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부산지역 토성 연구

        이일갑 ( Lee Il-gab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2

        부산지역에는 망미동토성, 당감동토성, 교리토성과 관방성인 구랑동성이 있으며 성곽분류에 있어 모두 토성이다. 부산지역 망미동토성, 교리토성, 당감동토성, 구랑동성의 평면형태는 크게 제형과 타원형으로 분류된다.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고읍성은 평지나 완만한 구릉성 지대에 축조 되어 있다. 교리토성과 기장산성, 망미동토성과 배산성에서 보듯이 배후에 입보농성형 내지피난성의 성격이 짙은 석축산성을 가진 상호보완 관계를 보이고 있다. 부산지역 토성 축조수법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은 석재를 이용한 기단석을 기저부에 설치한 석축기단형 판축토성으로 축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기단에 사용된 기단석은 두께에 비해 길이가 긴 세장방형 성석을 사용한다. 이는 부산지역 토성뿐만 아니라 인접한 경남지역 여타 판축토성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시기성을 가진 축조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부산지역 토성에서 평지 치소성으로 추정되는 망미동토성, 당감동토성, 교리토성 은 비슷한 영정주 간격, 즉 400cm를 기준으로 가감이 이루어진 듯하다. 반면에 보루성 역할을 했던 것으로 판단되는 구랑동성, 화산리토성, 반구동토성영정주는 각각 550㎝, 520㎝, 450㎝로 치소성으로 파악되는 토성 초축 폭에 비해약 50~60% 절반의 크기로 축조되고 석성 혹은 석축화가 진행되면서 기존 토축체성의 폭은 감소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경상도지역 가운데 토축, 석축이 혼용되어 나타나는 곳은 부산지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시간성과 지역성을 갖춘 부산지역 토성의 특징적인 축조양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Busan, there are Myeongi-dong Toseong, Tanggong-dong Toseong, Goryeo Toseong and Chuang-gong, and Toseong in the castle classification. The planar forms of Mt. Myeongdong, Georgi Toseong, Tanggongdong, Toseong, and Gulangdong in Busan are classified into formulations and ellipses. Among the Toseong in Pusan area, Goo-eup is built on a flat or gentle hilly area. As shown in the Doctrine of Toseong, Gyangjang Acid, Myeongyidong Toseong, and Deacidification, it shows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 of strong acidity and evapotranspiration in the rear. A common feature that appears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oseong in Pusan area is that it is constructed as a basement of stonemasoned stonework with stone base. At this time, the gypsum used in the base was three long rectangular stones, which are longer than the thickness, and it is confirmed in Toseong in Busan area as well as in other gypsum in Gyeongnam area. In Mt. Toseong, Mt. Moon, Toseong, Gongryeong, and Toseong, which are estimated to be plainsolite in Toseong in Pusan area, it seems to have been added or subtracted based on the interval of 400m. However, in the case of Gulang-gil, Baeksan-ri and Toseong,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played a role of Boru, 50 ~ 60% of the total width of Toseong is 550cm, 520cm and 450cm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existing athletic body decreases. "Nephrology Dongguk Ryuji Seungam" The Busan area is the only place where pylons and tiles are mixed in the Gyeongsang area. Therefore, it can be identified as a distinctive building pattern of Toseong in Busan area with time and locality.

      • KCI등재

        거제(巨濟) 고현읍성(古縣邑城)에 대한 연구(硏究)

        이일갑 ( Il Gab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6 石堂論叢 Vol.37 No.-

