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특성과 행동학적 특성: 체계적 고찰

        이나핼,김경미,Lee, Na-Hael,Kim, Kyeong-Mi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1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은 감각자극의 종류, 측정도구, 그리고 반응으로 알아보고, 행동학적 특성은 측정도구, 빈도, 측정도구별로 공통된 문제 항목을 분석하여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1990년 1월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Riss4U, MEDLINE/PubMed, CINAH을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ADHD, Children, Sensory processing, sensory integration, SP, SSP, SOR, TIE, CSP, SEP, EDR"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ADHD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는 5개(33.33%)이고, 행동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는 10개(66.67%)이며, 두 가지를 병행한 연구는 2개(13.33%)로 전체 15개(100%)논문을 분석하였다. 2.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5개 중, 촉각과 고유 감각 자극을 사용한 연구는 3개, 후각, 청각, 시각, 촉각, 전정감각을 모두 사용한 연구는 2개였다. 3. 행동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10 중, SP는 5개, SSP는 3개, SOR은 2개, TIE는 1개, CSP는 1개이다. 4.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은 일차감각피질의 손 영역에 있는 신경원세포의 활동전위에서 큰 반응을 보였다. 반응 시 초기에 큰 반응을 보였고 뒤로 갈수록 빠른 습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 시에 많은 비 특이적 반응을 보였다. 5. 행동학적 반응특성은 부주의/산만, 전정감각처리,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조절,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을 보이는 특성이 있었다. 결론 :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특성과 행동학적 특성을 아는 것은 ADHD아동의 감각조절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Objective : The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responses of ADHD children to sensory stimulation were examined by types of sensory stimulation, measurement tools, and responses. In additi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analyzing items of common problems according to the measuring tool, frequency, and measurement tools. Methods : A systematic review methods were used.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31, 2011 were searched through Riss4U, MEDLINE /PubMed, CINAH. The main terms searched were "ADHD, Children, Sensory processing, Sensory integration, SP, SSP, SOR, TIE, CSP, SEP, EDR", and 15 papers were analyzed. Results : 1. The number of studies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children with ADHD to sensory stimulation was five (33.33 percent), the number of studies on behavioral responses was ten(66.67%), and the number of studies combined the two kinds of study was two (13.33%), where a total of 15 (100%) papers were analyzed. 2. In five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there were three studies using tactile and proprioceptive stimulations and two studies using olfactory, auditory, visual, tactile, and vestibular sensories. 3. In ten studies on the behavioral responses, there were five studies using SP, three studies using SSP, two studies using SOR, one study using TIE, and one study using CSP. Conclusion : In the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responses of children with ADHD children to sensory stimulation, there was in the action potential of the cells in hand region of the primary sensorimotor cortex neuron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n initial state and it appeared show a obvious and fast habituation in the later state; the time of recovery seemed to have many non-specific responses. In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al responses, there were inattention / distraction, vestibular processing, sensory processing related to endurance / tone, modulation of sensory input affecting emotional responses, low energy/weak.

      • KCI등재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스페셜 올림픽 유아선수 프로그램 자원봉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나핼,정혜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스페셜올림픽코리아 유아선수 프로그램의 자원봉사에 참여한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경험을 알아보는 것으로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심층 개별 면담을 통해 얻은 원자료는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84개의 세부적 의미 단위, 6개의 주요의미, ‘참여 동기’, ‘전문 의식’, ‘힐링과 성찰’등 3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동기는 다양한 경험 축적과 취업과 진로 탐색을 위한 것이었다. 참여자들은 자원봉사활동과 전공을 연결하여 생각하게 되면서 작업치료 전공에 대한 자부심을 느꼈다. 또한 주체성을 가지고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역할을 했으며, 그것을 통해 기쁨을 느꼈고, 자기를 성찰하고 무엇을 개선할지를 고민하였다. 보건의료 전공 대학생들은 전공 관련 자원봉사를 통해 전공에 대한 자부심, 학습 동기, 진로 탐색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후 전문가로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 제공에 자원봉사의 경험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개인에게 역할과 책임이 분명하게 주어지는 경우 그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작업치료와 같은 보건의료 전공 대학생가 예비 전문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질 높은 자원봉사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Group Play Activities Based on Ayres Sensory Integration®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Areas of Low-Income Children with ADHD

