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tegory Norms for Korean Adults Age 55 to 74

        JungWan Kim(김정완),Yeonwook Kang(강연욱),Ji Hye Yoon(윤지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55-74세 성인의 명사 범주 규준(본보기 산출빈도와 전형성)을 조사하여 향후 신경언어장애 환자군의 이름대기 중재를 위한 치료자극 항목의 선정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정상 성인 40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1단계(220명)에서는 총 10개 명사 범주(옷, 주방용품, 소지품, 채소, 가구, 교통수단, 학용품, 전자제품, 꽃, 동물)에 대한 생성이름대기를 각 1분간 실시하였다. 2단계(216명)에서는 1단계에서 얻은 결과로 각 범주별 본보기의 평균 반응수와 본보기 종류의 총수를 산정한 후, 각 범주별 상위 30위까지의 본보기들에 대한 의미전형성을 7점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결과: 50-70대 성인들의 의미 네트워크는 범주 유창성 과제의 범주 목록에 따라, 그리고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변별적으로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는 연령에 기초한 의미 범주에 대한 정상규준 마련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향후 신경언어장애 환자군의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자극항목 선정 시 염두에 두어야 할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자료는 한국 성인의 의미적 구조나 의미자질을 이용한 이름대기 중재 효과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의 기초를 제공한다. This study seek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the production frequency and typicality of noun exemplars by semantic category for Korean adults age 55 to 74. Methods: A total of 401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 experiment 1 (N=220), the subjects were given generative naming tasks from ten categories: clothing, kitchen utensils, personal belongings, vegetables, furniture, transportation, school supplies, electronic devices, flowers, and animals. In experiment 2 (N=216), the mean number of production and number of different words of noun exemplars were evaluated. The semantic typicality of each noun exemplar obtained from experiment 1 was also rated. Results: The category of items in fluency tasks, along with age and gender has a distinctive influence on the semantic networks of adults age 55 to 74.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ge-specific Korean category norms and data for semantic typicality are needed. In addition, these results are clinically meaningful given that they provide preliminary data to select stimuli item for naming treatment programs of patients with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This study also provides a basis for future study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semantic networks in Korean adults and the efficacy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in naming treatment.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들의 우리말 범주 규준 조사

        전덕임(Duk Im Jeun),강연욱(Yeonwook K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1

        초등학교 아동들의 우리말 범주 규준(본보기 산출빈도와 전형성)을 조사하여 아동의 언어 및 기억연구와 아동용 언어 및 기억검사의 제작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방법: 161명(남자 87명, 여자 74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8개 범주(동물, 과일, 주방용품, 학용품, 옷, 꽃, 채소, 장난감)에 대한 범주별 본보기 산출빈도와 범주 본보기의 전형성 규준을 작성하였다. 결과 및 결론: 본 연구에서 밝혀진 초등학교 아동들의 범주 규준과 대학생들의 범주 규준(이관용, 1991)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결과는 아동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체 연령층에 대한 우리말 범주 규준의 연령별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category norms (exemplar frequency and typicality) of Korean to be us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language and memory tes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One hundred sixty-one children (87 boys and 74 girls) were given tests of eight categories: animals, fruits, kitchen utensils, school supplies, clothing, flowers, vegetables, and toys. Production frequency and typicality for each category were evaluated. Results & Conclusion: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is current norm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data repor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 previous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e-specific Korean category norms are needed.

      • KCI등재

        의미자질분석 중재에 따른 장노년층의 이름대기 및 인지능력 변화

        김정완(JungWan Kim),강연욱(Yeonwook Kang),이호영(Ho-Young Lee),(Jaihyun Kim),윤지혜(Ji Hye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1

