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유통 화장품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

        이주형 ( Lee Juhyeong ),임선희 ( Lim Su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브랜드에 있어서 판매 매장의 공간디자인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최전선으로서 과거에 비해 중요도가 매우 높아졌다. 브랜드가 우후죽순 범람하는 상황에 차별화된 브랜드의 이미지와 속성까지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브랜드의 생명과도 연결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브랜드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산업으로서 매장의 공간디자인과 VMD는 타 유통분야보다 민감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채널에서 판매 중인 화장품 브랜드의 백화점 화장품 매장디자인을 기획함에 있어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쳐 최종 결과물을 제시함으로써 차후 백화점 화장품 매장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디자인 제안을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브랜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포지셔닝,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의 이해를 위해 시대별 매장의 디자인 변천사를 조사하여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라 진화된 매장 디자인 방향을 파악한다. 둘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매장디자인의 전략적 요소로 도입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디자인 대상인 에이지투웨니스의 브랜드 분석을 통해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디자인 아이템을 개발한다. 셋째, 매장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숍 아이덴티티와 광고, 상품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VMD로 구분하여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인이 완성되고 시공설치까지 완료된 매장에 대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점검하고 적용된 디자인 아이템 효과를 타진한다. (결과) 본 디자인 연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을 위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에이지투웨니스의 매장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브랜드 분석과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하여 개발된 디자인 아이템을 매장에 적용하고 디자인 결과물을 통해 표현된 매장의 숍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판매매장의 주목적은 브랜드인지도 확보와 마켓쉐어 확보이다. 브랜드 고유의 철학과 상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이미지를 전달하기 쉽게 개발된 시각적 아이템이 효과적이며 일관성 있는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함으로서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서게 되고 브랜드를 기억하게 되어 관심과 구매로 연결되어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심리를 고려한 매장디자인은 브랜드의 성과목표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mportance of spatial design of brand shop has been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s the front-line of brand communication. In the market flooded with brands, delivering the brand image and attributes to consumers might be an important part connected to the life of the brand. Especially, as an industry in which image communication is important, the visual merchandizing design (VMD) and spatial design of shop for cosmetics brands are a sensitive area compared to other distribution area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as a guideline for a cosmetics department store design in the future, by presenting the final result after going through the design process to establish the brand identity in case when planning a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of cosmetics brand on sale in online channel. (Methods) First, as a basic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brand, this study elucidates the evolved design direction following the change of consumption environment by theoretically considering the brand identity, brand positioning, and brand communication, and then researching the history of design changes in each shop for understanding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Second, this study develops a design item by setting up the design process for introducing the brand identity as a strategic element of shop design, and also analyzes the contents the brand aims to deliver through the analysis of brand ‘Age 20s’ as the subject of design. Third, this study reveals the design outcome by dividing it into shop identity representing the brand communication of shop, and VMD representing the advertisement and product communication. Lastly, this study inspects the brand communication elements on the shop with completed design and construction/installation, and then examines the effects of applied design item. (Results) This design study proposed a shop design of Age 20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shop design for delivering the brand identity. After applying the design item developed by brand analysis and design process to the shop,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s on the shop identity and brand communication represented through the design outcome. (Conclusions) The main purpose of shops is to secure brand awareness and market share. To deliver the characteristic philosophy of brand and product information to consumers, the visual item that has been developed for easy delivery of brand image should repetitively deliver the effective and consistent image, which could lead to it getting embedded in the consumers’ memory, resulting in their increased interest and purchase, and increase in sales of the product. The shop design considering this psychology of consumers coul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goal of a brand.