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天台의 四一과 元曉의 四法

        李起雲(Lee Ki-Woon)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1 No.-

        The original meaning of Buddhism from Lotus s?tra is the idea of one Buddha vehicle and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And the organized summary for them in Lotus s?tra was completed by the ambassador, T`ien-ta`i. In his three books, he summarized the meaning of religion about one Buddha vehicle as a connection and he considered the procedures to implement as a practice. That is why the study of T`ien-ta`i has been regarded as a standard to understand Lotus s?tra so far. On the other hand, Wonhyo definedthe main idea of Lotus s?tra as ""The Reality of one Buddha vehicle"" and showed the fundamental principal at『Bubhwajongyeo』. But both of them have each of educational knowledge and comparison to understand the real meaning of the view of one Buddha vehicle. T`ien-ta`i interpreted the essential qualities, the one great work of a Buddha and the attain of Buddha which are the basic Buddhist scriptures as the four “one” which is the agreement of a principle, teaching, acting and a person. And he compared this to the great bullock-cart( in the parable of the burning house). On the other hand, Wonhyo defined the low to be into the attain of Buddha as ""the law to take"" for this part of Buddhist scriptures and classified the person who implements this law as a person who takes the religious law. And also he divided ""the law to take"" into the groups of four dharma which is one vehicle principle, one vehicle teaching, one vehicle reason and one vehicle result and interpreted this as comparing four kinds of horses. Although we might think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reat bullock-cart and four kinds of horses, these have the same purpose to interpret the Buddhist scriptures of one Buddha vehicle and the meaning of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and also to take these as a practice. Therefore the comparison of these two persons could be an important indicator to understand of the view of one Buddha vehicle from Lotus s?tra.

      • KCI등재

        근대기 승가(僧伽)의 교육체제 변혁과 자주화운동

        이기운(Ki Woon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조선후기 전통승가의 교육은 세 가지 수업방법이 있었다. 첫째는 念佛門이고, 둘째는 간경문이며, 셋째는 參禪門이었다. 그후 사찰에는 禪院과 講院이라는 교육기관이 만들어졌고, 이들 수업방법은 禪과 敎學을 겸하여 배우는 교육제도였다. 수업내용을 보면, 강원은 碧松智儼에 의하여 沙彌科四集科四敎科大敎科의 네 과정을 수업하도록 했다. 이 과정은 총 10여년 동안 공부하고, 다음에는 자신의 뜻에 따라 전문과정인 隨意科를 선택하여 수업한다. 이에 비해 선원은 구족계를 받은 승려로 강원의 사교과 대교과를 수료하고 입학하였다. 조선 근대기 승려의 교육제도는 기존의 강원과 선원중심에서 학림체제로 전환되었다. 학림은 중앙학림과 지방학림이 30본산을 중심으로 세워져, 전체로 보면 선원강원과 중앙의 불교전문학림과 지방학림 보통학교의 叢林體系를 이루었다. 