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지배구조와 내부통제품질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유승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배구조등급과 내부통제품질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기업지배구조는 기업지배구조원에서 제공하는 기업지배구조등급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둘째, 내부통제품질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총 운영인원 수, 총 회계사 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기업지배구조, 내부통제품질, 그리고 두 변수의 상호작용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기간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이며 본 연구에 사용된 최종 표본수는 3,297개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지배구조등급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기업지배구조변수가 이익조정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총 인원수와 총 회계사수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총 인원수 변수와 총 회계사수 변수가 이익조정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업지배구조등급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총 인원수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호작용효과를 추가하여 살펴본 결과, 기업지배구조등급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총 인원수의 상호작용효과변수가 이익조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지배구조등급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총 회계사수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호작용효과를 추가하여 살펴본 결과, 기업지배구조등급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총 회계사수의 상호작용효과변수가 이익조정행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추가분석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감사위원 수, 이사회 수, 회계부서 수, 자금부서 수, 기타부서 수로 구분하여 기업지배구조등급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면, 감사위원회 인원수와 이사회 인원수가 이익조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직원보다 관리직의 인원수가 내부통제에 효과적이라는 것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등급과 내부통제품질이 이익조정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기업지배구조등급과 내부통제품질의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한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기업지배구조와 더불어 내부통제품질(내부관리회계제도)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라 생각된다.

      • 성별에 따라 상의에서 발견된 글리터 개수의 차이에 관한 연구

        유승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글리터는 미세증거물의 종류 중 하나로, 변별력이 높은 증거에 해당한다. 글리터는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며 일정한 형태와 크기를 갖도록 알루미늄이나 포일 sheet를 절단하여 제조한다. 제조된 글리터를 여성이 사용하는 화장품에 혼합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성범죄 사건에서 여성 피해자가 사용한 글리터류 화장품은 성범죄가 일어나는 과정 중 가해자의 상의로 전이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미세증거물에 비해 글리터의 전이와 탈락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범죄와 관련이 없는 사람의 상의에서 글리터가 얼마나 발견되는지 확인한 연구는 진행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생활을 하던 사람의 상의에서 글리터가 발견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상의에서 발견된 글리터의 개수를 성별에 따라 비교하고자 하였다. 학교에 출입하는 일반인 또는 학생을 대상으로 남성 20명과 여성 20명을 피실험자로 모집하였다. 피실험자는 자유롭게 일상생활을 한 후, 입고 있던 상의를 탈의하여 제출하였다. 상의에서 발견되는 글리터의 출처를 추적하기 위해 피실험자에게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자유롭게 일상생활을 한 피실험자의 상의를 USB microscope로 관찰한 결과 남성의 상의에서 글리터는 발견되지 않았다. 여성은 2명의 상의에서 7개의 글리터가 발견되었으며, 발견된 글리터의 출처는 두 여성이 각각 사용한 아이섀도로 추정할 수 있었다. 남성의 상의에서 글리터가 발견되는 것은 흔하지 않으며, 여성이 사용한 아이섀도에서 탈락한 글리터는 여성의 상의에서 발견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Glitter is one of the types of trace evidence and corresponds to evidence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Glitter has the properties of reflecting light and is manufactured by cutting an aluminum or foil sheet to have a certain shape and size. The manufactured glitter can be mixed with cosmetics used by women and sold. Glitter cosmetics used by female victims in sex crime cases can be transferred to the perpetrator's top during the process of sex crim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glitter transfer and persistence compared to other trace evidence, and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confirm how much glitter is found on the tops of people who are not related to crim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if glitter could be found on the tops of people who lived in daily life, and to compare the number of glitters found on tops by gender. 20 men and 20 women were recruited as study participants for students or the general public who entered the school. After study participant had a free daily life, he took off the top he was wearing and submitted it.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to trace the source of the glitter found on the top.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tops of study participants who lived their daily lives with USB microscopes, no glitter was found on the men's tops. Seven glitters were found on the two tops of the woman, and the source of the found glitter could be inferred from the eye shadows used by the two women, respectivel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ot common to find glitter on men's top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litter that fell off from the eyeshadow used by women could be found on women's tops.