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 전달을 위한 코스메슈티컬 에스테틱 공간 디자인 개발-C브랜드 에스테틱숍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주형 ( Juhyeong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의 발전과 사회 트렌드의 변화로 건강과 미에 대한 관심과 함께 화장품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두드러지는 경향은 심각한 환경문제인 미세먼지와 전자파노출 등 피부에 유해한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코스메슈티컬이라는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코스메슈티컬이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maceutial)을 합친 새로운 단어이다. 코스메슈티컬은 전문적인 피부 상담과 개선이 필요하므로 주로 에스테틱숍과 피부과 병원을 통해 판매하는 유통 경로로 출발하였다. 따라서 고객과의 접점인 에스테틱숍의 공간디자인은 고객에게 치유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전달할 수 있는 이미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달하여 브랜드 인지도 확보와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을 통해 고객을 확장하여 제품판매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C브랜드의 에스테틱숍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C브랜드에서 운영하는 에스테틱숍의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므로, 먼저, 코스메슈티컬과 에스테틱의 의미와 공간구성에 대해서 이론적 고찰을 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도출된 공간과 C브랜드 에스테틱숍에서 요구하는 공간을 접목하여 최종적으로 필요공간요소를 도출한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C브랜드에 대한 기본조사로서 로고와 심벌 그리고 브랜드컬러 등 브랜드분석을 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실내공간에 접목할 디자인 아이템을 개발한다. 개발된 디자인 아이템을 각 공간별로 접목하여 실질적인 디자인을 구성한다. (결과)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로비와 안정적인 심리로 에스테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에스테틱 공간으로 크게 구분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주로 보여주는 로비 공간에서는 브랜드이미지를 표현하는 시각적 아이템을 공간디자인으로 승화하여 입면에서 보여지는 시각이미지를 통해 브랜드의 의도를 전달받을 수 있게 구성하였고 에스테틱 공간은 프라이버시가 확보되고 고객과 직원이 편안한 행동이 가능하도록 타입별 룸구성과 유동적인 파티션을 이용한 기능적인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코스메슈디컬을 판매하며 스킨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스테틱숍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공간디자인을 제안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고객이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과 편안한 공간체험을 유도하는 기능적인 공간디자인 방향의 제안으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코스메슈디컬과 관련된 브랜드인지도 향상을 위한 공간디자인을 계획하는 데 있어 본 연구의 내용이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Changing social trends are reflected in the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and beauty and increasing consumption of cosmetics. With the increase in sources of stress that harm the skin, such as fine dust as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and exposure to electromagnetic waves, interest in the cosmeceutical area is also increasing. “Cosmeceutical” is a new word from the combination of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Given the necessity of providing professional skin counseling and improvement, cosmeceutical services have mainly been conducted in aesthetic shops and dermatology clinics. Therefore, for the space design of aesthetic shops, as a point of contact with customers, an image that conveys reliability and trustworthiness is paramount. Another important purpose is to enable the smooth sales of products by expanding the customer base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brand image and viral marketing.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aesthetic shop design for C brand, a cosmeceutical brand in Korea. (Method) First, this study perform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meanings of cosmeceuticals and aesthetics, as well as of spatial composition. Second, by combining the space drawn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at demanded by the aesthetic shop of C brand, we drew the necessary space elements. In the design stage, as basic research of C brand, we analyzed its logo, symbol, and brand colo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design items applied to the interior space were developed. The actual design was composed by applying the developed design items to each space. (Results) We divided the space into a lobby that delivers the image of the cosmeceutical brand and the aesthetic space in which customers receive aesthetic services in the stable psychology. The lobby space was composed to deliver the intention of the brand through the visual image of elevation, by subliming the visual items expressing the brand image into the space design. To secure the privacy and comfort of customers and staff, the aesthetic space was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rooms, with the functional space using flexible partition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 brand image by suggesting a new area design for an aesthetic shop offering cosmeceutical products and skincare services. The findings suggest the proper direction of functional space design for inducing customers’ trust in the brand and comfort in their experience of the spac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space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brand awareness related to cosmeceuticals.

