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命啓의 <<海皐集選>>과 시세계

        이남면 ( Nam Myon Lee )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1 No.-

        이명계는 18세기의 대표적 서얼 문사로서 李鳳煥과 함께 서얼의 독특한 시체인 초림체(椒林體)를 주도한 인물이다. 그러나 이명계의 이름이 문학사에 자주 거론되는 것과 달리현재까지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미국 버클리대 동아시아도서관본 『海皐集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명계와 그의 문집을 소개하고 아울러 그 시세계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먼저 『해고집선』 1·2권 「日東錄」에는 이명계가 1748년 통신 사행에 참여하여 지은 시 276수가 실려 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시세계 중에서 이명계의 일본 인식과그 형상화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는데, 그는 일본에 당한 우리의 아픈 역사를 떠올리는가 하면 통신사 일행을 맞이하는 일본의 태도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었다. 또 일본의 아름다운 경치에 빠져들지 않으려 하는가 하면 일본의 풍속을 상세히 기술하면서 부정적 인식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반해 일본 문사들과의 필담·창화 시에는 대체로 긍정적이고 유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이중적 태도는그가 ‘□國’과 ‘交隣’이라는 두 가지 사명을 분명히 지니고 있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해고집선』 3·4권 「城南錄」에는 이명계가 주로 한양과 그 인근 지역에 살면서 지은 시 269수가 실려 있다. 이명계는 東岳詩壇에서 활동하며 벗들과 많은 시를 창작하였다. 이때 그는 칠언율시의 시체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쓸쓸한 분위기 속에 참신하고 독특한 경관 묘사와 공교한 표현이 어우러진 작품을 많이 지었다. 다만 경관 묘사에 치중하는 가운데 시인의 내면의식이 잘 드러나지 않거나 간접적으로 표출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그는 오언고시의 自警詩23편을 창작하였다. 이 시는 시인의 일상적 행위나 취미를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시인 자신의 내면을 다잡고 더욱 성숙해지려는 의지를 드러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일동록」은 조선후기 지식인의 일본 인식 및 한일 문사 교류의 실상을 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성남록」은 18세기 서얼 문사의 작시 경향과 자기반성의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Lee Myong-Gye(李命啓) is a Seoeol(庶孼) poet, who represented the 18th century and led Cholim Style(椒林體) with Lee Bong-Hwan(李鳳煥), However, Lee Myong-Gye and his poems are still not introduced to the academic field in detai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his life, anthology and the outline of his poetic world through Haegochipson(海皐集選) in C, V, Starr East Asian Library, UC Berkeley, Haegochipson Volume 1, 2[Ildongrok(日東錄)] are comprised of about 275 poems written at the time of 1748’s Tongsinsa trip, In these poems, Lee Myong-Gye had ambivalent attitudes about Japan, In other words, he sticked a negative and critical position about customs of Japan, Meanwhile, when he communicated with Japan poets by writing, he generally took a positive and favorable attitude, Because he wanted to do his best about two missions, ‘reconnoiter’ and ‘friendship’, Haegochipson Volume 3, 4[Sungnamrok(城南錄)] are comprised of about 264 poems, He wrote many poems with friends in Dongaksidan(東岳詩壇), At this time, he primarily used chileonyulsi(七言律詩), which were contained elaborate expressions in solitary mood, On the other hand, he created 23poems for self-reflection(自警詩), He newly recognized daily lives as materials for poems, and revealed will to maturity, As mentioned above, Ildongrok shows one of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japan and the reality of Korea-Japan Exchanges, Through Sungnamrok, we can understand Seoeol poet’s tendency to write poems and self-reflection.