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 및 비장애아동간의 또래관계형성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유승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nditions and factors need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o form a positive and interactive peer-relationship with non-disabled children in class in the process in order to promote a healthy growth into members of the society, and analyzing the establishing process to determine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is, a precise and thorough understanding was required on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s established in actual inclusive classeses, what the conflicts are, how they are resolved, and the common features and factors of inter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eme of ‘How the peer-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students is established’. The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was applied as the research method, whil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various methods, in this case 5 sessions of eac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nd group interview, and 7 sessions of each observation and monitoring activity. By organizing and enumerating different environments and research methods, the data that were testified or observed in common were admitted to the databas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October 2011 and the subjects were 8 boys and girls in total including disabled children that have been in the same class from the first year entrance to the current sixth grade. As the result of open coding 15 categories, 36 subcategories and 111 concepts were deducted. The causal condition from axial coding is ‘beginning of relationship’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friends exchanging help’, ‘beginning of conflict’ while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is phenomenon were ‘cognition of disability’, ‘taking an interest/having concerns’, ‘intentional approach’, and ‘feelings of loss’. The mediating conditions that promote or suppress the strategy in such phenomena or contexts were ‘power of education’, ‘spontaneity, ‘condition of affirmation’, ‘lapse of time’, and ‘personal growth’.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resolving conflict’, ‘adapting to conflict’, ‘change in relationship’, ‘befriending’, ‘effort to maintain friendship’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shown to be ‘bond of sympathy within the same class’ and ‘formation of a community’. The most important key category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 ‘horizontal peer relationship that supports and guides each other’. Such core category indicates that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 inclusive classes environment identify each other’s difference and make contact, experience the forma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 in exchanging help by education, guidance and spontaneous activity by themselves. Furthermore, it was also shown that disabled children realize their independent activity and responsibility as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hence make an effort to minimize the support through personal growth, while non-disabled children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that disabled children are their colleague and accept them as peers.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developing statements depending on this core category based upon possible relationships that might exist between the categories of each strategy and results, 6 hypothetical relationship statements were developed. By constantly comparing these hypothetical relationship statements with supporting data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 that recur between the categories, 4 types were identified: ‘spontaneous friendship’ ‘coping with different situations’ ‘evasion of relationship ’ and ‘temporary involvement’. According to process analys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eer-relationships between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in inclusive classeses of elementary school’ was the meeting stage → nterest stage → friendship stage → support·conflict stage → resolution of conflict·indifference stage → intimacy forming stage → horizontal peer-relationship stage where children support one another. Developmental aspects of peer-relationship formation and its interaction in inclusive classes were understood through situational model by classifying personal factor, teacher·family factor, nation·community factor and school·local welfare organization factor. The resulting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hat it materialized the phenomenon and enabled the suggestion of supporting theory via qualitative approach to the studies that only deducted effectiveness from pedagogics or program development targeting children in current inclusive classeses. First, it presented the paradigm of peer-relationship formation process in inclusive