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와 연관된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 망막병증 2예

        이성택(Seong Taik Lee),김수연(Su Yeun Kim),강용구(Yong Koo Kang),박한상(Han Sang Park),박동호(Dong Ho Park),신재필(Jae Pil Shi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0

        목적: 백혈병에서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와 연관된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에 동반된 망막병증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급성골수세포백혈병으로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를 복용하던 58세 여자가 양안의 시력저하로 내원했다. 우안 시력은 0.5, 좌안은 0.4였고, 안저검사에서 다수의 면화반과 망막출혈을 보였으며 형광안저혈관조영에서 모세혈관 비관류를 보였다.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에 동반된 망막병증이 의심되어 Tacrolimus를 중단하고 혈장분리교환을 시행하였으나 3개월 후 양안에 신생혈관녹내장이 발생하였다. 앞 증례와 유사한 20세 남자가 양안 시력저하로 방문하였다. 우안시력은 0.05, 좌안시력은 0.025였다. 앞의 환자와 유사한 소견을 보여 Tacrolimus를 중단하고 혈장분리교환을 시행하였고 1개월 후 우안 시력은 0.2, 좌안은 0.4로 회복되었다. 결론: 동종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와 같은 calcineurin 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가 시력장애를 호소할 경우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에 동반된 망막병증을 의심해야 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We report two cases of tacrolimus-related transplant-associated thrombotic microangiopathy (TA-TMA) retinopathy in leukemia patients who had undergone allogen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Case summary: (Case 1) A 58-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PBSCT due to acute myelocytic leukemia and taking tacrolimus was referred to the ophthalmology clinic with visual disturbance. Her visual acuity (VA) was 0.4 in the right eye and 0.5 in the left eye. Multiple cotton wool spots and retinal hemorrhages were found in both eyes on fundus examination. Multiple capillary non-perfusions were seen on fluorescein angiography (FA). Tacrolimus-related TA-TMA retinopathy was suspected. Tacrolimus was discontinued and plasmapheresis was performed. After 3 months, neovascular glaucoma developed and her VA became “counting fingers” at 20 cm in both eyes. (Case 2) A 20-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PBSCT due to acute lymphocytic leukemia and taking tacrolimus was referred to our clinic because of decreased VA in both eyes. His VA was 0.05 in the right eye and 0.025 in the left eye. Fundus and FA findings were the same as in Case 1, and the patient was suspected to have tacrolimus-related TA-TMA retinopathy. Tacrolimus was discontinued and plasmapheresis was performed. His VA was 0.2 in the right eye and 0.4 in the left eye at 1 month after treatment.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A-TMA retinopathy in leukemia patients taking calcineurin inhibitors, such as tacrolimus, who have decreased VA.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important.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0):1428-1434

      • KCI등재

        실내 조명 아래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앞방각 모양 및 안압의 변화

        이성택(Seong Taik Lee),박수진(Su Jin Park),강용구(Yong Koo Kang),신재필(Jae Pil Shin),김대우(Dai Woo Kim),박동호(Dong Ho Park)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9

        목적: 실내 조명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에 안압과 앞방각 모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상과 방법: 안과적 이상이 없는 19-35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전에 리바운드 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전안부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해 앞방각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이후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2, 4, 6분에 리바운드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고 6분에는 앞방각 이미지도 함께 촬영하였다. 6분 후 스마트폰 사용을 중단하고 2분간 휴식을 취하였다. 8분에는 안압 측정만을 시행하였다. 결과: 36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전의 안압과 비교했을 때 스마트폰 사용 후에 2분째부터 의미 있게 안압이 증가하였고 4, 6분째에도 안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스마트폰의 사용을 종료하고 2분간 휴식 후 8분째에 안압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 스마트폰 사용 후 앞방 깊이는 감소하였으나(p<0.05) 앞방각 넓이는 넓어졌다(p<0.05). 결론: 실내 조명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 안압이 상승하지만 이는 앞방각의 변화와 상관이 없다. 녹내장 발생의 위험이 있는 환자나 녹내장 진행에 대해 주의가 필요한 환자에서는 이에 대한 주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iridocorneal angle (ICA) configuration during smartphone use under room light. Methods: We included healthy adults aged 19-35 years with no ophthalmological abnormalities. All read text on a smartphone for 6 minutes under room light. IOP was measured via rebound tonometry at baseline and at 2, 4, and 6 minutes. ICA images were obtained via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fter each IOP measurement. After 6 minutes, participants stopped reading text and rested for 2 minutes. IOP was then measured again. Results: The IOP significantly increased at 2, 4, and 6 minutes of reading compared to baseline (p < 0.001) but recovered to baseline after 2 minutes of rest (p = 1.000). The anterior chamber depth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anterior chamber angle width increased after 6 minutes of smartphone reading (both p < 0.05). Conclusions: IOP increased when reading smartphone text under room light but the ICA did not change. Prolonged smartphone reading is inappropriate for a patient at risk of glaucoma or glaucoma progression. Such patients should be cautioned.