곧 중앙에서는 불교계 최초의 근대식 학교로 명진학교가 설립되고, 지방 본말사를 중심으로 지방학림과 보통학교가 세워졌다. 이후 명진학교는 중앙학림 불교전문학교로 변화하여 오늘날 동국대학교의 전신이 되었다. 총림체제는 보통학교 지방학림 중앙학림의 교육체계를 갖추었다. 이러한 교육제도의 변혁은 선각자들의 끊임없는 교육 개혁운동에 영향을 받았다. 근대기 교육개혁 운동은 한용운의 불교교육개혁론과 박한영의 불교교육 혁신운동, 그리고 조종현의 강원개혁안과 허영호의 교육제도의 근대화 운동을 들 수 있다. 근대의 불교 교육계는 일제의 간섭을 배제하고 자주 독립하려는 강한 의지를 지니고 있었다. 주체성 교육과 자주 독립의지로 인해 이들 불교학교의 교수와 학생들은 3.1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그 예로 한용운 김법린 김상헌 등의 승려들은 서울에서 만세운동을 한 후 지방의 사찰로 내려가 만세운동을 확산시켰다. 이렇듯 근대 불교 교육계는 불교혁신과 자주적인 교육을 펴려는 노력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There were three ways of lectures about Buddhists`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It was how to pray to Amida Buddha, how to read the Sutras, and how to practice the Zen cult. Students could learn this course with studying Zen and magisterium. After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called Seonwon(禪院, a temple practicing Zen) and Gangwon(講院, a temple studying Buddhism theory) were established at temples. There were four courses (Samigwa沙彌科, Sajipgwa四集科, Sagyogwa四敎科, Daegyogwa大敎科) to be studied at Gangwon by Byeoksongjieum(碧松智儼). These courses should be studied for ten years and then a monk could choose an elective course as a special curriculum. Requirements to enter into Seonwon are to be Buddhist monks who got Gujokgye(具足戒) after getting certifications of Sagyogwa and Daegyogwa at Gangwon. The education system of Joseon modern time took new study and culture on the basis of traditional Gangwon and Seonwon, and it resulted in having normal schools and the special one(Gangwon). The educational system had been changed into a whole education system with thirty big temples(30本山) under the occupation from Japan. The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Gangwon and Seonwon) was reorganized into the modern ones, which were called central school system(中央學林) and rural school system(地方學林). The educational content of modern Buddhism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keep and develop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on the basis of Zen study. Second, it is to modernize and protect the traditional culture of Buddhism. Third, it is to popularize Buddhism. Modern Buddhism schools had a tough spirit to be independent from Japan. Some professors and students of these Buddhism schools were the ones who lea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st, 1919. Buddhist monks such as Han Yong un(韓龍雲), Kim Beop rin(金法麟), Kim Sang heon(金商憲) joined in the movement in Seoul and spreaded the movement to rural areas as they went to big temples there. Through this activity, we can recognize how independent the modern Buddhism educational system was.

