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인문학 그리고 경영학 : 미국의 경영대학 발전사에서 얻는 교훈

        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2

        최근 한국의 기업들 사이에 ‘열풍’이라는 단어가 부족할 정도로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민감한 경영학자들은 이 현상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겠지만 대부분의 경영학자들은 이를 무관심으로 대하고 있다. 한국의 기업들은 왜 갑자기 인문학에 관심을 보이는가? 이 현상은 다른 나라의 기업들에서도 발견되는 보편적 경향 일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논문은 근대적 경영학이 발원한 미국으로 시각을 돌려 미국의 경영대학들이 인문학과 역사적으로 어떤 관계를 맺어왔는지,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최근의 발전상은 어떤 것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세기 말 경영학이 대학사회에 최초로 진입하던 시기에는 경영 대학을 대학사회의 일원으로 위치시키는 문제, 즉 정당성 확보의 문제가 매우 중요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당시의 경영대학들은 기업 경영을 전문직(profession)으로 격상시킨다는 명분을 전면에 내세웠는데, 당시의 전문직이란 전문적 지식 이외에도 공익을 수호하는 책임의식과 윤리적 판단능력을 보유하는 직업군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최초의 경영대학들은 정체성 확보의 중요 방편으로서 인문학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경영대학에서 인문학이 점하는 위상은 점점 쇠퇴하였다. 특히 Carnegie 재단과 Ford 재단이 미국 경영학의 실태를 조사한 보고서들이 1959년에 나란히 출간되었는데, 이때를 기점으로 해서 경영학은 과학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작업에 몰두하였고 인문학적 요소의 상대적 중요성도 크게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과학 으로서의 경영학은 그 후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그렇게 큰 성과를 산출하지 못했고, 경영학계는 유용한 지식을 축적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학계에는 현대경영학의 위기, 혹은 쓸모없음(irrelevance)을 지적하는 경영학자들이 적지 않고, 산업계에서도 경영학의 유용성을 의심하는 시각이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경영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등장하고 있는데, 현재 한국 기업들이 몰두하고 있는 인문학 열풍도 이런 흐름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그 실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이 논문은 한국 기업들의 인문학 수용의 현 상태에 대한 진단, 바람직한 방향, 그리고 이를 위해 한국의 경영학계가 수행해야 할 과제들을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many Korean firms have enthusiastically pursued the idea of using various disciplines of the humanities (i.e., philosophy, history, literature, and art) to boost corporate performance. For example, many firms are offering various in-house, humanities-related lectures to their employees, and in this milieu, outside training and education organizations and some humanities scholars are also busy seeking opportunities in this burgeoning market. So in Korean companies, especially large ones, corporate lectures that cover various humanities topics such as ancient history or the works and thoughts of great thinkers (e.g., Socrates, Goethe, Confucius, or Michelangelo) are very common. Books that try to bridge the humanities and business world, however clumsy and without elegance they may be, are also extremely popular among various ranks of Korean businessmen. As bizarre as they may seem, on a surface level these developments may well be viewed as the arrival of a new management paradigm in Korea. As a matter of fact, these developments, often dubbed ‘humanities fever’, are affecting all of Korean society, not just the business world. However, most of the management scholars and educators in Korean business schools are silent on these curious developments. Given the long-standing coevolution of the business world and business schools, this silence is unusual and awaits plausible explanations. This paper thus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y are Korean firms so fervently trying to embrace the humanities while management scholars pay little attention to them? Have Korean firms become humanized through these endeavors? And, can these developments be observed globally and thus signify some fundamental changes, or are they just peculiar to Korean companies? To satisfactorily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early years of American business schools and trying to gauge the nature and trans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that the humanities have maintained with the business world. Since American business schools are widely emulat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nd Korea is no exception, it was expected that understanding how the humanities were assimilated by American business schools and the trajectory of that relationship over the years would provide insights and a frame of reference by which the developments in Korea can be comprehended.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umanitie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ve stages of American business schools.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schools on university campuses was pioneered by such institutions as Wharton, Tuck and Harvard Business School, which actively mobilized the ‘professionalization of businessmen’discourse as a rationale for their inclusion during a time when most university constituents were quite hostile about the idea. As the humanities were considered a necessary ingredient of the professionalization project, liberal arts education was heavily emphasized and, in the case of the Wharton School for example, historical approaches were deeply incorporated into the very core of business education. Second, the status of the humanities vis-à-vis science began to diminish rapidly as the business world became increasingly uncomfortable with humanitarian values and perspectives. Thus, business schools turned away from the humanities and began to emphasize the scientific aspects of managerial practices. This trend persisted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in 1959, it culminated in Ford and Carnegie Foundation research reports on the state of business education. Since then, research in business schools has become a quasi-scientific activity and as a consequence management education has become detached from the real world.

