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자언론동이고』에 대한 시론적 고찰-『서경』의 인심 도심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윤상수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1 No.-

        이 논문에서는 한원진의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에서 『서경(書經)』의 인심 도심(人心道心)을 다룬 부분을 대상으로 하여, 이 책의 서문에서 밝히고 있는 세 가지 방법, 즉 저술 연대의 고증, 관련 자료의 비교, 의리적 정합성의 판단이 주자 만년 정론의 확정이라는 이 책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있는지 검토해 보았다. 대단히 상투적이기는 하지만 이 책 역시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인심 도심에 있어서 주자의 초년설과 만년설을 구별한 것, 「답정자상(答鄭子上)」을 가지고 「답채계통(答蔡季通)」을 부정한 것, 그리고 「답진안경(答陳安卿)」 등을 근거로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에서 말하는 ‘형기(形氣)’를 몸으로 보는 것이 주자의 만년 정론임을 논증한 것 등은 분명히 이 책의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의리적 정합성을 기준으로 주자의 만년 정론을 확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 점은 한원진 자신도 의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만년의 저술임에도 불구하고 초년설을 말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속수무책으로 보이기도 한다. 더욱이 이것을 자신의 주장의 근거로 삼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비판을 전개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초년설과 만년설을 구분하여 자신과 자신이 속한 학파의 학설이 주자의 만년 정론과 일치함을 입증하려 했던 이 책의 목적 역시 성공적으로 실현했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한원진은 이 책에서 무엇을 취하고 버릴지는 독자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말하기도 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객관적인 논증이나 고증보다는 자설의 정당성을 입증하려는 주관적인 목적의식이 강했던 점도 하나의 원인이 되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whether the three methods elucidated by Han Won-jin in the preface of Jujaeonrondongeego(朱子言論同異攷)—namely, the verification of the time of writings, mutual comparison of relevant remarks, and judgment based on theoretical consistency—successfully achieve the purpose of this book, which aims to confirm the final conclusion of Zhu Xi(朱熹), especially focused on the part of dealing with Ren Xin Dao Xin (人心道心) of Shujing(書經). Although it may sound somewhat conventional, it seems inevitable to acknowledge that this book also has both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In ‘Ren Xin Dao Xin(人心道心)’,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arly theory and the final conclusion of Zhu Xi, the rejection of 「Answer to Cai Ji-tong(答蔡季通)」 in favor of 「Answer to Zheng Zi-shang(答鄭子上)」, and the demonstration that the ‘Xing Qi(形氣)’ mentioned in the preface of Zhong Yong Zhang Ju(中庸章句) refers to the body, based on 「Answer to Chen An-qing(答陳安卿)」 and others, undoubtedly represent the achievements of this book.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rue that there were certain limitations in establishing Zhu Xi's final conclusion based on theoretical consistency. Han Won-jin seems to have been aware of these limitations himself. And he appears helpless when confronted with remarks expressing the early theory despite his later writings. Moreover, he might not have been able to effectively criticize those who used this as the basis for their arguments. In this regar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purpose of this book, which was to distinguish between the early theory and the final conclusion and to demonstrate that his own and his school's doctrines are consistent with Zhu Xi's final conclusion, has also been successfully realized. As Han Won-jin mentioned, the decisions regarding what to accept and what to reject from this book will ultimately be left to the reader's judg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眞德秀의 ‘心學’ - 심학 개념의 탄생 과정을 중심으로 -

        윤상수 한국동양철학회 2017 동양철학 Vol.0 No.48

        이 글에서는 朱熹에서 비롯되어 蔡沈을 거쳐 眞德秀에 이르러 ‘心學’이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희는 道統論을 주장하면서 그 경전적 근거로서 『書經』 「大禹謨」의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을 제시하는 한편, 堯·舜·禹로부터 시작된 이와 같은 道의 傳授를 “心法의 전수” 또는 “傳心”이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주희의 명을 받아 『書集傳』을 완성한 채침은 스승의 傳心說을 계승하여 “二帝와 三王의 마음” 또는 “聖人의 마음”을 『서경』 전체를 해석하는 핵심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이러한 흐름은 주희의 재전 제자인 진덕수에게도 이어져서 마침내 심학이라는 개념이 탄생되게 되었다. 진덕수는 본래 역대 성현들의 마음에 관한 논의를 이해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수양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심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대우모」의 열여섯 글자를 “萬世 心學의 연원”으로 규정한 그의 말은 이후 유학의 역사에서 심학을 표현하는 전형적인 용법으로서 정착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심학이라는 개념은 주희, 채침, 진덕수를 거치면서 탄생된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程朱理學”, “陸王心學”이라는 후대의 명칭과 그에서 비롯된 선입견과는 달리, 심학은 남송 말 주자학 내부의 전개 과정에서 탄생된 개념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ies a process of the birth of Xinxue(心學), starting from Zhu Xi(朱熹), passing through Cai Shen(蔡沈), and reaching Zhen Dexiu(眞德秀). In insisting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道統), Zhu Xi cited the Sixteen-Character Dictum in the Book of Documents(書經), and defined it as the transmission of mind(傳心). Cai Shen, a student of Zhu Xi, succeeded teacher’s theory and developed the transmission of mind as a key concept for interpreting the Book of Documents. This flow was succeeded by Zhen Dexiu, and finally the concept of Xinxue was born. Originally, Zhen Dexiu used the term of Xinxue in the sense of understanding the discussion about the mind of ancient sages and cultivating the mind through it. But his words, “the Sixteen-Character Dictum that Shun (舜) attributed to Yu(禹) is the origin of eternal Xinxue”, have settled as a typical usage for expressing Xinxue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 of Xinxue was born through Zhu Xi, Cai Shen, and Zhen Dexiu, and unlike the prejudices derived from the name, Cheng Zhu lixue(程朱理學), Lu Wang xinxue(陸王心學), the names given to the later, Xinxue can be said a concept born in the process of Zhu xi school(朱子學) development inside, in the Southern So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