classes, second, suggested factors that take part in the formation of peer-relation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and third, suggested the types of peer-relationships of children in inclusive classes and their application plan. In conclusion, the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horizontal peer-relationship in which support is exchanged’ in inclusive classes is: first, the establishment of supporters by introducing the roles of peer-relationship mediator and collaborator in inclusive classes, second, the management of an orientation program for special classes by the types of disability in order to run a systematic inclusive classes, third, an introduction of obligated requirement of disability education and experience affiliated with loc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school level, and finally, the arrangement of policy and support for the actual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es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office of education in local government. Key words : inclusiv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peer-relationship establishment process, grounded theoric approach

      • 오일 종류에 따른 클렌저 제형의 특성 및 클렌징 효과 연구

        유승주 동덕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모를 관리하는데 있어 화장 못지않게 클렌징의 중요성도 부각되면서 자신들의 피부 타입이나 상황에 적합한 클렌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수많은 종류의 클렌저가 시중에 나오고 있지만 클렌저의 핵심인 베이스 오일이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클렌저의 기본적인 특성 및 클렌징 효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렌저의 핵심인 베이스 오일을 달리하여 클렌징 오일과 클렌징 로션을 만들고 각각의 제형별 기본적 특성을 살펴보고 클렌징 효과의 정량적 비교 평가를 실시하였다. 베이스 오일로는 광물 오일인 미네랄 오일, 액체 왁스인 조조바 오일, 식물성 천연 오일인 살구씨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등 4 종류를 선택하였다. 클렌징 로션의 분산상 입자 크기를 비교한 결과 미네랄 오일로 만든 로션의 분산입자 크기가 가장 작고 그 다음 조조바 오일 순으로 분산 입자크기가 작게 나타났다. 비중이나 표면장력 측정에서도 미네랄 오일 및 미네랄 오일로 만든 제형들이 다른 오일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값들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조조바 오일 순으로 나타났으며 살구씨 오일과 스위트 아몬드 두 천연 오일 간에는 측정값들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점도 측정에서 클렌징 오일은 베이스 오일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클렌징 로션의 점도는 점증제에 의존하므로 베이스 오일의 종류에 무관하게 점도값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클렌징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결과, 클렌징 오일의 세정력(69-95%)이 클렌징 로션(59-88%) 보다 대체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베이스 오일 별로 클렌징 효과를 비교한 결과, 두 제형에서 모두 미네랄 오일> 조조바 오일> 살구씨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순으로 나타났고 미네랄 오일과 스위트 아몬드 오일 간 세정력의 차이는 만든 제형의 종류에 따라 14-29% 정도의 분포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하여 광물 오일인 미네랄 오일이나 천연 액체 왁스인 조조바 오일로 만든 클렌징 제품은 클렌징 효과나 제품의 사용감 측면에서 다른 식물성 천연 오일로 만든 클렌징 제품보다 우수한 특성을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As cleansing is being recognized as important in skin care, consum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lecting cleansers according to their skin type or conditions.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cleanser types and brands on the market, research on their unique properties and cleansing action is very limited.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cleanser formulations with different types of base oil, which is main component in cleanser formulations, followed by the quantitative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ir cleansing actoin. Four types of base oils, namely, mineral oil, jojoba oil, apricot kernel oil, and sweet almond oil, were chosen for this study. A comparison of particle size of the dispersed phase in cleansing lotion revealed that mineral oil has the smallest particle size, followed by jojoba oil. Mineral oil as well as formulations containing mineral oil displayed the lowest specific gravity and surface tension, followed by jojoba oil. Apricot kernel oil and sweet almond oi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values. The viscosity measurement revealed that the viscosity of the cleansing oil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viscosity of the base oil; however, since a thickener is added to the cleansing lotion, the viscosity of the cleansing lotion does not depend on the viscosity of the base oil.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cleansing action are as follows. Cleansing oils had a substantially higher cleansing action than cleansing lotions (69–95% vs. 59–88%). In case of both formulations, the cleansing action of the base oil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mineral oil > jojoba oil > apricot kernel oil > sweet almond oil. The differences in cleansing power between mineral oil and sweet almond oil ranged from 14 to 29%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typ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leansing products based on mineral oil outperform those made from other oils in terms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leansing 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leansing products in the cosmetics industry.

