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연구 전체 과정에서의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 활용방법 교육을 위한 실행연구

        이용숙 ( Yong Sook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1

        이 연구에서는 현장연구 전체의 각 단계에서 연구자가 재개발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교재로 만들고, 이 교재를 활용하여 〈 현장연구실습 〉1, 2,3 수업의 수강생과 〈 마케팅 에스노그라피 과정 〉(사회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에게 연구방법을 가르쳤다. 또한 수강생들의 연구과정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실제로 적용하도록 지도하면서 시행착오를 찾아 교육방법과 교재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실행연구(actionresearch)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연구계획 단계, 자료수집 단계, 잠정적 목차 만들기와 수집된 자료의 코딩 단계, 추가적인 주요 연구주제 찾기 단계, 그리고 보고서 작성 단계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2014년 1년간의 예비연구 단계에서는 교재 초안을 개발하여 현장연구 수업의 자료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만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발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교재의 1차 수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단계인 2015년의 수업에서는 현장연구의 전체 과정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해보도록 하면서 교재를 계속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시행착오도 있었는데, 한 번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재의 설명 제시가 불충분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수강생들은 교재에서 연구방법을 단계별로 세분해서 구체적으로 소개해 줄수록, 그리고 실제 적용사례를 다양하게 제공할수록 이해도가 높아졌다. 또한 수업 중 실습과 피드백을 통해서 분석과정 전체를 한 번 경험해보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했다. 수업 중 실습 직후에 본인의 연구에 빨리 적용하도록 해야 연구에서의 실제 사용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참여관찰과 면담 자료 분석 결과 학부 학생들이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비교적 쉽게 배워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인류학을 사전에 배운 적이 없는 사회교육과정 참가자들도 이 분석방법을 배워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rough the approach of action ethnography, this study developed educational methods to educate students how to apply taxonomy and componential analysis for the entire process of field research. The entire process of field research includes the phases of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construction of an outline of a research report, coding, finding additional important topics and writing a research report. For this purpose, educational material was preliminarily developed and used for a year during the pilot stage of the study in field research method class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in a continuing education course. Using this educational material, the researcher offered lectures and provided practice and feedback sessions during class and through an Internet forum for these classes. Each student conducted a required data collection using taxonomy and componential analysis which they learned through the class and practice sessions. Students also conducted two field research projects, first as a whole class team and second as a small research team or as individual researchers. During this stage,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and feedback from students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lthough the classes were rather successful, the researcher found several points to be improv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During the main research phase, the improved educational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a year in the same classes and the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use of educational material, has been refined continuously based on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As a result, a set which includes nearly 100 pages of PPT lecture slides and training materials for practice was developed.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 성공을 위한 조건들 : 서울시 동북4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숙(Lee, Yong-Sook),박승빈(Park, Seungbin),김태일(Kim, Taeil)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4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동등한 권한을 가진 조직인 기초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 사례인동북4구 거버넌스 분석을 통해, 협력적 거버넌스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을 도출한다. 기존의 협력적 거버넌스 연구는 성공 요인으로 참여자의 자율성과 그들 사이의 합의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자치구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현실에서 자율성에 기반한 합의를 구현하는 일과 협력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이 연구는 각 조직의 자율성이 높아서 합의 도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조건들이 무엇인지 탐구한다. 저자들은 협력에 대한 암묵적 규범과 의사결정구조, 반복된 협력과 중간의 작은 성과, 혜택의 균등 배분 조정 기제, 공유된 내부통제, 호혜성과 신뢰에 기반한 사회규범이 그 조건임을 제시한다. 분석 결과, 동북4구 거버넌스는 자치구 간 협력에 대한 규범을 공유하고 중간성과를 달성하는 것을 통해 동북4구 지역의 종합적 발전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있었다. 반면 내부통제 미흡과 일부 자치구에 편중된 혜택, 낮은 수준의 호혜성과 신뢰 등의 한계들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사례연구법에 따라 문헌분석,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 essential conditions under which collaborative governance across local districts of a city works. The existing literature has emphasized the autonomy of individual actors and, at the same time, the consensus among the actors for a successful collaboration, but we argue that autonomy and consensus are likely to be incompatible in practice. We identify five condition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governance: shared implicit norms for collaboration and a relevant decision-making structure, interim achievements, a system for fair distribution of benefits, a shared mechanism for internal control, and a social norm of reciprocity and trust. We then analyze the structure, the process, and the interim outcomes of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across the four local districts in northeastern Seoul, South Korea. We find out that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due to the unevenly distributed benefits, the lack of internal control mechanisms, and the low level of reciprocity and trust. Our case study is based on an archival study,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 KCI등재

        소비자의 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 행동은 어떻게 다른가?

