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간호사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정 갈등, 일-가정 향상과의 관계

        이인영 ( Inyoung Lee ),고유경 ( Yukyung Ko ) 한국병원경영학회 2021 병원경영학회지 Vol.26 No.1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arried nurses’ social support,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ried nurses working at three hospitals with more than 100 beds in J Province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H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 program. Finding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nly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enrich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cial support still acted as a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on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even in the state of considering the effect of control variables. Conclusion: In order to lower work-family conflict and to enhance work-family enrichment of married nurs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implement welfare policie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at the workplace level and at home level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crete measures so that married nurses can find the value of life as workers while house working and nurturing.

      • KCI등재
      • KCI등재

        대중화 단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 유형 및 자기-브랜드 연결의 조절효과와 타 소비자에 대해인지된 유사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인영 ( Inyoung Lee ),김상훈 ( Sang Hoon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1

        최근 온라인 쇼핑의 보편화로 제품 구매 시 다른 소비자들의 반응을 참고하기가 그 어느 때 보다 쉬워졌다. 다수의 플랫폼 사업자들이 제품에 대한 기존 구매자들의 반응을 직·간접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은 그들의 제품이 이미 대중화 된 것처럼 홍보하고 있다. 불특정 다수의 반응을 나타내는 대중화 단서는 구매 상황에서 선택지가 매우 다양해진 오늘날, 구매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화 단서의 제시 여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기저논리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제품 유형을 사용자에 대한 정체성 표현 기능이 강한 제품과 약한 제품으로 분류하고 소비자표본을 자기-브랜드 연결(self-brand connection)이 강한 집단과 약한 집단으로 분류하여, 제품 유형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대중화 단서의 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1을 통해 사용자의 정체성 표현 기능이 강한 제품(i.e. SNS 게시 음원)에 대한 대중화 단서는 정체성 표현 기능이 약한 제품(i.e. 치약)의 경우와 반대로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실험2에서는 피실험자의 자기-브랜드 연결 강도를 독립변수로 추가하여 대중화 단서, 제품 유형, 자기-브랜드 연결의 삼원상호작용을 파악했다. 사용자의 정체성 표현 기능이 강한 노트북의 경우, ``애플``(Apple)에 대한 자기-브랜드 연결이 강한 응답자에게 대중화 단서가 제시 되는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구매의도를 높게 보고했으나, 자기-브랜드 연결이 약한 응답자는 대중화 단서 유무에 따른 구매의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정체성 표현 기능이 낮은 데스크탑PC의 경우 애플에 대한 자기-브랜드 연결이 강한 소비자는 대중화 단서 제시 시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자기-브랜드 연결이 약한 소비자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실존 브랜드와 제품을 실험에 사용함으로써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응답자들의 사전 지식을 통제하고 삼원상호작용의 매개요인을 밝히고자 가상의 의류브랜드를 상정하여 실험3을 진행했다. 정체성 표현 기능이 강한 제품으로 남방을, 약한 제품으로 기능성 속옷을 사용하여 가상의 구매 시나리오와 광고물을 제시한 결과, 실험2의 삼원상호작용이 재검증되었으며 동일 제품 구매자들에 대한 개인 소비자의 인지된 유사성이 상기 삼원상호작용을 매개함을 밝혔다. 이처럼 본 연구는 대중화 단서를 중심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 간 상호작용을 다차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제품 유형과 소구 대상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 대중화 단서 제시 조건을 제안하는 데 의의가 있다. Feedback on online shopping mall products has become a ritual among consumers. It is much easier today for consumers to monitor consumer`s reaction to products that they are interested in. Internet platform operators such as Amazon.com implicitly or explicitly provide consumers with a number of post-purchase reactions from those who have already purchased so that potential buyers can be informed on the popularity of a product or service. Moreover, some companies try to give an impression that their products are widely popular in the marketplace in order to lure more consumers. As such, popularity cues can have a decis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decision.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multifaceted impact of popularity cues and examines how popularity cues can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e classified products into two types: a strong-identity signaling product and weak-identity signaling product. Also, we classified consumers into two groups: consumers with strong self-brand connection and consumers with weak self-brand connection. Then, we compared the impact of popularity cues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roduct types 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In experiment 1, we showed that the popularity cue for the strong-identity signaling product (i.e., music) resulted in a negati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which is contrary to the weak- identity signaling product (i.e., toothpaste) condition. In experiment 2, the types of products and consumers` self-brand connections was significant in a three-way interaction among the popularity cue (i.e., present vs. absent). Specifically, consumers with strong self-brand (i.e.,Apple) connection showed higher purchase intention when the popularity cue was absent for a product such as a laptop, which strongly signals the type of user.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ith strong self-brand connection showed an upward tendency of purchase intention when the popularity cue was present when a product such as a desktop computer weakly signals the type of user.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reversed or not significant for consumers with weak self-brand connections. Lastly, experiment 3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mediates the three way interaction effects without the respondents` prior knowledge about the focal products or brands, which are controlled using virtual clothing brand ``A``. A three-way interaction was reaffirmed when using a shirt as a strong-identity signaling product and using functional underwear as a weak-identity signaling product.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was mediated by respondents` perceived similarity with other consumers. In general, these three experiments provide consistent evidence that consumers can be influenced by the popularity cue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nd their self-brand connection. Thus, this research suggests an optimal condition for a popularity cue when considering together essential considerations such as the product type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 KCI등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보행 평가