        이나핼,김경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play activities based on Ayres Sensory Integration® (ASI) on school-related functioning and playfulness of low-incom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 total of 20 low-income participants with children with ADHD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0) and a control group (n=10).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ASI® group play activities for 50minutes, twice per week for six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 intervention. School-related functioning was measured via the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 To measure playfulness, the Test of Playfulness (ToP 4.2) was used. Playfulnes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F=13.528, p=.002). However, groups did not differ on SFA scores (F=.49, p=.493).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group play activities based on ASI® are effective in improving playfulness. This study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lam that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hould be applied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감각 통합 수업이 학습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이나핼,정혜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based instruction in sensory integration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self-efficacy, learner participation, learner satisfaction. Twenty four students in university who take the sensory integration instruction participated. Five session (4 hours a week) of total fifteen‘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practice’ instruction were conducted based on flipp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self-efficacy, learner particip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before and after 5 ses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flipped learning class was effective on‘effectiveness of repeated studying through online classes’ and ‘understanding of online classes’ in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but it was not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is study introduced the major subject instruction combining online learning platform as teaching-learning support system and flipped learning as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is learner centered model, and aims to expand and to apply it to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education.

      • KCI등재후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Test of Playfulness 신뢰도 연구

        이나핼,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6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4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est of Playfulness (ToP)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hildren. Methods : Twenty ADH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inter-rater reliability, two raters was evaluated by Test of Playfulness scores and analyzed Kappa coefficient and total agreement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ults : Total agreement was the range of 75%∼95% and the Kappa coefficients was the range of. 45∼1.00. Analyzing inter-rater reliability by ICC showed very high reliability: Intrinsic motivation was .96, internal control was .98, suspension of reality was .90, framing was .98, total score was .99. Conclusion : A reliability of Test of Playflness of children with ADHD showed that high.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will provide availability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의 질적수준을 평가하는 놀이다움 평정척도(Test of Playfulness: ToP)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2학년∼3학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20명이다.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측정자간 일치율과 Kappa계수로 제시하였고, 측정자간 신뢰도 분석은급간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를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각 항목간 측정자간 일치율은 75∼95%이었다. 각 항목의 Kappa계수의 범위는 .45∼ 1.00이었다. 각 요소에 대한 측정자간 신뢰도를 급간내 상관계수로 분석한 결과 내적동기는 .96, 통제지각은.98, 현실감 부재는 .90, 참조체계는 .98, 총점은 .99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를 통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놀이다움 평정척도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임상적인 평가의 유용성을 제공하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놀이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감각통합치료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인 몰두에 미치는 영향

        이나핼,이상헌,박응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치료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 몰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한 명의 만 5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지속적 몰두 행동을 가지 고 있는 아동을 선정하였다. 대상 아동의 지속적 몰두에 관한 표적 행동은 ʻ숫자를 보거나 만지면서 발화ʼ 와 ʻ의 미 없이 물체를 입에 넣고 물기ʼ 를 표적 지속적 행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 사례 연구 방법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고, 자료수집 단계는 2회, 기초선 단계는 3회로 자유놀이 20분을 비디오 촬영을 통해 기록 하였고, 중재 단계는 8회로 중재 40분 후에 자유놀이 20분을 비디오 촬영을 통해 녹화 기록하였다. 결과 자료는 빈도수를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고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기초선 단계 3회기, 중재 단계 8회기 동안 지속적 몰두 행동의 빈도가 측정되었다. ʻ숫자를 보거나 만지면서 발화ʼ 는 기초선 단계에서 평균빈도는 70.33±15.14에서 중재 단계의 평균빈도는 12.75 ± 8.68로 크게 감소하였다. ʻ의미 없이 물체를 입에 넣고 물기ʼ 는 기초선 단계의 평균빈도가 16.00± 11.36에서 중재 단계 의 평균빈도가 7.75± 6.43로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감각통합치료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 몰두로 나타난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치료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의 설계로 기능적 관계를 증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the persistent preoccupation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s : A 5 year-old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ontinuous preoccupied behavior was selected as a treated su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single subject design of the study, the research method used an A-B design, and free play for 20 minutes was video recorded 3 times as a basis step. For the intervention step, 20 minutes of free play after a 40 minute intervention was video recorded 8 times. The resulting data is presented in the table and frequency graph and was analyzed visually. Results : The average frequency of the continuous preoccupied behavior decreased at the intervention step, more than at the basis step, and the continuous preoccupied behavior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s the treatments in the intervention step progressed.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continuous preoccupied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KCI등재