        이용숙(Yong Sook Lee),이응철(Eung Chel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스스로의 행동에 대한 인식이 실제 행동과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와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심층면담과 동반쇼핑 참여관찰 결과 비교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총 52명의 소비자들의 인식에 대한 심층면담결과와 참여관찰결과는 일관되게 커다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얼리, 침대, 정수기의 구매에 대한 조사결과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은 매장에서는 소비자들이 사전에 인식한 것보다 디자인에 대한 고려를 훨씬 많이 하고, 대신 가격에 대한 고려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는 점이다. 그 이유로 다음의 네 가지를 발견하였다. 첫째, 매장에서 소비자가 직접 눈으로 보아야만 생각나거나 부각되는 것들이 있는데, 특히 디자인 등의 감성적인 요소들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매장에 가기 전에 브랜드별 가격에 대해서 어느 정도 파악하고 가는 소비자들의 가격에 대한 관심은 매장에서는 크게 줄었다. 셋째, 매장 직원들이 다른 요소보다 제품의 디자인적인 측면의 우수성을 지적하면서 구매의욕을 부추기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매장 직원들은 관심 있는 상품을 발견했음에도 가격 때문에 망설이는 소비자를 여러 방법으로 설득하여, 이들이 생각하고 있던 가격의 상한선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소비자들이 기능적 측면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던 침대와 정수기의 경우 매장에서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이 매장에서 뚜렷이 보이지 않고 직원들도 알기 쉽게 설명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소비자가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능에 대한 고려를 ``브랜드 이름``으로 대치하거나(침대)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고려로 바꾸거나(정수기), 고려를 포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간혹 전문성을 가지고 성심껏 기능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직원을 만나는 경우에는 기능적인 측면의 고려사항이 가장 중시되는 동시에 ``매장 직원의 전문성``이나 ``직원 호감도`` 자체가 중요한 고려사항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소비자들의 행동을 소비자가 인식하는 행동 중심으로만 조사한다는 것이 얼마나 제한적이고 부정확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소비자들이 의도하지 않게 사실과 다르게 기억하고 있는 것이 너무나 많으며, 자신이 선호한다고 생각한 것들도 실제 구매 상황에서 얼마든지 잊어버리거나 바뀔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삶의 현장에서의 관찰 및 참여관찰을 실시하고 지속적인 심층면담을 병행하는 에스노그라피적인 방법을 부분적으로라도 도입함으로써 소비자의 니즈에 대한 통찰을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sumers` behavior and perception of their own behavior is different by comparing results of interviews with 52 consumers on perception of their own behavior with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ir actual behavior. Accompanied shopping in more than two shops were conducted with each of the 16 jewelry consumers, 21 bed consumers and 15 water purifier consum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ame consumers before, in-between and after the accompanied shopp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axonomy and componential analysi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cognitive anthropology. The results of analysis of all the data from three studies displayed comparable differences between actual behavior and the perception of that behavior. Consumers (especially female consumers) of all three products tended to consider ``design`` more importantly at accompanied shopping when compared to their pre-perception. On the other hand, ``price`` of the three products were considered less important once they went for shopping. Another finding is that these consumers tended to use only short time for evaluation of ``utilities`` at shops even though they told that they considered ``utilities`` of bed and water purifier very important. The major reason was that explanations of salesmen in many shops were too difficult and did not help consumers much to understand utilities of these products. As a result, many consumers used ``brand name``(bed) or ``the presence of additional functions``(water purifier) which were easy to understand, instead of utilities, We can conclude that using only questionnaire surveys or interviews would not be sufficient in understanding consumers` behavior. Consumers frequently remember their behavior incorrectly, They easily forget their preferences and change their minds at shops when they see attractive products and/or listen to professional explanations given by the shop manager. In order l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consumers considerably, we need to consider using ethnography which uses participant observ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ltogether.

