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Association of Long Noncoding RNA LOC105372577 with Endoplasmic Reticulum Protein 29 Expression: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이소연,권기상,고영화,권오유,Lee, Soyeon,Kwon, Kiang,Ko, Younghwa,Kwon, O-Yu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을 통해 ERp29의 mRNA 발현과 관련된 유전좌위(expression quantitative trait loci, eQTL)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대상 유전자는 ERp29이다. ERp29는 소포체(ER)의 lumen에 단백질의 folding & assembly 기능을 가진 분자 chaperone 단백질로서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해 발현량이 증가하며, 분비 단백질의 생합성에 관여한다. 최근 연구 결과 발암과 연관성이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총 373명의 유럽인의 genome을 대상으로 GWAS 분석 결과, ERp29 유전자 발현은 정소와 뇌에서 강하게 발현하는 long noncoding RNA (LncRNA) LOC105372577과 관계가 있었다. 즉, 3개의 eQTL: rs6138266 (p<4.172e10-9), rs62193420 (p<1.173e10-8), rs6138267 (p<2.041e10-8)와 연관성이 깊은 것으로 밝혀졌다. ERp29의 발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3개의 eQTL을 사용한 transcriptome-wide association study (TWAS) 결과 osteosarcoma amplified 9 (OS9) 발현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며 OS9 유전자의 up-stream에 upstream of transcription factor 1 (USF1)이 결합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This study identified ge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endoplasmic reticulum protein (ERp)29 gene expression in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of genetic variants, including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total, 373 European genes from the 1000 Genomes Project were analyzed. SNPs with an allelic frequency of less than or more than 5% were removed, resulting in 5,913,563 SNPs including in the analysis. The following expression quantitative trait loci (eQTL) from the long noncoding RNA LOC105372577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ERp29 expression: rs6138266 (p<4.172e10), rs62193420 (p<1.173e10), and rs6138267 (p<2.041e10). These were strongly expressed in the testis and in the brain. The three eQTL were identified through a transcriptome-wide association study (TWAS) and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Rp29 and osteosarcoma amplified 9 (OS9) expression. Upstream sequences of rs6138266 were recognized by ChIP-seq data, while HaploReg was used to demonstrate how its regulatory DNA binds upstream of transcription factor 1 (USF1).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OS9 or USF1 following ER stress.

      • KCI등재

        여성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경향 분석

        이소연(주저자) ( Lee Soyeon(주저자) ),김나영(공동저자) ( Kim Nayeong(공동저자) ),이소연(교신저자) ( Lee Soyeon(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6

        여성들의 사회적 역할이 확대되고 지위가 상승하고 있으나 기존의 공간은 아직도 여성들의 주요 활동 공간이 제한된 범위에 머물러 있다는 인식 안에 있다. 본 연구는 여성과 공간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과 토론을 통해 기존의 여성 공간 연구를 검토하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선행 문헌을 키워드, 게재연도, 연구대상지, 연구목적, 연구방법, 학회지 분야의 유목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해 기존 공간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키워드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 ‘여성전문병원’,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여성친화도시’, ‘여성성’이 연결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그동안의 여성 공간에 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나, 최근 연구 공간의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도시’적 관점에서 여성 공간에 접근하는 거시적이고 입체적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 공간에 대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여성의 니즈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한 ‘여성성’과 ‘출산·양육’을 고려한 공간 연구와 ‘양성 평등 공간’ 및 ‘안전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Although women’s status in society have been improving, the existing space for women’s main activities is still perceived as limited in scop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s the domestic literature on women’s space and discusses the space for women with intent to gain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n space associated with women. Articles on women’s space were sub-classified in light of keywords, years of publication, sites, purposes, methods and journal categories, followed by network and frequency analyses.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a new orientation for further studies. The degree centrality was found high in such keywords as ‘women’s clinics’, ‘CPTED’, ‘women-friendly cities’ and ‘femininity’. In addition, there is a paucity of studies on women’s space. Recent studies have diversified the scope of women’s space. At the same time, macroscopic ‘urban’ approaches to women’s space have lately been emerging. Finally, the focus group interview on women’s space highlighted the needs to further studies about ‘femininity, ‘maternity’, and ‘gender equality’ in space, and ‘safe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리모델링관련 국내 선행연구 경향 분석 -디자인 및 계획계 문헌을 중심으로-