      • KCI등재

        강화학파 형성담론의 재구성

        이우진(Lee, Woo-jin),이남옥(Lee, Nam-ok)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3

        이글은 강화학파가 혼맥(婚脈)을 통한 사승(師承)관계를 이루었음에도, 기존의 강화학파에 대한 연구들이 계보학적으로 접근한 연구가 소홀하였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기존의 강화학파 형성담론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담론이 지닌 문제점을 계보학적 연구를 통해 밝히고, 재구성한 강화학파 형성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강화학파 형성담론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정제두가 현실정치의 혼란과 가족의 불운까지 겹쳐, 둔세(遁世)와 은거(隱居)를 위해 강화도 하일리로 이거(移居)했다. 둘째, 강화학파 형성의 주요 인물인 이광명은 아무런 연고도 없이 강화도로 이거하게 된 것으로, 아마 송부인의 선견지명으로 하나 남은 아들을 지키려 왔을 것이다. 셋째, 신대우는 정제두의 사상을 직접 계승한 인물로, 정제두와 정후일 그리고 이광명에게도 수학하였다. 이후 강화학파의 중요인물인 신작의 혈연적 연결통로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와 같은 기존의 강화학파 형성담론에 대해, 계보학적 접근을 통해 다음과 같은 반론을 펼쳤다. 첫째, 정제두가 강화도로 이거한 것은 자기 가문의 경제적 기반이 마련된 세거지이자 고향이었기 때문이며, 또한 현실 정치와도 멀어지려 않았다. 둘째, 이광명이 강화도에 이거한 것은 이광명의 조부인 이대성이 강화도에 경제적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셋째, 신대우의 경우 정제두·정후일에게 수학했다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私淑으로 봐야 하며, 이광명보다는 이광려를 실질적 스승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신대우는 이광려와 함께 당시 강화학파를 이끄는 실질적 지도자였다. 또 하나 이러한 논증 과정을 거치면서, 지금까지 강화학파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한 하나의 중요한 가문인 최규서 집안의 의미를 밝혀냈다. This research was started with a critical mind that not many of the former researches approached Ganghwa school genealogically. Prior researches neglected the genealogical study although Ganghwa school had been formated by marriage and made a new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rough this marriage. This study shows a new way of Ganghwa school’s formation discourse as well as representing problems of the former researches of Ganghwa school’s formation discourse. Existing researches presented Ganghwa school’s formation discourse as the followings. First, Jeong Je-du moved to Ganghwado to hide and live secluded from the world because of political crisis and misfortune of his family. Second, Lee Gwang-myeong who was the key figure for formation of Ganghwa school moved Ganghwado without any connection with this place. Maybe his mother just moved Ganghwado to save Lee Gwang-myeong from polictical crisis. Third, Shin Dae-woo succeeded to Jeong Je-du’s thought and took lessons from Jeong Je-du, Jeong Hu-il as well as Lee Gwang-myeong. Prior study just regarded Shin Daewoo as a father of shin Jak. This study presents refutation to the former researches through genealogical approach as the followings. First, Jeong Je-du moved to Ganghwado because Ganghwado was his family’s descended town and his hometown where his families had an economical base. Besides, he didn’t want to be away from polictics and government. Second, Lee Gwang-myeong also moved to Ganghwado because his grandfather provided economical foundation to him in Ganghwado. Third, it was impossible for Shin Dae-woo to take lessons from Jeong Je-du and Jeong Hu-il. It’s appropriate to regard Lee Gwang-ryeo than Lee Gwang-myeong as his teacher. In addition, Sin Dae-woo was a real leader of Ganghwa school as well as Lee Gwang-ryeo. At last, this research reveals important meanings of Choi Gyu-seo’s family which didn’t get any attentions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Ganghwa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해명

        이남인(Nam In Lee)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09

        This paper is a reply to the questions that Seung-Ho Lee has raised in his review article on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by Nam-In Lee, Paju: Hangilsa, 201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some important issues of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by responding to the questions raised by him. In chapter 1, I will summarize the questions raised by him in his review article. His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various kinds of phenomenology? What is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lived-experience as the object of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experience? What is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 experience or all kind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entionality an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 experience?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causality and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hat is the role of mathematic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reafter I will attempt to reply to his questions. In chapter 2, I will show that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phenomenology consists in striving to become a rigorous science. In chapter 3, I will show that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experience is a sub-field of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at is again a sub-field of phenomenology. In chapter 4, I will indicate that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the lived-experience is defined as all qualitative. In chapter 5, I will show that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 experience consists in the fact that they all strive to clarify the intentionality. In chapter 6, I will show that the qualitative causality, not the natural causality, is the objec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chapter 7, I will clarify how mathematics understood as a qualitative science could serve as the mean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당대(唐代) 사마승정(司馬承禎)의『천은자(天隱子)』에 대한 연구(硏究)

