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난 피해자들의 인권침해 경험 연구:인권에 기반 한 접근에 근거해 2000년 이후 사회재난을 중심으로

        유해정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0 민주주의와 인권 Vol.20 No.2

        The study aims to promote a transition in the disaster victims policies by the means of incorporating the human rights views into disaster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paper investigates. within the context of human rights, the experiences of disaster victims of the following three social disasters; Daegu subway fire, Chucheon landslide disaster that victimized volunteering students, and Taean marine corps camp disaster. They occurred between 2000 and before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that is, during a development phase in the national disaster control system.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firstly establishing, on the ground of the human rights-based approach, ten principles related to victim's human rights during the responding to and recovery from disasters, and then by categorizing them into a list of 46 types of right. The results show that regardless of the uniqueness of each disaster, the victims experienced similar and profound violations of human rights over the entire process from the point when the disaster occurred, when people gathered at the accident site, when victims gathered and fire broke out, and when investigation of the truth was going on, all the way to the point when the healing and recovery process was proceeding.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reveal that it is required to turn the existing support to disaster victims, which is based on benefits and necessity, into the view point of human rights, and to formulate policies that are geared towards restoring and protecting the victims' human right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a disaster, and in the afterwards phase of a disaster, in particular.

      • KCI등재후보

        사회적 말하기와 주체성의 발현 -장애 당사자 구술기록의 맥락과 의미를 중심으로

        유해정 참여연대 2020 시민과세계 Vol.- No.36

        The paper aims to arouse academic, practising, and human rights concerns of the oral record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themselves. To achieve the purpose, the paper analyzes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al records by disabled people which were published or made public over the past decade, from the historical, epistemic and human rights perspectives, and within the context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nclude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testimony on human rights violations by disabled people themselves, which remained as a strategy for making the movement a social issue as a supplementary materials for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was adopted as a interdependence strategy for the coexistence around 2010, thereafter building up into an independent field of record with narration and completion. Second, the oral recording by people with disabilities themselves was an attempt to resist, through the context of their life and their everyday stories, the way that society represented the disabled, or collectivized and standardized them as victims or fighters, and furthermore, to restore the uniqueness and individuation of, and subjectify those with disabilities themselves. Lastly, in order for the oral records of the disabled themselves to perform the role as an advanced movement,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 subject remaining unrealized inside the disabled, to represent the thick of voices, to plan for a social listening and a relay speaking, and to empowe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mselves. 본고는 장애 당사자 구술기록의 학문적, 실천적, 인권적 관심을 환기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장애운동의 맥락에서 지난 10년간 발간 혹은 공개된 장애 당사자 구술기록의 맥락과 의미를 역사적, 인식론적, 인권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의 보조 자료로서 장애운동의 사회 의제화 전략으로 활용되어 오던 장애 당사자의 인권침해 증언은 2010년을 전후로 장애 당사자의 공존을 위한 연립 전략으로서 서사와 완결성을 갖는 독자적인 기록의 영역을 구축해오고 있다. 둘째, 장애 당사자 구술기록은 장애 당사자의 삶의 맥락과 일상 이야기를 통해 사회가 기존에 장애 당사자를 인식해왔던 방식, 그리고 피해자 혹은 투사로 집단화하고 정형화해왔던 전형성에 저항하며 장애 당사자 개개인의 고유성과 개별성을 복원하고 장애 당사자들을 주체화하기 위한 시도였다. 셋째, 장애 당사자 구술기록이 보다 발전적인 운동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애 당사자 내부의 비가시화 된 주체에 대한 주목, 목소리‘들’의 두터운 재현, 사회적 듣기와 이어 말하기를 위한 기획, 장애 당사자의 권력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 상장기업의 ESG 경영과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유해정,이현아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ctivities and earnings management of Chinese listed companies, using a sample of 2,054 firm-year observations of companies listed on the Chinese stock exchange A market from 2004 to 2018. The study conduct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SG index provided by Bloomberg and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measured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ESG index of Chinese listed companies, the lower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In addition, ESG is sub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index and earnings management for each dimension,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environmental or governance index, the lower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However, social index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This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ctivities and earnings management can differ depending on the sub-dimensions. In the case of Chinese listed companies, in particular, among ESG activities, environmental and governance dimensions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financial reporting decision-making. This study is the first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ctivities and earnings management of Chinese listed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ESG in Chinese listed companies was recently introduced, the government's top-down policy promotion has an overall effect on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ESG activities. 본 연구는 중국 상장기업의 ESG 경영이 이익조정과 관련된 재무보고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증권거래소 A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ESG 경영은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ESG 평가지수를 이용하고 이익조정 수준은 재량적 발생액을 통해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상장기업의 ESG 평가지수가 높을수록 이익조정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상장기업의 ESG 평가지수가 높을수록 원활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여 이익조정의 유인이 감소하거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재무보고 의사결정을 내려서 이익조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ESG를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세분화하여 각 항목별 평가지수와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환경과 지배구조 지수가 높을수록 이익조정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지수는 이익조정 수준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SG 경영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이 세부 항목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중국 상장기업의 경우에는 환경과 지배구조 항목이 재무보고 의사결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상장기업의 ESG 경영이 비교적 최근에 도입되었으나 정부의 하향식 정책 추진이 ESG 경영의 실질적 시행에 전반적으로 유효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상장기업의 ESG 경영과 이익조정 간의 관련성을 최초로 실증 분석하였으며, ESG 경영을 항목별로 세분화하여 이익조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진다.

