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集玉齋 소장 書畵‧金石 자료와 고종대 문화변동 연구

        유순영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1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visual, calligraphic, epigraphic materials in the Jibokjae library, and examines the internationality of the materials of Jibokjae in terms of painting, calligraphy and book distribution in East Asi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Furthermore, I examines the changes in the art phenomenon of the Gojong er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visual images of the collected materials in the Jibokjae library. The visual, calligraphic, epigraphic materials in the Jibokjae library consist of painting history and picture theory books, painting manuals, scenic prints, character prints, books about government-education and new culture-modern visual knowledge, Japanese materials, epigraphic books, calligraphy and painting prints. The lithography prints containing traditional knowledge of China and the trend of contemporary Shanghai calligraphy and painting occupy a large part. This is connected with King Gojong's perception of the era, who tried to respond to a new era by using the Qing change as a model. Large number of materials collected in Jipokjae were published in Dianshizhai, Shenbaoguan, Tongwenshuju, Xingsucaotang, and Jiangzuoshulin. Especially, publications of Dianshizhai and Tongwenshuju occupy a high proportion. The publication competition between Dianshizhai and Shenbaoguan is confirmed. The role of the Shanghai bookstores as a space of the circulation of Japanese editions and Chinese calligraphies and paintings is also no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visual image of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Jipokjae, the change of art culture is researched from two aspects. The spread of Shanghai painting style in the flower-birds, animals, and four gentlemen paintings is examined focusing on newly researched contents. The change in the taste of painting and calligraphy at the court is targeted at visual objects that acted on epigraphic studies, antique tastes, and auspicious desires. A verse couplet carved on a plank which is put on a pillar in palace is also the subject. 이 논문은 집옥재 수집 서화‧금석 자료를 조사, 분석하고 19세기 말 동아시아의 서화와 서적 유통 측면에서 집옥재 자료의 국제성을 살피며, 수집 자료의 성격과 시각 이미지에 근거하여 고종대 미술현상의 변화를 고찰한 것이다. 집옥재에 수집된 서화‧금석 자료는 畵史와 畵論書, 畵譜, 명승도류, 인물 판화, 통치 및 교화, 신문물과 근대 시각 지식, 일본 자료, 금석서, 서예와 회화 자료로 이루어져 있다. 서화와 금석 관련 저록, 화보, 서예와 판화, 통치와 개화 관련 서적이 수집되었고, 일본 자료도 한 부분을 차지한다. 중국의 전통 지식과 동시대 상해의 서화 경향을 담은 石印本이 대종을 이루는 것은 淸의 변화를 모델로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고자 한 고종의 시대 인식과 상통한다. 집옥재 수집 서화‧금석 자료는 點石齋, 申報館, 同文書局, 行素艸堂, 江左書林에서 출판된 것이 다수를 이루며, 점석재와 동문서국 발간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서구 자본으로 운영된 점석재와 중국인이 경영한 동문서국의 출판 경쟁은 서화 자료에서도 확인되며, 일본 판본의 유통과 서화 유통 공간으로서 상해 서점의 역할도 주목된다. 집옥재 수집 자료의 성격과 시각 이미지에 근거하여 미술문화의 변동을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화조, 영모, 사군자에서 상해 화보의 유입과 해상화파 화풍의 확산을 새로 파악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금석학과 골동취미, 길상적 욕망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시각물과 궁궐 주련을 대상으로 궁중의 서화 취향이 변화된 측면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미래 자원환경지질 분야로서 국가기반시설 리질리언스 연구 동향 분석

        유순영,Yu, Soon-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1 자원환경지질 Vol.44 No.6

        미국에서는 재난으로 인한 기반시설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가기반시설 리질리언스 확보가 국가기반시설보호계획에 활용되고 있다. 여기서 "리질리언스"는 재난으로 인한 시스템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반시설 시스템의 능력으로, 리질리언스 비용으로 정량화가 시도되었다. 리질리언스 비용은 시스템 영향과 복구노력을 합한 것으로, 리질리언스 평가 사례는 리질리언스 평가시 복구노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리질리언스 비용을 설명하고, 연구 사례를 통해 리질리언스 비용의 평가 방법을 보여주고자 한다. Critical infrastructure resilience has been integrated in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in US after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recognized that protection, in isolation, is a brittle strategy. Here "resilience" is the system's ability to efficiently reduce both the magnitude and the duration of systemic impacts after hazards, and quantitatively assessed as a resilience cost. The resilience cost is the sum of systemic impacts and recovery efforts, and many case studies on resilience costs show that the recovery effort should be included in resilience assessment. This paper explains how the resilience cost is defined and quantified with a case study.