        이남구 ( Nam Goo Lee ),최한백 ( Han Baek Choi ),송민아 ( Min A Song ),김정완 ( Jeong Wan Kim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3 No.5

        Chuneunja(天隱子) was publication that described the life nurturing(養生) of Taoism, consisted of 8 chapters. It was comparative primary writing and contained important contents in related to the life nurturing of Taoism. It belonged to the life nurturing of Taoism that influenced by Confucianism and Buddhism. It emphasized on the practical and rational thought that mastered morality by performing gradually. It showed the concrete asceticism method like to the basic regimen training of Taoism, for example mind control(調心), flesh control(調身), breath control(調息), conduction exercise(導引), raping teeth (叩齒法) and swallowing saliva(嚥津法). Oriental traditional regimen focused on realizing balanced human character by practicing human mind and body. It may show the direction to modern person that are troubled with harmful effect of modern civilization. If we throw away superstitious and unreal part in the traditional regimen and apply regimen in one`s life, we may consider that regimen contribute to human health. Therefore, we require clear understanding for the classic data inherited from predecessors.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세아횡혈식묘제전개(東亞細亞橫穴式墓制展開)와 무령왕릉(武寧王陵)

        이남석 ( Nam Seok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6

        백제 25대 무령왕릉의 고고학적 특징은 축조재료로 벽돌을 사용하였다는 점에 있으면서 묘제적으로 횡혈식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횡혈식 묘제는 중국의 전한 중반기에 비롯된 묘제이고 이후 동아시아의 보편적 묘제로 활용된 것이다. 한반도의 경우 2세기 무렵에 전축분의 형태로 그 흔적을 드러내면서 塼·石混築墓로의 변화가 있고 그러한 묘제의 남하로 백제의 경우 4세기후반경에 횡혈식 석실묘로 등장하여 5세기대에 이르면 도읍지의 중심묘제로 자리한다. 이 묘제는 웅진천도 즈음에 백제묘제의 중심으로 정착되기에 이른다. 무령왕릉을 비롯한 백제의 전축분은 횡혈식 석실묘가 성행한 환경에서 유입된 것이다. 이 묘제가 무리없이 수용된 배경은 기왕에 백제에 유입되어 사용되었던 횡혈식 석실묘와 묘제적으로 공통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무령왕릉을 비롯한 백제 전축분의 등장에 즈음하여 나타난 이후의 백제 석실묘제의 변화는 웅진천도 후에 이룩된 왕권의 성장을 기반으로 백제의 선진문화에 대한 욕구와 선진문화 수용후의 자체적 소화력의 단면도 보여준다. King Muryeong`s tomb is a Junchukbun(a tomb built with bricks), type of the Baekje`s burial that existed in a certain area during a certain period. Junchukbun tomb like King Muryeong`s Tomb is not a traditional style of entombment, but a newly imported one from China, after Baekje relocated its capital to WungJin and stabilized their political chaos. Although Junchukbun is totally different from Baekje`s traditional burial types, it symbolically shows th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by the time Baekje relocated its capital to Wungjin. Thus, the tomb`s archaeological value could be reappraised in this point of view. As a burial type of Baekje, Junchukbun usually has a structure called a Corridor-Style Chamber. Originally, this type of tomb appeared in the middle of Former Han Dynasty era when people had a tradition of burying corpses in the same corridor. Yet,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transition, these tombs developed into a burial type, and soon dominated the burial culture in East Asia. Additionally, Corridor-Style Chamber in Korea has its origin in this burial type, as the Chinese Corridor-Style Chamber was imported into the Northeast region first and with gradual changes, spread to other areas. Baekje`s Corridor-Style Chamber assumingly started as a stone chamber tomb around the capital city, followed by Baekje`s expedition to the Northeast region in the fourth century. The stone chamber tombs with the Corridor-Style in the capital area spread to other areas because of the local society`s admiration for culture of the capital. At least around the late fifth to the early sixth century, this type dominated the entombment culture in Baekje society. The early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Style exhibit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ombs without unity. As time went by, they started to show groining or arcform structures. During this process, a new burial type such as tunnel typ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nd Chinese Junchukbun like King Muryeong`s tomb was accepted, a phenomenon which later served as a momentum for creation of Flat-Ceiling Style. It is clear that Baekje`s Junchukbun is a product of the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and that it developed into a burial type under a special circumstance of social change in the early sixth century. Overall, this burial type indicates Baekje`s unique social situation, since it shows dynamic exchanges with China and their effect on Baekje`s culture, especially the burial culture, which tends to firmly preserve traditional and local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although this newly developed burial type is from China, Baekje`s burial type should be understood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Furthermore, the appearance of Junchukbun illustrates Baekje`s activ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while its fast domination of Baekje`e entombment culture shows its ability to adapt to a new culture.

