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의 변화 - 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은홍,한담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hrinkage of Chosu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Chinese during the Xi Jinping period by comparing the ways of representing ethnic identity in the 2007-2011 editions and the 2021-2022 editions of the Chosun language textbooks. The representation of ethnic identity in Chosun language textbooks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history of migration and residence of Koreans/Korean-Chinese' and 'the succession and acceptance of Korean ethnic culture'. The former includes the representation of the anti-Japanese war, mobility, self-reliance, and pride. In the old version(2007-2011), the anti-Japanese war was a war for the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ninsula, but in the new version(2021-2022), the anti-Japanese war becomes a symbol of nation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China's patriotism and internationalism. In the old version, the history of settlement, self-reliance, and cultural pride of the Korean-Chinese who 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re shown, while the new version clearly reveals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immigrants to China, but the pattern of migration and settlement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abstracted. In the latter,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Korean culture is revealed through literature and ethnic culture before liberation, and the aspect of sharing the Korean culture is reveal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fter liberation. In the old version, it accepted various pre-liberation Korean ethnic cultures that can prov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anti-imperialist and anti-feudalism oriented socialist ideology, and had a valuable status as the Korean ethnic culture. In the new edition, texts before liberation have been greatly reduced, and the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is treated in terms of knowledge rather than values. In the old versio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hared similarities between the Korean-Chinese and their homeland, as well as similarities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ut the new version contains texts that can be understood without a cultural background about North Korea and South Korea. 이 연구는 중국 조선족의 조선어문 교과서 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시진핑 시기에 조선족의 민족어교육의 위축 양상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어문 교과서는 민족 정체성 담론과 소수민족 교과서 정책의 배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민족 정체성 담론의 측면에서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은 한반도의 국민국가 단위에서 모색되는 민족 정체성과 변별되면서도 혼효된다는 점, 조선어문 교과서는 민족의 언어문화 교육 자료이면서도 국민 정체성 형성의 목적도 달성해야 하는 국정교과서라는 점에서 국민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의 역학 관계가 나타난다는 점,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은 변화한다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시진핑 시기의 소수민족 교과서 정책 측면에서 초중등 소수민족언어 교과서에 대한 교육 행정부의 관리가 강화되고 있고, ‘삼과통편교재(三科統編教材)’, 푸퉁화(普通話) 교재 보급으로 인해 국정 교과서의 채택 비율이 확대되는 배경 속에서 조선어문 교과서가 편찬되고 사용되고 있다.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 표상을 ‘조선족의 이주와 거주의 역사’와 ‘조선민족 문화의 계승과 수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조선족의 이주와 거주의 역사’에는 항일전쟁과 조선족이 갖는 특수성으로서 모빌리티, 자생력, 자부심의 표상이 속한다. 구판(2007-2011년판)에서 항일전쟁은 한반도 조국의 독립을 위한 전쟁이었지만, 신판(2021-2022년판)에서 항일전쟁은 중국의 애국주의와 국제주의의 맥락에서 국민 정체성의 표상이 된다. 구판에서는 한반도로부터 이주해 온 조선족 정주의 역사, 자생력과 문화적 자부심이 나타나 있지만, 신판에서 조선족이 중국으로 귀속된 역사는 명확히 드러나 있지만 한반도로부터의 이동과 정착의 양상 등이 추상적으로 나타나 있다. ‘조선민족 문화의 계승과 수용’에는 조선민족 문화의 역사성을 해방 이전의 문학, 민족 문화 등을 통해 드러내며, 조선민족 문화의 공유 양상을 해방 이후 북한 및 한국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구판에서는 반제·반봉건 지향의 사회주의 이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증명할 수 있는 다양한 해방 이전의 조선민족 문화를 수용하며, 조선민족의 문화를 가치 있는 것으로 표상했지만, 신판에서는 해방 이전의 작품이 대거 축소되었으며 가치보다는 지식의 차원에서 조선민족의 문화가 다루어지고 있다. 구판에서 북한과 한국은 중국 조선족과 고국, 과거와 현재의 세태의 유사성 등을 공유했지만, 신판에서 북한과 한국에 대한 문화적 배경 없이도 이해 가능한 작품을 수록하며 중국 조선족과의 공유 가능한 지점이 축소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 經穴의 艾灸生體反應이 失血性貧血에 미치는 影響