      • 민화(民畵)의 이미지를 응용한 접시디자인 연구 : 화훼도를 중심으로

        유승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a research about design of plates using images of flowers in folk paintings.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s in folk paintings to porcelain plates, the author tried to add aesthetic and playful elements, beyond stereotypes of everday dishes. The images of flowers continue to appear various forms In folk paintings. The images of flowers spark various emotions including stability, ecstacy, happiness, joy and piety. In this regard, the author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s of flowers in folk paintings, using modernized images. Folk paintings are the artworks loved by laypeople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particular, flowers in folk paintings mean good luck and they show most vivid and varied images containing the prayers for riches and happiness of life. In this regard, the author attempts to use positive images of flowers on plates, thereby providing vividness to life and fresh new meanings on culinary culture. Throughout the history, dishes have diversified into many kinds to reflect the change of culinary culture. Among them, plates are the vessels used to put food as well as support other objects. Considering that the aesthetic aspects becomes as important as tastes, the author considered saucer designs to respond to consumer tastes and fulfill the aesthetic senses. In particular, the author used design motives from flowers that appear most often in folk paintings, including peony, plum, Chrysanthemum, lilies and bamboos. The author intended to produce various images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s, and to complete the image of a large flower when combined. The author found that the research work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s in folk paintings could perform not only decorative effects but also appropriate functions for each purpose. In addition, the author found that plates emphasizing formativeness were worth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study, the author would like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plate designs, combining practicality and decorativeness. 본 연구는 민화에 나온 꽃의 이미지를 이용한 접시 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다. 민화의 꽃의 특징들을 도자 접시 식기 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실용적 그릇의 고정적 관념을 넘어 심미적, 유희적 요소 등을 더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민화에서 꽃은 여러 분야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꽃의 이미지들은 안정감, 황홀감, 행복감, 기쁨 그리고 경건함 등 다양한 감정을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민화의 꽃의 특징과 소재에 초점을 맞춰서 이미지를 활용하여 현대적 감성에 맞게 재해석 하여 도자 제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민화는 조선시대에 대중에게 사랑 받은 그림이다. 특히 꽃그림은 삶의 부귀와 행복에 대한 염원 및 축원을 가장 활발하고 다양하게 담아낸 예술적 가치를 지닌 그림으로서, 그 꽃들은 그마다 좋은 일이 일어날 징조의 의미를 지닌다. 이에 연구자는 식기에 꽃의 긍정적 이미지를 반영하여 삶에 활력을 주고 식문화의 새롭고 신선한 의미를 부여한다. 식기는 식문화의 변화와 함께 그 용도도 제각각 다양해져 끊임없이 변화와 발전을 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접시는 음식을 담고, 얹고, 덜어 먹을 때 뿐만 아니라 다른 기물을 올려 놓기 위한 받침의 용도로도 우리의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는 용기이다. 음식 문화에서 미적 요소가 맛 못지 않게 중요해지는 흐름을 감안해서 본 연구자는 소비자의 개성 있는 기호에 대응하고, 미적 감각을 충족 시킬 수 있는 접시 디자인을 검토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모란’,‘매화’, 국화’,‘연꽃’,‘백합’,‘대나무’등 민화에서 나오는 사용도가 높은 꽃들을 모티브로 작품을 디자인하였다. 연구자는 무늬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합체했을 때 하나의 커다란 꽃의 이미지로 완성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민화의 꽃의 특성을 이용한 본 연구 작품들은 장식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각각의 용도에 맞는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고 조형성이 강조된 접시가 지속적 연구 가치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접시 디자인에 있어서 실용성과 장식성을 잘 조화시킨 디자인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美軍政期 南北韓 電力需給協商 硏究

