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발트와 팔라듐 폐금속자원의 흐름분석을 통한 자원순환 활성화 방안

        이희선,이정민,이소라,Lee, Hi Sun,Lee, Jeongmin,Yi, Sora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8 資源 리싸이클링 Vol.27 No.1

        The rapid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products that contain rare metals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recycling and recovering resources from these products when they enter the waste stream. Among various metal resources that can be recovered, this study analyzes the waste streams of cobalt and palladium to determine how their waste resource circulation can be improved at each stage of the waste stre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int to improvements and strategies that can be made at individual stages. First, at the discharge/import stage, the implementation of tariff quotas for specific recycled metal resources is suggested to allow the systemic categorization of waste metals as resources. At the collection/discarding stage, a major problem is the instability in the supply of scrap metals, which may be better managed by changing the bidding process for the scrap metals. At the pretreatment stage, possible areas for improvement are uncovered concerning technical areas, such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terial recycling, as well as policy-wise, for instance, expanding the regulation for manufacturers to produce products that are designed to facilitate resource recovery, increasing incentive for closed recycling, and refining the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recycling. At the resource recovery stage, as the waste metal recycling industry consists of businesses that vary in size, policies to promote cooper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large and smaller enterprises will benefit the industry in the long-run. Lastly, at the product production/export stage, a tariff on exporting waste resources that contain cobalt and palladium will help control the amount of waste metals that are shipped abroad.

      • Smart waste 및 환경정보 제공을 위한 주민참여형 애플리케이션 활용 연구

        이소라 ( Sora Yi ),임혜숙 ( Hyesook Lim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7 No.-

