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자인 실습과목의 e-Learning에서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실습방안

        이향아(Hyang A Lee),윤지현(Ji Hyun Yo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8 No.-

        디지털의 일반화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초기화 상황에서 e-learning은 시공간을 초월하는 장점으로 향후에도 그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큰 교육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비면대면이라는 특성으로 그 중요도에 비해 다양성, 즉시성, 상호 작용성 등 많은 문제점과 정확한 기중이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디자인 실습과목에서의 실습은 학습효과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학습요소임에도 이에 대한 활용도나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디자인 실습과목의 일반적 유형 세 가지를 선정하여, 설문과 실습유형의 특징, 일반적 이론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와 학습자의 요구를 토대로 상호작용성이 보완된 현 실습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 실습 방법의 적절성과 보완점, 문제점을 검증할 수 있었다. 검증을 토대로 학습자 중심의 환경조성으로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실습여부와 과정을 확인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꼭 참여해야만 하도록 장치를 마련하였다. 또한 실습 시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도록 시스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실습의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향후 제작되는 디자인 실습과목에 효과적인 실습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교육환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lot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e-learning because it has a great potential in educ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transcending time and space in the environment with widespread digital media and cloud computing in its early stage. Even though it is important. due to its non face to face characteristic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such as diversity, instancy, and interactions, and clear standards have not been set yet, In the design course, practice is a very important learning element that could decide the learning effect, but it has not been used or researched sufficiently, This study tried to find an effective practice method to improve learning and present a model with better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to find learner demands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of practice and general theorie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current practice methods, things to be improved, and problems. Based on the findings, a device that ensures learner participation was prepared to induce active learner participation by creating learner oriented environment and checking whether the learners participate in practice and practice process. To improve instant interactions during the practice, system support as well as helping the learners concentrate more on learning by using diverse multimedia in practice are nee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more effective education environment by using more effective practice methods for design practice course.

      • KCI등재후보

        소화기 ; 대전 지역에서 급성 A형 간염의 유전자형에 따른 임상 특성 고찰

        이영우 ( Young Woo Lee ),양현웅 ( Hyeon Woong Yang ),이진아 ( Jin A Lee ),윤기호 ( Ki Ho Yun ),양성은 ( Seong Eun Yang ),이민지 ( Min Ji Lee ),박세영 ( Se Young Park ),김새희 ( Sae Hee Kim ),이향이 ( Hyang Ie Lee ),이윤정 ( Yun Ju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0 No.5

        목적: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등은 유전자형에 따른 차이가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서 증가하는 IIIA 유전자형과 기존의 IA 유전자형에 의한 간염의 차이가 거의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대전 지역에서 발생한 급성 A형 간염의 유전자형에 따른 차이를 알고자 한다. 방법: 2009년 1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급성 A형 간염으로 진단되면서 유전자형이 확인된 8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들과 검사실 소견들을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는 32.6±7.4세이며, 평균 입원 기간은 7.7±2.4일이었다. 직업은 서비스직, 사무직 그리고 교육직이 가장 많았다. 유전자형 간의 급성 간염에 따른 증상들의 종류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형에 따른 증상의 빈도는 IIIA 유전자형에서 구토와 설사가, IA 유전자형에서는 복통과 피부 반점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검사실 소견에서는 IIIA 유전자형에서 헤모글로빈의 평균, CRP 평균, AST 최대 수치 평균은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AST와 ALT 및 총 빌리루빈 최대 수치들과 INR의 수치가 IIIA 유전자형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대전 지역에서 유행하는 급성 A형 간염에서 IIIA 유전자형에 따른 급성 간염은 기존의 IA 유전자형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다기관 연구를 통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Aims: Acute viral hepatitis A is a major health problem in Korea and the influx of genotype IIIA is thought to be one reas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findings of genotypes IA and IIIA in Daejeon. Methods: From November 2009 to June 2010, 81 patients positive for IgM anti-HAV were enrolled prospectively. The hepatitis A was genotype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results were compared on the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32.6±7.4 years. The mean hospitalization was 7.7±2.4 days. The patient occupation varied. Clinically, vomiting and diarrhea were relatively more prevalent in genotype IIIA than in IA. Abdominal pain and skin spots were relatively more prevalent in genotype IA than in IIIA. The hemoglobin, peak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 and C-reactive protein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genotype IIIA than in IA. The distributions of the peak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total bilirubin values tended to be perched in genotype IIIA than in IA. The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tended to be slightly prolonged in genotype IIIA than in IA. Conclusions: Recently, genotype IIIA of acute viral hepatitis A has become prevalent in Daejeon. Hepatitis A genotype IIIA probably causes worse laboratory abnormalities than genotype IA.