        유승주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군정기 남북한 전력수급협상 과정을 구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미군정기 남북관계의 흐름과 변화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해방 직후 한반도 발전설비의 대다수는 북한지역에 편중 배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분할점령 이후에도 남한은 소요 전력의 상당량을 북한의 송전에 의존하였다. 이에 따라 계속적 전력수급 및 요금 지불을 위한 교섭이 1946년 초부터 진행되었다. 1946년의 전력협상은 미국과 소련의 교섭을 통해 진행되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1947년부터는 北朝鮮人民委員會가 북한지역 정권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함으로써 전력수급협상의 전면에 서게 되었다. 북조선인민위원회는 '전력의 공급자'라는 우월한 입장을 기반으로 미국과의 관계에서 정치적·경제적으로 이득을 얻고자 했다. 1947년 3월 19일 金日成은 전력요금 청구 서한을 남한 주둔 미군사령부 브라운소장에게 직접 제출하였다. 이를 통해 한반도문제의 해결 구도를 북미관계로 전환시킴으로써 자신이 38도선 이북지역에서 확보한 권위를 대외적으로도 적용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전력문제가 북측의 정치적 이해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상황을 받아들일 수 없었으므로 인민위원회와의 직접 협상을 거부하였다. 이후 협상의 대안으로 美軍司令部·南朝鮮過渡政府 대 蘇聯軍司令部·北朝鮮人民委員會라는 새로운 협의방식이 모색되었다. 그 결과 1946년 6월 13일 平壤電力協商이 개최되었고, 18일 「朝鮮電力協定」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은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의 재개라는 협력분위기에서 실현될 수 있었으며, 남과 북 모두의 경제적 이해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또한 하나의 사안에 대한 협의를 성사시켰다는 점은 이후 한반도 통합을 위해 중요한 경험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미군당국의 전력요금 지불이 협정 규정보다 훨씬 지체되자 1948년 4월, 북조선인민위원회는 미군정청에 전력협상 재소집을 제의하였다. 이에 대해 미군사령부가 북조선인민위원회를 협상 주체로 인정할 수 없다는 원칙만을 내세움에 따라 미·북간 전력협의는 교착되었다. 결국 1948년 남한의 5·10 총선 직후인 5월 14일 북한은 대남송전을 중단하였고, 남북간의 상호 비난은 격화되었다. '斷電'을 전후하여 남북한의 한국인 사이에는 민족내부적 협의를 통한 전력문제해결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나, 이는 적극적으로 추진되지는 못하였다. 그 원인은 美軍政 및 남한 정부당국자들이 북조선인민위원회와의 협상을 강경한 태도로 거부하고, 大韓民國 政府樹立 이후에도 남한 전력문제에 대한 결정권을 미국이 보유하고 있었다는 점에 있었다. 한국과 미국은 1948년 9월 11일 「財政 및 財産에 관한 最初 協定」을 체결하였는데, 여기에서 한국 전력문제는 미국과 소련의 합의를 통해서만 논의될 수 있음이 명기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남한에서는 전력난의 해결을 위하여 남한 내 발전시설의 확충을 모색하였다. 이 계획은 처음 미군정청 내 非常時電力委員會에 의해 수립되었으며, 소요 비용의 상당부분을 미국의 원조로 충당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결국 전력공급문제 역시 한반도 내 통일된 경제순환구조 구축을 통한 해결이 아닌, 남북경제권 단절 및 대미의존적 원조경제로의 편입을 통해 해소되었던 것이다. 5·14 단전은 남과 북에 각각의 정부가 수립되고 있던 당시의 현실상황 속에서 발생한 하나의 정치적 사건이었다. 전력수급 협상의 진행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듯이 그것은 한반도문제의 해결 주체 및 남북한 발전 방향을 그 속에 응축한 것이었다. 한국문제의 민족 내부적 해결을 내세우면서도 미국과의 직접 협상을 주창하는 북한당국의 논리와, 한국문제의 국제화를 추구하면서 미국의 경제순환구조에 편입되었던 남한 당국의 입장이 초기적으로 드러났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process of negotiations of electric transmission as measures to grasp the concrete situ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U. S. Army Military Government. The power plants. in Korea were centralized upon North Korea, and North Korea had transmitted power continuously about 3 years after liberation of Korea. Pyong Yang Electric Negotiation in June 1947 held in order to secure power transmission from Noth to South and payment the electric charges. And as a result of the negotiation, Chosun Electric Agreement concluded. After that, payment of the charge by the U. S. Army Military Government was delayed considerably. So North Korean Peoples' Committee suggested reopening of electric negotiation to the U. S. Army Military Government. North Korea endeavored to be authorized their authority in North Korea internationally, therefore U.S.A. couldn't permit North Korea to succeed in it's attempt. So they refused to have any conference with North Korea. It was also concerned with the United States' Far Eastern Policy. In the end, North Korea cut off the current 14 May 1948, immediately after the 10 May elections in South Korea. In the other side, it happened that one have to settle the electric problem in national unity. This assertion was given support to public opinion, but couldn't be realized. Because U.S.A. had the right of electric negotiation after setting up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as it used to be. In the end, the problem of electric power shortage in South Korea was solved not by unification of the economic structure of Korea, but by being subordinate of national economy to U.S.A.