      • KCI등재

        일본에 전해진 『법화참법(法華懺法)』의 독자성

        이기운(Lee, Ki-W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법화삼매 수행법은 중국의 혜사(慧思)가 처음으로 창안하여 전하였다. 그의 제자인 천태지의(智顗)는 더욱 발전시켜 『화삼매참의(法華三昧懺儀)』를 찬술하여 전승 하였다. 이수행법은 예불, 육근참회, 권청(勸請), 수희(隨喜), 회향(回向), 발원(發願), 법화경 독송, 실상정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찍이 이 수행법은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해져서 대대로 수행해 왔다. 일본에는 사이첞(最澄)에 이어 엔닌(圓仁)이 전한 것이 『법화참법(法華懺法)』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몇 가지 면에서 기존의 법화삼매집과 차이가 있다. 첫째 이 수행에 가장 중요한 실상정관법(實相正觀法)이 빠져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그 정본 여부를 이 실상 정관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 본을 법화삼매 정본(正本)으로 볼 수 있느냐는 문제가 제기된다. 하지만 『마하지관』의 원돈(圓頓)의 삼매수행에 포함할 수 있고, 육근참회(六根懺悔)를 통해 육근청정(六根淸淨)에 들어가는 수행 등이 법화삼매 수행법에는 어긋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수행법에는 다른 법화삼매 수행법에는 나타나지 않는 구조석장게(九條錫杖偈), 칠불통게(七佛通偈)와 왕생예찬(往生禮讚)이 범패(梵唄)와 함께 추가 되어 있다. 이는 법화삼매가 엄격한 깨달음을 얻는 수행이라는 기존인식에서 벗어나, 일상생활 속에서 누구나 쉽게 닦을 수 있는 예시작법(例時作法)으로 만들어 대중성을 강화시킨 수행법으로 변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lotus Samadhi practice method was first created and passed down by Huisi 慧思 of China. His disciple Tiantai Jiui 智顗 developed this further to pass down the 『Repentance Ritual of the Ṣaddharma-puṇḍarīika-samādhi(法華三昧懺儀)』. This practice method is composed of the prayer chant, Precepts of Six-sense Faculties, imploring the discourse to the Buddha so that one may deliver sentient beings who are in the dark(勸請), rejoicing with others for their good conducts(隨喜), dedication or transference of merits for the benefit of other beings(回向), great aspiration for attaining enlightenment(發願), reading and reciting the Lotus Sutra, the ultimately true feature and right contemplation etc. From early on, this practice method has been passed down to Korea and Japan, and practic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Japan, there is the 『Repentance Method of the Lotus Sutra(法華懺法)』 that was passed on by Ennin(圓仁) following Saichō(最澄).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here with the existing the Samādhi of Lotus. First, the ultimately true feature and right contemplation metho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o this practice is missing. In China, whether or not the text is an original was judged by this the ultimately true feature and right contemplation(實相正觀). For this reason, the issue is raised for instance whether this version is considered to be an original text(正本) of the Samādhi of Lotus. However, it can be included in the Samādhi practices of Weondon in the 『Great Shamatha-vipashyana摩訶止觀』, and we can say that the practices of entering purity of the six faculties through the Precepts of Six-sense Faculties is not disjointed from the Samādhi of Lotus practice methods. Second, this practice method includes the Gujyoseokjangga (九條錫杖偈), the verse of the common teaching of the Seven Buddhas, and the Buddhist songs of Wangsaengyaechan(往生禮讚) which do not appear in other the Samādhi of Lotus practice methods. We can say that this is a practice method, departing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the Samādhi of Lotus is a strict practice method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changing it into a rite for regular practice(例時作法) where anybody can practice it easily in their everyday life, to strengthen mass appeal.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동북아(東北亞) 삼국의 법화삼매(法華三昧) 행법체계(行法體系) 연구(硏究)