      • KCI등재

        국가통치성과 예외상태 ― 백정, 도축, 그리고 형평운동에 대한 재고찰

        이향아 ( Lee Hyang A ) 한국사회사학회 2023 사회와 역사 Vol.- No.138

        이 글은 형평사 창립과 형평운동의 성격을 재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는 형평운동을 해석함에 있어, 백정이 주체가 되어 차별철폐와 신분해방, 나아가서 민족해방으로 나아간 인권보편적인 운동이라는 결론을 내고 있다. 이 글은 기존의 연구들이 왜 백정이 형평운동의 주체가 되었는지에 대해 본질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백정의 계급적,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 예외상태와 호모 사케르의 개념을 유비해 백정, 도축 그리고 국가의 변증법적 관계를 분석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축은 농경국가이자 유교국가였던 조선에게 예외상태로 설정되었고, 이에 따라 도축을 생업으로 삼았던 백정들은 예외상태에 놓인 호모 사케르의 존재였다. 둘째, 국민국가의 형성과 근대화과정에서 이러한 예외상태는 전환되게 되었고, 백정 또한호모 사케르에서 백성으로 신분적 전환을 경험하게 되는데, 도축의 탈예외상태화와 백정의 호모 사케르적 위치의 전환을 형평운동에 대한 논의의 무게추로 설정해야 한다. 셋째, 이러한 전환과정을 통해, 백정은 도축에 대한 직업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었고, 이는 ‘쇠고기’에 대한 이윤을 독점하고자 했던 국가와 관계의 재구조화를 거치며 형평사 창립과 형평운동의 전개로 이어지게 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re-visit the dynamics for foundation of the Hyeongpyeongsa and the nature of the Hyeongpyeong movement. In interpreting of Hyeongpyeong movement, existing research tends to focus a universal human rights movement led by Baekjeong that sought to eliminate long-time class discrimination, liberate people’s status, and even liberate the nation. Howeve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fession’ of Baekjeong in order to understand Hyeongpyeongsa and Hyeongpyeong movement. To do so, this article analyze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Baekjeong, slaughter, and the state using the concepts of the “state of exception” and “homo sacre” suggested by Schumitt and Agamben. First, slaughter was set as a state of exception for Joseon Dynasty, which was both an agrarian and Confucian state, and accordingly, Baekjeong, who made slaughter their livelihood, became homo sacre in a state of exception. Secon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modernization of the nation-state, this state of exception was transformed, and Baekjeong experienced an identity transition from homo scare to people (who belonged to the state). Third, the de-exceptionalization of slaughter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Baekjeong’s status as homo sacre was the main driver behind the establishment Hyeongpyeongsa and continuation of the Hyeongpyeong movement. Because through this transition, Baekjeong were able to strengthen their occupational identity as a slaughterer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onship with the

      • KCI등재

        형질세포종에서 병발된 강직성 척추염

        김용남 ( Yong Nam Kim ),이향이 ( Hyang Ee Lee ),이상훈 ( Sang Hoon Lee ),이연아 ( Yeon A Lee ),우두현 ( Doo Hyun Woo ),황보영 ( Young Hwangbo ),조경삼 ( Kyung Sam Cho ),박용구 ( Yong Koo Park ),양형인 ( Hyung In Ya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2 No.3

        Plasmacytomas are tumors composed of plasma cells of variable maturity, which are histologically identical to those seen in multiple myeloma. Ankylosing spondyl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probably resulting from the interaction of a genetic predisposition involving HLA-B27 with an environmental event such as enteric bacterial infection. Multiple myeloma has been intermittently reported i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protracted stimulation of immunocytes by inflammatory lesions on the mucosal surfaces of the gastrointestinal, respiratory tracts may b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multiple myeloma in some patients. We observed a 23 year old male patient with a history of plasmacytoma who subsequently developed ankylosing spondylitis. He was diagnosed as plasmacytoma 4 years ago and took a radiation therapy. There was no previous report of ankylosing spondylitis following plasmacytoma.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seases is uncertain until now and further study should be needed.

