study of patient's health condition, because doctor's missed acupuncure leads to very serious side effects. 3. External shape of HyeolRac(血絡) is like acu-niddle or muscle, so its thickness and location were not fixed position, its color is redish, and its quality is hard. 4. It is reason of heating that fixation of acu-niddle and muscle fiber.

      • KCI등재
      • KCI등재

        농악의 공연 공간의 변용에 따른 형태 변화 고찰 : 안성 농악을 중심으로

        이희병 한국무용기록학회 2002 무용역사기록학 Vol.3 No.-

        안성 지방에서 과거에 행해지던 두레농악이 시대적 흐름에 따라 공연공간이 마을 전체에서 일정한 제약성을 갖는 마당공간으로, 다시 서양식 무대공간으로 변화하면서 두레굿, 판굿, 사물놀이로 공연 형태 또한 변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연 공간의 변화에 따라 공연 형태의 변화와 농악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의 변화 과정을 서술하였다. 즉 농악이 갖는 벽사적 의미가 강한 안택굿 위주의 두레농악으로부터 놀이 형태가 강한 판굿으로, 다시 예술성을 부여하는 사물놀이로의 변화과정을 겪으면서 두레농악의 놀이순서인 동제, 지신밟기, 집돌이(신악(神樂), 판놀음(길놀이, 각종 진(陣)놀이, 무동놀이, 12발 상모놀이), 뒷풀이 등이 판굿에서는 동제와 집돌이가 사라지고, 집돌이와 뒷풀이가 상당히 약화되었다. 이것이 다시 사물놀이에서는 대부분이 제외되고 판놀음의 각종 진놀이에 사용되던 음악적 요소들만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타악기로서의 합주로는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예술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놀이 순서의 축소와 함께 제반 요소들도 다음과 같이 변화의 과정을 거친다. 첫째, 공연시간이 두레굿에서는 2-3일 동안 벽사진경(?邪進慶)의 마을 축제로 행해지던 것이 판굿에서는 1-2시간으로 축소되면서 놀이형태만을 보여 주고, 사물놀이는 10-20분 동안 화려한 장단을 통한 음악적 예술성만을 보여준다. 둘째, 복식에 있어서 상모는 종이를 가늘게 잘라 총채처럼 만들어 사용하는 채상모(또는 개꼬리 상모)에서 전라도 우도농악에서 쓰던 부포상모(옛날에는 두루미 깃털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주로 타조털 사용)로, 상의는 조끼에서 더거리로, 삼색띠는 매는 방법이 바뀌고, 바지단을 매던 것이 대님에서 행전으로 변화한다. 셋째, 장단에 있어서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가락은 세세한 잔가락이 많이 삽입되고, 음색 또한 맑고 높은 음으로 변화한다. 넷째, 악기 또한 위에서 언급한 맑고 높은 음으로의 변화를 위해 많은 개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보수적 경향의 학자나 예술가들은 우리 민속의 집단적 놀이성이 파괴되고, 장단이 빨라짐으로 인해 소리와 춤의 요소들이 배제된다는 것을 주장하고, 진보적 학자나 예술가들은 시대적 변화와 세계 속에서의 한국의 예술성의 표현에 있어 우리의 농악이 한 차원 높은 발전의 단계를 밟는다는 견해를 밝힌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를 이원분립적 관점에서만 논의 할 것이 아니라 벽사진경의 마을 축제적 의미를 갖는 농악의 형태는 문화재적 관점에서 보존 계승되어야하고, 사물놀이의 형태는 단순한 음악적 요소에만 예술성을 부여할 것이 아니라 현재 공연되어지는 ‘난타’나 ‘도깨비 스톰’과 같이 퍼포먼스의 요소가 가미된 형태로 더욱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필자는 여기에 그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 가락에 가면극이 갖고 있는 골계미의 미학적 연출, 무용에서 나타나는 수많은 동작, 다가오는 인공지능 시대에 맞는 테크놀리러적 발상이 가미된 “뮤직 엔 댄스 넌버벌 퍼포먼스 플레이(Music & Dance non-verbal performance play)”라는 새로운 용어의 장르로 더욱 발전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how Doore peasant music performed in the past around Anseong region has changed its form with the time changes. The performance venue of the peasant music has changed from the entire town to a certain garden area with a limitation, and again to a westernized stage that has allowed changing a form of performance from Dooregut exorcism to Pangut exorcism, and to Samulnori peasant quartet finally. In this study, I look into changes in performance form according to changing performance venue as well as a changing process of various elements of Korean peasant music. In other words, Doore peasant music has changed its form from the one focused on Antaekgut exorcism, which has its significance in exorcising evil spirit, to Pangut exorcism, which is more like a play, and to Samulnori quartet, which emphasizes its artistic quality. Among the sequences of the music performance including Dongje, Jisinbalkki, Jipdori (music for God), Pannoreum (Gilnori, various Jinnori, Mudongnori, 12bal Sangmonori), and Duipuri, Dongje and Jipdori have disappeared in Pangut exorcism while the importance of Jipdori and Duipuri have been much lessened with the changes. And again, most of the sequent order has got omitted in Samulnori quartet and the musical elements used in various Jinnori of Pannoreum have developed rapidly, enabling its artistic quality as a percussion ensemble has won the world recognition. With the reduced sequent order of performance, various other elements have gone through the following changes as well. First, the performance hour of Dooregut exorcism was 2-3 day long as it was performed as a town festival of Byeoksajingyeong (exorcising evil spirit), but the hour has been reduced to 1-2 hour long in Pangut exorcism just completing a form as a play. Nowadays, Samulnori quartet only shows the musical artistry with magnificent beat for 10-20 minutes. Second, the costume has been changed as well. Sangmo hat has been changed from Chaesangmo hat (also known as a dog tail hat) with thin sliced paper shaped like horsehair to Buposangmo hat (red-crowned crane feather was used in the past, but ostrich feather is usually used), which was used in Udo peasant music in Jeolla province. The upper garment has been changed from a vest to Deogeori (three-trailed jacket) and the way tricolored belt ties has been also changed. The hem of pants is now tied with Haengjeon band instead of Daenim band. Third, the beat has been changed to more and more rapid speed and delicate ornamental melodies have been also included while the tone color has been changed to higher and clearer pitch. Fourth, the instruments have been improved to satisfy the above mentioned higher and clearer pitch. Conservative scholars and artists claim that these changes ruin the collective quality of our peasant music while rapid beat eliminates the elements of singing and dancing. Nevertheless, progressive scholars and artists believe that these changes allow our peasant music to take a step to develop as world-recognized music. However, this kind of topic shouldn't be discussed with a perception of dualism. The town festival (Byeoksajingyeong) type of peasant music should be upheld from a standpoint of cultural asset and Samulnori quartet should be developed with additional performance elements following the example of now playing Nanta or Tokebi Storm instead of only emphasizing its musical artistry. I wish Nongak, Korean peasant music, would be able to develop as a new genre of music & dance non-verbal performance play embracing its artistic production composed of traditional melody and comical dialogue plus the magnificent dance movement in addition to the 21st century's technological idea.