        巨濟 古縣邑城은 朝鮮前期에 築造된 沿海邑城으로서 그 構造나 築造手法이 朝鮮 前期 에 築造된 城郭의 築城手法을 理解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資料가 되는 것이다. 특히 古縣邑城은 朝鮮 文宗 1年(1451)이라는 築城時期의 絶代年代를 아는 朝鮮 前期의 典型的인 沿海邑城으로서 平地城 및 山城과는 달리 丘陵의 末端部와 平地를 이용하여 築造한 平山城으로 築城新圖 頒布以後에 築造된 城이며 太宗과 世宗朝에 一貫되게 維持되어온 沿海邑城의 築城의 마무리 단계에 築造된 城으로서 朝鮮 前期 沿海邑城의 築城에서 蓄積된 築造技術을 압축해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築城史的 重要性이 있다고 할 수 있다. 古縣邑城은 1991년 東亞大學校博物館에 의해 北壁과 西壁의 一部가 調査되었으며, 또한 2004년에는 東門址와 東壁 垓字의 일부가 조사되었다. 이 조사에서 東門址 甕城과 垓字 및 濠岸石築과 垓字내 木익 그리고 通行施設인 陸橋部가 확인되었다. 또한 여타의 邑城 平面플랜과 달리 船形의 독특한 平面플랜으로 축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이것은 船形이라는 하나의 築城패턴이 존재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垓字 조사에서는 門址와 體城部의 垓字 간격이 1:0.5의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體城部와 垓字와의 간격이 門址와 垓字 사이에서는 半으로 감해져서 축조되고 있는 것이 일관되게 지켜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음으로 고현읍성 해자의 上下部 幅의 比率이 1:1.5 비율로 유지되어 축조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古縣邑城의 垓字에서 확인된 出入施設들은 東萊邑城에서 확인되는 木材橋脚과 더불어 적어도 朝鮮前期에는 木製架橋 내지 釣橋의 형태를 유지하였다가 土石을 이용하여 陸橋部의 형태로 점진적인 변화를 보인 것의 단서로 생각할 수 있겠다. 따라서 南海岸地域 沿海邑城의 하나인 古縣邑城의 垓字의 경우는 通典에 기록된 規式과는 일치하지 않지만 비교적 同一한 規式에 의해 築造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垓字를 設置한 古縣邑城의 築造背景으로는 巨濟島의 경우 南海를 거쳐 서쪽으로 進出하는 海路상의 중요한 길목으로서 일찍부터 認識되어 大倭寇防禦戰線의 戰略的 要衝地로서의 役割을 수행하기 위해 邑城을 築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巨濟島에서는 古縣邑城을 비롯한 沙等城, 烏良城, 玉浦鎭城, 加背梁城 등 各種 城址가 확인되는 것만도 24개소에 이르고 있으며 이와 같은 城址의 配置關係를 통해서도 巨濟島 地域의 戰略的 重要性은 충분히 傍證되는 바이다. 더구나 古縣邑城이 築造되던 時期에 상당수의 城郭들이 이미 築城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자면 이 城郭들의 築造背景 역시 巨濟島 地域이 가지는 軍事的, 戰略的인 價値에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와 같은 背景에 의해 築城된 古縣邑城의 築城樣相을 把握하는 것이야말로 朝鮮時代 沿海邑城의 築城에 內包된 軍事戰略 및 當代의 爲政者들의 愛民思想과 統治哲學의 斷面을 把握할 수 있는 하나의 端緖를 提供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硏究가 부족한 朝鮮時代 沿海邑城의 類型分類와 城郭防禦施設의 한 단면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축성사적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he Gohyon eup fortress in Geoje was built in the form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so it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fortress of those day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Gohyon eup fortress, the typical coastal eup fortress, its absolute built date is known to us as the first year of Munjong of the Josoen dynasty (1451), and it is a flat & mountain fortress using the terminal part of hill and flat ground which can be contradict to those of the flat ground fortresses and the mountain fortresses. Also it was built after promulgating the new plan of construction fortress and built at the end of the stage of coastal fortress plan which had been progressed constantly from the age of the king Munjong to Sejong. So it has value in the history of fortress construction as in the respect of reviewing construction skill that had been conserved from constructing fortress work through the form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Gohyon eup fortress was investigated its part of those north wall and west wall by the members of Donga university museum in 1991 and in 2004, the part of east lineage and the moat of east wall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y identified the east lineage, the moat, the stone sheath, the wooden sticks in moats, and the land bridge the passing facility.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lat plan for Gohyon eup fortress had a trait of special shape of vessels contradict to the other flat plans for eup fortress, and this suggests that there existed a vessel shape as a construction pattern. And also in the investigation of moats it was found that the space of the lineage and the moat of fortress wall has the percentage of 1: 0,5.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a kind of building policy to keep a space between lineage and moat as much as the half of the fortress and moat. And then they identified that in case of the moat of Gohyon eup fortress, the percentage of the width of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had consistency of 1:1.5. The identified entrance facilities in the moat in Gohyon eup fortress give us a clue that they had conserved their shapes as wooden bridge at least until the form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like as the identified wooden bridge in Dongrae eup fortress and changed slowly to the shape of the part of a land bridge using mud and ston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moat of Gohyon eup fortress that is the one of coastal eup fortress in the south part, even though it was not built according to the rule described in Tongjeon, we could say that it was built somewhat with the same rule. As a background of constructing Gohyon eup fortress which has that type of moat, we can suppose that it was from the policy to have it a role of important strategic area as a front defence battle line, because in the case of Geoje island it was perceived as an important way of sea from the south sea to the west. More over, in Geoje island there are at leat 24 found fortresses like as Sadeung fortress, Oryang fortress, Okpo fortress, and Gabaeryang fortress including Gohyon eup fortress and this has sufficient proof of its strategic significance. In addition as viewing the numerous fortresses which had already been built before the presence of the Gohyon eup fortress, we can suppose that those fortresses` background is also from its military and strategic importance of the area. Therefore grasping the construction style of Gohyon eup fortress which has the base of those background is considered to supply a clue to understand military strategy, politician`s love for people, and an aspect of governing philosophy of those days. This study has also a great significance as a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constructing fortress because it can supply a data for classifying types of coastal eup fortress and grasping an aspect of defence facilities of fortres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still in need of study.