        기존의 단순 폐기 처리되던 폐기물인 waste는 스마트 정보통신의 활용으로 위치나 다양한 특성 정보를 부여받음으로써 ‘Smart waste’로 전환되어 관리될 수 있다. Smart waste로의 전환으로 폐자원들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자원순환 문화 조성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순환 및 환경정보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동향을 분석하고, 애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 사용자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시간 빅데이터 구축을 활용한 공공기관 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을 검토하고, 주민 참여 및 애플리케이션·웹사이트 활용성 확대 방안을 검토하였다. 다양한 환경정보의 제공과 주민들의 참여확대는 환경정책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행연구에서는 ① 폐기물 관리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활용 연구, ②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환경정보와 개선 방안 연구, ③ 애플리케이션 실제 활용도 조사 연구 ④ 정보의 제공과 이로 인한 사용자 행동변화 연구, ⑤ 사용자 맞춤형 정보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또한 스마트 정보통신을 이용한 환경정보 활용 사례는 자원순환 또는 환경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 사례, 환경활동 주민참여 사례 등으로 분류하여 파악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① 정보제공형, ② 민원해결형, ③ 인센티브형, ④ 창작 활동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주민참여 활동으로는 ① 기후변화방지를 위한 캠페인, ② 우리 동네의 환경문제 찾기, ③ 사물인터넷 활용 분리수거함의 이용, ④인공지능 활용 쓰레기통의 이용에 대하여 각각 사례를 분석하였다. 환경정보 활용에 관한 사용자 분석을 위하여 150인을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하여 허니콤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환경정보의 특성을 감안하여 총 5가지 측면(유용성, 사용성, 가치성, 접근성, 검색성)의 평가요소를 선정하였다. 또한 환경정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에서 제공받고 싶은 분야 및 분야별(자원순환·수질·대기질)로 제공받고 싶은 콘텐츠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47.3%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웹사이트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사용자 경험 평가에서 88.7%가 유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78.9%가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응답하였다. 70.4%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이 편리하다고 응답하였으며, 80.3%가 서비스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접근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의사에 대해서는 84.5%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여 기존에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의 가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환경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의 미활용자(전체응답자의 52.7%)의 86.1%는 서비스 제공 사실을 몰라서 활용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향후 제공받고 싶은 애플리케이션 환경정보로 대기질(62.7%), 자원순환(19.3%), 수질(14.7%) 분야의 순으로 응답했으며, 웹사이트 환경정보로 대기질(48.0%), 자원순환(24.0%), 수질(22.7%) 분야의 순으로 제공받기를 원했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는 애플리케이션 및 웹서비스의 콘텐츠 및 대시보드 구성 방안에도 활용되었다. 실시간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공공기관 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스마트 도시폐기물 관리 사례와 실시간 정보 제공형 대시보드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와 고양시에서는 태양광 압축 쓰레기통 등을 설치하고 이를 클린시티 네트워크(CCN: Clean City Network)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통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있어 쓰레기통이 차거나 특별한 사항이 발생하면 서버와 통신하여 관리자에게 관련사항이 전송된다. 현재 웹사이트 기반 플랫폼 연계 애플리케이션 운영 방식은 실시간 운영 현황이 데이터로 송신 및 송출은 가능하나 실시간 빅데이터로 구축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시보드 운영 현황으로는 영국 및 미국 EPA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영국에서는 기상·대기오염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미국 EPA에서는 유해폐기물 관련 현황과 성과에 대한 대시보드를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원순환·수질·대기질 분야에 대한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의 콘텐츠 구축 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또한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난 우선순위별 애플리케이션·웹사이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주민참여 확대를 위한 방안을 ① 홍보 확대, ② 주민보상 강화, ③ 쉬운 서비스 접근 및 활용, ④제도 개선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콘텐츠 및 빅데이터 연계 운영 방안을 검토한 결과, 사용자는 실시간·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와 지자체는 이를 빅데이터로 구축·활용할 수 있으며, 민간기업은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홍보하는 것으로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환경정보 제공형 대시보드의 구축 방안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사례에서 검토된 기상정보 외에 자원순환·수질·대기 분야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정보 제공에 필요한 자료들은 기상청, 환경부, 실시간수질정보시스템, 에어코리아 등과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 Waste, which has been simply disposed of so far, can be managed as 'smart waste' by tagging information on its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using the smar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By converting waste into smart waste, it becomes possible to manage waste resources efficiently and to create a resource circulation culture that can involve th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the smart waste technology in Korea by analyzing the trend in mobile application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roposes strategies to improve contents and usage of the domestic environment-related applications and websites based on a user experience survey. In extension, the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nd utilizing real-time big data in connection to the multiple platforms operated by the public institutions and the strategies to increase users and user participation on the mobile and web-based platforms. The study anticipates that the greater availabilit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active user participation will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environmental policies. Previous literature has studied the use of environment-related mobile applica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1) the use of mobile apps for waste management, 2) the contents of these mobile app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3) the usage and utility of the mobile apps, 4) the effects of the higher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apps on user behavior and 5) the methods for improving the selective search and extract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these platforms. In addition to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presents case studies on how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smart technology have been utilized in terms of mobile applications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use of mobile and web-based platforms to induc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activities. In doing so, the study categorize the mobile applications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to four types (information-sharing, complaint-resolving, incentive and creative activity) and presents examples for each application type. The case studies presented for the promotion of environmental activity participation include: 1) the “350 Campaign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2) the “Environmental Issues in My Neighborhood” campaign, 3) the recycling campaign using Internet-of-Things recycling boxes and 4) the install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garbage cans for cans and PET bottles. The user experience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ser behavior in utiliz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ded by existing environment-related mobile applications. The survey conducted 150 respondents, and the honeycomb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user experience based on five factors (useful, usable, findable, accessible and valuable)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survey also included a questionnaire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ontents of which the respondents wish to see on environment-related applications and websites in terms of their field of interest and specific content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water quality and air quality.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only 47.3%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using existing applications or websites. 88.7% of the users felt that existing applications and websites were useful and 78.9% replied that they were easy to use. 70.4%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it was easy to search for information and 80.3% responded that the applications and websites provide easy access to services. 84.5% showed th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in the future, implying that the application or website they use has high valu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52.7% of the respondents had no experience using environment-related applications or websites, and the predominant reason that prevented them from using the platforms was the lack of knowledge about the service (86.1%). Also, when asked to choos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y wish to receiv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the respondents favored air quality the most (62.7%), then resource circulation (19.3%) and water quality (14.7%); and the preference found for websites was also in the order of air quality (48.0%), resource circulation (24.0%) and water quality (22.7%).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as a reference in our proposal for improving the contents of the mobile applications and websites and the operation of dashboards presented in this study. In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nd using real-time big data in connection to the existing platforms of public institutions, the study performs case studies on smart city waste management and the operation of dashboards that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oyang City have installed solar photovoltaic waste bins and have been monitoring them in real-time through a platform called the Clean City Network (CCN). The bins ar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which allow server to alert the manager when the bins are full or at the occurrence of any irregular events. The study finds that although such applications or web-based platforms are able to send or receive real-time information, they do not build real-time big data. Regarding dashboards, the cases of the United Kingdom (UK) and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n the UK, dashboards are utilized to provide weather and air pollution information, and the US EPA operates a dashboard that provides real-time information on the hazardous waste. Based on the analyses and case studies conducted, the study presents separate proposals for developing environment-related applications by application type and web-platform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resource circulation, water quality and air quality, and suggests strategies to promote the active utilization of environment-related applications and websites. Also, the study elaborates the suggestions for increasing users and user involvement on these platforms, which include 1) greater public relations and promotional efforts, 2) higher incentive for residents, 3) greater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the services and 4) improvements in related regulations and institutional systems. From our evaluation of the possible construction of real-time big data that connects to the existing platforms,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system that users provide the real-time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by complying with big data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participating private sector provides economic incentives for user participation and promoting the applications. Lastly, the study suggests a plan for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dashboard. In addition to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s in our case study, the study proposes that the dashboard also includes information on resource circulation, water quality and air quality by linking with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al-time water quality information system and Air Korea for the necessary data.