      • 바라승무 지역적 특징과 가치에 대한 일고

        이희병 한국예술문화학회(구 (사)한국전통예술협회) 2024 한국예술문화연구 Vol.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장홍심의 생애와 권번활동, 이후의 무용 활동을 통한 바라승무의 형성, 그리 고 평양기생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승무와 바라무, 바라승무, 노승무 등으로 분리었던 바라승 무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홍심은 1930년대 고전음악무용연 구회 활동을 통해 이강선과 호흡을 맞추면서 한국의 전통무용이 공연예술로서 인정받도록 하는 데 일조한 인물이다. 둘째, 장홍심의 전승활동은 이북의 함흥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서, 함흥음 악무용학교에서 무용교사로 있으면서 많은 학생들을 가르쳤다. 셋째, 장홍심의 전통춤을 사사받 고 영향을 받은 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무용가로는 양학련과 조흥동이 있으며, 국악쪽에서는 조순애, 조영자 등 박초월국악연구소에서 문하생들로 있었던 이들도 포함된다. 넷째, 장홍심만 의 독특한 춤사위를 계승하고 있는 제자로는 이성자가 유일하다. 이에 사라져가는 장홍심류 전 통춤의 원형 계승과 발전을 위해서 많은 관심이 필요하며 앞으로 장홍심에 관한 후속연구가 계 속 이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life and Gwonbeon activities of Jang Hong-sim, the formation of Baraseungmu through his later dance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Baraseungmu through the curriculum of the Pyongyang Gisaeng School. Baramu, Baraseungmu, This is to discuss the Bara Seungmu, which was divided into Noh Seungmu and oth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ang Hong-sim is a person who contributed to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a performing art by collaborating with Lee Kang-seon through his activities at the Classical Music and Dance Research Society in the 1930s. Second, Jang Hong-sim's transmission activities began in Hamheung, North Korea, and he taught many students while working as a dance teacher at the Hamheung Music and Dance School. Third, if we look at the aspects of those who studied and were influenced by Jang Hong-sim's traditional dance, the dancers include Yang Hak-ryeon and There is Joheung-dong,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ho Sun-ae and Cho Young-ja were students at the Park Chowol Korean Music Institute. These are also included. Fourth, Jang Hong-shimman’s Lee Seong-ja is the only disciple who has inherited unique dance moves. Accordingly, much attention is needed to inherit and develop the original form of the disappearing Janghongsim style traditional dance. I hope that follow-up research on Jang Hong-shim continues.