      • KCI등재

        기장 교리토성 성격에 대한 검토

        이일갑 ( Lee Il-gab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교리토성은 일명 기장 고읍성으로 불리운다. 교리토성은 구릉과 평지를 이어 축조한 평산성의 석축기단형 판축토성이다. 평면형태는 타원형을 띤다. 성둘레는 약 1600m로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길다. 특히 성둘레가 여타 토성에 비해 조금 더 긴 것은 인구 및 행정구역위상과 대왜구방어 등에 따른 군사적 중요성이 반영된 성둘레라 할 수 있겠다. 교리토성과 기장산성은 배후에 입보농성형 내지 피난성 성격이 짙은 석축산성과 결합된 치소성으로 상호보완 관계를 보이고 있다. 토성 축조수법 가운데 삭토법에 의한 체성부 축조가 확인된 교리토성 초축 성벽이 부산지역 토성 가운데 가장 고식으로 추정되고 있다. 교리토성 내벽은 수직식으로 시기적으로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체성부 축조수법 가운데 영정주를 놓는 초석 역할을 하였던 석재들의 간격은 약 390~400cm 정도로 확인된다. 이 초석 설치는 강화중성(4m내외), 제주 항파두리성(3m), 충주 호암토성, 마산 회원현성(3.8m) 등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려시대 유행한 토성 축조수법이다. 따라서 교리토성 초축은 기장산성과 기장현 설치를 고려하면 적어도 8세기 중반 이후에 축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장 교리토성은 최근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문헌으로 살펴보면, 무석축기단식에서 석축기단식을 거치면서 8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축조 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리토성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시대 전 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고대산성에 설치된 치소성과 관방성 역할이 이전(移轉)된 유적임을 알 수 있다.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lso called the Goeupseong Fortress of Kijang.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is a masonry based type stamped earthen fortress of Pyeongsan, which was constructed between hill and flatland. The shape of the plane surface is elliptical. The fortress is about 1600m long, making it the longest within the Busan area. In particular, the fortress is slightly longer than other fortifications because its military importance, such as protecting a large population,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defense against Japanese raiders and etc were reflected in this fortification.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and mountain fortress of Kijang demonstrates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a governing fortress and a masonry fortress that was obviously intended for protection and shelter. Among construction methods of earthen fortifications,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the body of which has been confirmed was constructed by the carving method, is estimated to be the most ancient among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in the Busan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built very long ago due to the perpendicular style of the inner walls. Among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body of the fortress, intervals of stones,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cornerstone of the crossbeam, were confirmed to be about 390~400cm. The cornerstone installation was a popular construction method of the Koryo Dynasty, where cornerstones, such as Gangwha Middle Fortress (within 4m), Jeju Hangpaduseong Fortress (3m), Hoam earthen fortification of Chungju, Masan Hoewonhyeon Fortress(3.8m) and etc were installed with equal interval measur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t least after the middle of the 8thcentury,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of Kijang and KijangHyu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cent archaeological surveys and literature research, it can be known that the Kijang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was constructed and managed during the 8thtothe14century,undergoingtheprocessfromnon-masonry stylobate type to masonry stylobate type.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earthen fortification of Gyori underwent continuous change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roughout the Koryo Dynas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a governing fortress and the military defense fortress installed at Ancient Mountain Fortress were transferred remains of historic interest.

      • KCI등재

        부산 다대포진성에 대한 연구

        이일갑 ( Lee Il-gab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8 항도부산 Vol.35 No.-

