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정서 경험의 변화와 주관적 안녕감

        유경(Kyung Ryu),이주일(Juil Rie),강연욱(Yeonwook Kang),박군석(Kun-Seok Park)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년마다 실시되고 있는 종단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노년기의 정서 경험의 변화 특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특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2003년 기준으로 65세 이상인 노인 중 1차(2003년), 2차(2005년), 3차(2007년) 연구에 모두 참여한 노인 참가자 844명(남성 340명, 여성 504명, 평균 연령 71.59세)을 대상으로 연령 증가에 따른 정적 정서 경험과 부적 정서 경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혼합설계 분산분석(mixed 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 노인들은 부적 정서보다 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정서최적화 특성을 나타냈다. 노년기에 부적 정서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정적 정서가 급격하게 감소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점진적인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의 감소가 나타났다. 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정서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학력이나 경제수준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비해 정서 경험이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그리고, 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고 부적 정서를 덜 경험하는 것이 주관적 안녕감 유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년기 삶에 있어서 정서적 삶의 중요성과 노년연구에서의 종단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emotion experiences in old age and confirm the effect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old age by the longitudinal study. This longitudinal study started from 2003 and every two year we performed panel study. We analysed the data from old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tree-times(2003, 2005, 2007)and over 65 year-old. Finally, 844 old participants(male, 340; female, 504)' data were analysed. The elderly experienced more positive emotions than negatives and these results represented affective optimization. We performed mixed ANOVA method and confirmed significant change of emotion experiences during 6 years. Positive emotion experiences and negative emotion experiences were decreased as they get older.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results, emotion experienc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demographic variables for mainta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old age. Decreasing negative emotion experiences and increasing positive emotion experiences can keep happy life up in old age.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emotional life in old age and the necessity of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활동 참여가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김민희(Min-Hee Kim),이주일(Juil Ri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활동 참여가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활동 참여와 삶 만족, 활동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은퇴한 55세 이상의 성인 700명(남자 350명, 여자 350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제안된 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활동 참여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 만족이 높으며, 자아통합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 참여와 삶 만족, 활동 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노년기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있어서 활동 참여와 삶의 의미가 가지는 역할과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ctivity engagement on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in late adulthood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meaning between activity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700 elderly(359 male, 350 female) who retired and over 55 years old completed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showed that the suggested model is appropriate. Results showed that activity engage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and results also showed that life mean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Last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roles of activity engagement and life meaning on life satisfaction and ego integration for elderl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노인유사체험교육이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미치는 영향

        안병운(ByoungWoon An),이주일(JuIl Rie)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0 창조와 혁신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유사체험이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내의 고령사회교육센터에 설치된 생애체험실의 체험을 신청한 총 179명을 대상으로 노인유사체험이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노인유사체험을 실시하기 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대한 사전조사를 하였고, 노인유사체험 후 체험자가 밝힌 의견에 대한 질적 분석과 주관적으로 느끼는 노화관련 태도, 지식, 노후 생각에 대한 변화량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유사체험 후 노인에 대한 태도변화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는데, 체험 전 82.13점에서 78.94점으로 노화관련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노인유사체험 후 개인차 변인으로 측정한 통제소재에 따른 지식 및 태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태도에서 내적 통제 집단이 외적 통제집단 보다 더 긍정적으로 태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화관련 지식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노인에 대한 태도는 현재 노인과의 동거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노인에 대한 지식에서는 학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재 노인과 동거하는 사람보다 동거하지 않는 사람이 더 긍정적으로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노화과정을 체험하는 교육이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유용하지만, 이러한 노인에 대한 체험적 교육이 노인에 대한 지식적 교육과 함께 이루어져야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ges, locus of control and senior simulation programs affect people's knowledges and attitudes toward elderly people. In study, the author examined how senior simulation program affected people's knowledges and attitudes toward elderlies by surveying 179 people who applied for the senior simulation center program at the Education Center for Aging of University. In Study, the author also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n how the participants think of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 and their later life. Results of study show that participation in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SSP)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changes toward elderly people - from 82.13 points to 78.94. Especially attitude of internal control groups were more positively increased by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 compared to external control groups. But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groups. And attitudes were affected depending on whether participants live with elderly people or not. Participants not living with elderly family members were more positively affecte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lderly experience education help people develop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lderly people.