        이소연 ( Soyeon Lee ),유성은 ( Sungeun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리모델링은 친환경성과 경제성 등 다양한 장점 덕분에 노후화된 건축문제를 해결할 대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건축물의 틀에서 작업해야 하는 리모델링은 신축이나 재건축보다 디자인 개선 및 계획에 한계가 있어 차별화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관련 연구를 통해 개선안을 찾는다면, 리모델링 산업을 발전시킬 뿐 아니라 국내 노후 공간을 개선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연구 중 디자인 및 계획계 문헌의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 및 보완점을 찾아 리모델링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리모델링의 개념 및 정책 변화를 살펴보아 본 연구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기존의 리모델링 연구를 게재연도, 키워드, 연도별 키워드, 연구방법, 연구결과의 유목(類目)별로 나누어 경향을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한다. 구체적으로 빈도 분석 및 게피(Gephi)프로그램 을 통한 네트워크 분석을 한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리모델링 관련 문헌을 추출하기 위해 학술데이터베이스(DB)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및 계획계 관련 논문 100편을 전수 조사하여 그 성향을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리모델링 연구는 2000년도 초반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08년 이후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는 2000년대 초반 실시된 리모델링 지원 정책과 2008년 재건축 규제 완화 정책 등 해당 시기의 정책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공동주택 리모델링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해당 연구의 영향력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에서 공동주택 연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감소하고 있는 데 반해 다른 분야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리모델링, 교육시설, 의료시설, 노인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도시재생 관련 연구가 최근 대두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기존 리모델링에 대한 사례조사가 가장 많았는데, 다방면의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앞으로 다양한 조사방법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리모델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면접조사나 설문조사 등 심층 분석 조사가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 넷째, 연구 결과는 기존공간을 분석 및 평가하고 이에 대한 지침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징적으로 정책 및 제도 제시를 위한 연구가 다수 있었다. (결론) 리모델링 디자인 및 계획의 연구는 다른 공간디자인 연구와 다르게 정책 및 제도와 긴밀한 관계를 보이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다. 공동주택 연구가 다수를 이루었으나 이는 점차 축소되고 연구의 주제가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다양화 되고 있는 중이다. 연구의 방법 및 결과으로 살펴보았을 때 기존 사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연구가 가장 많아 더욱더 다양화된 연구주제 및 방법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리모델링 관련 연구를 종적 횡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modeling, as a measure to resolve deteriorating construction issues, is attracting attention for its various strong points such as eco-friendliness and economic efficiency. It is anticipated that finding improvement based on relevant studies would be highly helpful in developing the remodeling industry and making domestic deteriorated spaces better.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by analyzing the trends in the design and planning literature of remodeling research. This study also intends to address problems in existing studies and issues to remed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modeling research. (Metho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study for analysis by examining the concept of remodeling and the political change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content analysis of the existing remodeling studies was conducted after classifying them depending on the years of publication, the keywords, the study methods, and the study results. To be specific, frequency analysis and Gephi program-base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For collecting literary data regarding remodeling, 100 papers on design and planning provided by Library Database (DB) were all investigated and the tendencies were analyzed. (Resul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modeling studies began to increase in the beginning of 2000, but they have entered a downturn since 2008. It is considered that this was caused by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times, such as the remodeling support policy enforced in the early 2000s and the reconstruction deregulation policy of 2008. Second, the studies on apartment remodeling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y had the highest influence as well. The proportion of the studies on apartment housing has been gradually declining, whereas diverse studies on other fields are under way. Third, case studies on existing remodeling occupied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 study methods. This means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needs to be attempted to obtain study findings from various angles. Fourth, the majority of the study results wer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xisting spaces, and provide the related guides and directions.(Conclusion)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remodeling design and planning studies is that they have close relations with policies and systems, unlike other space design studies. Besides, the propor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studies has been reducing by gradation and the study topics have been diversifying, covering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s and results, the majority of them wer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xisting cases and this demonstrates there is a need to deal with more diversified study topics and methods.