      • KCI등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BI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 브랜드 홍보관 중심으로 -

        윤수연 ( Yun Sueyoun ),이주형 ( Lee Juhyeong ),권혁진 ( Kwon Hyukj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브랜드 홍보관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장소이자 기업이나 브랜드가 소비자와 만나는 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인식과 소비행태도 함께 변화하면서 공간의 역할 또한 달라지고 있다. 급격히 증가하는 브랜드의 범람 속에서 기업들은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홍보하고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본 논문은 브랜드 홍보관에서 표현되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대해 분석하여 브랜드 홍보관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를 삼기위한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홍보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각 사례에 대해 사례조사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전략, 브랜드 공간의 유형 등을 연구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를 분류한 후 분석 틀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국내 브랜드 홍보관을 사례로 선정하고 제시된 분석틀을 이용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업이나 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 디자인 철학 요인인 의미요소보다는 표현요소로 구현되는 공간 연출에 의해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표현요소를 분석한 결과는 상징적 오브제와 시각적 테마 연출이 높은 반면에 시각적 테마 연출 이외의 다른 공감각적 테마 연출요소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인지도적인 측면에서 다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브랜드 홍보관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시각적 표현요소로써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상징적 오브제는 본질적으로 눈으로 인지되는 아이덴티티의 매개체로써, 소비자들에게 강한 임팩트를 준다. 또한 홍보관에서의 시각적 테마 연출은 브랜드나 제품 자체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유발시킬 수 있어야 하며, 시각적 테마 연출 속에 브랜드 아이텐티티와 콘셉트, 제품이 자연스럽게 통일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홍보관은 BI의 표현요소가 중요한 요소로 적용되면 앞으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효과적인 공간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Brand space is a strategic place for brand communication where a company or brand meets with consumers. Amid rapid changes in the form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industry, consumers' perceptions and interests are also changing. The role of space is also changing along with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Amid the recent surge in new brands, companies and brands are focusing on effectively communicating their philosophy and values to consumers and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their competitors. As the importance of space grows, a brand promotion center studies not only the interior, but also the design that conveys brand identity to consumers using visuals. It also studies how to effectively convey brand identity. This paper analyzes brand communication elements expressed in the brand promotion center and uses basic data for the brand promotion center design. (Method) The method entaile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brand communication and brand public relations centers and use of case investigation methods for each case. First, we studied the concept and strategy of brand communication, the type of brand space, etc.; classified the brand identity components, and derived them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A domestic brand public relations center was selected as an example, and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resented analyses. (Results) The value of a company or brand and the design philosophy of a brand could attract consumers' attention by directing a space that is embodied as an expression rather than a semantic element. Furthermore, the analysis of each expression element showed that symbolic objects and visual theme production were high, while synesthesia theme production elements other than visual theme production were somewhat low in terms of brand identity recognition. (Conclusion) Brand communication can be effectively communicated as a visual representation element, especially as symbolic objects are essentially a medium of recognition of identity, giving consumers a strong impact through association. Further, visual theme production in the public relations center should be able to induce emotional communication considering not only the brand or product itself, but also the lifestyle of the consumer. It is important to communicate and recognize the brand identity, concept, and the product’s naturally unified image to consumers. Thus, brand promotion center will be an effective space for brand communication in the future if BI's expression elements are applied as important elements.

      • 금속 V-벨트 무단변속기의 동력손실 예측

        정연민(Yeonmin Cheong),이주형(Juhyeong Lee),이창욱(Changwook Lee),손우철(Woochurl S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1 No.5

        Power Loss in a pushing metal V-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analysed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Belt Losses at band-band, band-block and block-pulley interfaces are calculated taking the pulley deflection into account. Other losses at the oil pump, clutches, gears, bearings and seals are included to estimate the total loss of CVT. The predicted los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vestigation into the influence of the apply pressure of the pulley on the loss showed that the apply pressure should be controlled as low a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ransmission.

      • 스탠딩 데스크 사용의 효과: 인지적 주의분산과 육체적 부하

        강상현(Sanghyeon Kang),이주형(Juhyeong Lee),진상은(Sangeun Jin) 대한인간공학회 201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0

        Objective: The goal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t-stand desks on physical workload and cognitive performance under dual task paradigm. Background: Six of seven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cognitive performance between the sitting desk and standing desk, but they only tested cognitive abilities without any primary task that may not tap into enough cognitive resource. Method: Total 12 participants visited two times for testing both sitting and standing workstations, and asked to play the Tetris game (primary task) for 40 minutes. The experimental protocol consisted of four 10 min sessions, and each session had level of difficulty in primary task including two easy levels and two difficult level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ree cognitive tests (secondary task), kinematic and kinetic measures, captured about every 5 min. Results: Head flexion angle and lumbar flexion angle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standing (more neutral) than sitting. In addition, the movement of center of pressure (CoP) was significantly bigger in standing than sitting, the but complexity of movement captured by the sample entropy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standing desk suggesting that the cognitive load paid for standing is greater. In line with this, cognitive perform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orkstation condition,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Specifically, cognitive performance decreased under the standing desk as compared to the sitting desk. These findings provide an evidence that the standing posture leads to increase in cognitive distraction because of having a higher degree of freedom in body segments and consequently bigger cognitive load. Conclusion: While using a standing desk the physical workloads can be reduced, but the cognitive load and distraction could be increased.