      • SCOPUSKCI등재

        Botryococcus sp.의 생장에 미치는 광도와 영양염류의 영향

        오희목,김성빈,박준홍,박응로,이성택,권기석,윤병대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5 No.4

        B. braunii UTEX 572는 자연계에서 순수분리된 Botryococcus sp. GE 24에 비하여 25-72 μE/㎡/s의 광조건에서 세포생장이 우수하였다. B. braunii UTEX 572의 비증식속도는 배양 1-9일에 Chu 13 배지에서 0.260 (1/day)로 가장 높았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광도가 25-72 μE/㎡/s범위로 조절된 상태에서 B. braunii UTEX 572는 광도의 증가에 따라 탄수화물 농도, 세포의 총질소와 총인 함량은 감소하지만 단백질 농도와 세포의 N : P ratio는 증가하였다. 엽록소 α농도는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따랐다. Chu 13 배지의 초기 pH를 7.5로부터 8.0으로 조절한 경우 배양 35일까지의 건량증가율은 83 ㎎/ℓ/d로 pH 7.0에서의 약 1.3배로 높았다. 배지의 N : P ratio가 50 : 1의 경우 배양 20일에서 배양 28일까지의 건량증가율은 115 ㎎/ℓ/d로 조사된 배양기간 중에서 구간별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B. braunii UTEX 572의 open culture시 Chu 13 배지를 사용한 대조구에서 세포생장이 가장 높았으며, pH 7.0 조절, penicillin 250 ㎎/ℓ첨가, glucose 1% 처리 등에 의하여 조류의 생장이 크게 억제되었다. 이것은 자연상태에서 B. braunii UTEX 572의 대량배양이 충분히 가능함을 보이는 결과이다. Under the light intensity of 25-72μE/㎡/s Botryococcus braunii UTEX 572 grew faster than Botryococcus sp. GE 24 isolated from a freshwater lake. The specific growth rate (μ) of B. braunii UTEX 572 was highest at 0.260 (1/day) on a dry weight basis in Chu 13 medium from 1 to 9 days of incubation and then continuously decreased. Carbohydrate concentration and cellular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s of B. braunii UTEX 572 gradually decreased with ligh intensity over a range of 25-72μE/㎡/s, whereas the concentrations of protein and cellular N : P ratio increased with light intensity. Chlorophyll-α concnetraton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with light intensity. The dry weight of B. braunii UTEX 572 increased in the highest rate of 83 ㎎/ℓ/day at pH 8.0. When the N : P ratio of Chu 13 medium was adjusted to 50 : 1 by addition of nitrogen source, dry weight increasing rate was 115 ㎎/ℓ/day between 20 and 28 days of incubation which was the highest value during the cultivation. Cell growth in an open culture of B. braunii UTEX 572 was highest with Chu 13 medium, whereas that with Chu 13 medium adjusted to pH 7.0, containing 250 ㎎/ℓ penicillin, or containing 1% glucose was reduced on a large scale. However, this result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mass cultivation of B. braunii UTEX 572 in an open system competing with other microorganis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