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적정한 신기술 프로토콜 2.0

        이명무,김윤호 적정기술학회 2020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6 No.1

        Recently, various discussions on appropriate technology have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as appropriate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art of ODA, various academic discussions a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existing appropriate technology is merely disseminating technology, and most of it disappea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from appropriate technology to appropriate social technology system. To this end, this note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appropriate technology and the BoP business, which has produced best practices that are success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w-income people. We also look at the facilitator's role in playing a key role in connecting appropriate technology and BoP business. Based on this, we propose an Appropriate New Technology Protocol 2.0 that combines appropriate technology and BoP business. 최근 기술 중심의 적정기술 외연 확장과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적정기술이 과학기술을 통한 공적개발원조(ODA)의 일환으로 주목받으면서, 적정기술과 관련한 다양한 학문적·비즈니스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적정기술의 대부분이 단순 기술 전파로 그치고, 그 후 활용되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다. 따라서 적정기술에서 적정한 사회기술 시스템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노트에서는 저소득층의 삶의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성공적인 우수 사례(Best Practices) 사례를 배출하고 있는 적정기술과 BoP 비즈니스라는 개념의 탄생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둘의 접점을 위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적정기술과 BoP 비즈니스를 접목한 적정한 신기술 프로토콜(Appropriate New Technology Protocol)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적정한 신기술을 활용한 BoP 층의 영양 개선 사례 분석

        이명무,김윤호 적정기술학회 2019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5 No.2

        전 세계 대부분의 BoP (Base of the Pyramid) 층은 균형 잡힌 식생활을 취할 수 있는 경제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에 필수 영양소를 첨가하는 방법이 이들 계층에게 지출에 대한 부담을 주지 않고 영양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적정한 신기술을 활용하여 저소득층의 영양개선에 참여한 다국적기업인 아지노모토(Ajinomoto)와 그라민다농(Grameen Danone)의 사례를 소개하고, 이들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을 비교·평가하는 것이다. 기술 중심의 적정기술이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사회, 비즈니스를 아우르는 사회기술시스템으로 진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적정한 신기술과 저소득층(BoP) 비즈니스를 접목하여 저소득층의 삶의 질 개선과 소득 증대에 기여한 사례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관점에서 “적정기술 2.0” 프레임워크를 통해 사례를 분석한 후, 비즈니스 모델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BoP 비즈니스의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A모델을 통해 BoP 시장에서 적정기술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Most of the BoP (Base of the Pyramid) do not have the economic power to eat balanced nutrients. Therefore, the solution is to add essential nutrients to the food you eat. This method can improve nutrition without putting an economic burden on the BoP classes. The aim of the paper is to apply the strategic management process for analysing BoP solutions in nutrition improvement sector. This allows identification of critical aspects in developing BoP solutions. This includes reaching sustainability related objectives. Two cases (Ajinomoto, Grameen Danone) covering both products and services have been researched, allowing a contribution towards the applicability of strategic management in respective situa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se through the “Appropriate Technology 2.0” framework of Polak and Warwick (2014). In addition, we introduced the strategy of BoP bus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of appropriate technology business in the emerging markets through the 4A model.

      • KCI등재

        BoP 시장 진입 시 제도적 공백 극복 전략 연구: 남아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명무,김윤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2 아시아리뷰 Vol.12 No.2