      • 대학의 하이퍼 조직화 : 변화의 동학과 결과

        유승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학이 마주하고 있는 환경적 여건은 대학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고등교육의 시장화는 각종 시장논리를 대학에 적용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에 신공공관리(NPM)에 기반을 둔 경영기법이나 각종 개혁 조치들이 대거 시행되고 있다. 대학은 어느 기업조직보다 더 기업적 행태를 보이면서 이제 ‘경영자적 전환(managerial turn)’, ‘기업적 행위자(corporate actor)’로 대학의 본연의 정체성마저 뒤바뀌고 있는 상황이 도래했다. 또한 발전(development)과 정의(justice)라는 두 개의 거대한 보편적 규범이 지배적 경영원리로 자리매김하면서, 이제 대학은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s) 달성을 위한 핵심 주체로까지 부상하였다. 현대사회에서 대학은 교육과 연구 같은 전통적 조직목표의 달성을 넘어서 때론 역기능적 가치의 초과 달성을 요구받고 있고, 이에 반응하기 위해 대학은 과잉적 조직적 분화(organizational differentiation)를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대학 조직에서 발생하는 과잉적인 조직화 경향과 급격한 정체성 변화, 그로 인해 파생된 결과를 Bromley와 Meyer(2015)가 제시한 ‘하이퍼 조직(hyper-organization)’ 개념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하이퍼 조직이란 “조직 본연의 정체성과 역량, 고유기능과 이해관계를 뛰어넘는 조직경계의 확장과 내부 복잡성의 증대를 통하여, 다양한 조직 영역에서 주어진 역할을 초과적으로 달성하는 조직”을 지칭한다(Bromley & Meyer, 2015). 과거에 비해 조직의 목표는 확장되었고 다양한 가치를 추구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제 전통적 조직의 틀만으로는 변화된 조직의 정체성을 규정하기 어려워졌으며, 대학이 보이는 과잉 조직화 및 구조적 정교화의 특징과 배경을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하이퍼 조직으로 진화하는 대학의 모습을 살펴보고 조직변화의 원인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하이퍼 조직화의 여러 단면 중 교육부문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조직이론(organization theory) 관점에서 규명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급증하는 시기에 “한국 대학의 하이퍼 조직화를 추동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그리고 “하이퍼 조직화는 대학 조직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을 통하여 조직변화의 동학(dynamics)과 그 결과에 대해 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개의 경험적 분석을 시도한다. 하나는 하이퍼 조직화의 원인을 밝히는 분석이고, 다른 하나는 하이퍼 조직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대학의 핵심 기능이라 할 수 있는 교육부문에서 발생하는 과잉적 분화에 초점을 맞춰 하이퍼 조직화된 학과개설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다음 하이퍼 조직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교육부문의 하이퍼 조직화와 대학 조직의 대표적 성과라 할 수 있는 교육, 연구, 수익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의 대상은 국내 4년제 일반대학 214개이며, 분석기간은 2009년부터 2022년까지이다. 먼저 첫 번째 연구질문에 해당하는 하이퍼 조직화를 추동하는 원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이 인지하는 행위의 준칙은 제도적 환경 내 공유된 의미체계와 상징으로부터 파생된다. 이때 대학은 인접한 지역 내 대학이나 규모나 성과가 비슷한 대학을 동일한 조직장에 속한 행위자로 인식한다. 이들은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을 가지며 합리화된 구조와 관행을 공유한다. 마찬가지로 하이퍼 조직화된 학과는 동일 조직장 내 타 대학들에 의해 이미 정당성을 부여받았으므로, 여과 없이 이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둘째, 관리주의의 부상과 함께 관리(management)와 경영(business) 그 자체에 대한 대학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현대 대학에서 경영·전략 부서는 행정 조직도의 말단이 아닌 의사결정 구조의 최상단부에 위치하는 모습을 쉽사리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와 경영에 대한 관심은 각종 경영교육으로 이어지며 경영교육에 관한 국내외 인증을 획득하려는 적극성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적극적 행보가 하이퍼 조직화된 교육과정 개설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현대 대학은 지역 행위자(local actor)가 아닌 글로벌 행위자(global actor)를 지향한다. 대학 스스로 인식하는 경쟁 기준의 상대를 지역이라는 물리적 범위에 국한하지 않고, 세계 대학과 동일한 정체성(identity)을 획득하려고 한다. 특히, 2000년대 이후 미디어 및 각종 순위기관에 의해 세계대학 순위가 발표되면서 대학 간 경쟁은 심화되었고, 이는 대학이 스스로 지역성(locality)을 버리고 보편성(universality)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 가지 특기할 점은 세계 대학과의 경쟁에 장기간 노출된 대학은 하이퍼 조직화된 학과 개설에 소극적인 행태를 보였다는 점이다. 