      • KCI등재

        임신 중기 양수 천자 896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향아 ( Lee Hyang A ),최성진 ( Choe Seong Jin ),정인배 ( Jeong In Bae ),차동수 ( Cha Dong Su ),한경희 ( Han Gyeong Hui ),김효언 ( Kim Hyo Eon ),윤갑준 ( Yun Gab J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기 양수 천자 896예를 통하여 염색체 이상소견의 결과 및 적응증에 따른 염색체 이상 빈도, 안정성들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시행한 양수 천자술 896예를 대상으로 적응증, 임신 주수의 분포, 염색체 이상의 결과와 안전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1. 가장 흔한 양수 검사의 적응증은 산모 혈청 표지자 검사 이상 (52.7%)이었으며, 다 Objective :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midtrimester amniocentesis. Methods : This study was retrospectively reviewed 896 cases of midtrimester genetic amniocentesis from January 1997 to October 2003 in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age of medicine. We

      • KCI등재
      • KCI등재

        만세전: 1919년 ‘만세’운동 이전 <묘지규칙>의 제도화 과정 - 1910년대 경성을 중심으로

        이향아 ( Lee Hyang A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5

        이 논문은 1912년 일제가 도입한 <墓地火葬場埋葬及火葬取締規則>, 즉 <묘지규칙>이 식민지 조선, 특히 경성에서 제도화되어가는 과정을 1919년 규칙 개정전인 1910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어 기존의 제도가 변화 혹은 승계되는 양상을 추적하기 위해 조선시대 묘제를 간단히 살펴보고, 1912년 <묘지규칙>이 기존의 묘제를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시켰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조선시대에는 묘지가 산 자와 죽은 자의 연대를 도모하거나 토지사유의 수단이었다면, 1912년 발포된 새로운 제도인 <묘지규칙>은 관념과 문화를 배제하고, 묘지를 통한 산 자와 죽은 자의 해체를 시도했으며, 묘지의 물리적 토지이용만을 핵심 기제로 설정했다. 이러한 제도변화를 위해 일제는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조선인들의 경험은 신체 처벌로까지 이어졌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the ‘invented tradition’ of the mortuary system in the 1910s especially before the March First Independent Movement in 1919 in colonial Seoul. Since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legislated the burial rule in 1912, the new regulation brought the institutional change in colonial Korea.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is paper compares the mortuary system before and after the burial rule. The gravesite in Joseon Korea was analysed in respect of institutions, consciousness, and spatial practice of land use. Institutionally, the gravesite was deeply bound up with the Confucian ideology of Joseon Korea as such, Joseon Korea officially legalised regulations on graves and gravesites that served to reinforce the state’s legitimacy through the ancestor veneration linked with the hierarchical system of the ruling class. Koreans’ consciousness on gravesites was based on the notion of continuation of the natural life cycle of life and death and as such their consciousness on gravesites was deeply associated with ‘religious’ belief such as fengshui. However, at the same time, gravesites were often functioned as the means of owning forest lands, especially by the elites. The traditional institution faced challenge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especially when the 1912 burial rule was enacted. The 1912 burial rule prohibited the private gravesites reinforced using the public cemeteries designated by the (regional) government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1912 burial rule mainly targeted the pervasive land use of gravesites. There were three processes to institutionalise the 1912 burial rule in colonial Seoul in the 1910s. First, it imposed usage fee for gravesites in public cemeteries, which show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wnership and the possessory rights over the gravesites. By imposing usage fees, the colonial government clarified that the gravesites were no longer under the ownership of the bereavements but under the government ownership. Secondly, the colonial government often took the traditional public cemetery as state assets by land-sale to Japanese elites in Seoul. Third, the colonial government consistently issued bulletins and supplementary documents regarding the 1912 burial rules to clarify its ambiguity to both Japanese and Koreans. While the colonial government tried to persuade Koreans through the compilation of subsequent manuals and user guides, they also mobilised the force of surveillance and punishment such as summary judgment and floggings to conduct the Koreans’ traditional conduct. Through the institutional change, the 1912 burial rule became another ‘invented tradition’ of the mortuary system in Korea.