      • KCI등재후보

        성남 오리뜰 두레농악의 복원과 재현 양상

        이희병(Hee-Byung Lee),김영란(Young-Ra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5 No.1

        과거 지명이 광주군 낙생면 구미리(九美里)인 오리뜰은 탄천을 중심으로 상당히 넓은 평야가 자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1989년 분당 신도시의 개발 계획에 따라 오리뜰은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 속에서 과거부터 넓은 오리뜰에서 대대로 이어지던 두레농악의 풍물소리는 사라지고, 반농반예인(半農半藝人)의 두레농악을 놀던 사람들도 뿔뿔이 흩어지고 말았다. 그러나 당시 두레농악을 놀던 연희자들 중 장양천, 김근배, 이종훈 등은 성남시를 떠나지 않고 고향을 찾아 친목회를 조직하고 매달 구미동 노인회관에 모이고 있다. 또한 당시 12발 상모를 돌리고, 소리에도 능했던 김현득은 서울로 이주하여 생활하고 있으면서 이곳과의 인연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황 속에서 2년간에 걸친 사전 조사와 복원사업기간 동안 오리뜰 두레농악은 많은 부분이 복원되어 2007년 11월 3일 구미동 오리공원에서 주민들의 적극적인 성원으로 발표공연을 했다. 과거 오리뜰 두레농악을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ㆍ복원하여 도시화 속에서도 우리의 전통을 되살려 후손들에게 물려줌으로 유구한 문화민족의 자긍심을 후손들에게 심어줄 수 있는 농악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Oriddeul or Duck Field, located in the former name of Gumi-ri, Naksaeng-myeon, Gwangju-gun in Gyeonggi-do, had an extensive rice field around Tancheon. Following the development scheme of Bundang New Town in 1989, Oriddeul turned into a massive apartment complex. However, Jang Yang-cheon, Kim Geun-bae, Yi Jong-hun and so on still remember their hometown Seongnam and have a monthly friendly meeting at the Senior Citizens" Hall in Gumi-dong. The sangmo player-singer Kim Hyeon-deuk resides in Seoul and keeps in touch with the old folks here. The majority of the Dure Farmers" Music of Oriddeul was restored during the two years of research and restoration. On November 3, 2007, at last, its first presentation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Ori Park in Gumi-dong. When the Dure Farmers" Music of Oriddeul is further studied and better revived, it will no doubt be remembered as one of the proudest Korean traditional cultures for our descendants.

      • KCI등재

        近代韓國춤의 價値에 관한 一考

        이희병(Hee-Byung Lee),김영란(Young-Ra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5 No.2

        1930년대 근대한국춤의 공연양식적 특징은 새로운 이념과 새로운 체제로 형성되어지는 한국의 독자적인 춤 양식과 미의식, 그리고 창조적 신체 움직임으로서 전개하는 새로운 시ㆍ공간적 극장종합무대예술로서의 한국춤을 시대에 부흥하게끔 새롭게 만든 춤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한국춤을 주도한 무용가들의 철저한 역사의식이나 예술관의 약화는 근대한국춤이 오늘날에 있어 하나의 예술장르로서 명확한 지위와 세계관을 가질 수 없게 만든 요인 또한 부인할 수논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근대한국춤은 새로운 춤이란 양식적인 것 외에도 당시 무용가들의 창작정신에서 출발한 춤의 독자성과 창의성은 높이 평가해야 한다. 근대한국춤은 한국 춤예술의 현대화를 가속시켰으며, 소수의 계층이 향유하던 춤을 일반대중에게 보여줌으로써 계몽적인 역할과 더불어 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을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춤예술의 대중화를 선도했다. 근대한국춤이 이루어낸 쾌거 중 하나는 춤에 대한 인식이 한단계 도약했다는 것이다. 즉, 춤의 문화적 지향성을 확보한 했다는 점에서 새롭게 평가되어야 하며, 그 가치 역시 재정립되어야 한다. The representative performance characteristic of modem Korean dance in the 1930s was the pursuit of Korea’s own dance type,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reative bodily movement based on new ideas and system. This newly revived trend of spatial-temporal general stage art had its own values. Nevertheless, we cannot deny the fact that those leaders of the modem dance had such imperfect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weak artistic viewpoints that it could not be established as a clear artistic genre with a firm status and world view. However, the originality and creativity of this modern Korean dance should be fully and highly evaluated. for its modal experimentalism and creative challenging spirit. Modem Korean dance sped up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ance art. Dance was no more enjoyed by a minority than by the common public. As a result, dance played an enlightenment role and brought about a new concept. This dance popularization led to people’s heightened consciousness about dance. That is, these values of modern Korean dance in the 1930s to expand cultural horizons should be properly acknowled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