        감각통합치료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인 몰두에 미치는 효과

        이나핼,박웅식,이상헌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the persistent preoccupation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s : A 5 year-old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ontinuous preoccupied behavior was selected as a treated subj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single subject design of the study, the research method used an A-B design, and free play for 20 minutes was video recorded 3 times as a basis step. For the intervention step, 20 minutes of free play after a 40 minute intervention was video recorded 8 times. The resulting data is presented in the table and frequency graph and was analyzed visually. Results : The average frequency of the continuous preoccupied behavior decreased at the intervention step, more than at the basis step, and the continuous preoccupied behavior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s the treatments in the intervention step progressed.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continuous preoccupied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치료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 몰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한 명의 만 5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으로 연구 목적에 맞게 지속적 몰두 행동을 가지 고 있는 아동을 선정하였다. 대상 아동의 지속적 몰두에 관한 표적 행동은 ʻ숫자를 보거나 만지면서 발화ʼ 와 ʻ의 미 없이 물체를 입에 넣고 물기ʼ 를 표적 지속적 행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 사례 연구 방법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고, 자료수집 단계는 2회, 기초선 단계는 3회로 자유놀이 20분을 비디오 촬영을 통해 기록 하였고, 중재 단계는 8회로 중재 40분 후에 자유놀이 20분을 비디오 촬영을 통해 녹화 기록하였다. 결과 자료는 빈도수를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고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기초선 단계 3회기, 중재 단계 8회기 동안 지속적 몰두 행동의 빈도가 측정되었다. ʻ숫자를 보거나 만지면서 발화ʼ 는 기초선 단계에서 평균빈도는 70.33±15.14에서 중재 단계의 평균빈도는 12.75 ± 8.68로 크게 감소하였다. ʻ의미 없이 물체를 입에 넣고 물기ʼ 는 기초선 단계의 평균빈도가 16.00± 11.36에서 중재 단계 의 평균빈도가 7.75± 6.43로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감각통합치료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지속적 몰두로 나타난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치료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의 설계로 기능적 관계를 증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나핼,정혜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7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students’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flipped learning based instruction in sensory integration, and to understand the demand and introspection of participants. Methods :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qualitativ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0 students in 3rd year of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 K Univeristy. Data information was collected by one-to-one interview and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ults : Through the interview, 20 units of meaning, 8 central meanings, and 3 themes were drew. The information collected were analyzed into three themes; Learning Experiences in Online and Offline Courses, Request and Introspection of Learners on Flipped Learning. The result showed that online courses brought learners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with repeatable learning in every time and space the learner want. However, the learners appealed issues of communication and concentration due to the absence of face-to-face instruction by their instructor. For the offline courses, students showed interest in various practical classwork of sensory integration and changes in their attitude to actively engage in the practical classes. Conclusion : Flipped learning based instruction was effective for the sensory integration classes which require practice in terms of time securement and immersion in practice. The learners requested for adopting flipped learning based instruction to other subjects in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and introspected that they needed to actively engage in classes through the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es of sensory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when flipped learning classes are planned in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목적 : 플립드 러닝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을 받은 작업치료 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수업 후 학습자의 요구와성찰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7년 1학기 K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전공필수과목인 ‘감각통합치료 및 실습’을 수강한 3학년 학생중 10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이용하였고, 녹음한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의미단위 20개, 중심의미 8개, 주제 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학습할 수 있다는 편리함과 반복학습의 만족감을 가져왔다. 하지만 교수와의 면대면 수업의 부재로 소통과 집중력의문제를 호소하였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감각통합 실습수업에 흥미를 보였고, 적극적인 실습태도의 변화가있었다. 결론 : 실습이 요구되는 감각통합 수업에 플립드 러닝 기반 수업은 시간의 확보와 실습 몰입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다른작업치료교과목도 플립드 러닝으로 수업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었으며, 플립드 러닝 수업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 자세가필요하다는 성찰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치료 교육 분야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시도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능동적 촉각 자극 강화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나핼,송병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ctive tactile stimulation reinforcement on hand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e subjects were 16 children, age between 6 to 10 years old,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an experimental group of 8 subjects and a control group of 8 subjects). The treatment program was performed 40 minutes two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by both hand functional training exercise and active tactile sensory stimulation.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by conventional hand functional training exercise. The Jebsen Hand Function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ominant hand and nondominant hand. First, in comparison of total performance tim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reatment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in nondominant hand(p=0.023). Second, in comparison of changes of total performance tim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treatment progra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siginificant difference in nondominant hand(p=0.018). This study shows that the active tactile stimulation reinforcement is effective on improving hand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이 연구의 목적은 능동적 촉각 자극 강화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6세에서 만 10세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16명 평균 연령 만 7세 9개월(실험군 8명, 대조군 8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주 2회 40분씩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운동중심의 손 기능 훈련과 감각중심의 능동적 촉각 자극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운동중심의 손 기능 훈련을 적용하였다. 손 기능 평가 도구인 Jebsen Hand Function Test를 사용하여 우세 손과 비우세 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실험군의 전・후 전체 수행시간 비교에서 비우세 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전・후 전체 수행시간 변화량 차이 비교에서 비우세 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능동적 촉각 자극 강화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들의 손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중재방법과 측정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국제 기능 · 장애 · 건강 분류 모델의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이나핼,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4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2 No.1