        李殷洪,박인규,임종국,김진택 東國大學校韓醫學硏究所 1992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Vol.1 No.-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moxibustion on anemic condition as a acute loss of blood, white rats were induced loss of blood by cadiac puncture. And then morphologically variation of The Bone Marrow was observed the following points of each rat were used : Shinsu(B23 or Ⅶ23), Hyeonjong(GB39 or XI39), and complex of shinsu(B23 or Ⅶ23) and Hyeon Jong(GB39 or XI39) Comparing these above method with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oxibustion in Shinsu have an influence on activation of Normoblast and do for hematosis function of bone marrow 2. Formation ability of R·B·C(Red Blood Cell)turn up order a list of Mocibustion in Shinsu(B23 or Ⅶ23), Moxibustion in conplex of Shinsu(B23 or Ⅶ23) and Hyeon Jong(GB39 or XI39), moxibus-tion in Hyeon Jong(GB39 or XI39) 3. Moxibustion in complex of Shinsu(B23 or Ⅶ23) and Hyeon Jong(GB39 or XI39) moderately increase Megakaryocyte

      • KCI등재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의 자기소개서 쓰기의 평가 범주 설정 방안

        이은홍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valuation category and criteria of selfintroduction in the liberal education of universities. In the liberal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ies, self-introduction is one of the genres that are often educated but not diversely educated. However, considering the aspect of the contents of the liberal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mpetency required for the learners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the writing of the self-introduction statement can be reconstructed into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the learner to develop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o form the knowledge creatively. In the liberal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ies aiming at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self-introduction statement is a writing that should increase the acceptance possibility by expressing and constructing linguistically while assuming the specific figure of reader. The evaluation categories that can be set in light of these characteristics are ‘initiative of communication context’, ‘acceptability of reader’, ‘personality of self expression’, and ‘self-un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icles of university students by designing the task to evaluate these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set the context of self-introduction and accordingly various language composition methods. Whil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has been designed to have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 to construct a language to solve the problem,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self-introduction of the author must be studied in terms of the practicality of the self-introduction evaluation will be. 이 연구는 대학의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실행되는 자기소개서의 평가 범주 및 기준을 제시하 는 목적에 있다. 대학의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소개서는 자주 교육되지만 다양하게 교육되지 는 못하는 장르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에 따라 교양 글쓰기 교육의 내용이 선정되는 최근의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자기소개서 쓰기는 학습자가 지식을 창조적으로 형성하는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문 제 해결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대학의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소개서는 필자가 독자의 구 체적인 모습을 상정하면서 자신을 언어적으로 표현하고 구성해서 수용가능성을 높여야 하는 글 인 것이다. 이러한 특성에 비추어 설정 가능한 평가범주는 ‘소통 맥락 설정의 주도성’, ‘독자의 수 용 가능성’, ‘자기표현의 개성’, ‘자기의 통일성’ 네 가지이다. 이러한 범주를 구체화하기 위한 과제 를 설계해서 대학생의 글을 분석한 결과 자기소개의 맥락을 적극적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자 기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언어 구성의 방법을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 습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언어를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폭넓게 가질 수 있는 교수학습 과 정이 설계되는 한편, 자기소개서 평가의 실제성 측면에서 필자의 자기소개서를 독자가 평가하는 과정이 함께 연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계의 감각, 디아스포라의 청각과 목소리-이용악의 디아스포라 형상을 중심으로-

        이은홍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 of the boundary experienced by the diaspora through the sound that appears in the poetry of Lee Yong-ak's diaspora shape. For the diaspora in the process of escaping home, migration, and settlement, boundaries were experienced in various ways, such as the space between the edges and the inside of the space, and the space between outside and adjacent to the boundary. In order to examine the pattern of experiencing the fluid boundary of the diaspora, attention was paid to the way of hearing and speaking in Lee Yong-ak's poetry. Since sound can create boundaries, move boundaries, and cross boundaries, it becomes an important indicator for examining the subject's boundary experience. In Lee Yong-ak’s poetry, ‘sound trapped within boundaries’, ‘direction to sounds outside the boundary’, and ‘the sound of the transitional zone that crosses the boundary inside and outside’ captures the experience of the three boundaries of the diaspora. In these aspects, the process of making involuntary conditions of life into conditions of voluntary life, the strong life of the diaspora can be confirmed. 이 연구는 이용악의 시에 나타난 소리를 통해 디아스포라의 경계 체험 양상을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아스포라에게 경계는 실존적으로 직면해야 했던 정치․ 경제․사회․문화적 삶의 조건이었기에, 경계는 개념의 차원보다는 체험의 차원으로접근될 필요가 있다. 탈향과 이주, 정착, 귀환의 과정에서 경계는 공간의 가장자리와 내부, 경계 밖과 인접한 사이 공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험됐다. 이렇게 유동하는 디아스포라의 경계 체험을 분석하기 위해 소리 감각에 주목하였다. 왜냐하면 소리는 경계를 만들고 움직이고 넘나들 수 있기에 디아스포라의 경계 체험을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용악 시에서는 ‘경계 안에 갇힌 소리’, ‘경계 밖 소리에 대한 지향’, ‘경계 안팎을 넘나드는 점이 지대의 소리’가 나타난다. 우선, 디아스포라는 경계 밖 소리의틈입에 공포를 느끼면서도, 경계 내부를 발성할 수 없는 폐쇄된 경계를 체험했다. 다음으로, 디아스포라는 경계 밖의 소리를 들으며 지향적 관계를 형성했지만, 경계 밖을 향해 자기 목소리를 직접 발성하지는 못했다. 마지막으로, 디아스포라는경계 밖의 대상을 듣고 말하며 경계 밖의 대상에게 들리게 되었고, 대화를 촉발하는 경계적인 존재로 자신을 위치시키면서 점이 지대로서의 경계를 체험한다. 이를통해 비자발적인 삶의 조건을 자발적인 삶의 조건으로 만들어가는 디아스포라의강인한 삶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인권 친화적 문화 형성과 현대시 비판적 읽기 교육