        배경 및 목적: 단어 찾기 어려움이나 이름대기 장애는 노화과정에서 빈번히 관찰된다. 치매나 인지장애로 진행하기 전, 전임상단계의 장노년층에게 이름대기 어려움에 대한 중재를 실시하여 이름대기 능력을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 뇌가소성과 기능적 재조직화의 측면에서 두뇌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면, 이러한 중재프로그램은 장노년층과 치매 환자들의 의사소통장애를 중재하는 도구로서 사용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저하를 예방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관적 또는 객관적 이름대기 어려움을 보이는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의미자질분석을 활용한 이름대기장애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55­84세 사이의 장노년층 273명을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참여를 희망하고 동의한 42명을 대상으로 보스톤 이름대기검사 규준에 근거하여 이름대기 정상 집단과 비정상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의미범주별 개방형 유도질문과 격자표를 활용한 총 20회기의 의미자질분석 중재를 실시하였다. 이름대기 및 인지능력에서의 중재효과는 집단(정상/이상집단) 및 검사 시기(사전­사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로 비교하였다. 결과: K­BNT의 정반수와 프로브 검사의 정반응수 및 반응시간에서는 사전에 비해 사후 검사의 수행력이 개선되었으나 K­BNT 반응시간에 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인지검사 중, COWAT의 음소유창성, SVLT­E의 즉각회상 및 지연회상 과제에서 사전­사후 검사 간 유의한 수행력 증가가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장노년층의 이름대기 장애가 전반적인 의미체계상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방식을 통해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Objectives: Difficulty in word finding and retrieval frequently occurs during the normal aging process. Interventions in middle-aged or elderly adults in the preclinical stage may possibly improve naming ability and further promote brain function in terms of brain plasticity and functional reorganization. If so, this intervention can be used not only to treat communication disorders among middle-aged or older dementia patients, but also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emantic feature analysis intervention program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subjective or objective naming difficulties. Methods: Forty-two participants, aged 55 to 84 years, were screened using a cognitive communication test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f healthy and abnormal participants using the Korean Boston Naming Test (K-BNT) criteria. All participants received a total of 20 sessions of intervention using open-ended induction questions by semantic category and home assignment using a grid.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s and detailed language evaluation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o assess behavioral changes. Results: All participants had better accuracy on the KBNT and better accuracy and reaction time in the post-treatment probe test than in the pre-treatment condition regardless of objective naming difficulty. In addition, with regard to cognitive function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word fluency test (phonemic) and verbal learning test (immediate and delayed recalls)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word finding difficulties or naming impairments can be improved by activating the network for the whole semantic system.

      • SCOPUS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단어 유창성 비교

        박재설(Jaeseol Park),강연욱(Yeonwook Kang),장은주(Eun Joo Chang),오은아(Euna Oh),유경호(Kyung Ho Yu),이병철(Byuug Chul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3

        본 연구는 혈관성 치매 환자들(VD)과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DAT)의 단어 유창성을 비교하여 단어 유창성 검사에서 요구되는 인지과정인 군집화와 전환에 두 치매 집단이 어떤 결함을 지니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치매 집단은 치매의 초기 단계에 속하는 37명의 VD와 44명의 DAT로 구성되었고 66명의 정상 노인(NE)이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에게는 의미(동물)와 음소(ㄱ,ㅇ,ㅅ) 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검사에서 4개의 점수(정반응 수, 군집 크기, 전환 수 및 오류 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VD와 DAT는 모두 치매의 초기부터 단어 유창성 검사에서 정상노인들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내지만 군집화와 전환의 결함 여부 및 결함이 나타나는 시점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VD와 DAT의 변별에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ficits of clustering and switching processes on the semantic and phonemic fluencies in 57 vascular dementia(VD), 44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DAT), and 66 normal elderly(NE). All the patients were in very mild to mild level of dementia (CDR≤1.0). The subjects were given the tests of phonemic(ㄱ, ㅇ, ㅅ) and semantic fluency(animals). The following 4 types of scores were obtained from each test: (a) total number of words generated, excluding errors; (b) mean clustering size; (c) number of switches; and (d) number of errors (repetitions and intrusion). The results found that both VD and DAT, even at the early stages of dementia,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n the verbal fluency test than the NE did. The types and timing of deficits in clustering and switching processed between two dementia groups. We discussed their implications on the differentiation between VD and DAT.

      • KCI등재

        노년기 정서 경험의 변화와 주관적 안녕감

        유경(Kyung Ryu),이주일(Juil Rie),강연욱(Yeonwook Kang),박군석(Kun-Seok Park)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년마다 실시되고 있는 종단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노년기의 정서 경험의 변화 특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특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2003년 기준으로 65세 이상인 노인 중 1차(2003년), 2차(2005년), 3차(2007년) 연구에 모두 참여한 노인 참가자 844명(남성 340명, 여성 504명, 평균 연령 71.59세)을 대상으로 연령 증가에 따른 정적 정서 경험과 부적 정서 경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혼합설계 분산분석(mixed 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 노인들은 부적 정서보다 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정서최적화 특성을 나타냈다. 노년기에 부적 정서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정적 정서가 급격하게 감소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점진적인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의 감소가 나타났다. 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정서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학력이나 경제수준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비해 정서 경험이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그리고, 정적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고 부적 정서를 덜 경험하는 것이 주관적 안녕감 유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년기 삶에 있어서 정서적 삶의 중요성과 노년연구에서의 종단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emotion experiences in old age and confirm the effect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old age by the longitudinal study. This longitudinal study started from 2003 and every two year we performed panel study. We analysed the data from old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tree-times(2003, 2005, 2007)and over 65 year-old. Finally, 844 old participants(male, 340; female, 504)' data were analysed. The elderly experienced more positive emotions than negatives and these results represented affective optimization. We performed mixed ANOVA method and confirmed significant change of emotion experiences during 6 years. Positive emotion experiences and negative emotion experiences were decreased as they get older.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results, emotion experienc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demographic variables for mainta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old age. Decreasing negative emotion experiences and increasing positive emotion experiences can keep happy life up in old age.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emotional life in old age and the necessity of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치매 심각도에 따른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기억 책략 변화