        정상철,이인영,윤수빈,김수연,우영근,Jung, Sangcheol,Lee, Inyoung,Yoon, Soobin,Kim, Suyeon,Woo, Youngkeun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5 PNF and Movement Vol.13 No.1

        Purpose: The accelerometer is a tool for evaluating walking by the displacement of the center of mass (COM) in the body. Recently, smartphones have added an accelerometer app, and it can be used to evaluate outcomemanures in rehabil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 in the bodies of normal persons and stroke patients using this smartphone application while walking. Methods: Twenty normal persons and twenty-two stroke patients were recruited and had their COM measured using G-walk and the smartphone application, SMAP, during 10 m walking. Subjects repeated the 10 m of walking 3 times, and we used the SMAP, Accelerometer Monitor ver. 1.5.0, to evaluate COM during the walk.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COM, we used the difference in value between the maximal angle and the minimum anterior-posterior (AP), mediolateral (ML), and rotational angles during the walk. Results: For the normal person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P and AP of SMAP, and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otational angle and the ML of SMAP. In the stroke patient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P and ML, and the rotational angle of SMAP. Conclusion: Our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f the SMAP system is reinforced in the case of patients who have a greater displacement of COM, it may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during walking.

      • KCI등재

        인공지능 의료서비스의 환자 순응도에 관한 연구: 신체적 위험의 조절효과와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혁진 ( Lee Hyuk Jin ),이인영 ( Lee Inyoung ),김상훈 ( Kim Sang-hoon )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1

        최근 의료계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많은 의료기관들이 의사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해왔던 기존 의료서비스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환자 모니터링, 임상사례 분석, 진단, 처방 및 수술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소비자의 입장에서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용 의도를 조명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유형에 따른 환자 순응도 차이와 기저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인공지능인 경우와 인간 의사인 경우로 구분하여, 환자 건강 상태의 심각성이나 의료서비스가 신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인 신체적 위험 정도에 따라 의료 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순응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왜 발현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심혈관 질환 시나리오를 가정한 실험1을 통해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인공지능인 경우 인간 의사인 경우보다 환자의 순응도가 낮게 나타나며, 의료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환자의 신뢰가 이러한 효과를 매개함을 밝혔다. 실험2에서는 통증이 심한 환자가 수술치료를 처방받는 경우와 같이 신체적 위험이 높은 경우, 인간 의사에 비해 인공지능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가 낮음을 보였으며, 통증이 낮은 환자가 약물 치료를 처방받는 경우와 같이 신체적 위험이 낮은 경우에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유형에 따른 환자 순응도 차이가 유의하지 않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실험3에서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유형과 신체적 위험의 상호작용이 환자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은 의료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매개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제공자 유형이 환자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서비스의 효과적 활용 조건을 발견하여 의료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의료소비자 복지를 증진시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medical field is gradually increasing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technology. Departing from the previous paradigm that relied on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physicians, many hospitals have implemented AI technology to accurately monitor patients and assist physicians through the use of big data in healthca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and why consumers’ intention to comply with medical prescriptions differs when it is provided by an AI-powered software versus a human physician. Specifically, we classified the level of physical risk patients could encounter into two categories, high and low. The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dical providers' type (human physician versus AI-powered software) on patient compliance under the two different levels of potential physical risk. In Experiment 1, assuming a cardiovascular disease scenario, it is revealed that patient compliance was lower when the medical service provider was an AI-powered software rather than a human physician, which was mediated by patients’ trust. In Experiment 2, it was confirmed that patients’ inhibition from complying with AI-powered software occurs equally in other diseases (e.g., spinal disc herniation).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tients’ physical risks and the medical service provider was identified. When the physical risk is high, patients' compliance with AI-powered software (vs. human physician) was lower. Yet, when the physical risk is low, the type of medical service provid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atient compliance, which indicates an interaction effect. In Experiment 3, the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risk and the types of medical service provider was confirmed repeatedly, which was revealed to be mediated by tru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key variables that affect patient compliance in the context of healthcare service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u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edical institutions and healthcare service providers in regards to when and how to utilize medical A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