      • KCI등재
      • 제한된 합리성의 재해석

        윤세준(Se Joon Yoon),채연주(Yeon Joo Chae)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07 연세경영연구 Vol.44 No.2

        심리학의 다른 영역들과는 달리 판단과 의사결정(Judgment and Decision Making; JDM)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는 기술적 모델과 규범적 모델이 양립하고 있다. 그런데 JDM 연구의 가장 큰 문제점은 규범적 모델과 기술적 모델 사이의 간극이 매우 크고 심지어 이둘 사이의 관계가 상호 대립적이기까지 하다는 점이다. 즉, 규범적 모델이 제한 받지 않은 절대적 합리성을 가정하는데 반해 기술적 모델을 채택하는 연구들은 인간의 판단과 선택능력에 대해 특별한 가정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Kahneman과 Tversky의 영향을 받은 기술적 모델의 연구자들은 암묵적 혹은 묵시적으로 인간의 비합리성을 다양한 형태로 드러내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 논문은 그 동안의 JDM 연구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거의 형용모순(oxymoron)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규범적 휴리스틱”(normative heuristics)이라는 제목 아래에서 기술적 모델과 규범적 모델 사이의 거리 좁히기가 가능한 것인가 탐색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JDM에 관한 규범적 모델과 기술적 모델이 어떤 역사적 궤적을 그리며 발전해왔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런 후 기술적 모델과 규범적 모델을 연결시키는 고리의 역할을 하는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재해석하고 그 과정에서 도출되는 ‘생태학적 합리성’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재인 휴리스틱, 최선의 대안 선택하기 휴리스틱 등과 같이 비교적 단순하지만 환경의 구조적 특성과 맞기만 하다면 인간을 현명하게(smart) 만들어 주는 휴리스틱들을 소개하여 생태학적 합리성이라는 개념이 사회과학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할 것이다. Unlike many other fields of psychology, the study of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JDM) must deal with two aspects of human thinking. That is,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not just models of how we normally do think (i.e., descriptive models) but also construct models of how we ought to think (i.e., normative models). Until very recently, the most influential normative model of JDM has been provided by Expected Utility Theory and theorems of the modern probability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most powerful descriptive model was that of Kahneman and Tversky’s Prospect Theory (and decision heuristics), which also is widely known as the most robust derivative of Herbert A. Simon’s notion of bounded rationality. Historically, these two models developed in parallel but the normative model always specified an ideal standard by which human rationality is evaluated. As a consequence, bounded rationality has been seen either as the attempt to do as well as possible given the demands of the world--the notion of optimization under constraints--or as the suboptimal outcome of the limited cognitive system--the realm of irrationality and cognitive illusions. In this paper we reconsider Simon’s concept of bounded rationality in a new light and try to construct an integrative model which not only accurately represents the actuality of human JDM but at the same time is capable of providing some normative standards of good decision making. For this purpose we will briefly but critically revie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JDM research. Then we will refer to recent theoretical propositions and empirical findings of a German psychologist, Gerd Gigerenzer and his colleagues. Form their perspective, bounded decision mechanism are not merely the only option available given the constraints of the agent and the external world; less information and heuristic decision making can actually enable greater accuracy than more in some cases. Specifically, we will present detailed examples of how two heuristics inspired by Simon’s ideas on recognition-based processing and satisficing in sequential search lead to more accurate JDM. As a final comment, a few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organizations will be mentioned.