        다대포진성은 문헌상 대왜구방어 최일선기지로 조선시대 전기간에 걸쳐 국방상 중요거점으로 알려진 곳이다. 다대포진성은 평면 주형의 석성으로 된 영진보성이며 성종 21년에 높이 13척(尺), 둘레 1천 8백 6척으로 축조되었다. 그리고 1850년에 발간된 내영지에 높이 13척, 둘레 1,806척이라 하고 있어 임진왜란 이후 원래 진성규모로 복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대포진의 입지유형은 적이 아군을 쉽게 발견하지 못하는 이점이 있지만, 아군 역시 좁은 해협과 만곡된 지형으로 인해 적의 출입을 쉽게 파악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응봉봉수를 권설봉수(權設烽燧)로 활용하여 조기경보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체성은 성석의 크기를 줄이고 기단석의 입수적보단 눕혀쌓기를 실시하는 조선후기 축조수법이 확인되지 않는 점과 기반암층을 거칠게 정지하여 경사면에 수평기단을 활용하여 축조하는 점, 지대석을 사용하고 있는 점, 체성 외벽 뒤쪽에 침석을 설치하고 그 뒤에 적심석을 채우고 흙을 내탁하는 등의 조선 전기 읍성 및 영진 보성에서 나타나는 축조 양상이 확인되고 있어 조선 후기에도 전기의 축조수법을 답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대시설은 성문이 4개소(동, 서, 남, 북), 간문이 1개소와 북벽 해자 1개소가 확인되었다. 해자는 선조 26년(1591)에 다대포진성을 증축하고 해자를 축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자는 동, 서, 남, 북벽 사방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해자는 수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북벽 체성부에서 10m정도 이격하여 너비 5.2m의 생토면을 굴착한 후 3.3m∼3.7m 간격을 두고 내외에 호안석축이 설치되어 있다. 호안석축은 지대가 낮은 동쪽에서 시작하여 높은 서쪽으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된다. 해자 단면은 U자형으로 물을 채우지 않은 건호인 황에 해당하며 호안석축은 기저부의 바닥에 지대석을 놓고 뒤로 물려서 축조하는 것과 지대석이 없이 기반암 위에 바로 축조한 것으로 나눌 수 있고 내부에서 목익이 확인되지 않아 연해읍성에 비해 방어적인 면에서 부실함을 엿볼 수 있다. According to records, Dadaejin Fortress, a forefront base to defend from the Japanese invaders, was an important stronghold for national defense during the Joseon period. Dadaejin Fortress is `Yeongjinboseong' whose remaining flat mould stonework circumference. The fortress was 13 cheok high and its circumference was 1,806 cheok. according to a part of 『The Annals of Joseon Kingdom』about the 21st year of Seongjong's reign. Dadaejin Fortress was restored to the original siz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mjinweran). These fortresse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 enemy can't easily find our troops but our troops also can't see movements of the enemy easily due to narrow straits and curved geographical features. To supplement such a weak point, early alarm systems were established using Eungbong beacon fire stations as Gwonseol beacon fire stations. During the latter half of Joseon period, small rocks were used and foundation stones were laid down for piling, instead of being laid on, for building a fortress. In Dadaejin Fortress, however, such a building technique wasn't confirmed and construction patterns adopt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period were shown. The foundation rocks were roughly leveled and fortresses were built using level stereobates on inclines. In addition, foundation stones were used, foundation stone were put behind the outer walls of the fortress body and fills were laid. These techniques show that methods us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period for building the fortress body were continuously adopt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period. A record in 『The Annals of Joseon Kingdom』 about the 26th year of Seonjo's reign shows that Dadaejin Fortress had moats, meaning that Dadaepojinseong was extended and moats were being built at that time. The moat of Dadaepojinseong is about 10m off the north wall body. Shore-protecting stonework was built inside and outside of the moat at intervals of 3.3∼3.7m after digging natural earth of about 5.2m wide. The U-shaped moat section of Dadaejin Fortress is a 'Hwang,' a dry lake without water. Stakes were not found in the Dadaejin Fortress moat, showing that the fortress was weaker than coastal fortresses in terms of defense.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외곽시설에 대하여