      • KCI등재

        스마트 러닝에서 교육용 앱의 상호작용성을 높이기 위한 요소 분석

        이향아(Lee, hyang-a),윤지현(Youn, ji-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0 No.-

        클라우드의 완성을 향해 디지털화, 스마트화 되어가고 있는 현재, 교육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전의 강의실을 기반으로 하는 일반 강의에서, 컴퓨터를 기반으로 시공간을 초월하는 e-learning으로 변화하였다가, 이제는 스마트 러닝으로 향해가고 있는 것이다. 이미 시작된 스마트 러닝은 개인성, 이동성, 즉시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등 그 수행 역량에 비해 아직은 매우 미흡한 수준에 불과하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스마트 러닝용 앱의 경우, 대부분 e-learning 콘텐츠를 단순히 변환하여 적용하는 수준이며, 스마트기기의 화면 크기에 따라 상당 부분이 삭제되어 있다. 효율적 학습을 위해서는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지만, 이때 대부분의 상호작용이 삭제되고 있어, 스마트 러닝의 큰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용 앱 콘텐츠를 선정하여, 일반적 이론과, 선행논문, 그리고 설문을 통해 교육용 앱 콘텐츠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보완점 등을 제기함으로써, 학습증진에 효과적인 앱 콘텐츠 제작에 초석을 다지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 교육용 앱 콘텐츠의 보완점과 문제점을 검증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학습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상호작용을 위한 보완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제작되는 교육용 앱의 보다 효율적인 교육환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or better cloud computing, information is digitalized and becoming smart and educational paradigm is changing. Education has changed from classroom based learning, to computer based e-learning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to smart learning. Smart learning has been started already but compared to its capabilities, such as individuality, mobility, immediacy, and multimedia function, it use is still in its infancy. Current smart learning applications are just changed form of e-learning content and certain portion of it is removed due to the screen size of smart device. For effective learning, interaction is very important but in smart learning applications, interaction part is removed, which is a big problem of smart learning. This study trie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production of effective application content to improve learning by examining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in educational app content and present elements to improve through the examination of general theories,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by selecting educational app content.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problems of educational app content and elements to be improved. An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present elements to improve interaction that could increase the level of concentration on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more effective environment for educational applications.