      • KCI우수등재
      • 주요국가의 IPv6 전환기술과 방안

        윤세준(Yoon Se Joon),김민수(Kim Min Su),최대인(Choi Dae In),강현국(Kahng Hyun Kook) 대한전자공학회 201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2

        2011년 2월 3일 IANA에서는 IPv4주소 할당을 종료였다. 이로 인하여 2012년 이후 부터는 신규 인터넷 사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더 이상의 IPv4 주소를 더 이상 할당 받을 수 없다. 현제 보유중인 IPv4 주소역시 신사업인 U-Health, 센서네트워크, 스마트 그리드 등 사업들로 인하여 2013년에는 고갈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는 IPv4 주소 고갈의 대안으로 무한대에 가까운 주소개수를 할당 할 수 있는 IPv6 주소가 대안으로 채택되었고 IPv6로의 전환을 진행 중 에 있다. 특히 일본, 미국 그리고 유럽연합은 IPv6로의 전환사업을 일찍이 시작하여 IPv6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native IPv6을 사용하는 단계는 아니므로 전환기술을 이용한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2011년 6월 5일에 행해진 “World IPv6 day"를 이후로 IPv6트래픽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IPv6로의 전환의 시급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KREONET, 6NGIX 와 같은 연구망을 제외하고 IPv6 실용화를 위한 서비스는 존재 하지 않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국의 IPv6로의 전환을 위한 주요 전환 기술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IPv6서비스를 위한 기술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통합과 분리

        채연주(Yeon Joo Chae),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2

        Over the past decade,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opic of “balancing work and life” in Korea. However,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fundamental issue of how people seek the balance in reality. This is why we have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as a tool for analysis to explore people’s subtle ways of coordinating work and life. Crossing the border between work and life, people integrate or segment the two domains, and this balancing ac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s referred to as “boundary work” (Nippert-Eng, 1996). Based on the concept of boundary work, this research examines how people find their own balancing point on the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continuum.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 selected consultants who practice relatively high autonomy within their work in terms of time and spac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an IT security solution consulting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nsultants at seven other consulting companies.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21 cases of in-depth interviews provided us with three types of data source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aily schedules. The grounded theory cod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data which resulted in dividing people’s of integrating and segmenting domains methods of work and life into two dimensions: (1)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within each domain and (2)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between the two domains. Furthermore, the former dimens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dimensions: workplace, relationship, and routine behavior. The latter dimension was categorized into two sub-dimensions: habitual preparation behavior for transition between the domains and commute as a transitioning act. The summary of our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showed a tendency to achieve balance in work and life by moving toward the segmentation poin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Even those who were inclined to integrate the domains of work and life suffered from work encroaching on life as the boundary of life remained ambiguous yet the boundary of work relatively was found to be clear. The tendency to segment the two domains can be interpreted as a struggle to keep what is left of life from being swallowed by work which has continuously intruded on life through various means. That is to say, people’s inclination to segment the domains of life and work is not an innate predisposition but a result of a conscious choice which is to protect life from the overly intrusive domain of work in modern society and to recover balance in work and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 depth how people coordinate work and life in reality and our findings indicate that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treats matters of work and life as objects of management has considerable limitations. 한국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화두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실제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아가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일과 삶을 조율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사람들은 일과 삶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두 영역을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통합과 분리의 연속선 위를 오가면서 두 영역을 조율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경계활동(boundary work)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경계활동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점을 어떻게 찾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업무수행 시 작업시간과 공간의 활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는데, 한 보안 솔루션 업체의 컨설팅 부서에서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그 외 7개 컨설팅 회사의 컨설턴트들과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총 21명의 심층면담과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3개의 자료원천(면담, 참여관찰, 일과기록표)을 확보하였으며,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일과 삶을 통합 혹은 분리하는 양식을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것은 (1) 일과 삶, 각각의 영역 내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와 (2) 이들 두 영역을 오가는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로 나누는 것이었다. 또한 각각의 영역에서 통합 혹은 분리하는 행동은 다시 세 개의 하위차원(일하는 공간, 관계 맺기, 습관적 행동)으로, 그리고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의 행동은 두 개의 하위차원(전환을 준비하는 반복행동과 전환이 이루어지는 출•퇴근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적 틀을 활용해 도출된 자료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통합-분리의 연속선에서 분리의 방향으로 경계활동을 함으로써 일과 삶의 균형점을 확보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비록 일과 삶을 통합하는 경향을 보이더라도 삶 영역의 경계는 모호하지만 일 영역의 경계는 상대적으로 명확해 일이 삶을 잠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기제를 통해 끊임없이 삶의 영역에 침투해 들어오는 일로부터 최소한의 삶의 영역을 지키려는 일종의 자구책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즉, 일과 삶을 분리하는 경향은 인간의 내재적 경향인 아니라 삶의 영역에 지나치게 개입해 들어오는 현대사회의 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의식적 선택의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경계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과 삶의 양립문제를 경영관리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통합의 관점에서만 논의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문가들의 사회적 정체성과 친사회적 행동