      • 커넥티드 카 구현을 위한 V2X 기술 및 표준화

        이소연(Soyeon Lee),박상준(Sangjoon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2 No.11

        커넥티드 카는 차량과 모바일 디바이스가 결합된 개념으로 차량 도메인내 통신 연결성을 한 차원 더 높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다. 커넥티드 카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차량 내 디스플레이와 연동시킴으로써 주행중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제조사, 주요 IT기업사 등이 최적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늘날 자동차 전장의 기본 골격은 임베디드 기능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동차 기술혁신의 80% 이상이 전장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전장의 기술발전이 초기 구조에 점진적으로 기능을 추가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체계적이고 유연한 자동차 전장 구조로의 개혁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자동차 전장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응용의 범위가 확산되고 있는 차량 연결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자동차 도메인의 ICT 아키텍처가 새롭게 개편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의 연결성을 요구하는 유즈케이스를 분석하고 국제 및 국내 표준화의 주요 현황을 통해 핵심 이슈들을 도출한다. 도출된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차량 네트워크 컴포넌트인 차량 통신 게이트웨이(Vehicle Communication Gateway)의 기능 및 요구사항을 제안하고 이의 표준화 추진 전략을 함께 제시한다.

      • KCI등재

        제주도 대정-한경 유역 효율적 지하수자원 관리를 위한 자료기반 연구

        이소연(Soyeon Lee),정지호(Jiho Jeong),김민철(Minchul Kim),박원배(Wonbae Park),김유한(Yuhan Kim),박재성(Jaesung Park),박희정(Heejeong Park),박경태(Gyeongtae Park),정진아(Jina J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1 자원환경지질 Vol.54 No.3

        본 연구에서는 자료기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제주 대정-한경 유역의 군집형 지하수 이용 관정의 영향력을 평가하고 지하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정-한경 유역 내 총 19개 지하수위 관측공의 지하수위 자료, 총 3개 기상 관측소로부터 측정된 강수량 자료, 및 총 4개의 군집형 지하수 이용 관정(저지, 금악, 서광, 및 영어교육도시)으로부터 획득한 이용량 자료가 이용되었다. 먼저, 각 지하수위 관측공에 대하여 강수량 및 이용량 자료를 입력변수로 하는 자료기반 지하수위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때, 과거의 장기적 변동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에 이용하기 위하여 누적 장단기 메모리 모델을 이용하였다. 모든 관측 공에 대하여 지하수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이용량 입력변수에 대한 섭동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각 군집형 관정의 공간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금악 수원은 해당 수원 중심으로 영향이 크고, 서광 수원은 하류 지역을중심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교육도시는 수원의 상류 지역 중심, 저지 수원은 수원 상류 및 하류 중심으로 영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유역 내 군집형 수원의 영향력은 대략 5km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학습된 예측모델을 기반으로 군집형 이용 관정의 영향 범위에 포함되는 지하수위 관측공에 대해 강수량 대비 배경 지하수위 회복을 위한 적정 지하수 이용량을 산정하였다. 최근의 강수 패턴을 적용하였을 때, 현재 지하수 이용량을 기존의 80%로 제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수량이 100mm 증가하였을 때, 대략 1,500 m3에서 1,900 m3의 추가적인 취수가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대정-한경 유역 지하수 거동특성 평가 결과와 자료기반 분석 도구들은 대정-한경 유역의 지속 가능한 지하수 개발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lustered groundwater usage facilities and the proper amount of groundwater usage in the Daejeong-Hangyeong watershed of Jeju island were evaluated based on the data-driven analysis methods. As the applied data, groundwater level data; the corresponding precipitation data; the groundwater usage amount data (Jeoji, Geumak, Seogwang, and English-education city facilities) we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Geumak usage facility has a large influence centering on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 Seogwang usage facility affects on the downstream area; the English-education usage facility has a great impact around the upstream of the location; the Jeoji usage facility shows an influence around the up- and down-streams of the location. Overall, the influence of operating the clustered groundwater usage facilities in the watershed is prolonged to approximately 5km. Additionally, the appropriate groundwater usage amount to maintain the groundwater base-level was analyzed corresponding to the precipitation. Considering the recent precipitation pattern, there is a need to limit the current amount of groundwater usage to 80%. With increasing the precipitation by 100mm, additional groundwater development of approximately 1,500m3-1,900m3 would be reasonable. All the results of the developed data-driven estimation model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sustainable groundwater development in the Daejeong-Hangyeong watershed of Jeju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