        이기운 ( Ki Woon Lee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0 No.-

        법화경의 실상의 경지를 깨닫는 법화삼매는 중국에서 慧思에 의해 창안되었다. 혜사는 이 수행법을 그의 제자 천태와 백제 현광에게 보현도량과 사안락행을 통하여 전하였다. 혜사의 법화삼매사상은 『法華經安樂行義』에 들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아직 수행법으로 정립되지 않아서 행법화에 이르지 못하였다. 그후 天台는 자신의 수행경험과 법화경의 수행법을 통합하여 『法華三昧懺儀』 라는 수행의례로 만들어 전하였다. 이 수행법은 후대에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져서 동북아 삼국에서 신행되었다. 이 법화삼매 수행법은 중국 일본 한국에 전승되면서 그곳의 시대와 상황에 따라 특징있는 수행법으로 정립되었다. 일본에서는 『法華懺法』으로 재창안되어 신행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妙法蓮華經三昧懺法』으로 재창안되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이 중국의 천태대사 『법화삼매참의』라는 단일의 법화삼매수행법이 삼국의 천태종에서 수용되어 동북아시아 삼국이 공통의 수행법이면서 각국의 실정에 맞는 특징있는 법화삼매수행법으로 전개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법화삼매참의』 原典으로부터 觀法과 懺悔法을 중심으로 수행체계에 變用이 보이고 있다. 일본에서는 참회법과 여러 作法儀禮가 첨가되고, 수행체계도 간소화하여 축약된 법화삼매가 신행되었다. 한편 근래에 발견된 우리나라의 『묘법연화경삼매참법』은 기존의 중국과 일본에서 신행되는 수행법의 변용을 뛰어 넘는 획기적인 수행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기존 수행법들, 중국과 일본의 수행법은 모두 법화경 전품을 상대로 한 법화삼매 수행법이었으나, 고려의 것은 법화경 각 품에 하나씩의 법화삼매수행법을 개발하여 수행한 것이다. 이것은 법화경 전품이 같은 법화삼매의 경지라 하다더라도, 각 품마다의 법화삼매의 경지에 들어가는 관법과 수행체계의 차이가 있어서 이를 고려하여 각 품에 맞는 법화삼매 수행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 삼국의 법화삼매 수행법은 그 나라의 실정에 맞는 觀法과 懺悔行 讀誦法을 구사하고 있다. The Saddharma-pundariika-samadhi (hereafter, SPS) 法華三昧 is awakening to the true aspect of the Lotus Sutra. It was created by Huisi 慧思 in China, who passed this practice down to his disciple Tiantai and Hyeon-gwang from Baekje Korea through the ``four means of attaining peace`` 四安樂行 at the Samantabhadra practice site 普賢道場. Huisi`s thought of the SPS is recorded in the Doctrine of the means of attaining peace in the Lotus Sutra 『法華經安樂行義』. However, Huisi`s SPS failed to become a complete practice system as it was not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practice method. Thereafter, Tiantai integrated his own experience and the practice method of the Lotus Sutra into a ritual of practice, the Repentance Ritual of the Saddharma-pundariika-samadhi 『法華三昧懺儀』. This practice was transmitted to Korea and Japan and thus got to be performed by the three countries of Northeast Asia. As this SPS practice was handed down to China, Japan, and Korea, it wa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ir own periods and circumstance and established as their unique practice methods. In Japan, the SPS was re-created as the Ritual of Repentance Based on the Lotus Sutra 『法華懺法』; in Korea, as the Ritual of Repentance of Based on the Samadhi of the Lotus Sutra 『妙法蓮華經三昧懺法』. Like this, Tiantai`s Repentance Ritual of the Saddharma-pundariika-samadhi 『法華三昧懺儀』 was accepted by each Tiantai Order of the three countries of Northeast Asia as their common but somewhat transformed practice methods. In Chinese Tiantai, such transformations were made in its practice system, especially in the insight method 觀法 and repentance ritual 懺悔法. In Japanese Tendai, some processes of repentance and various rituals were added while its practice system was simplified so that it could be called a brief version of the SPS. Meanwhile, Korea`s Cheontae practice, according to the recently found Ritual of Repentance of Based on the Samadhi of the Lotus Sutra 『妙法蓮華經三昧懺法』, showed an innovative system that transcends the transformations made by Chinese and Japanese counterparts. After all, as for both the Chinese and Japanese systems, their practice methods were intended for all the chapters of the Lotus Sutra; as for Goryeo`s, however, the practice methods were for each chapter to be performed differently. The reason for Goryeo`s unique method is that, though all the chapters of the Lotus Sutra describe the same stage of the SPS, each chapter, nevertheless, differs in their insight method and practice system for attaining the samadhi. This being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different samadhis appropriate for each chapter. In this manner, the practice systems of the SPS in the three countries of Northeast Asia have been performed according to each country`s own insight method and repentance practice, and sutra reciting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관음(觀音)신앙의 구조(構造)와 신행체계(信行體系)