      • KCI등재

        百濟의 冠帽 · 冠飾과 地方統治體制

        이남석(Lee Nam-seok)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3

        본고는 최근 증가된 백제 금동관모의 존재에 주목하여, 기왕의 관모 · 관식자료를 종합하여 이를 재질과 형태별로 구분하고 나아가 시간적 · 공간적 존재양상을 살핀 다음, 백제의 의관제 및 지방통치 양태에 적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백제의 관모 · 관식은 금동관모와 은제관식으로 양분되고, 선 · 후적 시기구분과 힘께 분포양상에서 나름의 특이성이 포착된다. 여기에 관모 · 관식자료를 제도로 시행된 의관제와 대비할 경우 부합문제도 나타난다. 금동 관모는 한성도읍기란 시간 범위 속에서 백제의 지방사회에, 은제관식은 도읍과 지방사회란 공간 속에서 사비도읍기란 시간 범위에 서로 엄격하게 구분된 채 잔존한다. 이중에서 사비도읍기의 은제관식만이 제도로 실행된 의관제와 정확히 일치하며, 배경에 웅진도읍기의 혼란을 수습한 백제가 중앙과 지방을 일원화시킨 지배질서의 구현과 관련 있다. 관모 · 관식은 위세품으로 중앙에서 지방에 사여된 것이고, 따라서 이들은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 즉 지방의 통치방식을 대변하는 물적 자료이다. 더불어 백제의 관모 관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용의 변천을 드러내기도 한다. 일찍이 금동관모는 지방의 독자성이 상당히 유지된 환경에서 사여되었다가, 나중에 금동관모를 대신하여 은제관식이 중앙과 지방의 사회, 문화적 통일적 환경이 조성된 환경에서 사여됨이 그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백제의 지방통제방식의 변화와 관련 있을 것으로 여겨져 금동관모는 담로제의 범주에서, 그러고 은제관식은 방 · 군 · 성제란 지방통제방식의 범주에서 남겨진 유물로 보았다.

      • KCI등재

        FTA 활용이 농식품 중소기업의 수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 내 인적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이남구 ( Lee Nam Ku ),양석준 ( Yang Suk Joon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6 食品流通硏究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the human factors in enterprises to impact on the FTA utilization are in the fields of Korean agro-food of Small & Medium Enterprises(SMEs), and to verify if FTA utilization can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SMEs. In addition, this study was reviewed what kind of support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FTA utilization. The human factors in enterprises to impact on the FTA utilization were extracted by 3 factors of FTA understanding rate, Information acquisition force and CEO``s export commitment. Such 3 factors were found to positively impact on the FTA utilization. Also FTA utilization was found to impact positively on the export management performance of Korean Agro-food SMEs. Finally the author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SMEs to get free educatio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FTA as well as to acquire overseas market information which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the FTA utilization in Korean agro-food SM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