        목적: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의 중재방법과 측정도구를 ICF모델의 분류기준인 기능과 장애영역 그리고 배경요인으로 분류하여, 건강과 장애와 관련된 ADHD 아동의 중재방법과 측정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13년 7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MEDLINE/PubMed, Sciencedirect, Ovid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ADHD, Children, intervention, outcome measure’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8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본 연구에서 제시된 ADHD 아동은, 순수 ADHD가 75.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ADHD 공존장애는 난독증(dyslexia),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틱 장애(tic disorder), 발달협응장애(DCD), 마지막으로 정서장애(emotional disorder) 순이었다. 결과 : 2. ADHD아동의 중재방법은 기능과 장애영역에서 80%이고, 배경요인은 20%이다. 기능과 장애영역의 신체기능과 구조의 관한 중재(NF training, computer training program)는 60%로 가장 많았고, 활동은 10%, 참여도 10%이다. 배경요인은 환경적 요인이 20%이고, 개인적 요인은 없었다. 결과 : 3. ADHD아동에게 사용된 측정 도구는 기능과 장애영역은 80.5%이고, 배경요인은 19.5%이다. 신체구조와 기능영역(아동의 문제행동과 특성의 변화)에서 70.8%로 가장 많았으며, 활동영역은 7.3%, 그리고 참여영역은 2.4%이었다. 배경요인은 환경적 요인에서 19.5%이고 개인적 요인은 없었다. 결론 : ADHD아동의 중재방법과 측정도구를 ICF모델의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이는 건강과 장애와 관련된 ADHD아동의 중재와 측정방법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기초자료 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r the intervention and outcome measurement tool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rough ICF model. Methods : The systematic review methods were used.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between January, 2000 and July, 2014 were searched through MEDLINE/PubMed, Sciencedirect, Ovid. The main terms searched were ‘ADHD, Children, intervention, outcome measure’, and 8 papers were analyzed. Results : 1. The subjects of ADHD were pure ADHD (75.8%), ADHD with dyslexia (9.1%), ADHD with conduct disorder (5.8%), ADHD with tic disorder (3.8%), ADHD with DCD (3.0%), ADHD with emotional disorder (2.5%). 2. The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 of ADHD were functioning and disability (80%) and contextual factors (20%).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were body function and structure (60%). 3. The outcome measurement tools of ADHD were functioning and disability (80.5%) and contextual factors (19.5%). Most frequently used outcome measurement tools were body function and structure (70.8%). Conclusion :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intervention and outcome measurement tools of ADH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