      • 폐자원흐름분석을 통한 전기 · 전자 제품의 upcycling 활성화 방안

        이희선 ( Hi Sun Lee ),이소라 ( Sora Yi ),한상운 ( Sang Woon Han ),임혜숙 ( Hye Sook Lim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정책 및 사례분석을 통해 업사이클링 개념 및 활성화 방향을 설정하고 폐전기·전자제품 중 냉장고와 컴퓨터를 대상으로 폐자원흐름분석을 실시하였다. 제품폐기 이후의 물질흐름을 배출-수거-전처리-자원회수-판매/수출/처분 등의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회수가능한 자원 및 최종 처리량을 파악하고 폐자원흐름분석 단계별로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 국내·외 정책을 분석한 결과, 한국·EU·일본의 의무 재활용 비율 중 EU의 재활용률 및 재생률 목표가 가장 높았으며, 한국·일본도 EU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EU와 일본은 재생률과 재상품화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저급 또는 수평적 재활용 이외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을 유도하는 추세이다. 제3장에서는 업사이클링 개념의 정의를 위해 국내사례로 “가치상향을 위한 폐기물의 업사이클링”과 “디자인산업의 업사이클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국외 사례는 일본 가전리사이클법의 재상품화 기준과 그 외 문헌을 조사하였다. 업사이클링 개념을 “재활용 공정 등을 통해 폐기된 물질 또는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4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1)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으로 전환, (2)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을 재활용, (3) 에너지회수형 재활용을 물질회수형 재활용으로 전환, (4)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폐전기·전자제품의 폐자원흐름분석을 수행하였다. 냉장고의 폐자원흐름분석 결과 회수된 자원 중 우레탄 재활용이 원활하지 않으며, 폐냉매도 일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는 모니터에 포함된 유리와 기타 잔재물이 매립 또는 소각되는 것으로 나타나 액정의 유리 및 기타 금속자원의 재활용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제5장에서는 폐자원흐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업사이클링 기술 도입방안을 검토하고 폐자원흐름 단계별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냉장고의 경우 전체 도입 가능한 기술 28개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이 13개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기술 9개,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 기술 5개, `에너지회수형 재활용을 물질회수형 재활용으로 전환` 기술 1개로 각각 나타났다. 컴퓨터는 15개 도입 가능한 기술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이 8개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기술 4개, `단순 처분(매립, 열회수 없는 소각)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 기술 3개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컴퓨터는 냉장고와 동일한 기술을 제외하고는 도입 가능한 기술의 대부분이 액정유리 및 기판 재활용 기술이었다. 또한, 냉장고와 컴퓨터의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 중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에 해당되는 기술의 우선적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폐자원흐름분석 단계별 업사이클링 활성화 방안을 배출 및 수거 단계, 전처리 및 자원회수 단계, 판매/수출/처분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1) 배출 및 수거 단계에서는 폐제품의 상태에 따른 재사용 가능 제품, 보통, 양호 등의 재활용 방향 결정하기 위해 수거 관리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2) 전처리 단계에서 해체, 파쇄, 선별 등의 효율이 낮으면 이후 단계에서 고도의 자원회수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파쇄 및 선별 기술에 대한 집중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전처리 단계 중 해체에는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선별에는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 및 `재활용 관련 생산성 및 효율 향상` 등의 기술 개발이 촉진되어야 한다. 또한 원활한 폐제품의 재활용을 위해 생산자의 재활용 정보 제공 의무를 강화하여 제품의 설계 단계부터 친환경 설계를 유도하는 업사이클링이 필요하다. (3) 자원회수 단계에서는 활성화 방안 4가지에 해당되는 기술이 모두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우레탄 재활용 및 컴퓨터의 재활용률 인정 범위 확대가 자원회수 단계에서는 추가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우레탄은 냉장고 중량의 10% 내외를 차지하는 자원으로 현재 우레탄 소각은 재활용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재활용 인정 범위에 에너지 회수까지 포함시키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른 폐전기·전자제품과의 달리 컴퓨터는 중고품 및 중고부품에 대한 재사용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중고부품에 대해서는 재활용률 산정을 인정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4) 판매/수출/처분 단계에서는 `기존 저급 재활용 품목의 고급 또는 고도 재활용 전환`, `단순 처분되는 제품 또는 품목 재활용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특히 냉장고의 모터로부터 희토류 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업사이클링 개념은 포괄적이므로, 정확한 기준을 적용하여 제품별, 물질별로 구체적인 업사이클링 판단기준을 제시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고도의 업사이클링 기술 적용 시 폐기물 재활용의 정량적인 목표와 다량의 자원회수를 달성하기에도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폐전기 전자제품의 업사이클링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4가지 방향으로 전환을 추진하되 폐자원흐름단계별로 전략적으로 활성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and directions for activating upcycling through a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and upcycling cases. Waste sources circulation flow of waste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WEEE), specifically refrigerators and computers,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 stages into: (1) discharge, (2) collection, (3) pretreatment, (4) resource recovery and (5) sale/export/disposal. The WEEE waste resources circulation flow was analyzed to ascertain the quantity of recovered resources and final throughputs and to make plans for boosting upcycling in stages. Chapter 2 looked into the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on WEEE recycling and found that the EU sets the highest target rate for WEEE recycling and recovery among South Korea, Japan and the EU, while South Korea and Japan have similar levels with that of the EU. In the EU and Japan, the current trend is to use the terms `recovery rate` and `re-commercialization rate` to encourage high-grade and advanced recycling. Chapter 3 defines the concept of upcycling by analyzing domestic upcycling cases and categorizing them as `waste upcycling for added value` and `upcycling of the design industry.