      • KCI등재

        브랜드 스토리텔링 공간디자인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관한 연구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임선희 ( Lim¸ Sunhee ),이주형 ( Lee¸ Juhye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가치를 중요시하며 글로벌화 되는 소비문화는 브랜드에서도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브랜드의 전략은 트랜드에 민감하며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성향에 따라 국가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차별화 경험과 브랜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이 마케팅 전략이며 브랜드의 스토리텔링을 효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국가와 유통환경에 따라 다양한 아이덴티티로 확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 시 스토리텔링이 공간 내에 마케팅 전략의 유용성과 경쟁력 강화에 효율적인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이다. 향후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 시 공간 디자인의 글로벌 아이덴티티에 관한 참고로 할수 있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첫째,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의 세 개의 구조를 도출하였으며 브랜드가 필요한 글로벌 수용 요소 다섯 가지의 요인을 연구하였습니다. 둘째, 화장품의 글로벌 확산의 현황을 파악하여 논문의 연구 범위에 대한 설정과 사례조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공간디자인을 위하여 스토리텔링의 마케팅적 효과와 공간에서의 구조 형성에 대하여 사물적 요소, 시간적 요소, 전달적 요소의 세 가지로 구분 후 이를 세분화 한 여섯 가지 분석의 틀 모형을 제시하여 이 모형을 중심으로 각각의 다른 국가와 브랜드의 사례를 조사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샤넬과 같은 오랜 전통과 역사의 경쟁력이 강한 브랜드공간은 설명적 학습적 스토리텔링의 연출 보다는 브랜드의 강력한 통일성과 정체성을 보여주면서도 다양한 변동을 보여준다. 반면 아직 브랜드를 알려야 하는 한방화장품과 친환경 화장품에서는 럭셔리 유통시장과 프리미엄 시장에 따라 학습성이 높으며 프리미엄 시장의 친환경 화장품의 경우 통일성과 정체성은 다소 약하지만 변동성에 높은 성향을 보여 다양한 유통의 환경에 확산하는 적용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통일성은 화장품 브랜드에서 매우 중요한 전략이지만 브랜드의 속성과 특징에 따라 유통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동을 보여줄 때도 있으므로 통일성과 변동성은 글로벌 확장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신생 브랜드는 강력한 차별화를 위하여 학습적 효과를 스토리텔링으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K뷰티가 아직도 열풍이며 글로벌 확산이 중요한 시기에 글로벌 환경에서 소비자에게 단계별 학습 효과를 보여주며 브랜드의 속성을 효율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브랜드의 확장적 전략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향후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culture of consumption that values importance also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brand. In particular, in modern society, a brand strategy is sensitive to trends, and shows a variety of patterns by country depending on the lifestyle and consumption habits of customers. This is a marketing strategy to show differentiation experience and brand identity, and efficiently showing the brand's storytelling spreads to various identity depending on the country and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way for the spatial storytelling to enhance the usefulness and competitiveness of marketing strategies when a brand extends glob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be used as a guideline and a reference for the global identity of spatial design when brands enter the global market in the future. (Method) First, to study on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three spatial storytelling structures for the brand's global expansion were derived, and five elements of global acceptance required for the brand were studied. Second, by understanding the global diffusion of cosmetic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determined and the basis for case study was established. Third, for the spatial design of brand storytelling, we present a framework model of six analyses that subdivided the marketing effects of storytelling and the structure formation in space into three components: object, temporal, and transitive. (Results) A brand space with strong competitiveness with a long tradition and history like Chanel shows various variations while expressing the strong unity and identity of the brand rather than directing an explanatory and learning storytel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erbal medicine cosmetics and eco-friendly cosmetics brands, requiring to advertise their brands, they showed high learnability according to the luxury retail market and the premium market. In the case of eco-friendly cosmetics brands in the premium market, they showed good applicability by diffusing to various distribution environments with a tendency of high variability but a bit low unity and identity. (Conclusions) Uniformity is a very important strategy for cosmetics brands, but it can be seen that uniformity and volatility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global expansion as they sometimes show various changes depending on the brand's properties and distribution environment. It is important for new brands to show the learning effect through storytelling in order to increase their differentiation. K-beauty is a craze and shows step-by-step learning effects to consumers at a time when global spread is important, and it can be seen that showing the brand's properties efficiently is very important for the brand's expansion strateg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global expansion of brands in the future.

      • 트림 내장형 시트벨트 하이트 어드저스터 시스템 개발

        김범중(Beomjung Kim),최형호(Hyeongho Choi),이주형(Juhyeong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4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Lately, as a curtain airbag system is implemented as a general equipment for occupants safety performance and consumers' need for interior quality is increasing, the type of seat belt height adjuster is being changed to an invisible type. To keep in step with these trends, we have developed one of an invisible height adjuster and it is in mass-production with Cerato. In this study, regulations and performance requirement, related to development of invisible height adjuster seat belt system, are introduced. Also the standard development process and standard design model are suggested, including design and regulatory requirements, performance requi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