      • KCI등재

        李白의 이미지 유형과 이백 문학의 회화

        유순영 한국미술사학회 2012 美術史學硏究 Vol.274 No.274

        이 논문은 시각문화에 표상되어 있는 李白(701-762)의 이미지 유형과 그의 문학이 시각화되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이백은 脫俗的인 酒徒狂客이자 禮法을 거부하는 자유분방하고 오만한 기질을 지닌 독특한 페르소나(Persona)의 인물이다. 특히 실상을 넘어선 새로운 성격과 다양한 면모를 부여받은 인물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백을 제재로 한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시각문화가 표상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의 아우라(Aura)를 좌우하는 문학작품의 시각적 재현양상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한 인물에 대한 문화현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역사적 인물로서 이백의 실상과 인간적 기질, 그리고 후대에 신비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는 정치적 불운과 자유분방한 기질로 인해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지 못한 채 술과 방랑, 도교적 초월로 현실을 극복하려 한 인물이다. 그러나 사후에 일련의 윤색과정을 거쳐 가공의 인물로 재탄생한다. 송대에는 출생과 죽음, 장안 생활이 미화되어 官撰史料에 수록되었고, 원대 이후에는 雜劇과 話本소설에서 새로운 일화와 再編된 이야기들이 만들어졌다. 시각문화에 표상된 이백의 이미지는 네 가지 유형으로 고찰해보았다. 翰林供奉의 관리, 詩酒風月의 낭만적 풍류객, 불의에 저항하는 영웅, 도교의 초월자, 신선이다. 초상화와 석각 및 판화에 그려진 인물상에는 翰林學士를 지낸 官歷이 잘 드러나며, 낭만적 풍류객의 모습은 行吟, 捉月, 賞月, 泛舟, 觀瀑 등 다양한 화제로 나타나고, 酒仙의 형상에서 극대화된다. 高力士, 楊貴妃 등과 관련된 역사고사화에서는 불의에 저항하는 영웅의 이미지를, 산중에 은거한 道人과 신선이 되어 昇天하는 모습에서는 도교의 초월자로서의 이미지를 읽을 수 있다. 이백의 시 가운데 詩意圖로 그려진 詩題는 30首 이상으로 파악된다. 杜菫은 白描人物畵法과 馬夏派 화풍이 잔존하는 浙派화풍의 시의도를 그렸으며, 명대 후반기 蘇州화단과 명말기 문인들은 복고주의 문학론에 힘입어 각자 개성적인 작품을 선보였다. 소주 지역 화가들의 작품에서는 「望廬山瀑布」와 「蜀道難」의 시각화 양상을 볼 수 있으며, 李流芳과 項聖謨는 사의적인 문인화풍의 작품을 남겼다. 청대에는 蕭雲從과 石濤가 각각 판화와 회화로 독특하고 개성적인 시의도를 남겨 주목된다. 李白詩意圖는 도연명, 왕유, 두보시의도에 비하면 그 수가 적은 편인데, 이는 호방하고 낭만적인 詩風이 추앙의 대상이 되기는 했으나 詩學을 학습하는 데 적절한 모델은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春夜宴桃李園圖는 정원을 배경으로 한 雅集圖 계열의 작품으로, 명대 후기에 雅會圖가 크게 유행하면서 다시 부각되었다. 명말에는 정원의 詩會장면과 야외아집도 분위기의 작품이 공존하다가 청대에는 산수표현이 강조되는 경향으로 변모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various types of representations of Li Bai (701-762) in visual art forms and visual languages used to translate his poems in these art forms. The prototype ‘drunken poet,’ Li Bai was an eccentric man who was free-spirited and spurned conventions. Interestingly, the life and legacy of this larger than life literary figure have been constantly reinterpreted and given new dimensions through the course of histor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i Bai is represented in the many visual artworks that are either thematically or formally inspired by him and how his poems that are the concrete sources of the manifold images of him are visually rendered in them, as an attempt to develop a global understanding of cultural phenomena spawned by this literary figure. The paper begins by looking at established facts about his life and attempts to sketch out a portrait of Li Bai both as a man and as a poet. The paper then proceeds to examine the process through which a personality cult was developed around him after his death. During his lifetime, Li Bai’s pursuit of Confucian social ideals was foiled by a series of political misfortunes and his own convention-flouting behavior. Disillusioned and frustrated, Li Bai turned to drinking and wandered across the country, while seeking an escape from reality through Taoism. After his death, Li Bai was reinvented through an amount of posthumous embellishing. During the Song Dynasty, the story of his life was included in state-published history books, with embellished accounts of his birth, death and the period of his life spent in the capital. During the Yuan Dynasty and thereafter, new anecdotes or retold accounts of known anecdotes from his life were made into plays or novels. In this study, images of Li Bai as projected in visual arts are examined by focusing on four main types of representation: A scholar-official who was a member of Yu-lin, a romantic portrayal of a wandering poet, a hero rebelling against the establishment and a Taoist near-immortal above mundane. Portrait paintings, stone carvings and woodcuts representing Li Bai depict him most often as a scholar-official of Yu-lin. Meanwhile, representations of Li Bai as a romantic wandering poet, enamored with wine, take various forms ranging from a poet in exile, poet drowning while attempting to grab the moon reflected on the river, poet contemplating the moon in the night sky, poet enjoying boating and a poet delighted by the view of a waterfall, while the most emphatic expression of it doubtless remains his image as the ‘immortal of wine (Shixian).’ Li Bai is portrayed as a hero warring against injustice in stories involving historical figures such as Gao Lishi and Imperial Consort Yang Guifei. Finally, the poet is a Taoist hermit living in retreat in deep mountains who eventually becomes an immortal and is lifted to heaven. There are some thirty or more Li Bai’s poems that are painted. Du Jin painted on themes from poetry in the style of the Zhe School, blending the Baimiao(白描) figure painting technique and displaying a hint of influence of the Mahsia school. In the late Ming Dynasty, works showing strong individual personalities were produced both in the art circles of Suzhou and by literati painters amid the revivalism in literature. Such poems by Li Bai as ‘Wang lushan pubu (View of a Waterfall in Lushan)’ and ‘Shu dao nan (Hard Roads in Shu)’ were popular themes among Suzhou painters. Li Liufang and Xiang Shengmo, meanwhile, left literati-style paintings having distinct personal stamps. During the Qing Dynasty, Xiao Yuncong and Shi Tao made original and memorable renditions of poems of Li Bai, in woodcuts and paintings. Compared to paintings on poems by Tao Yuanming, Wang Wei or Dufu, for example, works on Li Bai’s poems are fewer in number. This appear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latter’s poems, although admired for their free and romantic qualities, were not c...