        전 세계 40억 명의 저소득층(Base of the Pyramid, BoP) 중에서 아시아에 거주하는 인구는 28.6억 명이며, 특히, 인도를 포함한 남아시아 지역은 지구상에서 빈곤층이 가장 많이 사는 지역이다. BoP 계층은 특정 국가나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에 존재하기 때문에 비즈니스의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BoP 시장은 비즈니스 제도와 시스템이 갖춰진 선진국 시장과 다르게 다양한 제도적 공백(Institutional Voids)이 존재하여, 다국적기업(MNCs) 및 자국 시장에서 성장하고 있는 현 지 기업(Emerging Giants)이 BoP 시장에 진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국적기업(알리안츠, 다농)과 이머징 자이언트(e-초팔, 헬스라인)가 남 아시아 BoP 시장에 진출하면서 직면한 제도적 공백을 살펴보았다. 둘째, 사례 기업들이 직면한 제도적 공백을 극복하기 위한 트리플 버텀 라인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시장 진입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제도적 공백과 그 극 복 방안에 대해, 제도적 공백의 세부 분야별로 Osterwalder and Pigneur (2010)가 제시한 확장된 BMC 모델을 가지고 설 명하였다. 시장 진입 전략에 대해 Khanna and Parepu (2011)가 제시한 전략적 선택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셋째,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국적기업과 이머징 자이언트가 제도적 공백을 극복을 위한 시장중재자의 역할을 어떻게 부여하고 활용했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아시아의 BoP 시장에 진출할 기업들이 제도적 공백을 극복 하고 자사의 제도적 비교우위로 발전시킬 진출 방안에 대해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BoP(저소득층) 시장을 위한 ICT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전략에 관한 연구

        이명무,이건창,김윤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1

        BoP(저소득층)은 소득 계층을 구성하는 경제 피라미드에서 소득 계층이 낮은 최하층을 가리키는 말이다. BoP는 전 세계 인구의 약 70%인 약 40억 명이 이에 해당되며, 1인당 연간소득이 2002년 구매력 평가기준으로 3,000달러 이하로 생활하는 계층이다. 정보통신기술(ICT) 은 개발도상국으로 하여금 지난 수십 년간 선진국들이 겪어왔던 시행착오를 밟지 않으면서도, 최신 기기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빠른 경제발전을 가능케 하는 수단으로 각광을 받아왔다. ICT는 정보와 전문지식을 접촉할 수 있는 물리적, 경제적 여건이 제한된 사람들에게 원하는정보를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며, BoP의 생활여건 개선과 관련 기업가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룩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ICT를 활용한 BoP 비즈니스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전 세계 ICT 기반의 BoP 비즈니스 유형을 ICT를 통해 정보에 접근하는 유형과 이들이 이용하는 분야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비즈니스 유형에 따라 분류한 14개사례 중에서 지역별(방글라데시, 인도, 케냐), 분야별(보건, 농업, 금융서비스)로 고려하여 분석대상을 선정하였다. 심층 분석 대상 사례는 아시아 지역 중에서 방글라데시의 보건 분야 헬스라인(HealthLine), 인도의 농업 분야 이쿠티르(eKutir), 그리고 아프리카 케냐의 금융서비스 엠페사(M-PESA)이다. 이들 사례를 조트와 아미트(Zott & Amit 2009)의 비즈니스 모델의 활동시스템 관점에 따라 비즈니스 전략을 분석하였다. 또한, 히엔어쓰 등(Hienerth 외2011)의 사례 분석 틀에 따라 3개 사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의 시장 보급이 확대되어 가고, 휴대전화 네트워크가 확장될수록 BoP층이 그들의잠재력을 발휘해 국제 경제의 발전에 기여하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ICT 사용가능 계층과 ICT 소외 계층 사이의 사회·경제적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 세계인이 지속가능한 지구 내 호혜적 생존이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a new term BoP has emerged as one of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the realm of management. The BoP standing for Base of the Pyramid represents a bulk of people who are desperately struggling to sustain their lives on a daily basis due to extreme poverty. The pyramid of BoP indicates a kind of economic hierarchy of a certain society or nation. The more peopl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yramid, the poorer they are. Therefore, the people belonging to the BoP represent those who are suffering from extreme poverty. According to world statistics, the rough number of BoP people is amounting to four billion people, and they are living on an annual per capita income less than $3000 in purchasing power parity (PPP). As a wide variety of ICTs have been implemented in many countries around world as a national agenda, the ICT was evaluated as one of viable and effective economic policy options for those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ICT is evaluated as robust and effective "shortcuts” to fast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ICT can be easily adopted by the BoP people without much psychological hindrance once it is provided with cheap price to them. Besides, ICT can provide extremely effective way of reaching most of the BoP people without too much cost and time, and helping them build their own business models based on the power of the ICTs. The regions most of the BoP people live are without proper infra-structure. Therefore, it is very hard for the BoP people to run their own businesses in a conventional way in which considerable amount of land, money, and facilities are needed. However, when the BoP people rely on the ICT to organize their own business models, it is easily hypothesized that they can escape from a vicious cycle of the BoP and reach a relatively economically stabilized hierarchy quite rapidly. Indeed ICT can deliver adequate level of information and expertise to the BoP people so that they can restart their lives economically.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ICT-based BoP business types by using 14 business cases adopted from Bangladesh, India, and Kenya. Target sectors of this study are health, agriculture, and financial services. Target cases that were analyzed in this study encompass HealthLine in Bangladesh (health sector), eKutir in India (agricultural sector), and M-PESA in Kenya(financial sector). These three cases are proper and appropriate in term of the business models by Zott & Amit(2009) and Hienerth et al.(2011). By referring to sound literature in the field of business models, we concluded that our three cases are providing well-organized platform by which any cases of the BoP business models can be analyzed from rigorous BoP studies. We hope that this study may be used as a pioneering work by which the IC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of supporting strong and healthy BoP business models.