      • KCI등재

        부랑인 수용소와 사회적 고통: 피해생존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유해정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8 기억과 전망 Vol.0 No.39

        본 논문은 1960~80년대 권위주의 정권의 부랑인 정책에 의해 강제 격리, 구금됐던 이들의 수용소 경험과 그에 따른 고통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목적이 있다. 서산개척단, 선감학원, 형제복지원 피해생존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기반으로 본 연구는 이들이 생애 전 과정에서 경험한 고통이 사회적 고통임을 증명한다. 이 고통은 ① 부랑인 수용소에서의 폭력적이고 파멸적인 경험 ② 부랑인화됨에 따른 사회적 갈등과 부적응 ③ 사회적 편견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위축, 침묵의 강제 ④ 과거 청산이 이뤄지지 않는 현실 등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 출현, 강화되었으며,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고통이 사회화되기 보단 개인화·개별화됨에 따라 무력감, 자기비하, 죄책감 등에 시달려왔으며, 사회적 분노와 원망을 갖게 됐다. 고통은 외상 증후로도 발현되어 일상생활의 영위와 가정적·사회적관계 구축, 개인의 존엄 회복에 큰 난관으로 작동하고 있다. 과거 청산과 정치적책임을 통한 사회적 치유가 시급한 이유다.

      • KCI등재

        세월호 유가족의 정치적 애도와 416운동

        유해정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8 시민사회와 NGO Vol.16 No.2

        The study examines the process the condolences were shaped, organized and socially revealed by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Sewol-ho Ferry disaster who had had their sons and daughters from Danwon High School. The bereaved families put themselves forward in the middle of the precipitous funeral process as a key player in the 416 Movement, which was organized to call for fact-finding and for building a safe society. This was because they realized the (non)feasance by the government in dealing with disasters, along with the politico-social conditions under which the act of offering condolences was not made possible. They organized themselves in order to reveal the truth behind the death and to realize justice. The political condolences by the bereaved families were actualized through the 416 Families Council. However, it was small groups including meetings by school class, 416 Handicraft Workshop that developed and sustained the council itself. In addition, with a view to socially spreading the political condolences, they have constructed social solidarity and organized for citizen participation by creating and practicing a variety of unprecedented and unique methods of movement. Through this, the political condolences, which continued over the past four years, are calling for responsibilities to change the present, to mourn and remember, and to transform the future. 본 연구는 세월호 단원고 유가족이 어떻게 정치적 애도를 시작하고 이를 416운동으로 발현, 지속할 수 있었는지를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이들이 황망한 상의 과정 중에 진상규명과 안전사회건설을 요구하는 416운동의 주체로 나서게 된 것은 참사 전과 참사 과정에서의 국가 (부)작위를 넘어 참사 이후 애도가 불가능했던 정치·사회·문화적 조건 때문이었다. 이들은 참사의 진상을 밝히고 정의를 구축하기 위해 스스로를 조직하고 동원했다. 416가족협의회를 구성해 416운동을 견인하고 동참해왔는데, 416가족협의회를 중심으로 유례없고 지속적인 재난 유가족 운동이 가능했던 건 이 조직을 그물망처럼 촘촘히 구성했던 반별 모임과 다양한 소모임들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면대면의 특성을 가진 이러한 소규모 집단들은 유대와 신뢰, 치유 등을 통해 안정적인 정치적 애도 수행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유가족들은 참사의 사회적 구성 맥락에서 참사의 의미와 고통을 재현하는 특징적이고 다양한 운동방법들을 통해 세월호 참사의 의미를 재구성하며 정치적 애도를 외부로 확산시켜왔다. 시민들의 참여와 동참은 세월호 참사의 충격을 넘어 유가족들의 헌신적이고 진정성 있는 운동을 통해 형성됐다.