        이기운 ( Lee Ki-wo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1

        대승불교가 발생하여 전파되는데 있어 觀音信仰의 역할은 적지 않아 보인다. 그것은 관음사상이 가지고 있는 폭넓은 구제사상과 다양한 관음신행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관음신앙을 설하고 있는 경전은 법화경을 비롯하여, 화엄 반야 정토 밀교 삼매 經典類와 疑經에 이르기까지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경전들 중에서 법화경은 보문품에서 관음보살을 설하고 있어 관음신행의 근본 경전으로 여겨져 왔다. 이 경은 일찍부터 전역되어 관음신앙 유포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고, 『觀音經』으로 別行 유포되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수많은 관음관계 경전들이 함께 신행되므로써 관음 신앙을 한층 풍부하게 하였다. 첫째는 관음이 대자비의 위신력으로 중생이 당면한 실생활의 苦難과 惱亂으로부터의 해탈을 이루어 주고, 중생들이 祈求하는 소원을 성취시켜준다는 구제사상이다. 둘째는 관음이 應身하여 法을 설해주어 불도에 이끌어 들인다는 대승 보살도를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셋째는 이러한 구제사상이 관음의 因行시 서원과 보살도에 근거한 대자비의 실천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제사상은 중생들의 절실한 삶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利他行], 불도에 들도록 인도한다[自利行]는 점에서 대승보살도의 모범적 실천이라 할 수 있다. 관음신앙은 중생들의 생사고난에 대한 해탈의 祈求가 있고, 이에 관음은 대자비의 위신력으로 應하여 법을 설해 주며, 이러한 應現說法은 관음의 因行시 誓願과 菩薩道에 의한다는 重層構造를 보여준다. 관음의 신행 역시 이러한 관음의 구제사상에 의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신행 체계는 중생이 관음의 명호를 일심으로 칭명하고, 관음의 주(呪)를 誦念하며, 禮懺하고, 경을 독송하는 등의 수행에 의하여 삼매에 들면, 중생이 感하고 관음이 應하여 救濟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신행 방법들은 중생들로서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고 각자의 근기에 맞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들이라 할 수 있어서, 관음신행의 성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본다면 올바른 관음신행은 중생들이 당면한 고난의 해탈 뿐만이 아니라, 보살도를 실천하여 불도에 나아가는 수행임을 보여주고 있다. The role of Avalokitesvara belief has had a notable role in the rise and propagation of Mahayana Buddhism. This began from the wide ideas on compassion within Avalokitesvara’s beliefs and the diverse Avalokitesvara practices. Scriptures that explain Avalokitesvara Bodhisattva’s ideas compris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otus Sutra, Avatamska, Prajna, Pure Land, Vajrayana, and Samadhi. Among these scriptures, the Lotus Sutra has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scripture of Avalokitesvara practices that explains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is scripture was completely translated from early on and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dissemination of Avalokitesvara belief, and was even circulated separately as the Sutra of Avalokitesvara. Additionally, numerous scriptures related to Avalokitesvara were practiced together, making Avalokitesvara belief even more abundant. Avalokitesvara belief in these texts mainly features ideas on compassion. Avalokitesvara’s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is composed primarily of perspectives. First, Avalokitesvara is an idea of compassion that delivers mankind from the suffering and confusion of the present life through benevolence and prestige, and one that fulfills the wishes and hopes of mankind. Second, is the practice of Mahayana Bodhisattva in which Avalokitesvara appears in order to save mankind, and explains the edicts to guide them to Buddhism. Third, these ideas of compassion are the practice of benevolence founded on vows and Bodhisattva at the time of Avalokitesvara’s Inhaeng(因行). These ideas of compassion are an exemplary practice of Mahayana Bodhisattva in the sense that they resolve the earnest problems of life and guide one to Buddhism. The practice of Avalokitesvara takes place in a variety of manners by Avalokitesvara’s ideas of compassion. That practice system mankind reaches Samadhi by practices such as calling Avalokitesvara’s name, reciting Avalokitesvara’s wishes, venerating Avalokitesvara, and reciting Buddhist scriptures. Mankind feels, Avalokitesvara answers, and compassion takes place. These practices are most easily accessible to mankind, and each can carry them out according to their own perseverance. Thu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alence of Avalokitesvara practice. In this manner, the correct Avalokitesvara practice is not just for the deliverance of man from immediate suffering, but also is a practice that fulfills Bodhisattva and leads to Buddhism.