      • KCI등재

        스마트폰 앱의 고객가치: 한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이명무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0 아시아리뷰 Vol.9 No.2

        Today, mobile devices serve as the primary communications and media vehicles for many and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the daily lives of consumers in both developed and high-growth economies. Smartphone apps are software applications developed for use o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Once developed, an app is sold via an application distribution platform, commonly known as an app store. As the profit margins from app sales are small, an app should ideally appeal to a large number of users worldwide in order to be successful. However, many developers are unaware that users from different countries have different behaviors and needs, and that these factors affect app downloads. To better understand today’s mobile world, we selected data from South Korea and India for an indepth look at mobile consumers and how they use their devices around the glob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includes a number of constructs such as app perceptions, customer service, perceived ease of use, design, promotion, perceived consumer risk and connectivity. In South Korea, empirical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consumer risk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perceived repurchase intention. All of the other variables a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repurchase intentions. In India, customer service and perceived consumer risks are not supported and all of the other hypothes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앱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선진국 국가에 국한되어 이루어져 왔던 점을 고려하여, 스마트폰 선진국을 대표할 수 있는 한국과 새롭게 스마트폰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인도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과 인도의 스마트폰 이용자 중에서 앱 스토어에서 앱을 1회 이상 구매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고객가치, 만족, 재구매 의도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선행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참고하고, 스마트폰의 앱과 관련한 다양한 항목을 추가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앱의 고객가치와 관련하여 앱의 지각요인, 고객 서비스, 편의성, 디자인, 촉진, 소비자 위험, 연결성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선정된 앱의 고객가치가 만족 및 재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만족과 재구매 의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서도 한국과 인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의 경우에는 PC의 보급률이 매우 낮고, 인터넷 접속환경(통신 인프라)이 열악하므로 인도의 모바일 사용자들은 PC를 통한 인터넷 사용이나 전자상거래를 경험하지 못한 채 바로 모바일 상거래로 진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인도의 현상이 반영되어, 인도에서는 만족이 아직은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도 IT서비스 기업의 글로벌 전략: LLL이론을 중심으로