      • KCI등재
      • KCI등재

        활동적 노년 척도의 타당화 연구

        유경(Kyung Ryu),장재윤(Jae Yoon Chang),한태영(Tae Young Han),이주일(Juil Rie)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3

        본 연구는 활동적 노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활동적 노년 척도는 참여, 건강, 안전의세 하위 요인을 통해 노인의 활동성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차에 걸친 연구를 통해 본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1차 연구에서는 600명의 노인(평균연령 69.10세, 표준편차 5.43)을 대상으로 본 척도의 3요인 구조를 확인하고,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동적 노년 척도와 삶의 만족, 우울, 정서 경험, 사기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400명의 노인(평균연령 63.14, 표준편차 4.60)을 대상으로 1차 연구에서 확인한 3요인 구조를 교차타당화를 통해 구조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활동적 노년 척도는 노년기의 삶의 만족과 적응도를 측정하는데 타당하고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ctive aging scale which assessed the activity and adaptation of the elderly. Active aging scale consists of three sub-scales: participation, health, and securit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ctive aging scale through performing researches for twice. The first study was performed with 600 older adults(m=69.10, sd=5.43),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ree-factor model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scale. In the second study, we did cross-validation of the three-factor model with 400 older adults(m=63.14, sd=4.60) and confirmed again. Finally, we confirm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active aging with life satisfaction scale, depression scale,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experiences, and PGCM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ctive aging scale was useful scale that measured elderly's activity and adaptation in daily lif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활동적 노년의 시민참여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이시우 ( Si Woo Lee ),김태웅 ( Tae Woong Kim ),이주일 ( Juil Ri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4

        본 연구는 활동적 노년의 시민참여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시민참여가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서 다양한 소공동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노인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만 65세 이상의 32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 (bootstrapping) 방법을 통한 이중매개 효과 분석 결과, 시민참여와 노화불안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시민참여가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을 완전매개하여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민 참여가 노화불안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하지만 삶의 의미 및 삶의 만족을 통해 노화불안을 감소시킴을 의미한다. 이는 고령사회에서 주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노인의 노화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시민참여가 기여할 수 있으며, 단순히 특정 시민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참여를 통해 삶의 의미와 삶의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노화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민참여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civic engagement and aging anxiety among active elderly. This paper collects data from 700 elderly who belong to small commun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323 people aged over 65. To analyze the data,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method were used. As a result,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vic engagement and aging anxie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civic engagement can contribute to reducing aging anxiety among elderly, which is emerging as a major problem in the aging society. Moreover, it is essential to feel the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participation rather than simply participating in specific civic activities. Final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노인용 사기 척도(PGCMS)의 타당화 연구

        유경(Kyung Ryu),김지현(Jihyun Kim),강연욱(Yeonwook Kang),이주일(Juil Rie)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1

        본 연구는 한국판 필라델피아 노화연구소 노인용 사기 척도 PGCMS(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GCMS는 평정감, 노화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의 세하위 요인을 합산하여 노인의 사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3차에 걸친 연구를 통해 본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1차 연구에서는 844(평균연령 71.59, 표준편차 5.09)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본 척도의 3요인 구조를 확인하고,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1,272(평균연령 72.4, 표준편차 5.5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1차 연구에서 확인한 3요인구조를 교차타당화를 통해 구조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3차 연구에서는 300(평균연령 74.58, 표준편차 5.92)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PGCMS 척도와 삶의 만족, 우울, 정서경험, 신체건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PGCMS가 노인의 사기 및 삶의 만족을 측정하는데 타당하고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PGCMS) which assess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GCMS consists of three sub-scales: non-agitation, attitude toward own aging,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PGCMS through performing researches for three-times. The first study was performed with 844 older adults(m=71.59, sd=5.09),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ree-factor model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scale. In the second study, we did cross-validation of the three-factor model by using Amos with 1,272 older adults(m=72.4, sd=5.55) and confirmed again. Finally, we confirm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GCMS with life satisfaction scale, depression scale, health satisfactio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experiences scales with 300 elderly(m=74.58, sd=5.92).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GCMS was useful scale that measured elderly's quality of lif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