      • KCI등재

        수자원 공급 사업의 경제성 평가: 실물옵션가치평가기법의 적용성 검토

        유순영,김태희,Yu, Soon-Young,Unger, Andre J.A.,Kim, Tae-H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5

        금융시장에서 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의 가격 결정에 이용되는 옵션가격결정모델의 기본개념이 비금융 사업의 옵션가치 평가에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물옵션이라 불리는 이들 비금융 사업 옵션의 특성을 살펴보고, 실물옵션가치평가기법이 수자원 공급 사업의 경제성 평가에 이용되는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수자원 공급 사업이 일반적으로 대규모 투자비용이 소요되고, 사업 기간이 긴 이유로 말미암아 경영상의 유연성이 요구되며, 미래의 수익과 비용 흐름이 불확실하다는 것을 고려할 때, 실물옵션가치평가기법은 운영 옵션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수자원 공급 사업의 가치 평가 과정에 포함시키므로써, 기존 현금흐름할인법의 단점을 보안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 평가 기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ption pricing model in finance has been applied to price non-financial options, called real options. The real option valuation method is ideally suited to irreversible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including the need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to act and even change between alternative courses of action as information is collected. Therefore, the real option valuation method is expected to provide a superior and less subjective approach to determining optimal strategies for water resources supply projects, which have been reported to have huge risks due to uncertainties, and investors and policy makers need to build an optimal strategy - when and if to invest - with uncertainties and managerial flexibilities considered.