      • KCI등재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색채디자인 전략

        이향아(Lee, Hyang 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2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화 기반의 시대에서 인간의 삶은 점점 더 강하게 온라인과 연계되고 있으며, 인간의 삶 전반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왔다. 그리고 가장 전통적인 교육 분야 또한 온라인화 되어 가며, e-learning 콘텐츠가 사회 전반에서 일반화되었고, 상시학습, 개인별 맞춤 학습, 멀티미디어의 활용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어 더욱 발전이 기대되는 교육 형태로 자리하고 있다. e-learning은 전통적 교육과는 다른 비면대면이며, 혼자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해야 한다는 점, 모니터를 매개로 학습을 한다는 점 등의 다양한 특징들로 인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시각적 환경인 GUI의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GUI의 구성요소 중에서도 색채는 1차적 인지요소이자 기억력과 긍정적 이미지 조성, 집중도 향상 등 효율적 학습 환경 조성에 활용이 가능한 중요한 요소로, 정보와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확실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지만, 그 중요도에 비해 적용방법, 기준 등의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e-learning에서 색채가 학습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과 중요성, 그리고 현재 제작되는 콘텐츠의 색채계획의 미흡한 부분과 기준 제시 등에 대해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좀 더 구체화하여, 각 색채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그 사용의 적합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S사이버대학교에서 현재 사용 중인 e-learning 콘텐츠를, 7개 학부에서 대표성을 갖는 과목 20개씩(문화예술학부는 총 15개 과목 개설) 총 135개 콘텐츠를 선정하여, 교과특성과 수강생 등을 고려하여 색채를 분석해 보고, 이때 일반적 색채 심리와 인지론, 색채 특징 등을 근거로, 현재 수강 중인 학생 대상의 설문 등을 통해 색채의 적합성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전 연구를 통해 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교수자와 제작자의 색채 선택을 좀 더 쉽게 하였으나, 여전히 색채 선택에 있어서는 교과목 특징이나 수강생 중심의 환경 조성에 대한 기준이 부재한 상태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8가지 색채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구분하고 분석함으로써, e-learning 콘텐츠 제작시 색채계획의 중요성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편안하고 효율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향후 과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좀 더 구체적인 배색 기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콘텐츠 기획단계에서부터 교과목 특징과 수강생, 주제 등을 고려한 올바른 색채계획의 수립을 통해, 향후 제작되는 콘텐츠의 학습 효율성 향상이 이루질 것이다. In digital age, mankind"s life style is more connected to online environment than ever and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in paradigm. One of the most conservative area, the field of education, is also merging with online environment, and E-learning contents are becoming the norm of the society. With pros consisting of constant learning, personalized customized learning and utilization of multimedia, education field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something more. Unlik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importance of e-learning"s GUI is prominent due to characteristics like self-learning, learning through a monitor, etc. Among composing elements of GUI, color as the primary cognitive element is very important due to creation of memory and positive image, increase in concentration and effective in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 It is also effective in transfer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establishing an identity. However, even with its importance, the research regarding application methods and standards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I have researched into various effects of color in e-learning, insufficient parts in color planning of contents and proposition of standards. In this research, each colors" detailed effects in learning and suitability was studied. 135 e-learning contents that were being utilized at S cyber university were selected from 7 departments (20 contents each, 15 contents for cultural arts department) and analyzed for general color psychology, cognition and color characteristics through survey of students centered on suitability of color. Color guidelines were provided to simplify color selection by the teacher and the producer but there wasn"t any standards on color selection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subject or creation of environment centered on students.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analyzes contents centered on 8 kinds of color to suggest guidelines and importance of color planning during e-learning content production in order to provide comfortable and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I hope that increase in learning effectiveness of contents to be produced is realized through establishment of correct color planning with consideration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students and topic from the planning stage of contents.

      • KCI등재

        교육용 앱을 통한 스마트 러닝의 확장성 연구

        이향아(Lee, hyang-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1 No.-

        인터넷의 등장으로 e-learning이 탄생했다면, 이제 그 뒤를 이을 교육 패러다임으로 모바일 혁명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러닝이 주목받고 있다.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던 전통적 교육에서 컴퓨터를 기반으로 시공간을 초월하는 e-learning을 거쳐,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러닝이 시작되면서 디지털화, 클라우드화 시대에 적합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은 그 역량에 비해 미흡한 수준이다. 홍보부족과 학습자의 효율적인 학습 환경 조성에 중요한 상호작용의 부족, UI/UX 구성의 미흡함, 복잡한 정보구성 등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S 사이버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육용 앱 콘텐츠를 기반으로 일반적 이론과 선행논문, 설문을 통해 개인성, 이동성, 즉시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이용한 스마트 러닝의 확장성에 주목하여 연구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현 교육용 앱콘텐츠의 문제점을 알 수 있었고, 보완점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스마트 러닝의 확장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율적인 교육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learning emerged with the advent of Internet. And now, smart learning based on mobile revolution is drawing attention as the educational paradigm following e-learning. Education has changed from conventional education that was done in the classrooms to e-learning that is based on computer and transcends space and time, and to smart learning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And various attempts appropriate for the digital and cloud era have been made, but the results have fallen short of the capabilities of smart learning. It is due to insufficient promotion of smart learning, lack of interaction, which is vital for the creation of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learners, insufficient UI/UX configuration, complicated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other problem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expandibility of smart learning that utilizes individuality, mobility, immediacy, and multimedia functions focusing on educational application content used by s cyber university. For the research methods, review of general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were used. Through thi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of educational application content. Based on this finding,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remedy these problems and confirmed the expandibility of smart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more effective education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