        이명무 한국국제경영학회 2018 國際經營硏究 Vol.29 No.1

        Indian MNEs have grown considerably in the last 10 years. According to various studies, in 2016, eight Indian multinationals featured in Global Fortune 500, five in the world’s most valuable global brands, and nineteen in Boston Consulting Group’s BCG 100 new Global Challengers. While these figures are low compared to China, but unlike China, Indian outward FDI is mostly driven by private firms and is more distributed across a variety of sectors. In this paper, our premise has been that we do not see all MNEs as equal. There are firms that expand internationally with all the advantages that being located in Europe or the US or Japan can bestow upon them – their access to markets, to technologies, to finance, etc. We single out indian MNEs precisely because they do not have access to these advantages. Everyone knows IT services industry in India has grown and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of India, but very few people know the fact that Indian MN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internationaliz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ization by Indian MNEs, posing the framework of the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by MNEs in emerging countries. In this paper, we position a foreign IT service development affiliation as an intermediary between production and sales one, and explain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of MNEs from the view of Mathews’ LLL theory. We also unveil the structure of their internationalization by applying LLL theory to Indian MNEs. The validity of the structure is tested by examining the individual cases of TCS and Wipro, which are typical types of Indian MNEs. There is thus a powerful justification for conceptualizing emerging market MNEs such as those from India as different from the MNEs that expand from the advanced world. The framework we utilize has been validated in many other studies, particularly on firms expanding from East Asia. We make our own contribution by extending this range of applications to India, thereby opening up this body of emerging firms to strategic analysis utilizing LLL framework. 인도의 다국적 기업은 지난 10년간 상당한 성장세를 보여 왔다. 2016년에 인도의 8개 다국적 기업이 포춘지선정 500개 기업에 진입했고, 글로벌 브랜드 선정에서 5개의 인도의 기업 브랜드가 선정되었다. 보스턴 컨설팅산하의 BCG에서 선정한 BCG 100에 19개의 인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물론 이 수치가 중국과 비교하였을때는 적은 수치지만 중국과 다르게 인도는 진출지역이 북미나 유럽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 신흥국 다국적 기업 중에서 글로벌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는 IT서비스 분야가 Mathews 의 LLL이론을 적용하기에 상당히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성과 도출이 가능한 인도 IT서비스 기업인 TCS와 Wipro 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연구에서 다소 부족했던 연계(Linkage)와 영향력(Leverage)에 대해 인도 IT서비스의 급속한 글로벌화를 통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검증할 수 있었다. LLL이론 검증의 구체적인 실증물로 TCS는 Global Delivery Model과 Wipro는 기술 인프라 서비스 아카데미와 글로벌 캠퍼스 프로그램을 통해서 LLL이론의 각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호프스테드의 문화차원 이론으로 살펴본 <수상한 그녀>의 리메이크 한류 영화: 한국, 중국, 태국, 인도를 중심으로

        이명무,김윤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4 국제지역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호프스테드의 문화 차원 이론을 차용하여 한류의 문화적 근접성 및 혼종 성 차원에서 <수상한 그녀>의 리메이크 작품을 비교 분석하였다. 리메이크 영화의 현지 화는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해당 국가의 관객들에게 공감을 얻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 다. 본 연구는 한국 영화 <수상한 그녀>의 리메이크인 인도 영화 <오! 베이비>, 중국 영 화 <20세여 다시 한번>, 태국 영화 <다시 또 스물>을 통해 각 국가의 문화적 차이를 확 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리메이크 영화의 현지화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리메이크 작품들은 원작의 스토리와 주제를 유지하면서도, 각 국가의 문 화적 특성에 맞게 현지화된 내용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 간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문화 콘텐츠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한편, 지금까지 한류 관련 연구는 주로 중국, 일본, 베트남, 대만 등 아시아의 개별 국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한류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권의 리메이크 영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류의 영향력을 심층 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문화가 한류를 통해 세계에 어떤 가치를 전달하 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borrows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heory to analyze the remakes of ‘Miss Granny’ in Korea, China, Thailand, and India in terms of cultural transferability and hybridity in the Korean Wave. Localization of remake films is an important strategy for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and gaining sympathy from audiences in different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differences in each country through the remakes of the Korean film ‘Miss Granny,’ the Indian film ‘Oh! Baby,’ the Chinese film ‘20 Once Again,’ and the Thai film ‘Twenty Again,’ to see how these differences are reflected in the localization process of the remak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emakes retained the story and themes of the original, but localized the content to sui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This phenomenon can be thought of as a natural part of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understanding cultural content in the presence of cultural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cademic value in the following ways. Until now, studies on the Korean Wave have mainly centered on individual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Vietnam, and Taiwa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Hallyu research,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Hallyu in various cultures in a comparative manner. These results will help to answer the question of what values Korean culture is conveying to the world through the Korean Wave.