      • KCI등재

        백두산 화산 분화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적 손실 평가

        유순영,이윤정,윤성민,최기홍,Yu, Soonyoung,Lee, Yun-Jung,Yoon, Seong-Min,Choi, Ki-H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3

        백두산 화산의 분화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백두산 화산 분화가 한반도를 비롯하여 지구촌에 미칠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백두산 화산이 분화할 경우 남한지역은 특히 화산재로 인한 직접 피해를 입게 되며, 이로 인한 2차 피해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백두산 화산 분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에 있어 기초가 되는 직접 피해액 계산 방법을 고찰해 보고, 백두산 화산 분화 시나리오의 직접 피해액을 산정해 보고자 하였다. 직접 피해액 산정 방법으로는 재난 리스크 모델링 기술을 활용하였다. 현재까지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백두산 화산 분화 시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화산재 피해를 입게 된다. 이에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피해목적물 정보를 구축하였으며, 특히 강원도 전체 면적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농업과 임업 분야를 중심으로 피해목적물 정보를 구축하고, 피해목적물별 손상함수를 정리하였다. 백두산 화산 분화 시나리오에 따른 화산재 두께 분포와 피해목적물의 공간 정보 및 자산 정보, 그리고 손상함수를 활용하여 피해액을 산출한 결과, 이 연구에서 참고한 겨울철 시나리오의 경우, 농업과 임업분야에서 각각 2,998억원(2010년 생산액의 20.4%)과 289억원(2010년 생산액의 9.0%)의 피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분야에서 더 큰 피해를 입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연구에 사용된 손상함수에 따르면, 농산물이 임산물보다 화산재에 더 취약하기 때문이다. 또한 강원도 지역은 농산물 생산액(2010년 기준 14,717억원)이 임산물 생산액(2010년 기준 3,223억원)보다 4.5배 이상 크다. 겨울철 시나리오의 경우, 피해액이 가장 큰 지역은 인제군, 강릉시 등으로 인제군은 비록 생산액은 많지 않으나 화산재 두께가 높이 쌓여(평균 8.5 mm) 큰 피해를 입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성군의 경우 20 mm 이상의 화산재 두께가 쌓이나 생산액이 적어 비교적 적은 피해를 보였다. 이와같이 산정된 직접 피해액은 투입산출모형과 같은 간접피해평가모형을 통해 간접 피해를 계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As Mt. Backdu is expected to erupt,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the erup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on the world become a research topic of interest. If the volcano erupts, South Korea can be directly impacted by volcanic ash, which will bring out secondary damages in various ways. Given that the direct damage is a basis to estimate indirect and secondary damages, this paper was to review a method to estimate direct damages, called catastrophe risk models, and estimate the direct damages of available eruption scenarios of Mt. Baekdu. Based on the results, the damages by volcanic ash will occur mostly around Gangwon province if the Mt. Backdu erupts. Thus the inventory lists and their damage functions of Gangwon provinces were collected. In particular agricultural and forestry products were surveyed based on the land use. Direct damages were estimated using volcanic ash distribution of eruption scenarios, inventory information and their damage functions. In result, a scenario in winter caused the damage of 299.8 billion KRW (20.4% of total agricultural production in 2010) and 28.9 billion KRW (9.0% of total forestry production in 2010) in agriculture and forestry, respectively. The damages in agriculture was larger, and it is due to the damage functions which show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more vulnerable to volcanic ash than forestry products. Also the agricultural production (1,471.7 billion KRW in 2010) are more than 4.5 times the forestry production (322.3 billion KRW in 2010) in Gangwon province. Inje and Gangnung had the most damages in the scenario in winter. Inje had the most damage due to the thick ash deposit (8.5 mm in average) despite the low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Goseong had a low damage compared to the ash thickness larger than 20mm, owing to the low production. The direct damage estimat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used to estimate indirect damages.

