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연구

        이은경(Lea, Eunkyoung),오소영(Oh, Soyoung),곽현(Kwak, Hyou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지지에 해당하는 부모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사회적지지(부모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와 고등학교 3학년 시기의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단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3차, 5차, 6차년도 데이터 중 2,2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관계가 좋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정체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관계가 좋을수록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또래관계는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부모관계, 교사관계는 고 3시기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관계는 진로정체감의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를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교사관계는 진로정체감의 초기값을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of adolescents.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fa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and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the 3rd, 5th, 6th years the data from longitudinal survey of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and 2,259 from the third-year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identity increased as the higher parental relationship and career identity increased as students moved on to the next grad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increased as the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But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do not affected peer relationship. Seco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arents affected career decision of 3rd grade in high school. Third, parental relationship identified mediating effect on the initial value and changing value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decis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identified mediating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decision. These results formed the basis of implications and the meaning taken from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시간효과 연구

        이은경(Lea, Eunkyoung),김민환(Kim, Minhwan),이유진(Lee, Yujin),이응택(Lee, Eungtae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추이를 확인하고, 학교적응의 변화양상에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시간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동일 청소년을 반복추적 하여 조사한 아동․청소년 패널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모든 변인에 결측값을 보인 대상을 제외한 2,312명(여 1,148명, 남 1,164명)을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은 본 연구목적에 맞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 변화는 무변화 모형과 일차함수 모형 보다 이차함수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2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학교적응은 증가하다가 어느 시점부터 감소하는 양상을 의미한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시간의존변수로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시간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시효과는 중학교 3학년 시기에서만 발견되었다.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지만 다른 학년에서는 동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연효과는 중학교 2학년 시기에만 확인되었다. 중학교 2학년 시기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중학교 3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다른 시점에서는 지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시기의 학교적응에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시간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학교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시기별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trajectory of school adaption and to examine a time effect of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school adaption. For this purpose, utilizing the data of child and adolescent panel from the secon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 total of 2351(1,148 females, 1,164 mal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study. The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school adaption increased at the secon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to some point, but from that point forward, it tended to decrease. Second, a tim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school adaption was supported, but a concurrent effect was confirmed only in the thir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and a lagged effect was confirmed only in the secon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 KCI등재

        청소년의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공동체의식의 이중 매개효과연구

        조안나 ( Anna Cho ),이은경 ( Eunkyoung Lea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청소년의 팬덤문화를 이해하고, 팬덤문화가 청소년의 삶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팬덤활동과 기본심리욕구,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을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팬덤활동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첫째, 팬덤활동이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팬덤활동이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공동체의식은 이중매개 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분석은 총 592명의 자료를 토대로 팬덤활동, 기본심리욕구,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뒤, 구조방정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공동체의식이 이중매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주도하는 팬덤문화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밝혀 균형 잡힌 시각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추후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andom culture which is known as youth culture and review what effect it has on the life of adolesce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fandom activities, it was examined whethe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ndom activities and the school adjustment. Second, it was examined whether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ndom activities and the school adjustment. Lastly, it was examined whether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sense of community showed doubl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ndom activities and the school adjustment. For the research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ndom activities, basic psychological needs,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was examined based on the data from 592 students.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sense of community had doubl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ndom activities and the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follows: positive effect of fandom culture led by adolescents was determined and it was shown as necessary to have a balanced viewpoint on the adolescents’ fandom culture. In addition, various matte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a future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년남성의 가족관계에서의 분노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송미경 ( Mikyoung Song ),이은경 ( Eunkyoung Lea ),양난미 ( Nanmee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남성이 가족관계에서 경험하는 분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년남성 20명(44~59세)을 심층면접 후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중년남성의 가족관계에서 분노경험의 중심현상은 ‘상처받기 쉬운 자존심’이었다. 이는 ‘기대대로 되지않음’과 ‘무시당함’이 원인이 되어 ‘지위의 변화’,‘ 나이들어감에 대한 지각’, ‘가족가치와 가장역할에 대한 인식변화’의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경제적 부담’ ‘지지집단’ ‘가족의 정서적지지’, ‘화에 대한 인식변화’가 분노경험을 조절 혹은 억제하며 ‘폭발하기’, ‘회피하기’, ‘홀로견디기’, ‘자각하기’, ‘내려놓기’, ‘대화시도하기’가 상호작용전략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을 위한 실천적 제언으로 가족관계 프로그램과 중년 남성을 위한 심리지원 서비스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iddle-aged men’s anger experience in family relationships and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20 middle-aged men(44 to 59 age)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The central phenomenon was ‘vulnerable pride.’ ‘Not expected’ and ‘disappreciated’ were the causal conditions and ‘status change’, ‘perception of aging’, and ‘perception change of family value/role’ were contextual conditions. Financial burden, family and surrounding support, change of anger perception mediated the experience of anger. Interaction strategies were explosion or avoidance of anger, enduring, self-awareness, put down, and trying to communication. Suggestions for participants are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family relationship program and psychological service.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재학 시 진로교육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진로성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규효(Kyoo Hyoo Kim),이은경(Eunkyoung Lea)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9 동서정신과학 Vol.22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재학 시의 진로교육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고등학교 때 받은 진로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할수록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하여 학업적, 사회적 측면의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5, 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초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교 재학 시 진로교육경험은 진로성숙도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성숙도도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재학시 진로교육경험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시기의 진로교육경험이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대학교 입학후 대학생활적응을 돕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college high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areer education received in high school, the more useful it was to examine whether it would be helpful to adapt to academic and social aspects of college life through career maturity. For this purpose, basic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using the 5th and 7th year data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s a result, firs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ollege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career maturit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high school promotes career maturity and adapts to college life after entering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지민(Shin, Ji-Min),이은경(Lea, Eunkyoung),양난미(Yang, Nan-M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진로문제를 통해 대학생의 행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신의 일에 충만함을 느끼고 헌신하도록 하는 목적의식을 의미하는 진로소명에 초점을 두어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31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소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을 포함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소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모두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상대적인 영향력은 진로소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순이었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 사이를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ith their career choices, which is the major concern for college students. To be specific,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reer calling(a sense of purpose that makes one dedicated to one’s work)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For this study, 313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s about career call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The result is that both career call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 on life-satisfaction. Of the two factors, career calling had relatively more impact on life-satisfaction. In addi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al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alling and life-satisfaction.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