      • KCI등재후보

        인도 팹랩의 발전 모델 연구: 팹랩 빅얀 아쉬람을 중심으로

        이명무,김윤호 적정기술학회 2020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6 No.2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Fab Lab is to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To this end, The Fab foundation are preparing a resource-circulating society that maintains a city's self-sufficiency rate of 50% or more by 2054. In developed countries, Fab Lab is not only a manufacturing space for startup support, but an open innovation space for learning and creation. In addition, in emerging countries, Fab Lab is playing a role as a digital production center to create and share appropriate new technologies by reflecting the needs of local communities. India has 70 Fab Labs, the largest emerging country, ahead of Russia's 48. India's Fab Lab is conducting a collaboration project through regular meetings held every six months. The subject of this study, Fab Lab Vigyan Ashram, is defined as a place to transfer the concept of digital lab to alternative schools in rural India. In this study, we looked at a case in which an alternative school for an agricultural community called Vigyan Ashram, the modern version of the Gurukula system, successfully combined with the digital fabrication called Fab Lab to become a new citizen-led making communi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is, we explored the development model of the Indian Fab Lab that fits the local situation. 팹랩(Fab Lab)의 설립목적은 전세계 지역 커뮤니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팹 재단(Fab Foundation)은 2054년까지 도시의 자급자족률을 50% 이상을 유지하는 자원 순환형 사회를 준비하고 있다. 팹랩은 선진국에서 창업이나 전문가를 위한 제작 공간뿐만 아니라, 학습과 창조를 위한 개방형 혁신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신흥국에서는 개인 혹은 커뮤니티의 요구를 반영하는 적정한 신기술을 제작하고, 공유하는 디지털 제작터의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인도 전역에 70개의 팹랩이 있으며, 이는 러시아의 48개를 앞서는 신흥국 최대 규모이다. 인도의 팹랩은 6개월마다 주기적인 모임을 통해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많은 스타트업을 양산해내고 있다. 본 연구의주제인 팹랩 빅얀 아쉬람은 인도 농촌의 대안학교에 디지털 랩의 개념을 이전하는 장소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구루쿨라(Gurukula) 제도의 현대판인 빅얀 아쉬람이라는 농업공동체 대안학교가 팹랩이라는 디지털 패브리케이션과 성공적으로 결합하여, 제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시민주도의 메이킹 커뮤니티로 거듭난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지 실정에 맞는 인도 팹랩의 발전 모델을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

        인도 BoP 계층의 시장세분화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연구

        이명무(Myungmoo Lee),김주영(Juyoung Kim) 한국유통학회 2018 流通硏究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남아시아지역의 대표 국가이며, 전 세계 BoP 인구 중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인도의 BoP 시장을 5개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BoP 세그먼트별 마케팅 전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인도는 전체 인구의 대부분이 저소득 계층이며 이들이 인도 경제 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최근 소비 시장으로서의 인도가 급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인도의 전체 개인소비액이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IMF는 2018년까지 인도는 8%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지속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본 연구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저소득층 시장은 조만간 중간층의 볼륨 존(Volume Zone)으로 성장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 BoP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의 측정측도로 의생활, 식생활, 주거생활, 소비생활, 매체이용, 문화생활, 사회적 가치관 등으로 정의하였다. 최근 인터넷의 확산으로 정보탐색의 중요성이 대두된 인도 소비자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인터넷 관련 항목을 변수로 추가하였고, 재산에 대한 투자적 성향이 높은 인도인의 특성을 고려한 항목들을 추가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인도 BoP 계층을 5개로 구분하여, 각 세그먼트에 대한 라이프 스타일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각각의 세그먼트 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기존시장으로 파악되고 있지 않은 거대한 인도의 저소득층(BoP)을 대상으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세분화가 필수적이며, 각 세그먼트별 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서비스를 그들이 구입 가능한 가격대로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