      • KCI등재

        사군자화훼수목병풍을 통해 본 석정 이정직의 회화

        유순영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2 No.-

        This study examines the world of Seok Jeong Lee Jeong-jik’s paintings by focusing on his four gentlemen-flower-plant folding screen. Lee was active in Jeonbuk area during the Late Choseon Period. The role and the significance of Lee Jung-jik in the development of the four gentlemen-flower-plant folding screen genre, and his influence on modern painting stage has yet to be fully researched. Therefore, Lee's paintings will be examined by supplementing the newly discovered materials and literature records centering on existing five folding screens. Lee Jung-jik referred to the works of Jang Seung-eop and Heo Ryeon, then followed the materials composition of Heo Ryeon whose works were mainly based on the plants with symbol of noble men while appropriately utilizing Jang Seung-eop’s scenery arrangement to develop the four gentlemen-flower-plant folding screen that revealed his unique characteristics. By expressing the literary connotations in each subject, he sought to reach the stage of perfecting Siseohwa, harmonizing the poems inspired by paintings, handwriting with elegant strokes, and simple style of painting. It is characterized by a succinct description of object based on the spiritual painting creation method and excellent stroke of the brush. And he proceeded with the direction that emphasizes the screen composition by including new objects like orchid, hydrangea, and narcissus. The second-generation disciples Yu Yeong-wan, Lee Kwang-yeol and Kim Hee-sun succeeded this and painted the center of Sagunja or the folding screens that partially incorporated other subjects. Also they showed their individuality by developing Lee’s legacy. 이 논문은 석정 이정직의 사군자화훼수목병풍을 중심으로 그의 회화세계를 고찰한 것이다. 현전작 다섯 점을 중심으로 문헌 기록과 새로 발굴된 작품들을 참고하여 사군자화훼수목병풍의 전개에서 이정직의 선도적인 역할과 회화적 특징, 후대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정직은 장승업과 허련의 작품을 바탕으로, 군자적 상징이 강한 식물 소재와 괴석을 위주로 한 허련의 작품 구성을 따르는 한편 장승업의 경물 묘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자신만의 개성적인 세계를 열어갔다. 각 소재에 문인적인 의취(意趣)를 담아내며 제화시와 유려한 필치의 서체, 담박한 화풍이 어우러진 시서화가 일치되는 경지를 추구했다. 사의적인 회화관과 창작론에 기반한 간결한 경물묘사와 능숙한 필묵이 특징이며, 옥란, 수국, 수선화 등 새로운 소재를 포괄하며 화면 구성력이 돋보이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는 2세대 제자들인 유영완, 이광열, 김희순으로 이어져 사군자, 화훼, 수목을 두루 아우른 작품뿐 아니라 사군자가 중심이 되면서 다른 소재가 한두 폭 결합되거나 매란국죽만으로 구성된 작품이 제작되었다. 이들은 이정직의 경물 표현과 구도를 계승하면서 각자의 방식으로 개성을 추구하였다.

      • KCI등재

        가용자료가 제한된 경우 화산재 피해 예측을 위한 손상함수 구축

        유순영,윤성민,강주화,최미란 한국지구과학회 201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4 No.6

        Catastrophe risk models require the damage functions of each vulnerable item in inventory to estimate volcanic ash losses. The damage functions are used to represent the relation between damage factors and damage and also widely used in engineering and natural hazard studies to calculate the vulnerability. In most cases, damage functions are constructed as fragility or vulnerability curves, and researchers are confused b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particularly when they perform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us, we aim to explai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ragility and vulnerability curves and their relationship by providing case studies to construct them. In addition, we suggest a simple method to construct the damage functions between damage ratio and volcanic ash thickness using limited damage data. This study comes from the fact that damage functions are generally constructed using damage data. However, there is no available volcanic ash damage data in Korea, and not even enough volcanic disaster data to construct damage functions in the world, compared to other hazards. Using the method suggested in the study and the limited damage data from Japan and New Zealand, we construct Weibull-type functions or linear functions dependent of available data to calculate volcanic ash loss estimation, which we think need to be corrected to make it more suitable for inventory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Korea. 재난 리스크 모델을 활용하여 화산재 손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목적물별 손상함수가 정의되어야 한다. 손상함수란 목적물의 재해취약도를 정량화한 함수로, 공학 및 자연재해 연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손상도, 취약성 곡선 등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혼란을 주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손상함수의유형을 정리하고, 손상함수를 구축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손상함수는 일반적으로 과거 피해사례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국내에 화산재 피해사례가 없음을 고려할 때, 남한지역의 화산재 손상함수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해외사례를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국외에서도 화산재에 대한 손상함수 연구는 다른 재난에 비해 적은데, 화산 피해사례도 적은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극소수 피해자료를 활용하여 손상함수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뉴질랜드와 일본에서 보고된 실제 피해사례를 바탕으로 와이블함수 혹은 선형함수의 취약성 곡선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가 해외사례를 기반으로 손상함수를 구축하였음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손상함수를 이용하여 남한지역의 화산재 손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국내 목적물 특성 및 환경 조건에 맞게 손상함수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