        이일갑 ( Lee Il-gab ) 동아문화재단 2019 文物硏究 Vol.- No.35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외곽시설 중 수중목책은 해변에 설치된 1차 외곽시설이다. 수중목책 사용 시기는 대체로 중종 5년 삼포왜변 이후부터 19세기 전후에 해당한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해자는 입지와 방어도에 따라 해자 형태가 다르며 연해 읍성 해자와 달리 물을 채운 해자보다는 건호인 황이 더 많다. 대부분의 영진보성은 성 정면과 가장 넓은 방어전면에 해당하는 방향은 바다 및 내륙하천이 만나는 지점에 있음에도 해자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배후 구릉 사면에도 해자를 설치하여 방어력을 보완하고 있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중 체성부에서 해자 사이 이격거리가 경상좌수영 관할 영진보성이 경상우수영 관할 영진보성 보다 더 길게 확인된다. 이것은 대마도를 비롯한 일본에서 침입시 가장 먼저 침공로에 해당하는 지리적 특수성에 기인한다. 체성부에서 해자 사이 거리는 10m전후로 축조가 이루어졌고 치성, 옹성 등 부대시설 전면에 설치된 해자는 체성부 전면에 설치된 해자에 비하여 이격거리가 반으로 감해서 축조되고 있다. 이것은 연해읍성 해자 축조수법에서도 확인된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해자 폭은 대체적으로 2m~5m이다. 특히 경상좌수영 관할 영진보성 해자는 대체로 동일한 규격으로 축조되었다. 영진보성 해자높이는 초축 시기에 해당하는 15세기 말에서 16세기에 비하여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에는 점차 낮아지며 이후 대체로 붕괴 훼손된 상태로 방치되었다. 해자 호안석축 역시 잔존 1-2m 내외로 연해읍성과 비슷한 양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최근까지 조사된 영진보성 대부분의 해자 내부에서는 목익(木杙)이 확인되지 않고 연해읍성과 내상성 등과 비교하면 미설치 및 소략화 등이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이것은 해자 내부에 목익 설치가 지형적인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에 기인한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에서는 수중목책, 해자와 더불어 또 다른 외곽시설인 품방(品防)이 설치되었다. 『선조실록』에서 얼음을 뚫어 굴혈을 만드는 것과 얼음을 떠서 쌓아 놓는 것이 품방이라 하나 품방은 계절에 상관없이 축조되었고 거마목(拒馬木)이라 불리는 이동식 차단물과 함께 외곽시설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품방은 강진병영성에서는 대나무를 촘촘하게 꽂아 놓았는데 모원의 『무비지』의 “함마갱(陷馬坑)과 동일한 형태라 할 수 있다. 품방은 여진기병에 대응하여 북방지역 영진보성 외곽시설물로 설치되었다가 조선 전 지역에 걸쳐 영진보성 외부에 설치된 것이라 하겠다. 품방은 중국 송나라 때인 1044년 편찬된 『무경총요』를 참고하면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 전기에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파악해 볼 수 있고, 16세기 후반에는 남해안지역 영진보성에서도 설치가 일반화된 외곽시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정약용의 『민보의』보원지제에서도 언급되고 있어 19세기 초반에도 설치되고 있었다 하겠다. Among the Yeongjin Boseong defense facilities in the southern coast, the underwater goal is the first defense facility installed on Yeongjin Boseong Beach where the moat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ampo Japanese. The underwater goal is generally from the 5th year of King Jungjong to the early 19th century. Yeongjin-Boseong moat in the southern coast differs depending on its location and defense, and unlike Haehae-eup moat, which has a higher average elevation, there are more dried pollacks than moats. Most of the Yeongjin Boseong Fortress is equipped with moats even though its direc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front and largest defenses of the castle,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sea meets or the inland stream. In addition, almost a moa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omb to complement the defense. Among the Yeongjin Boseong Fortres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Yeongjin Bo-seong's moat in Gyeongsangnam-do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Yeongjin and Cheseong-bu can be confirmed longer than Gyeongsang-woo-yeong. This is due to geographical speciality, which is the first path of invasion in Japan, including DaemaIsland. In addition, the Yeongjin Boseong Fortress and Haejai Range were built around 10 meters, and the moat installed in front of the auxiliary facilities such as Cheesung and Ongseong were cut in half. This is also found in the Yeonhae-eup Seaweed System. The width of the moat at Yeongjin Fortres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is generally between 2m and 5m, and the moat under the current left-handling jurisdiction is usually constructed to the same standard. The height of the moat of Yeongjin Boseong Fortres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end of the 15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which is the period of the first axis, to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Furthermore, since the 17th century, the moat was left largely destroyed. Haeja Hoan axis is also found to be similar to Yeonhae-eup within 1 to 2m of the remaining area, and is often used to excavate and use the underlying rocks. Since most of the moats were not identified inside Yeongjin Fortress, which was investigated until recently, it was not installed or simplified compared to the coastal towns and the inner cities. This is due to the flexible installation of the magnets inside the moat,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situation. Yeongjin Boseong Fortres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constructed with underwater goal and a defense system along with a moat.It is said that drilling through ice in "Seonjo Sillok" and depositing ice in a stack. However, foot and mouth were built regardless of the season and were essential to defending the defenses along with mobile barriers called barges. In Gangjin-Byeongseong, the chamber is tightly planted with bamboo, and in the shape of Mubiji, "Hammagang is similar to that of the middle deer rholes, and the cisterns. Thus, the chamber is called the Hammagang. It was installed as a protective facility for Yeongjin Boseong Fortress in the northern region in response to the aftershocks, and installed outside Yeongjin Boseong Fortress throughout the entire Joseon Dynasty.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struction of such an embankment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6th century Naman, as it was also used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Goryeo, as it was compiled in 1044. Also, the storeroom was being installed until the late 18th century, as it was also mentioned in the "private security" system for Jeong Yak-yong.