      • KCI등재

        조선후기 천태사상 수용

        이기운 ( Lee¸ Ki-woo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7 No.2

        본고는 조선 후기 천태사상의 수용을 세 가지로 고찰하였다. 첫째는 전통의학서인 허준(許浚, 1539~1615)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보이는 천태지관의 내용과 그 수용에 대한 고찰이다. 두 번째는 월창거사(⽉窓居⼠) 김대현(⾦⼤鉉)의 『선학입문(禪學⼊⾨)』을 통하여, 조사선 주류의 학계에서 천태 삼종지관의 하나인 『석선바라밀차제법문(釋禪波羅蜜次第法⾨)』이 수용된 양상과 그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는 근대기 불교 개혁운동 속에서 보이는 천태사상의 여러 가지 양상을 통하여 근대 불교사에서 천태사상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동의보감』에는 유교ㆍ도교ㆍ불교의 의학사상들이 들어 있는데, 이중에서 내경편에는 인체의 병인(病因)과 병의 양상(病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천태의『마하지관(摩訶⽌觀)』 병환경(病患境)에 보이는 병인론과 병의 양상에 대한 내용이 보인다. 또한 내경편의 태식법(胎息法)을 천태의 병환경의 “지(⽌)의 대치법”을 직접 인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선학입문』은 난해하고 복잡한 천태 차제지관 법문인『석선바라밀차제법문』을 간략히 줄여서 쉽게 선(禪) 수행에 들어갈 수 있도록 편찬하였다. 이러한 천태선법의 수용은 당시 조사선의 난해함을 극복하고, 많은 대중들이 능력에 따라 선바라밀을 닦도록 배려한 것이었다. 끝으로, 근대기 불교계 개혁운동을 촉발시킨 조선총독부의 관리서(管理署) 사찰령 36개조 제1조에는 천태 교문의 핵심인 8교 교판사상이 수용되고 있다. 그밖에 이 시기 불교잡지에서도 천태 교학사상들이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천태학이 근대기 개혁운동에도 수용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로써 조선 후기 조선 불교계에는 천태사상의 두 가지 양상인 교문과 관문 사상들이 다양하게 수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studies the acceptance of Tiantai Buddhism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in three ways. The first is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Tiantai’s method of calm and concentration in Heo Jun (許浚, 1539~1615)’s historic medical book “Donguibogam(東醫寶鑑).” The second is a study on the accep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appearance of “An Explanation of the Gateway to Seon Paramita,” one of Tiantai’s three modes of entering Seon, in mainstream academia of Patriarchal meditation, as seen through Wolchang Kim Dae-hyeon(⾦⼤鉉)'s “Seon-Hak-Ip-Moon(禪學⼊⾨).” The third looks at what Tiantai thought was accepted in the modern history of Buddhism through the study of the various aspects in which Tiantai Buddhism appeared in the modern Buddhist reform movement. First, in “Donguibogam,” which contains medical thoughts from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the Naegyeongpyeon chapter includes material on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 from the Tiantai writing of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In addition, Naegyeongpyeon’s Taesikbeop (胎息法, a breathing method) directly incorporates Tiantai’s “treatment of cessation.” “Seon-Hak-Ip-Moon” was published to simplify the difficult and complicated “An Explanation of the Gateway to Seon Paramita,” a Tiantai writing on meditation, making it easier for people to practice Seon. The acceptance of such Tiantai methods of Seon helped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atriarchal meditation at the time and allowed the public to practice Seon Paramita. Finally, in the Temple Act as promulg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ich triggered the modern Buddhist reform movements, the first out of the 36 articles accepted The eight teachings of the thoughts of Gyosang Panseok thoughts, which are core tenets of Tiantai’s gateway of doctrine. Contemporary Buddhist magazines also featured frequent appearances of the thoughts of Tiantai. Hence, we can see that Tiantai Buddhism was accepted during the modern reform movements. These results show how two aspects of Tiantai Buddhism, the gateways of doctrine and practice, were accepted in the Buddhist world of the late Choson Dynasty in various ways.