        박종식(JongSik Park),송인욱(In-Uk Song),강연욱(Yeonwook Kang)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2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21 No.2

        Background: In recent years, an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nvestigation of cognitive impairment in dementia of the Alzheimer s type (DAT). In particular, studies have shown that memory impairment is a useful indicator for diagnosis of DAT.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emory strategies in patients with DAT.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memory strategi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DAT. Methods: The subjects were 20 old adults (OA: 8 males, 12 females), 20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8 males, 12 females), 20 patients with mild DAT (8 males, 12 females), and 14 patients with moderate DAT (6 males, 8 females). All subjects underwent the 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Results: Compared to patients with MCI, patients with mild DAT showed lower scores on immediate recall, delayed free recall, and recognition discrimination,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the variables evaluating memory strategies between the two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any of the variables between the mild and moderate DAT groups. However, between the MCI and moderate DAT groups,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1-3th learning slope and the recall consistency.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mory strategies between healthy elders and patients with DAT. It is expected that training memory strategies will be helpful for preventing dementia and alleviating dementia symptoms in healthy elders and patients with early DAT.

      • KCI등재

        한국판 노인용 사기 척도(PGCMS)의 타당화 연구

        유경(Kyung Ryu),김지현(Jihyun Kim),강연욱(Yeonwook Kang),이주일(Juil Rie)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1

        본 연구는 한국판 필라델피아 노화연구소 노인용 사기 척도 PGCMS(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GCMS는 평정감, 노화에 대한 태도, 삶의 만족의 세하위 요인을 합산하여 노인의 사기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3차에 걸친 연구를 통해 본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1차 연구에서는 844(평균연령 71.59, 표준편차 5.09)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본 척도의 3요인 구조를 확인하고,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1,272(평균연령 72.4, 표준편차 5.5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1차 연구에서 확인한 3요인구조를 교차타당화를 통해 구조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3차 연구에서는 300(평균연령 74.58, 표준편차 5.92)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PGCMS 척도와 삶의 만족, 우울, 정서경험, 신체건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PGCMS가 노인의 사기 및 삶의 만족을 측정하는데 타당하고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PGCMS) which assess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GCMS consists of three sub-scales: non-agitation, attitude toward own aging,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PGCMS through performing researches for three-times. The first study was performed with 844 older adults(m=71.59, sd=5.09),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ree-factor model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scale. In the second study, we did cross-validation of the three-factor model by using Amos with 1,272 older adults(m=72.4, sd=5.55) and confirmed again. Finally, we confirm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GCMS with life satisfaction scale, depression scale, health satisfactio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experiences scales with 300 elderly(m=74.58, sd=5.92).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GCMS was useful scale that measured elderly's quality of lif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기억의 신경심리학적 평가

        강연욱 대한치매학회 2004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3 No.2

        Based on the Squire's and the Tulving & Schacter's models about memory system, the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of human memory for clinical purposes usually consists of 7 areas; Orientation, immediate memory, episodic memory, semantic memory, implicit memory, remote memory, and prospective memory. Numerous, seemingly disparate processes such as encoding and acquisition of information, retention and retrieval, rate of decay, and interference effect are assessed in both the verbal and nonverbal modalities for each area. Standardized tests that are normed, reliable, and valid tests as well as a more behavioral or functional measures provided by direct observation, self-reports, or interviews have been used for the evaluatio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memory impairments have other cognitive deficits as well. The poor performance on memory tests may be at least partly attributable to the deficits of other cognitive functions such as attenti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executive function. Therefore, a comprehensive cognitive assessment is recommended to examine the nature of memory disorders. A complicating factor in the memory assessment of older adults is that appropriate norms for the elderly group may not be available. More age- and cohort-specific norms for the elderly population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