      • KCI등재

        울산 개운포진성 연구

        이일갑 ( Lee Il-gab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79

        울산 개운포진성은 바다와 하천이 만나는 지점에 설치 축조되어 있어 내륙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영진보성이다. 개운포진성은 입지조건상 해안평야형이며 평면형태는 주형이다. 기본적으로 15세기 중후반에서 16세기에 연결되는 기단수평화수법과 외벽석축내탁식 축조수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개운포진성 해자로 볼 때 조선시대 영진보성 해자는 지형적 조건에 상관없이 구비되었다. 개운포진성 선창 내지 선소는 기존 알려진 추정 서문지 주변 ‘선입지’가 아닌 남벽 체성부 동남쪽 해안지역으로 추정된다. 개운포진성이 위치하는 남구 성암동 일대 지명 중 선소는 일명 군선창(軍船廠)이라 하며 군선의 선계지(船繫地)는 물론 전함(戰艦)의 건조, 개조, 수리 등을 담당하는 장소이다. 오늘날 불리고 있는 선수는 선소(船所)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 선수 동쪽에 있는 마을인 세다골은 세대(細竹)에서 변화된 것으로 세다골이 개운 포진성 동쪽 공단지역에 해당함으로 선창은 왼쪽인 개운포진성 남벽 체성부 아래쪽 마을 동남쪽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다. Gaeunpojin Fortress in Ulsan was a defensive structure built on coastal flatland during the Joseon period. It is thought to have been used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beacon fire mounds set up on a nearby mountain peak. Situated near a large estuary, it played a role in repelling sea-borne invaders, particularly Japanese pirates. The layout the fortress has a boat-shaped appearance. Its walls were built by laying successive horizontal tiers and a single row of stones, and backfilling their interior with soil and stone. Basically, it followed the generally adopted method of building defense structures in Korea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and the early sixteenth century. It displays traces of a moat. Indeed, most defense structures built at that time had a moat. The Seonchang (or Seonso) was located in the coastal area to the southeast of the fortress's outer walls, rather than at the west gate site of Gaeunpojin Fortress. The Seonso (or naval dockyard) was built in present-day Seongam-dong, Nam-gu, Ulsan, where Gaeunpojin Fortress is located. Seonsu in present-day originated from Seonso. The name of a nearby village, Sedagol, located to the east of Seonsu, was changed from Sede and it is positioned in the eastern industrial area of Gaeunpojin Fortress. Based on the changes made to the villag's name, it is presumed that the Seonchang dockyard was situated to the southeast of the village below the fortress's outer walls, which is located to the west of the fortress.

      • KCI등재

        남해안지역 조선시대 영진보성에 대한 일고찰

        이일갑 ( Lee Il-gab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1

        남해안지역 조선시대 영진보성은 연해읍성과 더불어 조선시대에 국방체계 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관방유적이다. 이러한 영진보성을 조선전기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축조수법으로 보다 세분하여 영진보성의 축조수법을 3단계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서 영진보성 체성부 축조수법은 조선전기인 15세기 초와 조선중기 17세기에는 장방형, 방형의 외벽면석이 사용되었고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사이에는 입수적한 장대석의 외벽면석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체성부 내벽 계단식 축조수법, 사직선 기단 등이 일부 영진보성에서 축조되었으나 대부분의 영진보성은 외벽석축내탁식 축조수법으로 축조되었다. 남해안지역 영진보성에는 국방체계의 변화에 따른 축조수법 및 부대시설 설치 등이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선시대 후기에도 경상도지역 육군ㆍ수군 절도사영에 소속된 영진보성의 축조수법에는 큰 변화를 발견할 수 없다. 다만 수군 통제영이 소재한 통영성의 경우에는 포루의 설치와 성석 크기의 규격화 및 수평기단, 각종 부대시설의 확충, 일부 왜성의 영진보성으로 재사용과 축조수법이 잔존하고 있어 조선 후기에 서양과 명, 일본 등에서 도입된 성곽축조기술에 영향을 받아 축조된 것을 알 수 있다. 그 외 남해안지역 영진보성은 조선전기에 축조된 체성부를 그대로 유지 보수하거나 퇴락한 상태로 방치한 것으로 파악되어 15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남해안지역 영진보성 체성부 축조수법은 일관되게 유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Coastal Fortress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national defense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Eup fortress near sea.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astal Fortresse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by dividing it into the method of construction of Coastal Fortresses as well as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astal Fortresses Stadium was used during the early 15th century and the 17th century during the mid-seventh century, and the outer walls we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In addition, although some Coastal Fortresses were constructed using the method of building stairs inside the body section and the private staff member system, most Coastal Fortresses was constructed with the method of building the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s and installation of auxiliary facilities are not confirmed in Coastal Fortresses,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refore,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astal Fortresses which belongs to the private sector of the army and Susugun in Gyeongsang Provin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Imperial City, which is located in Tongjeyeong Fortress, the remaining techniques of reuse and construction can be found in the installation of the Western army, the expansion of horizontal fleet,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and some dwarf systems. Coastal Fortresse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is found to have maintained or left the body parts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 KCI등재후보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이일갑 ( Il Gab Lee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文物硏究 Vol.- No.13