      • KCI등재

        유가족다움의 사회적 낙인과 대응 전략: 세월호 참사 단원고 희생학생 부모의 경험과 사회적 치유를 중심으로

        유해정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0 시민사회와 NGO Vol.18 No.2

        The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ways of social healing fo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study investigates the response by the bereaved of Sewol Ferry Disaster to the social stigma of 'befitting the bereaved', which constitutes a secondary violence. With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the bereaved families entered the realm of public controversy in order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truth. However, the families were forced by the social power to have attitudes that are regarded as befitting the bereaved in routinized and de-politicized terms. To be specific, the social power forced the bereaved families to have certain types of emotions, attitudes and behavior, on the one hand. It oppressed political participation by the families using such tools as anonymization, adaptation and isolation, thereby degrading their autonomy and dignity, on the other hand. Responding to this, the families of the victims refused to remain de-politicized as a strategy to find the truth. In order to fight against the routinized image of the bereaved, they took on a variety of strategies including censorship and regulation through internalization; social isolation, passing and covering; social resources strategy; and resistance and deconstruction. Such factors as victimized children, the 4.16 Family Association, and meetings with condolences-offering citizens, as well as severe insight into power, served as major power to resist and deconstruct not only the routinized but also the de-politicized image of bereaved families. In order to resolve the social branding of 'befitting the bereav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ee the demand for attitudes that are regarded as befitting the bereaved as a product of power games. Secondly, it is needed to guarantee the right of the bereaved to truth revealing and damage recovery. And thirdly, a transition in social awareness is necessary towards the bereaved. When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dignity of the bereaved, along with that of the victims, will be recovered, and social trust that has collapsed will be reconstructed, upon which the possibility of social healing will be opened and accordingly life will be recovered. 본고는 재난참사의 사회적 치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를 위해 2차 가해 중 하나인 유가족다움의 사회적 낙인에 대한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의 대응을 다룬다. 참사 이후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을 위해 공적 논쟁에 장에 진입했는데, 사회적 권력에 의해 일상적 유가족다움과 탈정치화된 유가족다움을 강요받았다. 일상적 유가족다움이 일정한 감정, 태도, 행동을 강요하며 피해자의 무고함, 순수성, 도덕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탈정치화된 유가족다움은 익명화, 순응화, 고립화를 통해 이들의 정치 참여를 억압하며 삶의 자율성과 존엄을 훼손해왔다.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을 위한 전략으로 탈정치화된 유가족다움을 거부하고, 일상적 유가족다움에는 △내면화를 통한 검열, 단속 △사회적 고립, 패싱, 커버링 △사회적 자원화 △저항과 해체 등으로 대응해왔다. 권력에 대한 통렬한 통찰과 함께 △희생된 자녀 △4·16가족협의회 △애도하는 시민들과의 만남은 탈정치화된 유가족다움은 물론이고 일상적 유가족다움에 저항하고 이를 해체하는 중요한 동력으로 작동했다. 유가족다움의 사회적 낙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유가족다움을 권력 작용의 산물로 접근하고 △진상규명 및 피해회복 등에 대한 유가족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유가족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것이 기반이 될때 유가족과 고인의 명예가 회복되고, 무너진 사회적 신뢰를 재건해 삶이 회복되는 사회적 치유의 가능성이 열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