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일부 인쇄회로기판 납땜근로자들의 눈, 호흡기, 피부의 증상에 대한 조사연구

        유재영,우극현,김진석,함정오,최태성,하봉구,정상재,박신구,김일룡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이 연구는 납점작업자를 대상으로 납점작업으로 유발될 가능성이 높은 눈, 호흡기, 피부 등의 증상호소율 및 노출강도에 따른 관련성을 파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연구참가자 146명중 연구목적에 적합한 20명을 제외한 126명을 대상으로 '눈이 가렵고 충혈됨', '코가 가렵거나 파가움', '재채기', '콧물'. '코막힘' , '목이 따끔거림' , '목에 무언가가 걸려있는것 같음' , '갑자기 연속적인 기침을 함' , '운동 시에 다른 사람에 비해 숨이 가쁨', '숨을 쉴 때 쌕쌕하는 소리가 남', '가래가 끓음', '손이나 안면에 가려움을 느낌' , '안면에 여드름이 날' '손이나 안면에 붉은 반점이 남' 등 14가지 증상에 대한 경험유무와 혈중연농도, 납점작업의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지식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조사된 14가지의 증상 중, '갑자기 연속적인 기침을 함'이 하루 납점시간 4시간 이상인 군아서 4시간 미만인 군보다 유의하게 증상호소율이 높았으며, 다른 증상의 경우 하루 납땜시간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납땜작업의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질문에 12.8 %가 플럭스에 의한 건강위험을 지적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혈중연농도는6.05 rg/dL였으며, 히고치는 15.50 rg/dL이었다.결론 : 납땜작업자에게 호흡기 증상의 위험이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납땜작업의 건강위험에 대한추가적인 연구와 납점작업자들을 대상으로 납점작업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건강장해에 대한 적극적인교육 및 홍보활동을 필요로 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ocular, respiratory and skin symptoms among solder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prevalence and exposure intensity. Methods : We analyzed 126 eligible participants out of a population of 146 male solder-ers who completed the symptom questionnaires. Fourteen symptoms including 'itchy and red eyes', 'itchy or prickly nose', 'sneezing', 'rhinorrhea', 'blocked nose', 'prickly throat', 'foreign body sensation in throat', 'sudden bouts of coughing', 'exertional breathlessness', 'wheezing', 'sputum production', 'itchy face or hands', 'acneiform erup-tions on the face' and 'red spots on the face or hands' were contained. Blood lead levels of all the 126 participants were tested and the participants' own assessments of the health risk of soldering were collected. Results : Of the 14 investigated symptoms, 'sudden bouts of coughing' was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solderers who worked 4 hours or more a day than those who worked less than 4 hours a day, as for the other symptom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s related to daily soldering hours. 2.8% of the solderers considered the risk of flux exposure to be serious. The mean blood lead bevel was 6.05 μg/dL (maximum 15.50 μg/dL). Conclusions : Soldering may increase the risk of respiratory symptoms. Further invert tigations on the hazards of soldering processes are warranted and solderers should be educarted on these hazards.

      • KCI등재

        2.5-헥산디온에 노출된 근로자에게서 발생한 말초 신경병증

        조성용,장용석,최은경,김진석,유재영,우극현,최태성 대한산업의학회 2007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9 No.1

        목적: 영상음향장비 제조업체에서 2,5-헥산디온을 취급한 근로자에게서 발생한 다발성 말초 신경병증 환례를 보고하고, 동일 공정근로자들의 말초 신경기능을 조사하고 자 한다. 방법: 환례에 대해 방사선학적 검사, 소변 및 혈액 검사, 신경전달속도 검사, 작업환경 측정을 하였으며, 2,5-헥산디온의 노출을 중단시킨 후 5개월 후에 다시 신경전달속도 검사를 하였다. 동일공정 근로자들의 영향평가에서는 2,5-헥산디온에 노출된 13명의 남자 근로자를 노출 군으로, 해당 물질에 노출된 적이 없는 5명의 남자 근로자를 비노출군으로 선정하여 검사를 하였다. 결과: 환례의 신경전도 검사결과 양측 척골신경과 정중 신경에 이상소견을 보였으며, 호전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5개월 후 추적검사를 실시한 결과 증상 및 신경전달속도 검사결과가 호전되었다. 동일공정 근로자들의 영향평가에서 노출군의 정중 신경과 척골신경이 비노출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감각 신경의 진폭의 경우, 노출군의 정중 신경과 비복 신경이 감소되었으며, 운동 신경 전도속도에서는 노출군의 비골신경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말단 잠복기에서는 노출군의 정중신경, 척골신경, 비골신경, 경골신경이 비노출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연장되어 있었다. 결론: 환례의 증상과 신경전달속도 검사의 이상소견은 2,5-헥산디온에 의한 말초신경병증에 부합되었다. 동일공정 근로자 건강영향평가에서 신경전달속도 검사결과 노출 군과 비노출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를 통해 2,5-헥산디온이 근로자들의 신경독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case report of 2,5-hexanedione induced occupational peripheral polyneuropathy. We also investigated the peripheral nerve function of all workers who had been exposed to 2,5-hexanedione in the same process. Methods: In June, 2006, a 2,5-hexanedione exposed worker complained of both hand numbness. He received neurologic, radiologic, laboratorial and electrophysiologic evaluation, including measurements of workplace environment. Five months after cessation of exposure to 2,5-hexanedione, a follow-up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 was done. We evaluated the peripheral nerve function of 2,5-hexanedione exposed workers by comparing 13 male 2,5-hexanedione exposed workers who were in same company with the patient and 5 male workers who had not been exposed to 2,5-hexanedione. Results: Under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 there were abnormalities in sensory and motor nerve velocity, terminal latency, and F-latency of both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After 5 months, the patient symptoms and the results of follow-up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s were improved. Comparing the 2,5-hexanedione exposed group with the unexposed group, the sensory nerve velocity of the median and ulnar nerves in the exposed group was decreased. The motor nerve velocity of the peroneal nerve, and sensory nerve velocity of the median and sural nerves were decreased. Terminal latency of median, ulnar, peroneal, and tibial nerves in the exposed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unexposed group(<0.05). Conclusions: 2.5-hexandione can induce peripheral polyneuropathy in male workers.