      • KCI등재

        연구논문 : 소비자 행동 분석을 위한 문화인류학 연구방법의 활용방안 연구; 에스노그라피 활용방식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숙 ( Yong Sook Lee ),유창조 ( Chang Jo Yoo ),김영찬 ( Young Chan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2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조사회사나 기업체 마케팅 부서에서 ``에스노그라피``라는 이름의 조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제의 원인과 개선대안 찾기``를 목표로 소비자행동 연구에 적합한 에스노그라피를 적용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로 설계되었다. 즉 소비자 연구현장에서의 정성조사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와 문제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재개발된 연구방법을 직접 실제 조사에 적용하면서, 그 과정에 대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여 개선된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분석방법을 마케팅 조사 담당자에 게 소개하는 워크숍을 포함한 4가지 상황에 대한 참여관찰과, 국내 외 7개 조사회사 및 3개기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담, 서술형 설문조사, 서구 기업체에서의 소비자 행동연구의 에스노그라피 적용사례 문헌분석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결과 중 어떤 정성조사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조사회사 구성원들은 정성조사 방법들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에스노그라피가 사용되는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개선방안과 함께 논의하였다. 정성조사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방법의 활용이 계속 시도되고 정성조사 전담 직원의 확충과 교육이 늘어나고 있으나, 국내 조사회사에서 정성조사의 사용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성조사의 비중도 외국 조사회사에 비해 낮은 편이다. 또한 에스노그라피 활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한계가 나타났다: 1) 참여관찰 없이 관찰만 실시하는 경향, 2) 인터뷰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으며, 인터뷰는 에스노그라피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 3) 조사회수와 조사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경향, 4) 다양한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다단계 조사설계의 부족과 에스노그라피의 다양한 유형 중 일부만 사용됨. 결론에서는 에스노그라피 활용을 통한 소비자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소비자 행동 연구에서 학제 간 연구의 확대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둘째, 경영학 또는 마케팅 분야에서 연구방법론에 대한 교육은 주로 정량적인 측면만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와 함께 정성적인 연구방식에 대한 교육의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산업이 요구하고 있는 마케팅과 에스노그라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모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에스노그라피를 사용하기로 한 경우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자료수집방법만이 아니라 분석방법에 대한 고민도 있어야 한다. 여섯째, 연구의뢰 회사의 에스노그라피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통해서 단기적인 수요만이 아니라 장기적인 수요에 맞춘 다양한 연구단계의 조사를 보다 장기적으로 하는 조사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ethnography is used in research firms and marketers in Korea, and brings up some problems and ideas. With the objectives to find the causes of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 design an action research by applying redeveloped research methods at field and coming up with revised ways of research. Also, we have workshops, participant observations on 4 situations, interviews with researchers of 7 research firms and 3 firms, questionnaires, case analyses, and many other ways with the newly developed ethnographic methods suitable for consumer behavior researches. In this paper, we especially discuss on which qualitative methods are mainly used in domestic research firms and how researchers think about them, and also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 using ethnographic methods. Although various methods are being discussed and tested, and educated to employers, they are tended to be limited to FGD, in-depth interviews, home visiting observations/interviews, and accompanied shopping and the usage rate is low. More the les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applications of ethnography such as: 1)observation without a participation, 2) too high dependence on interview and not including interview in an ethnographic method, 3) too short days alloted to data collection, 4) lack of research constructs on using and apply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altogether, and the use of just a few types of ethnography.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consumers by using ethnography, we made some suggestions. Firstly, extension on systems in consumer behavior research is in need. Secondly, since education on quantitative methods is more emphasized in marketing, a complement of educat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needed. Thirdly, development of a general research model on marketing and ethnography is important, and fourthly, a question on the various uses of ethnography has to be discussed. Fifthly, not only consideration on data collecting, but investigation on analysis has to be done. And lastly, by the effort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clients, we need to develop a research model which contains various steps of researches designed for the long term demands as well as the short term demand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파주LCD산업집적지 형성에 관한 연구

        이용숙(Lee, Yong-Sook),허인혜(Hur In-Hye) 한국공간환경학회 2009 공간과 사회 Vol.32 No.-

        이 논문은 한국에서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클러스터의 가능성과 한계를 파주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산업집적지 심층 사례연구를 통해 면밀히 검토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행위자 간의 협력을 전제하는 기존 연구 풍토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세계생산네트워크론(Global Production Network: GPN)의 관점에서 행위 주체들 사이의 역동적 관계와 역할 분담에 초점을 맞춰, 파주LCD산업집적지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지역 내부의 주요 행위자들의 신뢰나 협력적 관계가 파주LCD산업단지 성공적 조성의 원인으로 보지 않으며, 오히려 다른 이해를 갖고 있는 지역 내생적, 외생적 행위자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이해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전략적으로 결합한 결과로서 산업집적지가 조성될 수 있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본 연구는 파주LCD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전략적 결합 과정에서 주요 행위자들이 담당하는 역할을 ① 기획 제안자와 협상파트너, ② 사업실행자와 관리집행자, 그리고 ③ 법률시행령 개정자, 조정자 및 자금지원자로 개념화하면서 경기도, 파주시, 중앙정부 간의 역할 분담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필요한 자료나 정보의 수집은 크게문헌연구, 현장 방문, 심층면접에 근거했다. Deriving insights from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GPN) perspective, we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recently emerging Paju LCD industry agglomeration in South Korea. We focus on analyzing the dynamic ‘strategic coupling’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regional assets in explaining the main determinants of the Paju LCD industry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ole of the diverse actors involving in the dynamic strategic coupling processes, we specify the roles of the state and its relations to diverse actors in the globalizing region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centripetal society. A multi-strategy approach that includes in-depth interviews, site visits and secondary data collection was adopted in order to enhanc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상도시의 관점에서 박원순 시정 평가하기