        이은홍 한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 Vol.0 No.1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poetry education in forming a human rights-friendly culture. To this end,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ere embodied as content to realize the goal of enhancing sensitivity towards human rights; this is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human rights issues based on an awareness of human rights standards. This uses the same method as critical reading, which evaluates the acceptability of a text based on certain criteria. However, it is necessary that we find a critical reading method that includes an understanding of the way human rights work. When considering “human rights as rights” and “human rights as moral rights,” the role of the reader in critical reading and the attribute of critical reading itself were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rights, the readers were required to read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human rights subjects and carry out activities that justify human rights values ​​through the process of materializing, applying, and reflecting on human rights values ​​in a specific context. Critical reading allows for sympathy with the rights issues reflected in the text and tries to expand on them; a critical reading that the reader actively sets the problem and tries to read the text, although the text does not reflect it. Critical reading aims to supply learners with a delicate and thoughtful attitude towards understanding the world.

      • KCI등재

        문학교육에서 생태비평 수용의 의의와 방안

        이은홍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4

        In order to raise the attitude of utilizing literature in reflection and response to the ecological crisis, it is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critically evaluate the ecological value of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 contents of literary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to be able to negotiate with literary education in order to be accepted as valuable contents of ecocriticism. Ecocriticism is the act of evaluating the value of text in the concrete context of ecological crisis and dealing with complex ecological problems which are difficult to converge to one cause. And ecocritic are strongly urged to have continuity between literary act and everyday life. If Ecocriticism is accepted in literary education, It enable students to construct the literature act as an opportunity to search for identity, to reveal the value of literature considering the communication context, and to think of the factors that cause various understandings about literature to expand from the personal level to the social level. To this end, the learner makes actively the relevance of the literary text and context, and reevaluates the ecological value of the canon, or reads the criticism reflecting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ecologicality. In addition activities that utilize literature as a tool to visualize ecological problems and discriminate the ecological values of literature are also useful. 생태 위기에 대한 반성과 대응으로 문학을 활용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작품의 생태적 가치를 직접 따져 보는 비평 활동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생태비평이 가치 있는 교육 내용으로 수용되기 위해서 기존 문학교육과 교섭할 수 있는 부분을 교육과정에 기반을 두어 구체화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생태비평은 생태 위기라는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텍스트의 가치를 평가하고, 하나의 원인으로 수렴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생태 문제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생태비평가는 문학 행위와 일상의 삶 사이의 연속성을 강하게 요청받는다. 이러한 생태비평을 문학교육에 수용한다면 학습자가 현재 직면한 생태 문제, 비평문을 읽을 독자 등의 소통 맥락을 고려하면서 문학의 가치를 밝히며, 문학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발생한 요인을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적인 차원까지 확대해서 생각해 보고, 문학 행위를 정체성 탐색의 기회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문학 텍스트와 자신, 사회문화적 맥락과의 관련성을 적극적으로 만들며 문학 소통 과정에 참여하고, 정전의 생태적 가치를 재평가하거나 생태성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이 반영된 비평문을 읽음으로써 문학의 가치를 논쟁적으로 따져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생태 문제를 가시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문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문학의 생태적 가치를 변별하는 활동도 학습자가 문학 행위를 지속해서 동기화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