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식론적 신념과 정보활용능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유종열(Yu Jongyo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인식론적 신념, 정보활용능력, 학업 성적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 시내 소재 6개 중학교 2학년 434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0일부터 7월 19일까지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SPSSWIN 23.0 및 AMOS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측정하였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인식론적 신념이 정보활용능력과 학업성적에 미치는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론적 신념은 정보활용능력과 학업 성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보활용능력은 인식론적 신념과 학업 성적을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업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는 선형적(liner)이고 일방적이기 보다는 비선형적이고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t surveyed 434 second graders of six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from July 10 to July 19. The study measured the general trait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tools using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programs of SPSSWIN 23.0 and AMOS 23.0; it also, through path analysis, analyzed total effects, direct effects,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nalyses, epistemological belief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formation literacy linked epistemological belief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suggest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re nonlinear and interdependent rather than linear and one-sided.

      • 교사의 인구교육 전문성 향상에 대한 연구 -수업 관찰·평가 능력을 중심으로-

        유종열 ( Yu, Jongyoul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5 인구교육 Vol.8 No.-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인구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구교육(수업)에 대한 관찰 및 평가능력을 키워야 함을 이론적·실천적으로 검토하고 그 타당성을 주장하였다. 수업 관찰과 평가는 친근한 것에서 이질적인 것으로 진행해야 하며, 내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서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나의 수업에 대한 반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리고 나서 같은 공간에서 수업을 전개하는 동료 교사의 수업에 대한 관찰과 평가, 그 이후에 다른 학교·학교급·학년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관찰·평가하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찰·평가를 바탕으로 자신의 수업을 다시 반성적으로 성찰해 보는 선순환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와 함께 인구교육(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인구교육 관련 수업을 관찰·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교원 양성기관, 임용과정, 재교육기관에서 제도적으로 보장하여야 하며, 인구교육 관련 수업 공개와 멘토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교사 자신이 스스로 수업 관찰자 겸 평가자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The research studied the theoretical, practical necessity and validity of enhancing the ability to review and assess population classes in order to improve social studies teachers' professionalism m population education. The research also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stitutionaliz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opulation classes review and assessment in the field of teacher training schools, teacher appointment process, and re - education organization.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population eduction should be positively supported with demonstration classes and mentoring programs. On top of that, it emphasized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perceive themselves as both a class observer and evaluator of their own classes.

      • KCI등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인구교육 내용 분석

        유종열(Yu, JongYo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인구교육 내용을 추출ㆍ분석하고, 새롭게 편찬될 사회과 교과서의 집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구교육 내용 선정에서는 환경확대법이, 내용 조직에서는 나선형 교육과정이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과목 영역에 따라 인구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지리 영역의 과목에서는 공간의 변화, 특히 이주에 주요한 방점을 찍고 있었다. 이에 반해 일반사회 영역의 과목에서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다양한 사회변동 모습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하고 적극적으로 참여케 하는 자세를 기르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이와 함께 앞으로 새롭게 편찬될 사회교과서에서의 인구 교육 내용을 집필할 때는 관련 학문의 계통성과 학생의 경험적 발달 과정을 고려해야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고 내용이 적절ㆍ정확ㆍ공정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intended to analysis population education within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discussed fundamental considerations related to textbook writing. The analysis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vealed that its contents followed the expanding environment principle partially according to spiral curriculum. In addition, geography focused on population distribution and movement with spatial concept as its center. General sociology mainly dealt with social problems due to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Lastly, the research suggested that future textbook should consider both academic systemicity and learners’ empirical development when it comes to population education. The future textbook also has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and its contents should be proper, accurate, and fair.

      • KCI등재

        외국어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의 문화간 감수성 비교 연구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3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본 조사 대상자 전체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5.0 만점에 3.50이었으며, 평균점(3.5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문화차이 존중도(평균: 3.85)와 상호작용 참여도(평균: 3.55)는 평균보다 높았으나, 상호작용 향유도(평균: 3.45), 상호작용 주의도(평균: 3.41), 그리고 상호작용 자신도(평균: 3.08)는 평균보다 낮았다. 그리고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문화적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3.59였으며,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 평균은 3.43이었다. 이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다섯 개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참여도(외국어고: 3.65, 일반계고: 3.46. 유의도: .000), 문화차이 존중도(외국어고: 3.96, 일반계고: 3.77. 유의도 .000), 상호작용 자신도(외국어고: 3.15, 일반계고: 3.02. 유의도: .037), 상호작용 향유도(외국어고: 3.50, 일반계고: 3.33. 유의도: .003)에서 외국어고 학생들이 일반계고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compares intercultural sensitivity betwee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and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tands relatively high, marking 3.50 out of 5.0. Compared to the average point(3.50),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average 3.85) and ‘Interaction Engagement’ (average 3.55) occupies higher positions than the average, but ‘Interaction Enjoyment’(average 3.45), ‘Interaction Attentiveness’(average 3.41), and ‘Interaction Confidence’(average 3.08) are below the average. In additio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possess a higher intercultural sensitivity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shows 3.59 on the average, while that of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marks 3.43. These figures provi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at is,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hold higher places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ve subdivisions such as ‘Interaction Engagement’(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65, regular high schools: 3.46. p: .00),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96, regular high schools: 3.77. p: .000), ‘Interaction Confidence’(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15, regular high schools: 3.02. p: .037), ‘Interaction Enjoyment’(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3.50, regular high schools: 3.33. p: .003)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학 관련 내용 분석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2