이는 곧, 융합·글로벌 같은 수사적(rethorical) 표현을 학과명에 반영하는 것이 소위 ‘real actor’간 경쟁의 산물이 아닌 ‘constructed actor’, 즉 사회적으로 구성된 행위자 간 경쟁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넷째, 하이퍼 조직화된 학과의 개설은 성과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상징적(symbolic)이고 의례적(ritual)인 조직변화의 일종이다. 실제 연구성과 분야에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대학, 즉 열망했던 수준보다 낮은 연구성과를 산출하는 대학이 하이퍼 학과 개설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사회적으로 하이퍼 학과가 연구성과를 증진할 수 있다는 어떠한 경험적 증거가 축적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럼에도 성과 개선을 위한 학습의 결과가 근본적 처방을 선택하는 것이 아닌 피상적(superficial) 미봉책으로 이어졌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처럼 대학의 하이퍼 조직화가 항상 조직의 목표-수단(means-ends)과의 관계에 있어 합리성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질문인 하이퍼 조직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이퍼 학과가 대학 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 긍정적 효과는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양자 간 유의미한 관계성이 입증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즉, 하이퍼 조직화와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조직변화가 이루어진 합리성의 근거를 밝히고자 했지만, 양자 사이에 뚜렷한 인과적 관계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처럼 조직의 형태와 성과 사이에는 높은 인과관계의 모호성이 존재한다(DiMaggio & Powell, 1983; Meyer & Rowan, 1977). 하이퍼 조직화로의 진화는 조직변화의 일반적 불확실성과 하이퍼 조직화라는 특수한 불확실성이 중첩적으로 결합된 극도로 불확실한 의사결정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모호한 인과관계 속에서도 대학의 하이퍼 조직화는 학과 통합 및 신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 걸쳐 시행되고 있다. 즉, 대학이 구조적 합리화나 정교화를 이룩하는 것으로 묘사(depiction)하지만, 기능적 측면에서 비합리적이거나 때론 역기능적일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정책적 함의가 있다. 먼저, 본 연구는 world-system 및 societal 같이 초국가적·세계사회 수준에서 논의되었던 하이퍼 조직화 개념을 한국 대학이라는 field·population 단위에서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의 확장성과 적용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국지적 맥락에서 조직변화의 양상을 하이퍼 조직화라는 개념에 따라 정립함으로써, 산발적으로 논의되던 대학의 변화상을 하나의 이론적 틀로 규정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현대 대학의 조직변화를 새로운 이론적 틀로서 재구성하려고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례적 조직변화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한 문화적 상징에 대한 무분별한 수용이 대학 발전에 항상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하이퍼 조직화와 같은 상징적이고 피상적 조직변화가 파생시킬 수 있는 허구성에 대한 검증이자, 많은 대학이 합리성 추구 과정에서 조직의 제한된 자원을 투입하여 기회비용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종의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하이퍼 조직화 자체가 긍정 또는 부정과 같은 이분법적 가치판단의 대상은 아니다. 하이퍼 조직화는 분명 조직구조의 분화(differentiation)적 측면이나 조직의 활동이 법률(legal)이나 회계(accounting)적 관할(jurisdiction) 아래 놓이게 되어 전체적인 조직 합리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한다. 그러나 하이퍼 조직화의 구조적 특성상 핵심기능(core function)과 전통적 이해관계(interest)를 초과한 과잉 조직화로 인하여 조직이 추구하는 본질적 가치의 훼손이나, 기술적 환경과 대치되어 발생하는 디커플링(decoupling), 그리고 비효율이라는 의도치 않은 부정효과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기능주의(functionalism)적 관점에서 대학 조직의 경계 확장과 구조적 분화를 대학의 발전을 제고하기 위한 필연적 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확장적 형태가 대학 조직의 성과로 통칭할 수 있는 기술적 합리성의 달성 여부와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전 대학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하이퍼 조직화가 의례적(ritual) 조직변화이자 신화(myth)적 성격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