        연해읍성에서 확인되는 평면형태는 조선시대 이전시기의 치소성에 해당하는 마산 회원현성, 부산 당감동성, 울주 화산리성, 동래고읍성 등의 성곽들에서 계승 발전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의 평면형태는 크게 방형, 원형, 주형, 제형의 4형식으로 나누어진다. 입지유형에 있어서 방형의 경우는 모두 평지성으로 축조되어 있으며, 제형과 원형의 경우에는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고, 주형의 경우에도 역시 대부분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 제형의 평면형태로 축조된 읍성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성둘레 역시 내륙읍성 및 여타지역의 읍성에 비해 작다. 오히려 주형이 다수를 차지하며 축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유는 내륙지역 읍성과 여타지방의 읍성의 경우에는 전시대의 토성 내지 석성을 재수축하여 사용하는 토성→석축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기존의 체성부를 확대 및 개축한 것인데 반해 연해읍성의 경우에는 조선의 개국 이후 축조되는 신축읍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때 신축읍성의 경우에는 입지를 고려한 지형조건에 더하여 유교적 신분질서의 확립과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치권의 확립 및 군사방어체계의 개편에 따른 행정단위의 위계질서에 맞는 읍성 체성부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풍수지리사상에 의한 읍성의 취약한 풍수의 기운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형식의 읍성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는 제형이 가장 빠른 평면형태로 확인되고 아울러 주형 역시 동시기에 축조되고 있으며 조선 전기 후반으로 갈수록 제형과 주형이 혼용되어 축조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은 상위행정단위에 속하는 읍성의 평면형태가 주형으로 축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기에 연해읍성 축조에는 주형이 유행하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 평면형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또 하나는 해당성곽에 입보하여 농성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인력에 따라 성곽의 평면형태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연해읍성 가운데 30,000명 이상의 호구수를 가진 군현에 축조된 읍성 평면형태는 주형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연해읍성은 평면형태의 비교에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시기의 여타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도 단일한 축성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남해안 연해지역이 대왜구 최일선 전략적 거점으로서 그 군사적인 기능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엄격한 축성관리를 받으며 일관되게 축성사업이 진행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지형조건에 따라 읍성 평면형태가 결정되었다기 보다는 규식에 맞는 지형을 심정하여 정해진 읍성형태 가운데서 선택하여 읍성을 축조케한 제식적인 규식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flat formation found in the coastal town walls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afterward and we can see them in Masan hoewonhyeon castle, which was governing castle before Joseon Dynasty period, Busan Danggamdong castle, Ulju whasanri castle, and Dongrae goeup castle. The flat formation in coastal town wall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largely as square, round, ark, and trapezoid shape. As for location, the square shape was built on flat castle, the trapezoid and the round shapes were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and most of ark shape also was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in south coast, the town walls built with flat formation of trapezoid are few and the girth of the walls also smaller than that of land town and the others. Rather most of them had the ark shape. In the case of the land town walls and others, they were added or reconstructed to the precedent castle walls on the way of change working from soil walls to stone ones. However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most of them were built newly after opening Joseon Dynasty and then they were considered with the idea of establishing Confucian social status system and sovereign power of central government over local province and rank order of administrative unit accordant to reorganizing military defense system as well as their topographic condition. And also the reason that they had the new type of flat formation was to cover their weak energy said by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n the case of south coastal town walls, the trapezoid shape was the earliest flat formation and also the ark shape was made in the same period but their formation became changed by combining both shapes as it went to the age of latter part of earlier Joseon Dynasty. And also in the case of the high governmental status' unit in South coastal town, their walls' flat formation had the ark shape. Therefore the ark shape can be said the popular pattern in coastal town walls in the earlier Joseon Dynasty. Another thing to be considered in the flat formation of coastal town walls is that it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 who could enter together and its capacity to accommodation. Especially among the coastal town walls, the flat formation built in Gun and Hyeon with over 30,000 houses had the ark shape in majority. Therefore as shown in the comparing flat formations, the coastal town walls had a single construction pattern comparing to the others in the same period and it seemed from its topographic condition. The area was the strategic base in forefront place against Japan so owing to its military function, the walls construction was proceeded with consistency and stern control by the nation. And there was a ritual rule to construct town castle walls by selecting land shapes suitable to the rule among arranged ones rather than determining the flat 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ographic condition.