        이 연구는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발된 15개의 사회 교과서 중 10개 교과서를 선정하여 사회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0개 교과서 모두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학 관련 내용 요소들을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별로 반영하고 있는 학습 요소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동일한 사회학적 개념에 대해서도 서로 다르게 설명하는 내용 요소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검정 교과서 제도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별로 다루는 내용 요소에서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학생들이 혼란을 느끼게 된다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입학시험이나 전국 단위 학력 평가에서 시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최소필수내용요소’를 제시하거나 내용 편성은 교과서 집필자에게 맡기는 대신, 입학고사나 전국단위의 학력평가는 ‘최소필수내용요소’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한다면 교과서간 기술 내용의 차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함께 사회과 교사들이 다양한 교과서에 수록된 사회학 관련 내용들을 종합적 파악하여 수업에 임한다면 교과서별 내용 차이에서 오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comparatively analyze how the 7th graders’ social studies textbooks embrace the sociologyrelated units on the basi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ten textbooks among fifteen newly edited ones. All the books in the study embodied substantially the contents that 2007 curriculum recommends. Each textbook, however, presented different details with regard to particular contents. In addition, the same contents even revealed differentiation in terms of way of explaining or delivering meanings. Different factors in textbooks have possibility of making students confused. This might discolor advantages of the system of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compensation of the defect, it is recommended to identify ‘minimal learning contents’ and introduce the hierarchy of the concepts included in textbooks, on the basis of which evaluation questions should also be developed.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연구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은 정교한 수준에 도달해 있었으며 학년 간, 전공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1순위로 꼽은 좋은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이었으며, ‘학습자의 사고력을 길러주는 수업’, ‘학습자들에게 흥미있는 수업’이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할 지식으로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을 가장 중요시 하였다. 넷째, 앎에 대한 신념이 정교한(sophisticate) 예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에 비해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좀 더 중시하였다. 그리고 지식과 앎에 대한 신념과 좋은 수업 실행을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할 지식의 종류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면서, 창의적인 인성을 갖춘 예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들의 지식과 앎에 대한 신념, 즉, 인식론적 신념을 정교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운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and their perception of good less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represented a highly sophisticated level, hav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grade and major; secondly, the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selected ‘lessons with ac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 the number one good lesson, followed by ‘lessons enhancing thinking ability’ and then ‘lessons intriguing students’; thirdly,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subject contents knowledge’ as the essential qualification necessary for teachers to implement good lessons; fourthly, those who have more sophisticated epistemological belief in knowledge set a higher value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an those no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lief in knowledge and teacher qualifications for good lessons. The researcher, based on those findings, argued that creative preservice teachers in this information age could be cultivated through developing and managing programs, which aim to sophisticate their belief in knowledge, or epistemological belief.

      • KCI등재

        저출산 문제에 대한 사회 이론적 접근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4

        이 연구에서는 교환이론의 관점에서 저출산 문제를 검토하고 그 정책적 대안들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환이론의 형성과 발전, 출산율의 변천과정과 원인, 그리고 교환이론적 관점에 터한 저출산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논의과정을 통해 사회과 교육 전문가들과 실천가들로 하여금 출산율 저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 가능성을 이해하고 대안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고민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교환이론은 행태주의, 합리적 선택이론, 집단의 사회심리학에서 영향을 받은 이론으로서 1960년대 이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론 자체의 정교화와 유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환이론에서는 사회문제 해결방안으로 균형화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한 균형화 전략에는 먼저, 동등한 가치의 다른 것으로의 보상이 있다. 둘째, 다른 보상 원천의 개발이 있다. 셋째, 새로운 자격이나 지위 획득이 있다. 제도 개선을 통해 유자녀 가구에 대해 새로운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넷째, 강제력의 사용이다. 이는 자녀가 있는 가구와 그렇지 않은 가구 간에 사회적 혜택에서 차별을 두는 것이다. 다섯째, 연합적 활동이 있다. 유자녀 가구의 가구주 혹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대우 개선을 위한 사회 행동을 전개하고 정치적 압력을 행사하기 위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유자원의 질 향상이다. 유자녀 가구의 여성을 위한 특기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교환 자원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problems of low fertility in terms of exchange theory, providing alternative policies to the issue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 intends to find solutions to low fertility, based on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xchange theory, the changes and the causes of fertility, and the viewpoint of exchange theory. Exchange theory is affected by behaviorism, rational choice, and social psychology. The theory has been under vibrant research since the 1960’s, extending its sophistication and usefulness. It has enormous potentials for development as a sociological theory. Exchange theory normally seeks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through balance strategies. The first balance strategy is compensation through a substitute equivalent to a loss. The second is developing other sources for compensation, such as providing various income sources for childbearing women. The third is acquisition of new qualification and position, which abolishes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ose women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 The fourth is enforcement of legal force, which makes distinction between families with children and families with no children. The fifth is solidarity, which develops social actions for enhancing childbearing women’s status and treatment or exercises the right to vote for political pressures. The last is upgrading the quality of those women’s property, which enhances the value of exchangeable resources with specialty development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