      • 흡연습관의 변화가 혈청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신용하,이종영,김진석,유재영 순천향의학연구소 2003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9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smoking status change on the lipid profile levels and to construct fundamental data on smoking and health promotion. Methods : 581 male examinees who had taken two times of general health screening tests for aged people from 1996 till 2000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 continuous non-smoker, continuous smoker, smoking stopper and new smoker and change of serum lipid profile levels between two times of tests among 4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 At the first tests, 344(59.2%) out of 581 examinees were smokers and among them, 30(5.2%) stopped smoking while among initial non-smokers, 28(4.8%) began smoking.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ccording to smoking status change were +6.8±27.4 for continuous non-smokers, +11.2±25.0 for continuous smokers, +10.8±28.7 for smoking stoppers, and -7.6±22.5 for new smokers (adjested by alcohol intake and obesity index, p=0.002). Differences of triglyceride levels by smoking status changes were -3.9±78.5 for continuous non-smokers, -13.6±89.6 for continuous smokers,+5.5±65.0 for smoking stoppers, +31.4±73.7 (adjusted by alcohol intake and obesity index, p=0.048) Conclusions: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restricted sense since there had not been effective controls over important confounding variables that might have been related to serum lipid profile levels, like changes of health belief or behavior, For smoking cessation to be more effective strategy for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s, elevation of lipid profile levels and weight gain following smoking cessation should also be prevented through concomitant dietary modification and sufficient exercise.

      • KCI등재

        주성분이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인 재생 세척제를 취급하는 근로자에서 발생한 독성간염 1예

        하봉구,김진석,유재영,우극현,함정오,윤성용,장용석,정상재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2

        목적 : 주성분이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인 재생 세척제를 취급하는 근로자에서 발생한 독성간염 1례를 보고한다. 방법 : 열감,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염화메틸렌을 사용하여 세척한 반도체 부품을 검사, 포장하는 작업에 종사한 27세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 간 초음파 검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등의 임상검사와 작업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환자는 입원 후 시행한 검사실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상 급성 간염의 소견을 보였다. A, B 및 C형 간염 표지자 검사 및 자가면역성질환 검사 등은 모두 음성이었다. 문진 상 알코올성 간염을 일으킬 정도의 음주력이나 관련 약물의 복용 및 약물 알러지의 병력이 없었다. 입원 후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 및 검사실 소견이 급속히 호전되었다. 퇴원 후 작업장에 복귀하여 염화메틸렌에 재 노출되었을 때 이전의 증상이 재발되어 작업 2일 후 재입원 하였다. 재 입원 후 시행한 검사실 검사에서도 급성 간염의 소견을 보였고, 전회와 동일한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고 간효소 수치가 정상화되어 입원 12일째 퇴원하였다. 결론 : 환자의 임상증상, 검사결과, 노출력 및 과거력상 본 증례에서의 간손상이 염화메틸렌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Objectives: To report a case of toxic hepatitis in a worker exposed to a cleansing agent mainly composed of methylene chloride. Methods: A 27-yea-old female worker who had worked in an inspection and p a h g position of semiconductor parts in a factory using methylene chloride as a metal cleansing solvent was hospitalized due to fever, chill and generalized aches. We evaluated her with blood tests, abdominal ultrasonographic scan and abdominal CT scan and also took h a occupational history. Results: The patient showed acute hepatitis in blood and radiologic tests after admission. The serologic tests for viral hepatitis A, B, C and autoimmune hepatitis were negative. She had no history of significant alcohol use, recent medication or drug allergy. After admission, her symptoms were improved and liver enzyme levels(AST and ALT) were markedly reduced. She returned to her workplace after discharge. Thereafter, however, her previous symptoms were recurred and she was hospitalized again 2 days after reaming to her workplace. After this second admission, she showed acute hepatitis in blood tests and her symptoms were improved and liver enzyme levels were markedly reduced with the same pattern as those of the first admission. On the 11th day of the second admission, liver enzyme levels were normalized and she was discharged from hospital. Conclusions: We presume that this patient's fiver injury was related to the methylene chloride presence at her workplace due to her clinical symptoms, blood bests, radiologic tests and occupation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