        이용숙 ( Yong-sook Lee ),신영민 ( Young-min Shin ),이민영 ( Min-young Lee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1 정부학연구 Vol.27 No.3

        이 글은 일상도시(ordinary cities)의 관점에서 박원순 시정과 그 주요 정책들을 분석·평가한다. 일상도시론은 서구 중심적 도시 논의를 일반화하고 그 정책들을 타 도시에 모방·이식하려는 행위를 비판하며 도시이론의 인식론적 전환을 주장한다. 일상도시론은 도시의 복잡성, 다양성, 포용성을 강조하면서 평범한 도시인의 삶을 개선시키고 민생을 안정시키는데 주안점을 둔다. 이 연구는 일상도시의 인식론적 전제와 정책적 제안을 소개한 후, 이 시각에서 박원순 시정 하에서 시도되었던 다양한 정책실험들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평가한다. 분석 결과, 박원순 시정은 서울의 고유성을 찾고자 역사도심계획과 생활밀착형 정책들을 추진하였으며, 다양한 참여 거버넌스에 대한 실험을 추진했고, 사회복지 예산 증대를 통해 재분배정책을 강화했으며, 도시화경제를 위한 사회적경제 정책들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계획과 정책들은 일상도시로 나아가는 의미 있는 출발이지만, 관광자원 중심의 역사도심개발, 시민참여 형식화, 취약계층 중심의 복지정책과 낮은 체감, 그리고 지속가능성 문제 등의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검토, 서울시 및 서울연구원 자료 분석, 관계자 심층면접에 근거했음을 밝힌다. This paper examines Park Won Soon’s administration from the ordinary cities’ viewpoint. The ordinary cities’ perspective provides an epistemological critique of the existing urbanism and urban theories that tend to favor the urbanism of a few western cities and generalize their experiences. The ordinary cities’ view focuses on improving the city dwellers’ life and stabilizing the people’s livelihood. This study introduces an epistemological insight and policy suggestions of the ordinary cities, and analyzes and evaluates Park Won Soon administration’s main policy experiments from the ordinary cities’ viewpoint. While these experiments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improving ordinary cities, they are limited by several challenges including tourism-oriented historic urban renewal, limited and selective welfare policies, formalized civic participation and lack of voluntarism, and questionable sustainability of policy experiments closely linked to citizens’ daily lives.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based on document analysis and in-depths interviews.

      • KCI등재

        정책이동과 창조도시 정책 -서울과 싱가포르 창조도시 프로그램 비교-

        이용숙 ( Yong-Sook Lee ),황은정 ( Eun-Jung Hwang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1

        본 연구는 정책이동(policy mobility)의 관점에서 2000년대 이후 서울과 싱가포르에서 추진되었던 창조도시 정책이동 현상을 비교, 분석한다. 역사적 제도주의에 기반을 둔 정책이동의 관점에서 기존의 정책학에서 제시되었던 정책이전의 동형화에 대한 가정들을 비판하면서 서울과 싱가포르에서 창조도시 정책이 각기 어떻게 상이하게 반응하며 다른 경로를 형성하면서 상이한 정책 결과들을 낳고 있는가를 밝힌다. 본 연구를 통해, 두 도시가 처해있었던 제도적, 상황적 맥락의 차이로 인해 정책 이동의 행위자(주체, 동기), 정책이동 과정(원천, 대상, 방법), 그리고 정책 이동의 구체적인 결과들이 상이했음을 밝힌다.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시민들의 창조성이 정책에 발현되는 원형의 창조도시 정책이 서울에서는 물리적 하부시설 건설 및 디자인 사업, 형식적 대민서비스 시스템과 신공공관리적 교육·인사제도로 변형되었으며 싱가포르에서는 국가 주도의 하향식 창조산업육성책과 외향적 성장정책으로 귀결되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분석 평가를 위해 본 연구는 사례 연구법에 근거하여 문헌분석과 현장방문,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obility of creative city policies to Seoul and Singapore from a viewpoint of policy mobility.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zing how the concepts and policies of creative city are introduced and moved to Seoul and Singapore.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mobility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we critique the hypothesis of isomorphism that the existing studies on policy transfer suggest and illuminate how creative city policies are moved differently in the context of Seoul and Singapore. Through this study, we elucidate that different actors in policy mobility were chosen due to different institutional contexts, led to different mobility processes, and thus resulted in different policy outcomes. The original creative city policy, which encourages citizens' participation and creativity based on the invigorated leadership, was transformed as physical construction and perfunctory local-serving programs in Seoul and as the top-down industry promotion policy and tourist-targeted growth policy. This research is based on case studies focusing on the archives, site visits, and in-dept intervi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