        채연주(Yeon Joo Chae),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1

        전통적으로 전문직에 관한 연구는 전문직은 동질적 집단이라는 가정 아래, 전문직과 비전문직을 비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직업들이 새로운 전문직으로 부상하면서 전문직 간의 이질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직 간의 이질적 특성, 특히 똑같이 전문직으로 불리더라도 사회적 정당성 측면에서 제도화된 정도가 서로 다른 직업들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보이는 태도와 행동의 차이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제도화 정도가 현격하게 다른 두 직업집단을 선정하여 이들의 사회적 정체성과 친사회적 행동을 비교 연구하였는데, 제도화 정도가 높은 집단으로는 변호사를, 제도화 정도가 낮은 집단으로는 경영컨설턴트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사회정체성 이론과 인지부조화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모형의 핵심은 전문직 종사자들의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조직 동일시(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직업동일시(professional identification), 조직시민행동 (OCB), 그리고 전문가들의 친사회적 행동(professional pro-social behavior) 사이의 관계가 제도화 정도의 차이에 의해 어떻게 조절(moderate) 되는가를 따져 보는 것이었다. 그래서 1) 전문가주의가 조직 및 직업동일시에 미치는 영향과 2) 조직동일시가 조직시민행동에, 그리고 직업동일시가 전문가의 친사회적(pro-social)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모두 변호사보다 경영컨설턴트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이 설정되었다. 총 296명(변호사 : 130명, 경영컨설턴트 : 166명)의 표본에서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두 직업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다만 조직동일시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는 가설에서 제시한 것과는 달리 변호사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본 연구가 보여주는 결과는 전문가로서 기능하는 제도적 기반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경영컨설턴트에게 있어서 조직은 이들이 전문가 정체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경영컨설턴트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제도적 정당성을 더 강한 직업동일시와 전문가의 친사회적 행동으로 정당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직업사회학은 여러 직업들의 전문직화 과정에 초점을 두어 왔다. 반면, 미시 조직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전문가들의 미시적 태도와 행동을 연구의 대상으로 해왔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전문직화 과정에 있는 두 직업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두 흐름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조직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는 전문가 조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Behavioral research regarding professionals has mostly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s are homogeneous. As a variety of occupations have been newly recognized as professional jobs, however, several scholars have recently argued for the need for research into this basic assumption, positing instead that the behaviors exhibited by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s are likely heterogeneous. It is this heterogeneity that is the primary concern of this study, which may be determined by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This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is caused by the level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cquired through formal training systems, official licenses,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so on, which may have an impact on professionals’ attitudes and behaviors. In particular, it affects how a professional in an organization develops his social identity and the extent to which his self-concept is based on his organizational and/or professional membership. As the professional’s self-concept develops, his organization and profession may each have a different degree of importance, leading to dissimilarities in his pro-social behavior toward them.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als’ social identification, we investigated two professional groups that demonstrat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institutionalization: the legal profession and management consultancies. The legal field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significantly stronger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than that of management consultancies. For instance, lawyers must acquire recognized credentials through formal education, licensing, and admission to professional associations. We hypothesized that the two groups will exhibit different patter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 professionalism and social identity and b) social identity and pro-social behavior toward their organizations or professions. Specifically, we tested the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is 1: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other words, management consultants will demonstrat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compared to lawyers. Hypothesis 2: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fication. In other words, management consultants will demonstrat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fication compared to lawyers. Hypothesis 3: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ther words, management consultants will demonstrat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compared to lawyers. Hypothesis 4: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fication and professional pro-social behavior. In other words, management consultants will demonstrat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fication and professional pro-social behavior compared to lawyers. The authors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30 lawyers and 166 management consultants. The results supported hypotheses 1, 2, and 4, but did not support hypothesis 3. Consequently, the organization carried a higher significance for management consultants, because it can play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them as professionals. Management consultants tended to make a gre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