      • KCI등재

        佛敎學報(불교학보)를 통해 본 한국불교연구의 동향

        이기운(Ki Woon Lee),조기룡(Ki Ryong Cho),윤기엽(Ki Yeop Yo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불교학보』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하는 불교학 전문 학술지로서, 불교교학 불교사 불교문화 전반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이 논문집은 1962년 창설된 불교문화연구소에서 이듬해 창간호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현재 50년 동안 63집을 발간하고 있다. 불교계에 이렇다 할 학술논문집이 없었을 때, 불교계 최초로 창간되어 그동안 불교학자들의 학문적 업적을 발표하는 대변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왔으며, 한국 불교학의 흐름을 보여주고 새로운 학문적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 논문집으로서 소임을 다해왔다. 이제 연구원 개원 50주년 63집을 발간하면서,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회고하고 불교학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새로운 50년 불교학보의 나아갈 길을 전망하고자 이 글은 기획되었다. 그동안 불교학보게재논문의 동향을 보면, 다음의 몇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게재 논문들은 한국불교의 각성을 통하여 교학사상과 불교사, 불교신앙과 문화에 있어서, 한국불교의 주체성을 밝히고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교학연구의 탈근대화를 이끌었다는 것이다. 동국대학교가 세워지면서 불교계에는 비로소 현대적 불교교육이 실시되어 불교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한 현대적 불교학의 성과들은 『불교학보』를 통하여 학계에 소개되면서 현대적 불교학으로서 학문경향이 학계에서 자리잡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셋째, 종파의 탐구와 禪學의 연구가 깊이 있게 이루어지면서 근본불교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교파의 교학사상을 바로 밝히려는 노력과 선학의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넷째, 고자료의 발굴을 통하여 한국 불교학 학문적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전통적인 불교학 외에 현대과학과 의학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응용 불교학이 소개되었다. 다음은 앞으로 『불교학보』가 나아갈 길에 대해서는 한국불교학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미래불교의 비젼을 다음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1960년대 이후 2000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불교학의 硏究推移를 통해서 한국 불교학의 정체성을 이어가고, 한국 불교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앞으로 전통 불교학을 기반으로 응용 불교학을 더욱 진흥시키는데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불교학계의 권위지로서의 위상을 유지 발전시키고, 우수한 신진학자의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등용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불교학보』의 방향설정을 통하여, 우리논문집은 국내저명학술 지로서 만족하지 않고 불교학계의 국제저명학술지로 지향점을 두어 한국 불교학을 국제 불교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에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Bulgyohakbo(Journal for the Buddhist Studies; 佛敎學報) is a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 issued by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at Dongguk University, and it is publishing treatises in general on Buddhist doctrinal studies,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in 1963 after the foundation of the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in 1962, it has published 63 treatise collections as of Dec. 2012 for 50 years. When there were no treatise collections to speak of, it started its publ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Buddhist community. Since publishing its first issue,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of a spokesperson presenting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uddhist scholars, and it has filled its role of a pioneering collection of treatises showing the flow of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and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the Buddhist research. While we publish the 63rd treatise collection in commemoration of 50th Anniversary of the institute, this writing was planned in order to look back on its academic achievements, ascertain its identity, and to put its course during its new 50 years into perspective. If we get a full review of the treatis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lgyohakbo,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atises published in the magazine confirme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rough disillusion toward Korean Buddhism.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clarify the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in respect of Buddhist philosophy, the history of Buddhism, Buddhist faith,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reopening their eyes to Korean Buddhism. Secondly, they led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doctrinal studies. After Dongguk University was founded, modern Buddhis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Buddhist community, and Buddhist scholars began to be turned out.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Buddhist research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e Bulgyohakbo, so that this magazine came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 academic trend as modern Buddhist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irdly, as research on Buddhist orders and Seon studies was done in depth, the efforts to correctly illuminate the doctrinal philosophies of all denominations from the fundament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were mad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Seon studies was done. Fourthly, the excavation of old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ifthly, diverse applied Buddhist studies in relation to modern science, medicine, and art besides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have been introduced. Next, regarding the course this Bulgyohakbo should take, as far as the task to se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right and the vision of the future Buddhism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gress of Korean Buddhist research from 1960s to 2000s, it should keep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it should prepare the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 Buddhist studies. Secondly, it should become the cornerstone of the promotion of applied Buddhist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Buddhist research. Thirdly, it should maintain and develop the status of an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Buddhist academic circles, and it should fulfill the role of the gateway to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by excellent rising scholars. Finally, through establishing these directions for the Bulgyohakbo, our collection of treatises should aspire toward a well-know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never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a famous Korean academic journal, so that it should show no neglect of promulgating Korean Buddhist studies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