` To examine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re-commercialization standard as defined in Japan`s legislation on recycling of home appliances. We defined the concept of upcycling as “enhancing the value of waste materials or products through recycling process, etc.” and suggested four ways to promote upcycling. Specifically, the upcycling activation plans were classified into: (1)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2)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simply being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3) conversion of energy recovery recycling into material recovery recycling, and (4) improvement of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In Chapter 4, the waste resource circulation flow of WEEE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an upcycling promotion plan. The analysis of the waste resource circulation of refrigerators found that among the collected resources, urethane was not being actively recycled and waste refrigerants were even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in some cases. In the case of computers, glass and other metals contained in monitors were being landfilled or incinerated, calling for the need to develop technology to recycle liquid crystal glass and other metal resources. Chapter 5 examined the introduction of upcycling technolog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and suggested plans for promoting upcycling in each step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In the case of refrigerators, out of 28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in refrigerator upcycling, the biggest share (13) were applicable to converting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followed by 9 technologies that improve productivity or efficiency of recycling, 5 technologies that help in the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currently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and 1 that assists in the conversion of energy recovery recycling into material recovery recycling. In the 15 technologies used for computer recycling, the biggest share (8) were applicable to converting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4 technologies improve the productivity or efficiency of recycling, and 3 enable the recycling of products or items that are currently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Among the technologies concerned with computer recycling, apart from the ones that can also be applied to refrigerators, most were related to the recycling of liquid crystal glass and substrates. In addition, among the plans to promote the upcycling of refrigerators and computers,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es that convert the recycling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was found to be the most urgently neede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promotion of upcycling in each step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analysis including the discharge, collection, pre-treatment, resource recovery and sale/export/disposal of products were ma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1) In regards to the discharge and collection stage, the current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strengthened so that the conditions of discarded products such as reusable products, products in average condition, products in good condition, etc., can be identified to have their recycling method determined. (2) In the pretreatment stage, investments should be concentrated on shredding and sorting technologies given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high level of resource recovery efficiency with inefficient dismantling, shredding and sorting. In the pretreatment stag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should be promoted to “improve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during dismantling and “the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and “improving recycling productivity or efficiency” should be pursued in the pretreatment stage. Furthermore, the producers` duty to provide recycling information should be strengthened for successful recycling of waste products for upcycling that encourages sustainable design from the product designing phase. (3) In the resource recovery stage, all applicable technologies mentioned in the four upcycling promotion plans must be introduced. In addition, in the resource recovery stage, broadening the scope of recycling recognition for urethane and computers must be reviewed. Considering that urethane is a resource that accounts for around 10% of refrigerator weight and its incineration is currently not recognized as recycling, standards that incorporate energy recovery in the recycling recognition rate must be introduced. Considering that the reuse of used computers and their parts are active unlike other WEEE, including the reuse of used parts when calculating the recycling rate should be reviewed. (4) In the sale/export/disposal steps, “conversion of existing low-grade recycling products into high-grade or advanced recycling”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o recycle products or items that are being simply discarded (landfill or incineration without energy recovery)” must be pursued, especially the technology to recover rare-earth metals from refrigerator motors. In conclusion, because the concept of upcycling is so broad, it is difficult to present specific criteria for upcycling by product or material. It also seems unlikely that a quantitative target or high degree of resource recovery can be achieved by applying highly sophisticated upcycling waste recycling technologies. To promote the upcycling of WEEE, therefore, we must pursue the transition to the four directions that are universally applicable, while working towards introducing a strategic activation plan that can be implemented in each stage of waste resource circulation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