      • 南海岸 沿海邑城의 垓字考

        李日甲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06 文物硏究 Vol.- No.10

        남해안 연해읍성은 기존에 존재하던 산성이나 고읍성에 비해 그 축조수법 및 부대시설의 설치가 전대와는 다른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한 축성양상 가운데 단일성벽으로 이루어진 읍성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甕城, 敵臺, 女牆, 垓字 등이 설치되게 된다. 이 가운데 읍성의 관점에서 가장 1차적인 방어시설이며 동시에 가장 강력한 守城武器가 해자였다. 垓字는 성벽 주변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고랑을 내거나 자연 하천 등의 장애물을 이용하여 성의 방어력을 증진시키는 방어시설의 하나로서 아주 이른 시기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방어시설이었다. 우리나라의 문헌에서 ‘해자’와 관련된 용어는 󰡔朝鮮王朝實錄󰡕에서 사용되는 것만도 ‘垓字’, ‘坑坎’, ‘濠池’, ‘塹濠’, ‘隍池’, ‘海子’, ‘池壕’, ‘垓子’, ‘塹’, ‘池濠’, ‘壕’ 등이 사용되고 있고 조선 후기에 편찬된 󰡔增補文獻備考󰡕에는 ‘垓子’ 라고 기록되어 있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는 그 축조양상과 수법이 중앙정부의 관리감독 아래 과거에 비하여 훨씬 통일된 規式과 축조수법을 가지고 축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축조된 연해읍성의 해자는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이 각각의 읍성별로는 차이를 보인다 하여도 문지와 체성부의 해자와의 간격이 1 : 0.5의 간격비율을 유지한다. 이것은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을 기준으로 문지와 해자 사이에서는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에 비해서 반으로 감해져서 축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의 축조 시 상하부 너비의 비율이 1 : 1.5 비율을 유지하며 축조되고 있다. 다음으로 연해읍성 해자 내에서 木杙이 설치되어 있는 양상은 3가지 유형으로 파악된다. 첫째, 해자 전면에 목익을 설치하는 것과 둘째, 해자 중심 부분에 집중적으로 설치하는 것과 셋째, 해자의 濠岸石築에 연한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연해읍성 해자에는 읍성 내외 출입을 위한 陸橋施設이 확인된다. 이 陸橋部는 성내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중요한 구조물이지만 유사시 垓字를 넘어 적이 읍성 내로 진입하기에 좋은 시설임을 감안하여 효과적인 읍성의 방어를 위해서는 육교부의 파괴가 요구되므로 석재를 이용한 견고한 육교시설보다는 나무를 부재로 사용했던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이상의 양상으로 볼 때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 및 해자 내 목익과 호안석축 및 통행시설인 육교부는 조선 전기 읍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came to show quite a different phase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 and ancillary facilities compared to existing mountain castles and ancient castle. To reinforce the defence of a eup castle composed of single castle wall among castle construction, a strong fortification, defence stand, defence wall, moat and so on. From the viewpoint of a town castle, the most primary defence facilities and the strongest defence weapon was a moat. A moat as one of defence facilities to enhance the castle grooving the earth and using a hurdle such as a natural river, was defence facilities universally used regardless of the western and Eastern world. The terms related to a moat in our literature were a moat, ganggam, hoji, haeja(垓字), ganggam(坑坎), hoji(濠池)․Pitfall(塹濠), hwangji(隍池), haja(海子), jiho(池壕), heja(垓子), cham(塹), jieho(池濠), ho(壕) in Joseon Dynasty chronicles (󰡔朝鮮王朝實錄󰡕), which is recorded as a moat comp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can be certified that the construction phase and technique was far unified method and technique under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central method compared to the past. The moat of Coastal Twon Castle built up like this shows the interval from the main castle part by each town, maintaining the interval ratio of 1:0.5 in that of a gate and the moat, the main castle part and the moat. This means that it was constructed with the interval of Munji and moat reduced half that of the main castle part and moat based on that of the main castle part and moat. Also in constructing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upper and the lower part was kept. And the phase of Mokik (木杙) installed in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s understood as 3 types. First, installing Mokik at the front of the moat, Second, installing it intensively at the center of the moat, Third, installing it at the edge of Coastal stone structure. The overpass facilities for entrance to the town is confirmed. This overpass part is an important stricture to enter into the castle, given that it is for entering an enemy castle beyond the moat, and it can be thought to have been a easily-recoverable wood bridge rather than a stone using sturdy overpass facilities. Looking at the above phases, the moat in Coastal Town Castle, Mokik in the moat, Coastal stone structure and overpass part as a passage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data in studying on coastal town cast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